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튜디오팝콘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1.05 16:25:39
조회 1890 추천 1 댓글 1
[서울과기대 x 동아닷컴 공동기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이하 서울과기대)는 예비·초기창업패키지와 메이커스페이스, 글로벌 협업 등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여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나아가 동아닷컴과 함께 스타트업의 해외 홍보와 진출을 도울 글로벌 뉴스를 제공합니다.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을 우리나라 내외에 소개합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콘텐츠 개발 환경을 바꿨다. 배경 생성, 움직임 보정 등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이야기 창작을 돕는다. 과거 3D CG 기술이 콘텐츠 제작 효율을 크게 높였다면, 이제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그 역할을 맡았다. 제작자들은 스토리텔링과 연출 같은 창의적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을 쏟게 됐다.

애니메이션 산업은 인공지능 도입이 활발하다. 수백 명이 몇 달간 매달려야 했던 작업을 소수 인력으로 단기간에 끝내는 장점 때문이다. 2025년 3월 일본 지상파에서 방영된 '트윈즈 히나히마'는 전체 제작 공정의 95%에 인공지능을 활용해 화제를 모았다. 픽사와 디즈니 같은 글로벌 애니메이션 제작사들도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투자 중이다.


황준호 스튜디오팝콘 대표 / 출처=IT동아



콘텐츠 스타트업 스튜디오팝콘은 애니메이션 개발 과정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입했다. 전통적인 제작 방식과 생성형 인공지능을 결합해 제작 효율과 작품 완성도를 모두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황준호 스튜디오팝콘 대표를 만나 인공지능 애니메이션의 미래에 대해 들었다.

25년 경력 베테랑의 노하우에 인공지능 날개를 달다


"과거 톰과 제리 같은 20분짜리 2D 애니메이션 한 편을 만들려면 3만 장~4만 장의 그림이 필요합니다. 제작 기간만 최소 15주~20주가 소요되고 기획부터 방송까지 5년이 걸리기도 하죠. 시간과 인력을 대거 투입할 수밖에 없지만, 한정된 비용으로 작업하는 국내 환경에 맞지 않아요. 반복되는 작업에 인공지능을 도입하면 제작 환경 혁신이 가능할 거라 보고 스튜디오팝콘을 설립하게 됐습니다."

황준호 대표는 25년간 2D 애니메이션 업계에 몸담으며 제작 과정의 비효율과 싸웠다. 비효율을 해결할 방법으로 주목한 것은 '디지털 전환'이었다. 2012년 애니메이션 제작의 디지털 전환을 시도했지만, 시대를 너무 앞서간 탓에 순탄치 않았다. 미래를 내다봤지만, 업계는 여전히 종이 위에 그림을 그렸다.

기회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찾아왔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재택근무가 필수가 되면서 종이에 그리던 방식은 자연스럽게 디지털로 옮겨갔다. 황준호 대표는 "과거에는 종이에 일일이 그려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는데, 팬데믹을 거치며 집에서 타블렛으로 작업하는 디지털 방식이 보편화됐습니다. 현재 국내 80~90% 이상이 페이퍼리스 환경에서 작업합니다”라고 말했다.


스튜디오팝콘은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입했다. 이미지는 스튜디오팝콘이 제작한 지니와 브랜든 / 출처=스튜디오팝콘



스튜디오팝콘이 보유한 기술은 캐릭터 관절을 움직여 연기하는 컷아웃(Cut-out) 제작 방식이다. 종이 인형극처럼 캐릭터의 관절마다 뼈대를 심어(리깅, Rigging) 마우스로 움직이는 2D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이다. 황준호 대표는 "디즈니나 다른 카툰 애니메이션 대부분이 이 방식을 씁니다. 레이아웃부터 채색까지 여러 팀이 하던 일을 한 사람이 처리 가능합니다. 제작 인원은 줄지만 제작 기간이 5주에서 8주로 단축되는 게 장점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스튜디오팝콘은 컷아웃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에 인공지능을 결합했다.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은 원화와 원화 사이의 중간 동작을 그리는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이다. 3D 애니메이션은 구현이 쉽지만, 2D는 까다롭다. 스튜디오팝콘은 이 과정을 인공지능으로 자동화해 제작 기간을 줄였다.

황준호 대표는 2024년부터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인터폴레이션 구현에 필요한 프롬프트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안정화 과정이 필요하지만, 2D 애니메이션 제작 기간이 평균 3분의 2가량 단축된다. 제작 인원 최적화도 가능해졌다.

모픽과 협력, 인공지능 기술에 완성도를 더하다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스튜디오팝콘 같은 중소 제작사가 오픈AI의 소라(Sora) 같은 거대 모델을 직접 개발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의 전략은 개발사가 아니라, 인공지능 도구를 누구보다 잘 활용하는 '전문 사용자(Expert User)'가 되는 겁니다."

스튜디오팝콘은 초기 인공지능 개발 환경을 구축하면서 국내외 애니메이션 제작 도구들을 활용했다. 하지만 화질과 용량 제한 때문에 실무에 쓰기 어려웠다. 시행착오를 겪던 중 애니메이션과 실사 등 콘텐츠 창작 도구를 만드는 기업 모픽(Mopic)의 인공지능 도구를 접했다. 스튜디오팝콘은 사용 편의성과 결과물 품질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모픽 활용 범위를 확대했다.

