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최대 96GB 통합 메모리로 성능·효율 다 잡았다, 애플 맥북 프로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7 17:14:51
조회 2538 추천 3 댓글 25
[IT동아 남시현 기자] 애플이 애플 실리콘으로의 전환을 발표한 지 약 2년 9개월이 지났다. 당시 애플은 2년 안에 전체 매킨토시 라인업에 탑재된 프로세서를 인텔 프로세서에서 Arm 기반 애플 실리콘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고, 그해 11월에 첫 애플 실리콘 ‘M1’을 공개하며 본격적으로 라인업을 구축한다. 현재 애플 실리콘은 최상위 라인업인 맥프로를 제외한 전체 라인업에 적용이 끝난 상태며, 지난해 6월에는 차기 버전인 ‘M2’ 칩을 공개하는 등 꾸준히 라인업을 고도화하고 있다.

지난해 6월 공개된 M2는 M1 대비 18% 향상된 처리 속도와 35% 향상된 그래픽 처리 속도, 최대 40%까지 빨라진 인공지능 엔진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업그레이드됐다. 기본 버전인 M2는 애플 맥북 에어 및 프로 13, 맥 미니에 탑재되며, 올해 1월 추가된 M2 프로 및 맥스는 맥북 프로 14 및 16, 맥 미니에서 선택할 수 있다. M1의 최상위 라인업이었던 ‘울트라’가 M2에서는 공석인 만큼, 사용자는 자신이 활용할 작업 수준과 조건에 따라 M2, M2 프로, M2 맥스 세 애플 실리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맥북 프로 16은 M2 프로 및 M2 맥스 중 하나를 선택해서 탑재한다. 출처=IT동아



다만 다방면에서 무난한 성능을 발휘하는 M2와 다르게, M2 프로 및 M2 맥스는 성능 구분이 쉽지 않은 데다가 사용자 층이 겹쳐 선택이 어려운 편이다. M2 맥스 중 가장 성능이 높은 96GB 메모리 모델을 활용해 성능 상한선을 가늠해봤다.

최대 96GB 통합 메모리 갖춘 M2 맥스



맥북 프로 14와 16 모두 M2 프로를 기본 탑재하고, M2 맥스를 추가로 지원한다. 다만 세부적인 선택지는 코어 수에 따라 네 종류로 나뉘고, 통합 메모리도 16GB~96GB까지 또 나뉜다. 출처=IT동아



올해 1월 공개된 맥북 프로 14 및 16에 탑재되는 애플 실리콘은 M2 프로 및 M2 맥스 두 가지다. 다만 세부적인 코어 수가 다르다. M2 프로는 10코어 CPU 및 16코어 GPU, 12코어 CPU 및 19코어 GPU 두 가지 모델이 있는데 10코어 CPU는 맥북 프로 14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M2 맥스도 12코어 CPU 및 30코어 GPU, 12코어 CPU 및 38코어 GPU로 나뉘지만 맥북 프로 14와 16 모두에서 선택지가 주어진다. 조금 더 쉽게 정리하자면 메모리 16GB의 10코어 CPU 모델은 맥북 프로 14만 선택할 수 있고, 그 이상 사양의 M2 프로 및 맥스는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다.

메모리 구성은 GPU 코어 숫자에 따라 늘어나며, 최소 16GB에서 최대 96GB까지 선택할 수 있다. 단 M2 프로는 16 및 32GB만 선택할 수 있고, M2 맥스는 16GB를 제외한 32 및 64GB만 선택할 수 있다. M2 맥스 중 38코어 GPU 모델만 32 및 64GB에 96GB 통합 메모리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미니 LED 기술이 사용된 16.2형 리퀴드 레티나 XDR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출처=IT동아



본격적으로 성능을 알아보기에 앞서 2023년형 맥북 프로 16을 살펴보자. 올해 1월 17일 공개된 맥북 프로 16은 3456x2234해상도 16.2형 리퀴드 레티나 XDR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 리퀴드 레티나 XDR 디스플레이는 화상에 따라 개별 구역별로 점등(로컬 디밍)되는 1만 개의 미니 LED가 배치되며, 콘텐츠에 따라 초당 화상 갱신율(주사율)이 최대 120회까지 가변하는 프로모션(ProMotion) 기술이 적용된다.

