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동산, 주가가 오를수록 빈부격차가 심해지나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6.21 20:30:03
조회 60 추천 0 댓글 0

부동산, 주가가 오를수록 빈부격차가 심해지나

챗지피티
대체로 주가가 오를수록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주식을 가진 사람과 안 가진 사람의 차이

주식이 오르면 이익을 보는 사람은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다수의 저소득층은 주가 상승의 직접적인 혜택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상위 10%가 전체 주식 자산의 80~90%를 가지고 있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 2. 자산소득 vs 근로소득

자산소득(주식, 부동산 등)은 빠르게 늘어날 수 있고, 세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근로소득(월급)은 천천히 오르며, 세금이나 물가 상승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주가가 오르면 자산소득자는 부자가 더 부자가 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뒤처집니다.

✅ 3. 기업 가치 상승 → 경영진, 대주주 보상 증가

주가 상승은 기업 가치가 오른다는 뜻이기 때문에, 경영진은 스톡옵션, 배당 등으로 막대한 이익을 봅니다.

일반 근로자는 급여 인상이 크게 따라가지 않기 때문에 격차가 더 커집니다.

✅ 4. 정부 정책도 자산가 중심으로 움직일 가능성

주가가 중요해지면, 정부나 중앙은행도 금리 인하, 양적완화 등 자산가에게 유리한 정책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자산 가격을 더 올려서 부의 편중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론도 있음:

간접적으로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 회사의 재무건전성 개선 등을 통해 전체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고 빈부격차 해소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 결론:

"주가가 오를수록 주식 보유자와 비보유자 간의 자산격차가 커지므로, 빈부격차는 대체로 심해진다."

필요하시면 관련 통계나 그래프도 정리해 드릴 수 있어요.


네, 부동산 가격이 오를수록 일반적으로 빈부격차는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에 그 이유를 구조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 1. 보유 여부에 따른 격차 확대

**부동산을 가진 사람(특히 다주택자)**은 자산 가치가 상승하면서 부자가 더 부자가 됨.

무주택자는 집값이 오르면 집을 살 기회조차 줄어들고, 전세·월세 부담이 증가함.

특히 수도권, 도심, 요지 부동산은 상위 계층이 집중 보유하고 있어 격차가 더욱 커짐.

✅ 2. 자산소득 불균형

부동산은 **자산소득(시세차익 + 임대수익)**을 창출합니다.

고소득층은 여러 채를 보유해 임대료 수입, 양도차익 등을 얻지만,

저소득층은 지출로만 작용하며, 월세·전세금 상승의 직접 피해자가 됨.

✅ 3. 세대 간 격차 심화

과거에 집을 산 세대(기성세대)는 보유만 해도 자산이 증가.

반면, 청년층과 신혼부부는 높아진 진입장벽으로 자산 형성 기회 상실.

결과적으로 세대 간 자산 불균형이 심각해짐.

✅ 4. 지역 간 격차 확대

서울, 강남,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가격 상승폭 차이로 인해 지역 간 부의 편중이 가속화.

일부 지역은 가격이 수십 배 오르지만, 지방은 정체되거나 하락하는 경우도 많음.

✅ 5. 정책의 한계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정부가 내놓는 세금 정책이나 규제는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풍선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

근본적인 자산 재분배 기능은 부족하기에 이미 가진 사람의 이익을 막기 어려움.

반론: 부동산 개발이 경제를 성장시키기도 함

부동산 경기 활성화는 건설업, 소비, 고용을 끌어올리며 경기부양에 기여할 수 있음.

하지만 이 역시 부자에게 더 유리한 구조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음.

✅ 결론

"부동산 가격 상승은 자산 보유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무주택자 및 저소득층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하므로 빈부격차가 대체로 심화된다."

필요하시면 한국의 부동산 관련 통계(예: 소득 5분위별 자산 구성비, 서울-지방 집값 격차 추이 등)도 요약해 드릴 수 있습니다.


