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ㄱㅇㄷ) 기록으로 알아보는 발해와 만주의 특산품모바일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16:08:25
조회 1045 추천 21 댓글 7
														
1. 임산물


- 인삼

『거란국지』 지리지 中
-여진은 땅이 기름지고 산림 속에 인삼이 난다. 영강주 각장에서는 인삼을 판다.

『본초강목』 中
-인삼은 상당산 골짜기 및 요동에서 나고 사람형상을 한 것은 신이함이 있다.(중략) 그러므로 인삼을 신초(神草)라고 한다.

발해의 특산품 중 고급품에 속하는 상품으로,
대흥 2년(문왕 2년)에 일본과 인삼을 교역한 기록이 있으며, 대인선 시기인 919년과 920년에 후당에 인삼을 진상한 기록이 있다.


-잣

『북맹회편』 中
-잣은 여진에서 많이 난다.

『유변기략』 中
-잣을 따는 사람들은 아기(삼림을 뜻하는 말)에 들어가서 나무를 베어가지고 딴다.


- 백부자

『거란국지』 특산품 中
-백부자는 숙여진의 토산품이다.


- 꿀

『거란국지』 中
-여진에서 꿀이 난다.

『영고탑기략』 中
-잣을 따는 사람들이나 나무꾼들이 고목나무에서 벌집을 얻는데, 꿀이 셀 수 없이 많았다.



2. 수산물


- 붕어

『길림외기』 中
-붕어는 소편화와 비슷한데 영고탑 남호(징푸 호)에서 나는것이 가장 좋다

『유변기략』 中
-붕어가 큰 것은 무게가 3근에 이르고 그 맛은 형용할 수 없을 정도로 좋다

『영안현지』 中
-(전략)...호수에는 붕어가 아주 많이 난다. 주둥이, 지느러미, 꼬리, 비늘이 모두 붉다.
고기는 두텁고 짧으며, 특히 살이 찌고 맛이 좋다. 미타호(한카 호)의 붕어라는 것이 바로 이것을 가리킨다.


- 연어

『신중동국여지승람』
- 함경도 지방 토산품으로 연어가 많다.
어량 즉 어전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수익은 조선 8도에서 최고다.

- 영흥만에는 여러 하천에 많은 연어가 소하하는데 작살을 찔러 잡는 어법만으로 하루 2~3,000마리를 어획 할 수 있었고
두만강 유역에서는 연간 50만 마리를 어획 했다.


- 게

『송막기문』 中
-발해의 게는 붉고 사발만큼 크며 집게의 발은 크고 두툼하다.

『북맹회편』 中
-여진에는 게가 많다.

『길림통지』 中
-훈춘 바다에서 나는것중 큰것은 지름이 2척 남짓이다.


- 다시마

남해부에서는 다시마가 유명했다.
-윤포의 다른 이름은 곤포(昆布)이다.

『명의별록』 中
-곤포는 동해에서 난다.

주해 中
-지금은 오직 고려에서만 난다. 권마卷麻를 만들듯이 새끼줄로 다발을 만든다. 황흑색으로 부드럽고 쫄깃해서 먹을 수 있다.

『이아』 中
-윤은 윤 같고 조는 조 같다. 동해에 있다.

『본초습유』 中
-다시마는 남해에서 나는데 잎이 손과 같고 크기가 순위와 같으며 적갈색이다.


- 고래의 눈

『당서』 흑수말갈전 中
-불열에서 개원 연간(713~741), 천보연간(741~756)에 경정(고래의 눈)을 보냈다.

『명일통지』 中
-여진에서 경정(고래눈)이 난다.

『태평어람』 938권 中

-동해에 큰 고기가 있는데 산더미 같으며 길이가 5~6리나 된다. 그것을 경예라고 한다. (중략) 눈알의 크기가 서되들이 사발 크기만 하다.

고래 눈은, 매우 귀중한 물건으로 여겨서, 점을 치는 데 쓰거나, 여러가지 상서로운 일을 결정할 때 썼다.


- 말린 문어

대흥 원년 737년 당나라에 말린 문어 1백마리를 공납했다.