스튜디오팝콘과 모픽은 2025년 5월부터 기술 협업까지 진행하는 관계로 발전했다. 황준호 대표는 "모픽에 직접 연락해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스튜디오팝콘이 기획과 후반 작업을 담당하고, 모픽이 인공지능 도구 기술을 지원하면 좋은 시너지가 날 거라고 예상했죠"라고 말했다. 긴밀한 기술 협업 관계는 사업 확대로 이어졌다. 스튜디오팝콘이 모픽 인공지능 도구의 국내 유통 라이선스를 확보한 것이다.

스튜디오팝콘은 모픽 도구 유통 라이선스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애니메이션 개발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동양대학교, 호남대학교 등 대학 애니메이션 학과의 정규 과정에 모픽 도구 활용법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황준호 대표는 "애니메이션 관련 학생들이 모픽 인공지능 도구로 작품을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대학교 협업과 애니메이션 공모전도 개최할 예정입니다"라고 밝혔다.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와 투자 유치 확보는 도전 과제


인공지능 콘텐츠 테크 기업을 목표로 하는 스튜디오팝콘의 고민은 기술 고도화와 투자 유치다. 먼저 기술 고도화는 인터폴레이션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미지가 점의 집합이라는 점에 착안해, 점의 움직임을 인공지능이 추적하는 부분에 집중한다. 기술이 완성되면 스튜디오팝콘의 핵심 차별화 요소가 될 전망이다.

하지만 기술 고도화에는 비용이 따른다. 문제는 애니메이션 분야 투자 유치가 어렵다는 점이다. 황준호 대표는 "솔직히 말해, 국내에서 작은 규모의 애니메이션 회사에 투자하는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투자자도 장기적으로 비용을 회수해야 하는데, 애니메이션은 그 시점이 불투명하고 오래 걸리기 때문으로 봅니다"라고 말했다.

스튜디오팝콘은 어려운 과제를 풀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세웠다. 하나는 미국과 일본 등에서 수주하는 전통적인 외주제작 사업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자체 지식재산권(IP) 개발이다.


스튜디오팝콘이 인공지능으로 개발한 애니메이션, 몽글몽글 베이커리 / 출처=스튜디오팝콘



스튜디오팝콘이 제작한 '몽글몽글 베이커리' 관련 사업 진행에도 속도를 붙인다. 캐릭터를 활용해 키링, 맥세이프 장비, 스티커 등 다양한 제품을 제작 중이다. 크라우드 펀딩(대중 투자)도 준비할 예정이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유튜브 채널을 연계해 판매할 계획도 세웠다. 숏츠 영상을 대중에게 노출하며 캐릭터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다는 게 황준호 대표의 설명이다.

이 외에도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인공지능 혁신 도시에 지사를 세워 데이터 센터 인프라를 활용하고, 정부의 인공지능 바우처 사업 등과 연계해 연구개발 비용 문제를 풀어갈 계획이다.

인공지능 콘텐츠 테크 기업으로 성장할 것


스튜디오팝콘은 인공지능 기반 TV 애니메이션 '몽글몽글 베이커리'로 성과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자체 지식재산권 작품으로, 낮에는 평범하지만 밤에는 효모 정령이 등장해 빵을 만드는 이야기를 담았다. 5분 분량 애니메이션인데 캐릭터와 시나리오를 제외한 배경, 음악, 효과음 등 80% 이상을 인공지능으로 제작했다. 스튜디오팝콘은 2025년 안에 2작품을 공개한 후, 2026년에 26부작을 방영하는 게 목표다.

2025년 11월, 코엑스에서 열리는 콘텐츠IP 마켓에 참가해 몽글몽글 베이커리와 인공지능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을 알릴 예정이다. 싱가포르, 베트남, 베이징 등 해외 시장에 진출해 현지 기업과 협업 방안도 모색한다.

스튜디오팝콘의 끊임없는 도전 뒤에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의 도움이 있었다.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을 받은 스튜디오팝콘은 해외 투자설명회(IR), 관계 기업 네트워킹, 투자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서울과기대와 창업진흥원이 연계한 두바이 투자설명회 프로그램은 성장의 전환점이 됐다. 이 자리에서 스튜디오팝콘은 파키스탄 기업과 우즈베키스탄 정부 관계자를 만나 시장 진출을 논의했다.

황준호 대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초기창업패키지는 기업 성장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꼼꼼한 부분도 기억에 남습니다. 애니메이션 산업을 잘 아는 투자사를 만나고 싶다고 요청했는데, 흘려듣지 않고 실제 기업과 미팅을 주선해 줬거든요. 이런 세심한 지원 덕에 스튜디오팝콘은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했습니다”라고 말했다.


황준호 스튜디오팝콘 대표 / 출처=IT동아



"그동안 비용 문제로 출시하지 못한 작품들이 많습니다. 인공지능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얻은 만큼, 이제 우리만의 기획과 이야기로 K-애니메이션 시장의 새로운 장을 열겠습니다."