제미니

주가가 오를수록 빈부격차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산 보유의 불평등: 주식은 일반적으로 자산이 많은 부유층이 더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득 상위 계층은 주식, 부동산 등 자산 투자를 통해 소득을 늘리는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주로 근로 소득에 의존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상승하면 주식을 많이 보유한 부유층의 자산이 더 빠르게 증가하여 빈부격차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연준의 분석에 따르면 소득 상위 10%가 미국 주식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가 상승 시 이들의 자산이 크게 불어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수익률의 차이: 부유층은 더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할 수 있는 자본이 많고, 이는 더 높은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자산이 적은 사람들은 주식 시장에 참여하기 어렵거나 소액으로만 참여하여 주가 상승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정보 접근성 및 투자 역량: 부유층은 투자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전문적인 투자 지식이나 자문을 활용할 여력이 있어 더 효율적인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저금리 기조의 영향: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고 주식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지만, 이는 동시에 '빚투'와 같은 형태로 자산 상승을 부추길 수 있으며, 이러한 자산 증가는 주로 자산이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될 수 있습니다.
물론 주식 시장의 활성화가 경제 전체의 성장을 이끌고 고용 창출에 기여하여 궁극적으로는 모든 계층에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각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와 실제 통계들은 주가 상승이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자산 불평등이 소득 불평등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서 주식 시장의 움직임은 이러한 자산 불평등을 더욱 확대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네, 부동산 가격이 오를수록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입니다.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 역시 자산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이유:
* 자산 보유의 불평등:
   * 자산가치 상승의 혜택 편중: 부동산은 특히 한국 가계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약 70% 수준). 이미 주택이나 여러 채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부유층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자산 가치가 크게 불어나는 반면, 무주택자나 자산이 적은 사람들은 이러한 혜택을 누리지 못합니다.
   * 갭투자, 다주택 보유로 인한 자산 증식: 부유층은 갭투자나 다주택 보유를 통해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더 큰 수익을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자산 격차를 더욱 확대시킵니다.
* 주거 비용 증가와 소득 불평등:
   * 무주택자의 고통: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전세금이나 월세도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소득이 낮은 무주택 가구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주거비 지출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다른 소비나 저축, 투자 여력을 감소시킵니다.
   * 내 집 마련의 어려움: 젊은 세대나 저소득층은 치솟는 주택 가격으로 인해 내 집 마련이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이는 자산 형성의 기회를 박탈하고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걷어차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 대출을 통한 자산 확대와 부채 증가:
   * 자산 있는 자의 대출 용이성: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추가 투자를 하거나 다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것은 주로 이미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입니다.
   * 금융 부채 증가: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더 많은 대출을 받게 되고, 이는 가계 부채 증가로 이어집니다. 특히 2040세대와 같이 자산이 적은 젊은층의 경우, 내 집 마련을 위한 무리한 대출로 인해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커집니다.
* 지역 간 불균형 심화:
   * 수도권, 특히 서울과 지방 간의 주택 가격 격차가 커지면서 지역 간 빈부격차도 심화됩니다. 이는 거주지에 따라 자산 격차가 벌어지는 결과를 낳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부동산 가격 상승은 주택 소유 여부와 소유한 주택의 가치에 따라 개인의 자산 격차를 크게 벌려놓습니다. 한국은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부동산 가격 변동이 빈부격차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부동산 시장 활성화가 건설 경기 부양, 일자리 창출 등 긍정적인 경제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지만, 자산 불평등 심화라는 측면에서 볼 때 부동산 가격 상승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딥씨크

주가 상승이 빈부격차에 미치는 영향은 복잡하며,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주가 상승이 빈부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1. **자산 보유 격차**
   - **고소득층 vs. 저소득층**: 주식 등의 금융자산은 고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가 오르면 고소득층의 순자산이 증가하며, 주식을 거의 보유하지 않은 저소득층과의 격차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 **기업주 vs. 근로자**: 기업 주주는 주가 상승으로 이익을 얻지만, 일반 근로자는 임금 인상이 없으면 상대적 박탈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 2. **소득 불평등 확대**
   - **자본소득 vs. 노동소득**: 주가 상승은 배당금이나 매매 차익 등 **자본소득**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노동소득(임금)보다 고소득층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상장기업 vs. 중소기업**: 대기업 주식이 오르면 대기업 관계자들은 부가 늘어나지만,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는 혜택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3. **경제적 파급효과의 불균형**
   - **부의 효과(Wealth Effect)**: 주식 보유자가 소비를 늘리면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지만, 이는 주로 고소득층의 소비 증가로 이어져 저소득층의 상대적 낙후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 **금융 접근성 차이**: 저소득층은 주식 투자에 필요한 자본이나 정보가 부족해 주식 시장의 혜택에서 소외되기 쉽습니다.

### 4. **정책적 영향**
   - **양적 완화(QE) 등의 금융정책**: 저금리와 유동성 공급은 주식을 비롯한 자산 가격을 부양하지만, 이는 자산 보유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빈부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세제 혜택**: 자본소득에 대한 세율이 노동소득보다 낮은 경우, 고소득층의 실질 부가 더 빠르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5. **예외적 상황**
   - **주식 보유율 증가**: 최근 개인투자자(영어: retail investors)가 늘어나면서 중산층도 주가 상승의 혜택을 받는 경우가 있지만, 고액 자산가에 비해 영향력은 제한적입니다.
   - **노동시장 개선**: 주가 상승이 기업의 투자와 고용으로 이어져 임금이 오르면 빈부격차가 완화될 수도 있습니다.