『이아의소』 中
-예는 일명 문어이다. 머리에 별을 이고 밤이면 북쪽으로 향한다. 문어를 햇볕에 쬐어 말리면 오래 두어도 썩지 않으므로 공납품으로 삼았다.


- 어피 (물고기, 철갑상어, 가오리 가죽)

『거란국지』 『요동지』 中
- 발해인들은 고기잡이를 잘하고, 날이 더우면 물고기 가죽을 쓴다.

『유변기략』 中
대발합의 물고기 가죽은 황색으로 무늬있는 비단같다.


- 바다표범 가죽

『명일통지』 中
- 여진에 바다표범 가죽이 넌난다

『유변기략』 中

- 바다표범 가죽이 동북쪽 바다에서 나는데, 길이는 3~4척이고 넓이는 2척정도 되며 털이 짧고 담록색이며 검은 점이 있다.
검게 물을 들여 모자로 만든다


- 소금

『요사』식화지 中
- 소금이 나는곳은 발해 등지이며 오경 지역의 해당 관청이 각 그 지역을 다스린다.

『금사』식화지 中
- 솔빈로에서 바다소금을 먹는다



3. 짐승


- 매

『당회요』, 『태평환우기』 中
-말갈땅에 흰 매가 많다

『당서』북적전 中
-흑수말갈에 흰 매가 많다

『북맹회편』 中
-5국의 동쪽에 이름난 매가 나는데, 해동에서 온 것은 해동청이라 하며 작지만 씩씩하다.

『유변기략』 中
-요의 동쪽은 모두 매가 나는데 순수하게 흰것이 제일이고 다른 색이 섞인 것은 그 다음으로 친다. (중략) 모두가 해동청잡이를 주로 한다.

『본초강목』 中
-요동에 솔개가 난다. 제일 매서운 것을 해동청이라 한다.(?)


- 매, 솔개, 꿩 깃털

『영고탑기략』 中
-솔개는 아주 크고 많지만 단지 그 깃털로 화살을 만든다.(중략) 부유한 사람은 솔개깃털로 지붕을 덮는다.

『책부원구』, 『발해국지』 中
-단공 2년에(989년) 정안국왕이 여진의 사신을 통해 솔개깃털을 바쳤다.

『당서』 북적전 中
-흑수의 풍속에 꿩 꽁지를 꽂아 관을 장식한다.

『유변기략』 中
-요동의 꿩은 유명하다.


- 토끼

『당서』 북적전에는 말갈 땅에는 흰 토끼가 많이 난다고 했다고 한다. 그리고 발해의 불열부, 흑수부 이 두개의 부는 모두 흰 토끼를 생산했다. 털이 매우 새하얗고 그 꼬리로는 최고급 붓을 만들 수 있었다고 한다.


- 호랑이 가죽

-『위서』 동이전 中
물길에 호랑이, 표범, 큰곰, 승냥이가 있다.


- 표범 가죽

『후한서』 동이전 中
-'예'에 무늬있는 표범이 많다.

『성경통지』 中

-표범은 호랑이와 비슷하나 크기가 작다. 색이 흰 것을 백표, 검은것을 흑표라고 한다. 동그란 무늬가 있는 것을 금전표라 하는데 이를 제일 귀중하게 여기며 무늬가 뾰족하고 긴것은 애엽표라 한다.

문왕 2년(738)과 대현석 원년(871)에 일본과의 교류에 활용 했다는 기록


- 곰가죽과 큰곰가죽

『수서』 동이전 中
-말갈의 도태산에 곰과 큰곰이 있다.

『명일통지』 中
-여진에 큰곰가죽이 난다.
738년(문왕 2년)에는 일본, 대현석 원년(871), 905년에 후량에 곰가죽을 보냈다는 기록


- 담비 가죽

『후한서』, 『삼국지』
'읍루' 에서 좋은 담비가 난다.

『북맹회편』
여진의 짐승 가운데 담비가 많다.

『명일통지』에
여진의 토산품으로 담비가죽이 있다.


- 청설모 가죽

『거란국지』 中
-말갈은 청서피로 거란과 교역을 하였다.

『성경통지』 中
-청서란 곧 회서이다.
길림의 여러 산중에 있는데 회백색이 제일이고 회흑색이 그다음이다.