스튜디오팝콘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인공지능 콘텐츠 테크' 기업으로의 확장을 꿈꾼다. 인공지능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을 토대로 자체 기획과 제작이 가능한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뜻이다. 황준호 대표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상업화하는 프로젝트와 특수 시장을 겨냥한 애니메이션 개발에 나선다. 황준호 대표는 "스튜디오팝콘이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는 2D 애니메이션 기술 선도 기업이 되도록 힘쓰겠습니다"라고 말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88후드 "AI 기반 스마트 자판기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 도울 것" [SBA x IT동아]▶ 악어에듀 “아케오AI, 세계 선생님·학생 동반 성장 이끈다” [고려대 초창패 2025]▶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6077 인덱스핑거 “맞춤형 직원 찾아주는 AI 기반 채용 중개 플랫폼, 지금알바”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6 0
6076 맞춤형 AI 설계로 돋보이는 기업으로 탈바꿈 돕는 '도둠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0 0
6075 [주간스타트업동향] 리빙크리에이터, 日 돈키호테 입점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5 0
스튜디오팝콘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890 1
6073 프랜킷 "소모품 수급에서 AI 리뷰 관리까지, 외식업자용 토털 솔루션 노린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9 0
6072 88후드 "AI 기반 스마트 자판기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 도울 것"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3 0
6071 악어에듀 “아케오AI, 세계 선생님·학생 동반 성장 이끈다”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5 0
6070 넥스트챌린지,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항로 여는 '어라운드 X 코스믹 오디세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33 0
6069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6 0
6068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05 0
6067 [위클리AI] xAI, 그로키피디아 출시…가정용 로봇 네오 사전 주문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130 4
6066 허슬러즈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 돕는다, 터닝"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58 0
6065 [자동차와 法] 경미한 교통사고, 무거운 형사처벌…뺑소니의 함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037 3
6064 SBA "2025 서울콘, 인플루언서와 문화 모이는 K 컬처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1 0
6063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62 0
606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94 0
6061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91 0
6060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53 0
6059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106 1
6058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86 0
6057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177 0
6056 모빌인텍 “사람 중심의 이동환경 만들고 싶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20 0
6055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11 0
6054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60 0
6053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52 0
6052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성수동 젠틀몬스터, 감각이 만든 가장 거대한 브루탈리즘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5744 3
6051 운약근답올핏 "누워서 하는 AI 재활 운동, 건강 약자의 새로운 희망"[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39 0
6050 "누구나 제빵 즐기도록" 토스터즈, 개인화 발효종 관리 기술 개발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40 0
6049 스마트드림 “뇌 자극으로 식욕 완화, 두루미다이어트”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42 0
6048 “AI가 만드는 따뜻한 돌봄” 마크노바, HW·SW 통합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349 0
6047 AI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로 음악 산업 활성화 뒷받침…‘사운드엣’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5 0
6046 스타트업 교육·인력·해외진출 복합 서비스 구축하는 '인트윈'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31 0
6045 “데이터는 버려지지 않는다”… AI로 기업 내 문서 정리하는 넥톤 ‘유링파워’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8531 2
6044 [고려대 초창패 2025] 912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음성 보안 기술, 피싱 폐해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37 0
6043 프론트웍스 “블루프린트·작업실 기능 추가로 영상 제작 워크플로 완성”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26 0
6042 켐바이 “AI·데이터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동물실험 없는 안전한 사회 꿈꾼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31 0
6041 [스케일업] 릿툰 [2] 인스타툰 작가 3인이 말하는 숏툰 플랫폼의 가능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7 0
6040 파워테스크 “전문가도 놓치는 정보, 에이전트로 끝까지 찾아냅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9 0
6039 AI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은? “공익 추구하는 기술기업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4 0
6038 오아시스 스튜디오 “영화 IP 확보로 OVP 활용도 확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3 0
6037 "마케팅·광고 대중화 시대" 팔레트, AI 기술로 경계 허문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5 0
6036 일상 맞춤형 모빌리티, PBV가 주도하는 이동 패러다임의 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0 0
6035 [주간스타트업동향] 칼렛스토어, '지구박스 실속형'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5 0
6034 [KIDP 울산] 세컨드클로젯 “작업복 렌탈/관리 플랫폼 ‘데어바이’로 시장 바꿀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21 0
6033 인텔, 11월 한 달간 '서울 팝업스토어' 열고 AI PC 소개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70 0
6032 성북구 1인창조기업 지원센터에서 꿈을 키우는 스타트업 2025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6 0
6031 마케팅 효율 높일 최적의 인플루언서 데이터 기반 매칭…‘스타일메이트’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57 0
6030 릿툰 “네이버 웹툰처럼 숏툰의 대명사 되고 싶어요”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72 0
6029 [위클리AI] 챗GPT 아틀라스 이어 챗GPT 포 카카오 출시…오픈AI 영향력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95 0
6028 아뮤즈8 "AI 데이터 자동 태깅 기술로 정보관리, 데이터 처리 혁신"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4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