### 결론
주가 상승이 **반드시** 빈부격차를 확대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에서는 자산 불평등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주식 시장의 호황이 고소득층의 부를 더 빠르게 증가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자본소득 과세 강화**, **사회복지 확대**, **금융 교육 강화** 등의 정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네, 부동산 가격 상승은 일반적으로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자산 보유의 불평등**
   - **고소득층 vs. 저소득층**: 부동산은 주식보다도 더 **집중된 자산**으로, 고소득층이 다수의 부동산을 보유하는 반면, 저소득층은 자가주택조차 마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상속 효과**: 부유층은 세대를 거쳐 부동산을 물려받으며 부가 축적되지만, 서민층은 집값 상승으로 인해 주택 구매가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 2. **임차인(세입자) vs. 자가주택 보유자**
   - **자가주택자**: 집값 상승으로 순자산이 증가하며, 추가로 재투자나 전세·월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월세·전세 세입자**: 집주인에게 임대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소득의 상당 부분이 주택비로 빠져나가며, 자산 축적이 어려워집니다. 

### 3. **대출 및 금융 접근성 차이**
   - **고소득층**: 저금리 대출을 활용해 추가 부동산을 구매하고, 레버리지 효과로 부를 증식시킵니다. 
   - **저소득층**: 신용등급이나 소득 증빙 문제로 대출이 어려워 부동산 시장에서 소외되기 쉽습니다. 

### 4. **지역 간 격차 확대 (강남 vs. 비수도권)**
   - **부동산 가격 상승은 특정 지역(예: 서울 강남)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아, 지역 간 소득 및 자산 격차를 더욱 벌립니다. 
   - **교육·의료 등 인프라 격차**: 고가 부동산 지역은 더 좋은 공공서비스를 누리며, 이는 다시 부동산 수요를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만듭니다. 

### 5. **정책의 영향**
   - **저금리 정책**: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시키지만, 자산가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빈부격차를 키울 수 있습니다. 
   - **종부세·공시제도**: 부동산 보유세가 충분히 강력하지 않으면, 다주택자의 투기 수요를 억제하지 못해 격차가 심화됩니다. 

### **예외적 경우: 부동산이 빈부격차를 완화할 수도?**
   - **공급 확대 (신도시 개발, 재개발)**: 서민층도 주택을 구매할 기회가 늘어나면 격차가 일부 완화될 수 있습니다. 
   - **공공주택 (임대주택, 분양주택) 확충**: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면 부의 불평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결론: 부동산 상승은 대부분 빈부격차를 키운다**
   - **"부동산 = 부의 핵심 자산"**인 사회에서는 가격 상승이 자산 보유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빈부격차를 확대시킵니다. 
   - 이를 완화하려면 **공정한 세제 (다주택자 과세 강화)**, **공공주택 확대**, **저소득층 금융 지원** 등이 필요합니다. 

