<목록>
[RTD리그]
[마작최강전] - NOW

사실 위 콘이 마작최강전 1짤요약 가능한 콘인데 ㄹㅇ루 저렇게 정리하면 죽창 맞겠지?
그러면 마작최강전이란 어떤 마작 대회인가?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불안한 점이 있다면 워낙 오래된 대회고 정보량도 많다보니까 글이 길어졌는데, 틀린 점이 많을 수도 있어서 지적은 언제나 환영임.
--------------------------------------------------------------------------------------------------------------------------------
이로카와 타케히로(色川武大)라는 소설가를 들어본 적 있나? 아마 모른다는 대답이 더 많을 거라고 예상함. 하지만 저 작가가 소설을 씰 때 사용하던 필명이 있었음.
"아사다 테츠야(阿佐田哲也)" 일본어로 번역하면 좀 웃긴데, "아침이다! 날 샜다! (朝だ! 徹夜!)" 라는 뜻이다. 작가가 마작치다가 밤 새는 게 일상이 되었다고 해서 지은 필명이라고 한다.
아사다 테츠야라는 이름을 못 들었을 수도 있다. 근데 왜 대회 얘기를 하는 데 소설가 이름이 나오냐고? 바로 이 대회가 아사다 테츠야가 일으킨 마작 붐에서 착안했으며, 아사다 테츠야라는 인물은 코지마 타케오, 후루카와 가이쇼 등의 인물들과 "마작신선조" 를 결성하여 일본에서의 마작의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고전 보드게임이라는 위상으로 올려놓았기 때문이다.