색공간은 미국 영화산업 표준인 P3를 지원하며, 밝기는 기본 500니트에 고명암대비(HDR) 활성 시 부분적으로 최대 1천600니트까지 올라간다. 외부입력 디스플레이는 M2 프로와 맥스가 다르다. M2 프로는 6K 60Hz 디스플레이 두 대를 연결하거나 6K 60Hz 및 4K 144Hz를 한 대씩 연결할 수 있다. M2 맥스는 6K 60Hz 세 대에 4K 144Hz 한 대를 연결할 수 있고, 6K 60Hz 두 대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8K 60Hz나 4K 240Hz 한 대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좌측면에 맥세이프 3 및 두 개의 썬더볼트 4 단자, 3.5mm 오디오 단자가 있고, 우측에 SD 단자, 썬더볼트 4 단자, HDMI 단자가 있다. 출처=IT동아



디자인은 외관과 내부 모두 알루미늄을 절삭 가공하여 만들었고, 트랙패드는 강화유리 재질로 돼있다. 색상은 실버 및 스페이스 그레이 두 가지 색상 중 선택할 수 있으며, 무게는 약 2.15kg이다.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는 충전용 맥세이프 3 단자와 3개의 썬더볼트 4 단자, HDMI 단자, SDXC 단자, 3.5mm 오디오 단자가 있다. 배터리는 100와트시가 탑재돼 웹서핑 기준 15시간 연속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은 맥세이프3를 활용한 140W 급속 충전 및 썬더볼트 4 기반의 USB-PD 충전을 지원한다.

3D 엔진, 렌더링 처리, 인공지능 개발 등에 최적



애플 M2 맥스로 유니티 엔진을 구동한 예시, GPU 메모리가 총 96GB여서 메모리를 30GB나 사용한 상태에서도 여유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출처=IT동아



몇 년전만 해도 고성능 작업용 노트북의 선택지는 윈도우 운영체제에 인텔 제온 프로세서가 조합된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뿐이었다. 하지만 애플 실리콘이 등장하고부터는 매킨토시 계열을 선택하는 비중도 늘고 있다. 바로 통합 메모리 덕분이다.

일반적인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 x86 시스템은 CPU가 시스템 메모리(RAM)를 활용하고, GPU는 그래픽 메모리(VRAM)만 사용한다. 그래서 작업 성향에 따라 사용자가 시스템 및 그래픽 메모리 용량을 각각 안배해야 한다. 비용 측면이나 시스템 구성 면에서도 선택이 쉽지 않고, 또 두 메모리가 각각 사용되기 때문에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해도 그래픽 메모리는 유휴 상태인 등의 한계도 있다.

반면 애플 실리콘은 CPU와 GPU가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가용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이 훨씬 크다. 엔비디아 모바일 GPU 중 비디오 메모리 용량이 가장 많은 RTX A5000과 RTX 4090 모바일도 16GB에 불과한데, 맥북프로 16의 M2 맥스는 최대 96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 용량을 가능한 많이 확보해야 하는 작업 환경이라면 매킨토시가 훨씬 유리하다.


시네벤치 R23 구동 결과, 단일 코어 1천439점, 다중 코어 1천4816점을 획득했다. 출처=IT동아



애플 실리콘의 처리 속도 자체는 고성능 데스크톱 및 노트북 수준이다. 특정한 화상을 10분 간 반복 처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능을 측정하는 시네벤치 R23 벤치마크를 실행했다. 이때 단일 코어 점수는 1천439점, 다중 코어 점수는 1천4816점을 획득했다. 데스크톱으로 비교하면 AMD 라이젠 7600X나 인텔 코어 i7-11700K와 비슷한 수준이고, 노트북으로는 AMD 라이젠 9 6900HX 및 인텔 코어 i5-13600H와 비슷하다. 경쟁사의 x86 프로세서와 비교했을 때, 데스크톱과 모바일 모두 최신 제품과 비교해 중간 수준이다.

다만 벤치마크 점수만 높고 다른 x86 시스템과 비교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나 오토캐드처럼 두 플랫폼 모두에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놓고 비교한다면 성능을 가늠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근본적으로 플랫폼이 달라서 실사용 기준으로는 어느 쪽이 좋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전력 효율은 애플 실리콘이 훨씬 우세인 점도 변수다. 단순히 최신 공정 대비 중 상급 수준의 처리 성능이라고만 여기자.


블렌더 벤치마크는 3D 렌더링 처리 성능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다. 출처=IT동아



블렌더는 3D 컴퓨터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로, x86 및 맥OS 모두에서 지원한다. 3.4 버전 벤치마크는 몬스터, 정크숍, 클래스룸 세 가지 3D 샘플을 렌더링한 다음, 1분당 몇 프레임을 처리했는지를 기준으로 성능을 평가한다. 세 개를 처리한 값의 총합이 높을수록 3D 렌더링 처리 속도가 빠른 컴퓨터다.

해당 테스트에서 M2 맥스의 CPU가 영상을 처리한 값의 총합은 254.18점, GPU가 처리한 값은 1천516.88로 확인된다. CPU 결과는 인텔 코어 i9-12950HX, GPU는 모바일 버전인 엔비디아 쿼드로 RTX 5000 맥스큐 버전 혹은 데스크톱용 AMD 라데온 프로 W6800과 비슷하다. 작년에 신제품으로 출시된 400~600만 원대 모바일 워크스테이션과 비슷한 사양이다. 물론 높은 전력효율을 통해 확보한 최장 15시간의 활용 시간, 최대 96GB에 달하는 메모리를 고려하면 실사용 성능과 작업 효율은 일반 워크스테이션 이상의 활용도를 보여준다.