> **요약**: 
> - **부동산 가격 ↑ → 자산 보유자(고소득층)의 부 ↑ → 빈부격차 ↑** 
> - **정책 개선 없으면 "부동산 빈익부(貧益貧) 부익부(富益富)" 현상 심화**될 수 있습니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40년전 미국 빌보드 5주 연속 1위한 한국 노래
https://youtube.com/shorts/MhPKOQiOOQI?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AD 휴대폰 바꿀까? 특가 구매 찬스! 운영자 25/07/02 - -
2866421 이재명씨 본격 친중반미 노선 가시더라 [6]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9 0
2866418 프로그래밍 공부해서 [3] 프갤러(211.168) 06.23 71 0
2866417 자러감..ㅇㅅㅇ [1]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7 0
2866416 여기 있는 애들 다 정신병 있는거같음 [87] 프갤러(125.131) 06.23 121 2
2866414 비전 고졸 국비 개발자인데 취업 쉬웠음 프갤러(211.234) 06.23 127 0
2866413 도로 마킹 몰카..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6 0
2866412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2 0
2866411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38 0
2866400 방산용 임베디드 컴퓨터 제작난이도가 어느정도임요? 프갤러(125.143) 06.23 55 0
2866399 일반적으로 개발할 때 저수준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있음? ㅇㅇ(58.72) 06.23 60 0
2866389 이번달 수익은 대략240만 정도인듯. 노가다할때보단 덜버네 ㅆㅇㅆ(124.216) 06.23 117 0
2866387 나는 프갤만하는게 아니라 디버깅하면서 프갤하는거지 ㅆㅇㅆ(124.216) 06.23 56 0
2866386 방송보면 놀고먹는방송들뿐이고 그런애들이 돈 더 잘버는시대인데 뒷통수한방(1.213) 06.23 50 0
2866384 ㅆㅇㅆ은 맨날 프갤하는데 [1]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93 1
2866383 센징민족 최대 개발 아웃풋이 메이플임?? 뒷통수한방(1.213) 06.23 47 1
2866381 근데 궁금한게 옛날 프갤이 좋았다는거 이해가 안가는게 ㅆㅇㅆ(124.216) 06.23 57 0
2866380 여기 분위기 왜 바뀐건지 궁금했는데 [3] ㅇㅇ(121.180) 06.23 95 0
2866379 개발자 커뮤니티 대부분은 기술적 진공상태임. ㅆㅇㅆ(124.216) 06.23 85 2
2866378 문제가 프로그래밍은 일종의 메타임. 그니까 일종의 글쓰기 같은거라 [1] ㅆㅇㅆ(124.216) 06.23 88 0
2866377 산별노조가 활성화되면 회사 내 노조가 없어도 전국 개발자 뭉침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8 0
2866376 옛날 프갤글 문제가 MVC+DAO+서비스 3층 구조서 멈춰있음 ㅆㅇㅆ(124.216) 06.23 59 0
2866375 노트북 크롬브라우저 인터넷이 20분 전쯤부터 갑자기 빨라졌다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41 0
2866374 근데 옛날 프갤이 낫다해서 옛날 프갤글보면 ㅆㅇㅆ(124.216) 06.23 59 0
2866371 여기 요즘 왜 이럼? [1] ㅇㅇ(121.180) 06.23 81 0
2866370 Ios 취직 글케 어려움? 프갤러(118.235) 06.23 68 0
2866369 고3인데 컴공 가는게 맞냐? [1] ㅇㅇ(121.180) 06.23 97 0
2866368 sm엔터테이먼트 카리나가 열심히 활동중인 이유 [1] 뒷통수한방(1.213) 06.23 72 0
2866365 레트로 게임 글 보니 드는 생각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9 0
2866364 남의 결과물은 ㅈㄴ빨리 완성해주는데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71 0
2866362 요즘 삶의 의미와 프로그래밍을 연결하기가 어려워졌어 [2]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75 0
2866360 남들 다 하는거 하지마라 [2] 프갤러(175.203) 06.22 101 0
2866359 고졸국비 30살 취업했는데 평가점 [2] 프갤러(222.111) 06.22 222 0
2866358 소기업 다니는 나도 병신이지만.. [1] 프갤러(222.96) 06.22 85 0
2866355 좇센징 한민족dna가 애초에 행볻을 동족포식으로 느끼는 병신민족임 뒷통수한방(1.213) 06.22 43 0
2866351 임베가 무슨 돈많이버냐??좇센에선 영원한 200충이지 [1] 뒷통수한방(1.213) 06.22 71 0
2866350 코테 파이썬 -> C/C++ 넘어가는법 [9] 프갤러(175.119) 06.22 141 0
2866346 메이플 하고싶긴 한데 압박감이 너무 심함;; [2] ㅇㅇ(223.38) 06.22 77 0
2866342 나도 살자글 꾹참는데 프갤러(125.240) 06.22 70 0
2866341 좇센재벌기득권들 특 ) 내가 불평하면 니가 국가에 무엇을했냐고 지랄함 [2]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06.22 63 0
2866340 좇센 궁금점이 내가 노력한만큼 나에게 무엇을 해주었는가임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06.22 40 0
2866338 amd rx550 vs 라이젠 7600 인코딩 비교해봤는데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7 0
2866334 취직하면 달라질 것 같냐? [6] 프갤러(125.240) 06.22 126 0
2866329 조코딩 나무위키 내용 볼 수 있는곳 어디임? 프갤러(211.234) 06.22 90 1
2866326 스웨덴이 출산율을 다시 올린 방법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74 0
2866324 술 마셨더니 졸리구나 [2]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64 0
2866319 이란과 이스라엘 공통점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48 0
2866314 챗티씨에게 알고리즘 과외받고 있는데 [5]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99 0
2866313 현직자 조언이 한계가 있는게 프갤러(211.186) 06.22 73 0
2866312 나츠키랑 아트리 결혼함? 프갤러(121.172) 06.22 46 0
2866311 좇센이란 나라는 노력한만큼 통수를 치는 나라임 [1] 뒷통수한방(1.213) 06.22 59 1
뉴스 워터밤 여신 권은비, 베일듯한 콧날의 인형 비주얼 + 섹시한 볼륨감 몸매까지... 디시트렌드 07.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