(사진의 여성은 나카다 카나(中田花奈, 노키자카46, 현 여류프로)프로로, 올해 어시스턴트로 선정되었음.)
그래서 이 대회의 목적은 정말 심플하다. "누가 마작을 제일 잘하는가?" 목적이 너무 간단한 탓에, 다른 대회들이랑 다른 점이 없어 보이지만 이 대회는 참가 인원 때문에 다른 대회들과 격을 달리한다. 참가 자격은 마작을 칠 줄 안다면 모두 가능하다. 어떤 직업이어도 관계없이, 본인이 마작을 잘하고 강하다고 생각한다면 참가할 수 있다. 그렇다보니 이 대회는 예선이 정말 길고, 예선을 여는 곳도 정말 다양하고, 온라인/오프라인 가리지 않음. 아 참고로 참가비는 4000엔이라고 함.
그래서 예선 방식을 소개하는 것도 이 글의 주제에 맞지만, 너무 방대한 탓에 공식홈페이지와 위키피디아로 대체함.
https://www.mahjong-saikyosen.com/ (공식 홈페이지)
https://ja.wikipedia.org/wiki/%E9%BA%BB%E9%9B%80%E6%9C%80%E5%BC%B7%E6%88%A6#cite_note-2 (마작최강전 관련 위키)
하지만 아예 스킵하기에도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마작최강전 대표선발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함.
KML, 한국마작연맹에서는 2011년부터 마작최강전 한국예선을 진행했는데 시작 당시부터 2019년까지 신림마장에서 예선을 진행함.
2011년에는 2명 선발했는데, 2012년부터는 1명만 선발해서 일본 현지로 간 다음, 동일본 또는 서일본 아마추어 결정전에 참여.
그리고 아마추어 결정전에서 승리하면 방송경기로 진행되는 탁자에서 1위를 하면 마작최강전 파이널 테이블에 진출. 파이널에서 최강자 결정.
아무래도 일본 개최이고 참가 인원 풀도 압도적으로 일본이 많기 때문에 한국인이 가서 활약하기 힘든데, 2012년에 박준식 선수가 2012년 한국예선에 선발되어, 아마추어 결정전을 뚫고 파이널 테이블에 진출했던 이력이 있음. 당시 16인전에서 C탁에서 현재 M리그에서 활동하는 스즈키 타로(당시 작왕, 아카사카 드리븐즈)프로, 마에하라 유다이(당시 철인프로, 코나미 마작 파이트 클럽)프로와 겨뤘는데 안타깝게도 결승진출은 못함.
https://kml.or.kr/?pageid=6&page_id=12&mod=document&keyword=%EC%B5%9C%EA%B0%95%EC%A0%84&uid=299 (아마츄어 결정전 인터뷰)
https://kml.or.kr/?pageid=6&page_id=12&mod=document&keyword=%EC%B5%9C%EA%B0%95%EC%A0%84&uid=319 (파이널 인터뷰)
현재까지 16인전 진출이 한국인으로선 최고기록. 안타까운 점이라면, 코로나로 인해 2020년부터 한국 예선전은 취소되었고 2021년부터 선발방식이 좀 바뀌어서 코로나가 해결되어도 잘 진행되지는 의문이긴 함.
그리고 마작최강전은 "토너먼트전" 임. 예선 리그에서 사람 선발을 위해서 여러 반장을 치르긴 하는데, "년도 최강"을 가린다는 명목 하에 최종 예선 선발자는 단일 반장 1위 승부 였음. 이는 파이널에서도 그래도 가는데, A, B, C, D 탁에서 1위를 가리고 그 4명이 모여 파이널 단 한 반장에서 1위가 해당 년도 최강자라는 타이틀과 함께 상금을 거머쥐게 됨.
이 대회의 위상을 올려주는 건 역시 상금 규모인데, 작년 2020년 기준으로 우승자에게 300만엔의 상금이 걸려있었고 이전 대회들을 봐도 100만엔 단위였기 때문에 상금규모만 봐도 일본에서 손꼽히는 대회라는 점을 알 수 있음.
이제 우승자가 누구인지 알아볼텐데, 상당히 오래된 대회라 옛날에 활동했던 프로도 많고 아예 모르는 사람들도 있을 거임.
년도
| 우승자 | 년도 | 우승자 |
제 1기 | 片山まさゆき(카타야마 마사유키, 만화가) | 제 17기
| 二階堂瑠美(니카이도 루미, 프로 작사) 後藤正博(고토우 마사히로, 독자 대표) |
제 2기
| 小島武夫(코지마 타케오, 프로 작사) | 제 18기
| 小山理則(코야마 토시노리, 가게 대표?)
|
제 3기
| 伊藤優孝(이토 유우코우, 프로 작사) | 제 19기
| 張敏賢(쵸오 토시마사, 프로 작사) |
제 4기
| 佐々木秀樹(사사키 히데키, 작귀회) | 제 20기
| 福田聡(후쿠타 사토시, 프로 작사) |
제 5기
| 山田英樹(야마다 히데키, 작귀회) | 제 21기
| 板川和俊(이타가와 카즈토시, 프로 작사)
|
제 6기
| 飯田譲治(이이다 죠지, 영화감독) | 2011년 | 板川和俊(이타가와 카즈토시, 프로 작사)
|
제 7기
| 飯田正人(이이다 마사히토, 프로 작사) | 2012년
| 水沼利晃(미즈누마 토시아키, 당시 아마)
|
제 8기
| 長谷川和彦(하세가와 카즈히코, 영화감독) | 2013년
| 沢崎誠(사와자키 마코토, 프로 작사) |
제 9기
| 土田浩翔(츠치다 코쇼, 프로 작사) | 2014년
| 藤田晋(후지타 스스무, 기업인) |
제 10기
| 荒正義(아라 마사요시, 프로 작사) | 2015년
| 前田直哉(마에다 나오야, 프로 작사) |
제 11기
| 長村大(오사무라 다이고, 프로 작사)
| 2016년
| 近藤千雄(콘도 카즈오, 프로 작사) |
제 12기
| 森山茂和(모리야마 시게카즈, 프로 작사) | 2017년
| 金太賢(김태현, 프로 작사)
|
제 13기
| 河合正浩(카와이 마사히로, 독자 대표)
| 2018년
| 近藤誠一(콘도 세이이치, 프로 작사) |
제 14기
| 郷内武広(고우치 타케히로, 독자 대표) | 2019년
| 鈴木大介(스즈키 다이스케, 쇼기 기사) |
제 15기
| 鈴木たろう(스즈키 타로, 프로 작사) | 2020년
| 多い隆晴(오오이 타카하루, 프로 작사) |
제 16기
| 氏家義成(우지이에 요시나리, 가게 대표?) | 2021년
| ? |
위는 우승자 표고 내가 아직 일본어가 안 익숙해서 일본어 후리가나가 없으면 아직 이름을 제대로 못 읽기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
가게 대표? 는 무는 가게 대표라고 나와있는데 가게 이름인지 잘 몰라서 ? 한거고 17기가 2명이라서 좀 이상할 수도 있는데, 당시에 최강자 프로 대회랑 원래 생각하는 본 대회랑 저 때 다르게 운영해서 우승자를 각각 선출한 것 같음. 그래서 2명인데 저 때만 시행되고 바로 없어진 거 보면 나누는 의미를 딱히 못 찾지 않았나 싶음.
특이한 점이 또 하나 있다면 참가자가 워낙 많다 보니까, 연속 출장하는 뛰어난 실력의 선수들은 있어도 연속 우승은 한 번도 없었는데 제 21기에서 이타가와 프로가 우승을 하고, 년도 표시로 바뀐 첫 대회인 2011년 대회에서 연패를 해서 최초 연패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게 아직까지도 유일무이한 타이틀임.
2021년은 아직 미정. 년간 최대 규모의 대회이다보니 12월에 파이널이 진행되는 데 그 때 생방으로 보는 게 가능하고 궁금하다면 보는 거 추천함.
굉장히 오래된 대회다 보니까 하이라이트도 워낙 많아서 지난 번처럼 추리기가 좀 힘들어가지고 일단 공식 채널 링크부터 알려주자면
https://www.youtube.com/user/mjsaikyosen 여기가 공식 유튜브 채널 주소임.
하이라이트 영상 그래도 몇개는 있어야 될 것 같아서 추려봤음.
https://www.youtube.com/watch?v=LjrhLfi3rKg현재 공식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가장 오래된 마작 최강전 영상. (4회 대회 결승전)
https://www.youtube.com/watch?v=59d4j-_AHTo분고 아오이 프로의 친 국사쯔모 3인 동시 토비 (마작최강전 2015년)
https://www.youtube.com/watch?v=QF_kaS9czsE사사키 히사토 프로의 신인 시절 2인 동시 토비 (마작최강전 2011년)
https://www.youtube.com/watch?v=vrxlvpImwug스즈키 타로 프로의 친 더블리치 배만 (마작최강전 2015년)
https://www.youtube.com/watch?v=tMvhSDfi2cA콘도 카즈오 프로의 오라스 역전 우승, 오오이 통한의 인터뷰 (마작최강전 2016년)
이 외에도 정말 많은 하이라이트가 있으니 궁금하면 공식 유튜브 채널을 참고하면 됨.
정보가 너무 많아서 1부, 2부 하려다가 가독성 겁나 떨어질 것 같아서 짧고 유익하게 담아내려고 했는데, 내 필력이 부족해서 잘 전달이 안되는 부분은 미안하게 생각함.

오늘 알아보기는 여기까지고, 다음에는 저번에 추천받았던 "이이다 마사히토배 최고위전 Classic" 이란 대회를 쓸 예정임.
만약 혹시 소개해줬음 하는 프로리그나 이름만 들어봐서 잘 모르는 리그들 같은거 있으면 여기 댓글에다가 달아줘도 됨.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