- 사향

『성경통지』 中
-동성(東省)에 사향노루가 있다.(중략) 배꼽의 피는 약에 들어가는데, 사향이라 한다.

대현석 5년(875)에 일본을 방문한 사신 양중원이 사향을 가지고 가서 사람들에게 주었다.



4. 가축

- 개

『문혼통고』 中
- 여진지역에 좋은 개가 많다

『원사』 中
- 동북지역에 개 역참이 있다.


- 양

『발해국지』 中
-동단국 13년(939)에 양 3만마리를 가지고 남당과 교빙했다.


- 돼지

-삼가 생각건데, 부여는 돼지치기를 잘하고 고기를 먹으며 그 가죽으로는 옷을 만든다.

물길과 말갈의 가축에 돼지가 많고 흑수말갈의 가축에 돼지가 많다는 것은 지난날 기록에 자주 나타난다.

(중략) 막힐부는 부여의 옛땅이고 그 풍속에 돼지를 귀하게 여기니 부여국의 옛 습속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발해 사람들은 돼지고기 먹는 것을 좋아하였다. (중략) 신당서 발해전에 의하면 세속에서 귀하게 여기는 것으로 막힐의 돼지가 유명하다고 나온다.


- 말

『발해국지』 中
-민간에서 귀중히 여기는 것은 솔빈의 말이다.

"솔빈부는 발해의 상경 동쪽지역에 위치해 있다. 오늘의 수분하 이동지역인데 발해시대 말이 나는 것으로 이름이 나 있다."

거란이 발해를 접수하자마자 동란국을 세우고 바로 한 행동 중 하나가 발해의 말을 공납으로 가져오는 것이었다.
그만큼 발해의 말은 유명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철려와 여진이 거란에 여러번 말을 보냈다는 기사가
『요사』에도 나와있는만큼 발해의 말은 품질이 뛰어났다고 볼 수 있다.


- 소

『요사』 속국표 中
-도종 대안 3년(1087) 서북 발해부에서 소를 바쳤다.

『거란국지』中
- 여진은 소에 짐을 지운다.

- 흑수부가 당에 우황을 조공했다


- 사슴

『거란국지』 中
-여진국에 고라니와 사슴이 많다.

『송막기문』 中
-북방사람들은 뿔을 녹각이라 하고 정수리와 뿔이 합해진 것을 녹각합이라 한다.

『요사』 中
- 여진에서 사슴을 부리는 사람을 보내었다.
이북에서는 사슴으로 수레를 꿀었다.


5. 광물


- 금,은

『진서』 동이전 中
-부여는 금으로 허리를 꾸민다.

『위략』 中
-부여국은 은으로 모자를 꾸민다.

『위서』 동이전 中
-고구려의 금은 부여지역에서 난다.

『거란국지』 中
-여진땅에 금과 은이 많이 난다.

『요사』 지리지 中
발해는 제련소를 설치하고 일찍이 은주를 두었다.

바이칼호 ~ 아무르강 일대는
현재 러시아 최대의 사금채취 지역


- 동

대이진 6년에 해당하는 함화 6년(835년) 동을 당나라 등주까지 운반했다

발해의 3개의 독주주 중 하나인 동주(銅州)는
구리가 많이 났으며, 그로 인해 동주라고 이름을 붙였다

- 철

위성(位成)은 철의 산지로 유명했다. 위성(位成)은 (중경)현덕부에 있는 철주(鐵州)의 속현이다.

『요사』 식화지
발해를 평정하여 광주를 얻고 본래 발해의 철리부를 철리주로 고쳤다. 그 땅에 철이 많이 났다.

"발해사람은 철을 잘 재련했다. 송왕이 일찍이 유하관에서 발해사람들이 자갈돌을 체로 걸러서 철을 제련하는 것을 보았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 마노

마노는 아게이트라고도 하며, 붉은빛을 띄는 보석이다. 색이 이뻐서 현재도 보석으로 쓰인다.

『단연록』 中
-옛 숙신씨에 보석이 나는데, 크기가 밤알만하다.

『성경통지』 中
-말갈의 보석은 색이 적홍색이고 크기는 밤만하다.