긱벤치 6 테스트 결과, M1 울트라보다는 조금 낮고 M1 맥스보다는 높은 성능을 보여줬다. 출처=IT동아



그렇다면 이전 세대 시스템과의 성능은 얼마나 차이 날까. 윈도우 및 맥OS, 모바일 기기의 종합적인 실사용 성능을 시험하는 긱벤치 6(Geekbench 6) 벤치마크를 실행했다. 테스트는 CPU 테스트에 해당하는 단일 코어와 다중 코어 테스트, 그리고 GPU 테스트에 해당하는 맥OS용 메탈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오픈CL API를 각각 진행했다.

단일 코어 성능은 2천798점으로 M1 맥스의 2천300점 대에서 조금 올랐다. 대신 코어 수가 10코어에서 12코어로 향상됐기 때문에 다중 코어 점수는 1만2500점 대에서 14400점 대로 상승했다. 코어수 증가에 따른 성능 향상이지만, 실사용자 입장에서는 근소하게 성능이 올랐다고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그래픽 성능은 M2 맥스보다는 높지만 M1 울트라보다는 낮다. M2 맥스의 메탈 테스트 점수는 13만7403점이다. 동일 테스트에서 M1 맥스는 11만 점, M1 울트라는 15만 2천점이 나온다. OpenCL 역시 M2 맥스가 8만3900점이 나올 때, M1 울트라가 9만3천점, M1 맥스가 6만4800점대로 나온다.