704년에 불열부가 당에 마노를 바쳤다는 기록과
『두양잡편』 기록에 840년, 대이진왕 함화 11년에 발해가 당에 사신을 보내 마노를 조공했다고 쓰여져 있다.


- 옥

동단국 감로 5년(931)에 10월에 옥피리를 거란 태종(야율요골)에게 바쳤다.

옥으로 만든 공예품은 지금도 발해 관련 유적에서 조금씩 나오고 있다.

『태평어람』 中
-읍루에서 청옥이 난다.

『거란국지』 中
-여진땅에 옥이 난다.


- 자자분 (자색 도자기)

함화 11년 자색 도자기를 조공했다.

『두양잡편』
색은 순전한 자색이고 두께는 한치 남짓하지만 들어올리면 기러기 털같이 가볍다



6. 기타 농산물


『북맹록』 中
-여진 지역에 숲과 나무가 많다. 전답은 삼과 곡식이 자라기 알맞고, 밭을 갈아 농사를 지어 살아간다.

-여진의 풍습으로 기름에 튀긴 밀가루음식을 소중히 여기며, 꿀을 바른 것을 다식이라고 한다.

『고려사』 4권 현종 11년 中

-기유일, 동여진(東女眞)의 추장(酋長) 달노(達魯)가 무리를 인솔하고 와서 자기 나라의 쌀 3백 석을 바쳤다.

『거란국지』 中
-여진국 지역은 산림이 풍부하고 전답은 삼과 곡식이 자라는데 알맞으며 특산품으로 인삼,꿀,금은,세포,송실,백부자가 있다.

-여진부락은 모두 산에 있다. 집을 지어 살고 잇으며 문은 모두 산장 아래쪽에 낸다. 밭을 갈고 농사짓는 것은 발해인과 같다.

『후한서』 中
-부여국은 토지가 오곡이 자라기 알맞고, 명마,적목,담비,살쾡이가 난자. 큰 진주는 대추와 크기가 같다.

-읍루는 오곡과 마포가 있고, 적옥과 좋은 담비가 나며, 돼지를 잘 기른다.

-동옥저는 토지가 기름지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어서 오곡이 자라기 알맞고 농사짓기 좋다. 조세로서 담비가죽, 물고기와 소금, 해산물을 징수한다.

『삼국지』 부여전 中
-부여의 토지는 오곡이 자라기 알맞고 오과는 나지 않는다.

『문헌통고』 中
-읍루에는 오곡, 소와 말, 삼베가 있고 적옥과 좋은 담비가 난다.


- 벼

-『신당서』 발해전中
-노성의 벼가 유명하다.
노성은 발해 중경현덕부 관할하의 한 개 주이다. 노성 외 동경에서도 벼가 재배되었다.

-요사 기록에 의하면 발해인들은 쑥떡을 즐겨 먹었다.
매년 5월 5일이면 쑥잎을 뜯어 찹쌀과 섞어 떡을 만들어 먹었다. (중략) 요나라 단오절에 신하들이 연회를 즐기는데, '발해의 요리사가 쑥떡을 올렸다.' 라고 하였다.


- 조

『수서』 동이전 中
-말갈땅에 조가 많다.

『당서 북적전』 中
-말갈에 조가 많다.

『유변기략』 中
-곡식에 조가 있다. 좁쌀이라 한다.


- 보리
『수서』 동이전 中, 『당서』 북적전 中
-말갈땅에 보리가 많이 난다.

『유변기략』 中
-영고탑에 보리가 난다.


- 기장

『주례직방씨』 中
-동북을 유주라고 부르며, 물고기와 소금이 유명하고 가축으로는 4요가 잘 되고, 곡식으로는 3종이 잘 된다. 4요는 말,소,양,돼지이며 3종은 찰기장,멧기장,벼이다.

『설문』 中
-오늘의 흑룡강성에서 이것이 난다. 알곡을 갈아 밥을 짓는다. 민간에서는 제자미라고 한다.

『수서』 동이전 中
-말갈땅에 멧기장이 많이 난다.


- 아욱

『위서』 中
-물길에 아욱이 있다.

『명일통지』 中
-여진땅에 아욱과 채소들이 난다.