대체 불가능한 활용도, 가격대 높아도 인기



본인이 활용할 용도를 고려해 M2 프로를 할지, M2 맥스를 할지 결정하다. 출처=IT동아



애플 실리콘이 출시된 이후부터 매킨토시의 위상도 달라졌다. 인텔 기반 맥까지만 해도 매킨토시는 개발자나 맥 전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주로 찾는 장치였으나, 이제는 아이폰, 아이패드처럼 특정한 용도를 두지 않고 다목적으로 활용하는데 쓰는 장치로 선택되고 있다. 스마트폰에 버금가는 전력 효율과 맥 자체의 높은 완성도, 맥OS 생태계의 발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그리고 이제 막 매킨토시를 사용하려는 전문가라면, 결국 M2 프로와 M2 맥스라는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고민하게 된다. 다행히도 용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리뷰에 사용된 맥북 프로 16은 옵션에 따라 M2 프로와 M2 맥스 중 하나를 탑재하며, 여기에 추가로 통합 메모리를 설정한다. M2 프로에 16GB 통합 메모리를 탑재한 기본 모델도 349만 원대, M2 맥스에 96GB 통합 메모리까지 적용된 모델은 592만 원대에 달한다. 구매를 앞둔 입장이라면 본인이 활용할 작업의 수준에 맞춰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개발이나 사진 및 영상 편집, 작곡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면 M2 프로 라인업을 권장한다. 이 정도 작업은 M2로도 충분하고, M2 프로라면 더더욱 부족함이 없다. 작업 처리 속도가 직접적으로 수익성에 연결되는 게 아니라면 M2 프로도 무난하다. 반면 3D 렌더링이나 인공지능 개발, 시뮬레이션, VFX(Visual effect) 등 한 차원 높은 연산 처리를 다룬다면 M2 맥스 정도는 활용해야 한다. 데스크톱 워크스테이션이 반드시 유리하지만, 휴대용으로 이런 작업들을 다루는 조건에서라면 납득할만한 성능을 보여준다. 세 가지 애플 실리콘 중 금액과 활용도, 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하자.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리뷰] 직관적 외관과 신속한 반응성이 일품, 맥 스튜디오·스튜디오 디스플레이▶ [WWDC22] 애플, M2 기반 맥북·맥OS 벤투라로 세대교체 나선다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1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5645 [생활 속 IT] “범죄 악용 NO” 안전하게 지하철 물품 보관하려면 또타라커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607 1
5644 [투자를IT다] 2025년 7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126 1
5643 [농업이IT(잇)다] 그린씨드 “유통 관리 플랫폼으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데이터 기반 농업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102 0
5642 [크립토퀵서치] 거래소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6964 1
5641 [리뷰] AI·고연산 처리에 최적,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998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121 0
5640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134 1
5639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모먼트컬처, 통합형 전시 기술로 미디어아트 새 역사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105 0
5638 [생성 AI 길라잡이] 교사들이 직접 만든 생성 AI 기반 교육 플랫폼 ‘우리 아이(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107 0
5637 “AI 반도체는 GPU 대안 아닌 새로운 방향··· 메모리 접근해 LPU 차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04 0
5636 [스케일업] 릿툰 [1] 도영민 대표 “서비스 시작 전,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구축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93 0
5635 [스케일업] 퍼슬리 [1] 케어닥 “사업의 도구와 본질 구분하고, 성장 단계별 목표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83 0
5634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하이퍼센트 “백룸 시리즈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 도전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13 0
5633 [KIDP 울산] 클로이수 “우리의 칠보, 세계인 사로잡을 ‘K럭셔리’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08 0
5632 틱톡 “이용자 신뢰·안전 위해 2조 7600억 원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25 0
5631 [주간스타트업동향] 펴다, 투자 경진대회 '공명전' 최종 우승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5251 0
5630 [스케일업] 우트 [1] 매드해터 "사업 방향은 명확하게, 브랜드·마케팅은 집요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30 0
5629 “비트코인 ETF, 명확한 제도적 기반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43 0
5628 사람마다 다른 車 보험료...절감하는 방법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39 0
5627 [리뷰] 가장 진화한 NAS용 HDD, 웨스턴디지털 WD Red Pro 26TB HD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80 0
5626 ‘HBM 메모리 수요 입증’ SK하이닉스 실적으로 내다본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흐름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200 0
5625 [자동차와 法] 도로 위 그림자 ‘車 보험사기’ 수법과 대응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997 0
5624 [스케일업] KIRA [1] 콜라이더 “에듀 핀테크 기업으로 성장하려면 전략적 접근이 중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46 0
5623 LG유플러스, “보이스피싱 예방 풀패키지 구축…해킹 서버 추적·실시간 조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55 0
5622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세무] 스톡옵션과 주식의 차이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47 0
5621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SBA·포스코, 친환경 링크업 참여 스타트업 선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37 0
5620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차세대 에너지 시대 주도할 링크업 프로그램 스타트업 4곳 선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137 0
5619 [주간투자동향] 로앤컴퍼니, 500억 원 규모 시리즈C2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2107 0
5618 공유누리, 네이버·카카오 예약 서비스 확대에도 편리하지 않은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64 0
5617 [스케일업] 도미노이펙트 [1] 아시안허브 "외국인 요양보호사, 실무·소통 능력 갖추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46 0
5616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로봇 미래 이끌 링크업 프로그램 스타트업 3곳 선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44 0
5615 단통법 폐지, 스마트폰 싸게 사려면 알아야 할 점 총정리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7674 2
5614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피지컬 AI 로봇 시대 이끌 링크업 프로그램 5곳 선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38 0
5613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SBA “미래 모빌리티 링크업 10곳 협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27 0
5612 [민원제로] 5. 불만에 대한 첫 응대가 중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34 0
5611 [스케일업] 넥톤 [1] 프로미티어스 “기업 업무 자동화 솔루션, KPI로 의사결정자 사로잡아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28 0
5610 “집에서 하는 재활운동 게임 잼잼400, 재활 패러다임 바꾼다” 김정은 잼잼테라퓨틱스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36 0
5609 웹 사이트를 앱처럼 이용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198 0
5608 [투자를IT다] 2025년 7월 4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305 0
5607 [생성 AI 길라잡이] 생성형 AI로 마인드맵을 ‘웜시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298 0
5606 부킹닷컴 “여행자 감정까지 자극하는 교묘한 해킹 시도 차단해 보안 강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6637 0
5605 [농업이IT(잇)다] 딜리버리랩 “소상공인 신선식품 라스트 마일 간소화하는 오더히어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272 0
5604 [스케일업] 안심하이 [1] 프로미티어스 “스타트업에게 매출은 숫자 이상의 의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267 0
5603 LG AI연구원, 퓨리오사AI·프렌들리AI와 함께 '엑사원 4.0 생태계'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5930 2
5602 부킹닷컴 “생성 AI로 여행자 요구사항 예측하고 충족하는 방식 혁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331 1
5601 SBA “HD현대삼호와 해양·로봇·AI 초격차 이끌 스타트업 모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306 0
5600 서울시·SBA "하이서울기업, 신북방 딛고 세계 시장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322 0
5599 [IT신상공개] ‘내 등만 사계절 쾌적해지는 방법’ 소니 레온 포켓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3 418 0
5598 [IT애정남] 외장하드만 꽂으면 느려지는 키보드, 원인이 뭘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3 1021 0
5597 [리뷰] 색다른 디자인과 버튼 조작 방식, 낫싱 헤드폰(1)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3 7948 2
5596 [ETF Q&A] 중국의 대표지수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3 325 0
뉴스 걸그룹 전 멤버, ‘술집서 일하다 남편 만나’ 악성 루머 유포자 고소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