『설문』 中
-아욱은 채소이다. 옛 사람들이 심어서 항상 먹거리로 삼았다.


- 자두

고구려의 국내성, 발해의 환주 이곳에 나는 자두는 꽃이 작고 희며, 봄에 꽃이 피고 여름에 익는다. 집다두와 산자두로 나뉜다. 집자두는 색이 빨갛고 맛이 달고, 산자두는 약간 시큼하고 작고 수분이 많다.


- 비단과 솜

『후한서』 동이전
예는 누에를 치고 솜을 만들줄 알았다.

『삼국지』 위지
예에 누에와 뽕나무가 있고 솜을 만든다

『동국여지승람』
경성 일대에 누에실이 난다.

『후한서』 예의 민간에서는 면포를 만들 줄 안다.


- 베

『후한서』 동이전 中
-부여에 삼베가 있다.

『거란국지』 지리지 中
-여진국의 땅은 기름지고 산림에 있는 밭은 삼과 곡식을 심기에 적당하다.

『성경통지』 中
-경마(麻)가 있다. 토착인들은 이것을 가지고 끈을 만들어 사용하니 밭에 심어 기른다.

『길림외기』 3권 中
-마에는 선마와 경마의 구분이 있다. 선마는 튼튼해서 모든 끈들을 묶고 매는데 쓰지 않음이 없고, 길림성 북쪽에서 심는 사람이 많다.

『수서』
말갈의 부인들은 모두 베옷을 입는다.
흑수말갈이 60종포를 바쳤다.


- 술

발해 사람들은 술을 빚어 잘 마셨다.
물길 때에 벌써 오곡으로 술을 빚었는데 취하도록 마셨다.
고구려 사람들도 술을 잘 빚어 마셨다. 발해시기에 와서도 그 습성이 계속 유행하였다.
일부 고급 관리들 가운데서는 술을 많이 마시는 습성이 성행하여 한번 마시기 시작하면 몹시 취하고야 말았다.


- 된장

『신당서』 발해전 中
책성의 된장이 유명하다.

된장은 발해 사람들이 귀중히 여기던 유명 생산품이었다. 된장은 콩의 제조품이다. 책성 일대는 당시 이름난 된장의 산지였다. (후략)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1

고정닉 15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021892 공지 신문고 [8]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696 12
1022066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공지 [3]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229 5
67532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정보 모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8246 17
101725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갱신차단 목록 [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1 1250 15
675324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소설/축약어 모음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37195 20
1022975 일반 ㄸㄱ 3부 다시 보는중. 개꿀잼 파트 들어왔다 [1] 순대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31 12 1
1022974 일반 조혁시 ) 아무르 정부의 찌라시가 저열하지만 어느 정도 현실 반영인 이유 롤리폴리(124.216) 18:29 48 2
1022973 일반 여포효도) 한당이 제일 오래 생존하지 않았나 ㅇㅇ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8 32 1
1022972 일반 조혁시)충문공 이관용 ㅋㅋㅋ [1] i핀i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6 43 1
1022971 일반 ㄱㅇㄷ) 의학과 마술의 분리가 진짜 느리긴 한 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5 34 0
1022970 일반 여포효도)충신(강제) 덕장(본의 아님) [1] 마스타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4 71 1
1022969 일반 여포효도) 어우 손가 오늘 좀 많이 뼈아프겠는데??? gray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4 53 2
1022968 일반 여포효도) 오나라 나가리? ㅋㅋㅋ b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2 44 1
1022967 일반 탐태창 이번화 마무리에 안정복 꼽사리 끼는게 우롱차버블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2 52 0
1022966 일반 ㅌㅌㅊ) 작가 공인 소인배 김춘식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1 51 0
1022965 일반 ㅇㅍㅎㄷ) 욕심이 조금 많았을 뿐인 동태위님 각인데 ㅋㅋㅋ b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9 56 1
1022964 일반 ㅌㅌㅊ) 김춘식도 이해하는 도학 첫 걸음 [2] Ad.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7 112 9
1022963 홍보 <사도세자는 편하게 살고 싶다>가 시리즈에 런칭됩니다! [10] 까다로프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5 150 14
1022962 일반 여포효도) 화웅은 충신화 99퍼정도 달성된거같고 ㅇㅇ(112.172) 18:12 67 0
1022961 일반 여포효도)전 빙의자 더 있었나? dokado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 55 0
1022960 일반 탐태창)괜찮아 튕겨냈다 이엠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 72 0
1022959 일반 경제연산) ㅋㅋㅋ 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 72 0
1022958 일반 심시티)ㄹㅇ로 포세이돈이 되어부렸는데 이엠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0 32 1
1022957 일반 여포효도)화웅 생존했는데 dokado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8 48 0
1022956 일반 코락스 그는 신인가? 코락스 그는 신인가?코락스 그는 신인가? 코락스 그 [1] ㆁ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7 59 0
1022955 일반 여포효도) 플래그를 꺾는자 여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6 48 1
1022954 일반 군밤, 편살) 까작가는 반남 박씨를 연해주랑 엮네 헤트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 42 0
1022953 일반 ㄱㅇㄷ) 조선 플린트락은 마노나 벽옥을 쓰면 될 것 같은데? [3] 대붕이(58.233) 18:02 46 0
1022952 일반 ㅋㄷㅌ) 여기서도 이 작가가 그 책들을 쓸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 59 0
1022951 일반 ㅌㅌㅊ) 근데 부찰부항이랑 같이 내려갔던 조선군 어케됨? 꼴데빠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4 58 0
1022950 일반 ㄸㄱ) 1부 무묘설립논쟁중 [1] Espmente_De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3 67 1
1022949 번역 타르가르옌 가문의 송나라 정복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1 68 3
1022948 공의회 현재 쟁점 중간 정리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6 121 2
1022947 공지 판결문 [1]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2 103 3
1022946 일반 코락스 오늘 연재 가능할까...?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8 233 1
1021944 공의회 공의회 개최 [14]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495 21
1022944 일반 1588) 네모가 롤리에게 포터 타는거 가르쳐줄때! [1] jsj30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0 127 1
1022943 공지 판결문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26 91 2
1022942 일반 ㄱㅇㄷ)뜬금없이 든 생각인데 [2] 우라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25 64 1
1022940 창작 chatgpt) ai로 생성한 외노자 트립대역 NEWBNEW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 97 2
1022939 일반 ㅋㄷㅌ) 극동전쟁 초반 일정은 작가 실수 맞는듯? [2] 대붕이(58.122) 17:10 111 1
1022938 창작 그래도 우리는 대항한다 - 189(외전) [13] 우라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0 238 13
1022937 일반 ㄱㅇㄷ)근데 고라니면 뵐시대나 골칫거리지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8 142 1
1022936 창작 《이 고려에 원 간섭기는 필요없다!》-2 [3] 안티고노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 141 14
1022935 일반 1588) 소안인데 질문임 [4] 대붕이(211.114) 17:05 133 1
1022934 일반 경제연산) 생각해보니, 초반에 음악관련 이야기 있지 않았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4 73 0
1022933 일반 가만보면 영국,일본도 되게 절묘한 꿀땅이었네 [7] 대붕이(210.120) 17:00 181 0
1022932 일반 ㄱㅇㄷ)이거 왜이렇게 불안하냐 [9] 와이번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6 164 1
1022931 일반 ㄱㅇㄷ)문득 새삼 대단 [3] TS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3 87 1
1022930 일반 편살) 이번에 악공 뽑은애들 월급 빵빵하단거 보고 생각난건데 [3] ㅇㅇ(112.172) 16:51 102 0
1022929 일반 폴프메 남미고려 정식후속작인가요? [2] 대붕이(211.234) 16:45 157 0
1022928 일반 근데 엔진만 있으면 전동식 선반 가능하지 않냐 [6] ㅇㅇ(211.234) 16:44 77 0
1022927 일반 ㄱㅇㄷ) 지구《《이새끼 망함? [3] 븹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3 182 3
1022926 일반 탐태창) 건륭제보다 영조가 더 딱해보이네 [5] hun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3 210 1
1022925 일반 난 내가 클리셰 싫어한다고 생각했는데 [1] ㅇㅇ(58.228) 16:41 12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