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빌드 한 번 했으니, 다시 돌아 또 주인공 빌드임.
...그래서 그 스탯(...) 또 나올거니까 미리 마음의 각오를 하도록.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핵심만 보려면 E/F로 바로 갈 것.
A. WHY - 이 공략을 작성하는 이유
이번 공략을 쓰게 된 이유는, 다른 공략과는 좀 다름.
작성 동기가 일종의 리벤지 매치(Revenge Match)이기 때문이야.
이전 섀도우 소카딘 빌드에서
"헥스 딥으로 매력판정 근접공격을 쓰려면 5레벨 주문슬롯을 포기해야 합니다
그러니 팔라5 or 소서5 중에서 선택하세요" 라고 했더니
??? : "5렙 슬롯 없어서 그림자검 최대 업캐스팅 못한다고? 안먹어 퉤퉤"
....하신 분이 있어서 (맴찢)
물론 모든 문제의 근원은 스벤 빈케 횽 때문.
"밸런스를 위해서 12레벨로 잠근다"고 공표하셨기 때문임.
https://www.gamesradar.com/baldurs-gate-3-characters-are-capped-at-level-12-because-late-game-dandd-spells-are-too-op/
물론, 13레벨을 허용하는 순간 7레벨 주문을 만들어야 하고
그러면 일이 많이 커지는 것도 맞긴 함.
특히, 사기 주문 중 하나인 중력 역전(Reverse Gravity) 같은 건 그 메커니즘이 진짜 독특한데

(= 술자가 지정한 범위 내 중력이 역전되어 범위 내 대상들이 하늘로 '떨어짐')
라리안 횽들 스타일 상
저걸 DM의 구라....아니아니 말빨처럼 "했다 치자"로 만들 사람들도 아니기 때문에
진짜로 중력 역전을 만들어야 할 거란 말이지? (..)
근데 저런 시스템 만드는 순간 일이 두 배가 아니라, 제곱 배로 커짐 (.......)
(게임 개발론에 대한 얘기까지 번지면 지면이 부족하니 넘어가도록 하자)
여튼 그래서 12레벨로 잠궈 버렸기 때문에,
캐릭터 레벨의 총합을 12 이상으로 올릴 수 없음.
(물론, 너님이 사설 모드를 통해서 레벨 제한을 해제하겠다, 그러면 제약 없는 빌드로 놀 수 있긴 해)
그런데 이 부분에서 내가 관심이 생긴 건 하나야.
"과연 현재의 발더스3 시스템 내에서 다음의 조건을 성립시킬 수 없는가?"
조건 1 : 주무기에 헥스 바인드를 걸어, 매력 기반으로 싸우는 주인공 빌드
조건 2 : 최소 2회 공격 이상을 보유할 것
조건 3 : 강타를 쓸 수 있을 것
조건 4 : 그림자 검 업캐스팅을 위해 5레벨 주문 슬롯을 얻을 것.
일단 기존의 빌드가 안되는 건 확인했는데, 정말 답이 없는 것인가?
B. HOW - 스펠캐스터 기반 캐릭터 빌딩해보기
우선, 저 답을 찾기 위해서는 ESL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해.
이 부분 때문에, 이 공략을 초보용이 아니라 중수용으로 설정한 거.
이 글을 보는 빌드 짜는 데 관심 있는 다른 발붕이들도
알아두면 좋은 개념이니, 배워보도록 하자.
ESL이 뭐냐면 Effective Spellcaster Level의 약자로
"실제 효과가 있는 주문시전자의 레벨"을 뜻함
풀캐스터, 하프캐스터 그런 얘기들을 하잖아?
그럼 그 직업들을 섞은 "멀티 클래스의 경우, 주문 슬롯은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 에 대해
"DM이 재량껏 슬롯을 주도록 하세요" <- 라고 룰북에 박을 순 없단 말이지?
그래서 다양한 형태의 주문시전자를 섞어서 레벨을 올릴 때
해당 캐릭터의 주문 슬롯이 어떤 분포를 띄어야 하는가를 정의해 놓은 규칙임
풀(Full)캐스터는, 해당 직업 레벨 1당 ESL이 1이 올라
하프(1/2)캐스터는, 해당 직업 레벨 1당 ESL이 1/2가 올라.
써드(1/3)캐스터 <- 도 있는데 엘드리치 나이트나, 아케인 트릭스터를 뜻하고
얘네들은 해당 직업 레벨 1당 ESL이 1/3이 오름.
이 모든 ESL을 더한 다음에, 내림 처리 할거야.
(모든 소수점을 버린다는 뜻)
그래서 만약 멀티클래스 빌드가 소서러2 + 팔라딘2+ 엘드리치나이트2 라고 하면
(1 x 2) + (1/2 x 2) + (1/3 x 2) = 2 + 1 + 2/3 = 3.xxxx -> 3으로 처리된다는 뜻임.
....그래서 빌드글에 종종 "풀캐스터는 섞어도 페널티가 없어요"라고 하는 게
정확하게는 "ESL의 입장에서 페널티를 받지 않는다"라는 뜻이야.
복잡하게 생각할 게 없는 게, 우리는 딱 하나의 답만 얻으면 끝나.
Q : "5레벨 주문슬롯을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ESL은 얼마인가?"
https://bg3.wiki/wiki/Spells

A : ESL 9가 필요함
즉, 너가 캐스터를 어떻게 매치하든 ESL을 9만 만들 수 있으면 되는 거임.
클래식 소카딘이 5레벨 슬롯이 있었던 이유도 마찬가지로
소서러 6 + 팔라딘 6 = ESL 6 + ESL 3 = ESL 9 가 딱 맞아떨어져서 그럼.
그래서, "ESL을 9를 만족시켜야 5레벨 슬롯을 얻는다."
이 결론만 기억해두고, 앞의 조건으로 다시 돌아가보자.
조건 1 : 주무기에 헥스 바인드를 걸어, 매력 기반으로 싸우는 주인공 빌드
조건 2 : 최소 2회 공격 이상을 보유할 것
조건 3 : 강타를 쓸 수 있을 것
조건 4 : 그림자 검 업캐스팅을 위해 5레벨 주문 슬롯을 얻을 것. (ESL 9 필요)
여기서 똑똑한 친구들은 반론을 할 수 있어
??? : "바다딘 빌드의 경우 검바드10 + 팔라2니까 ESL 11로, 주문 슬롯이 충분히 많으니까 달성가능합니다!"
맞는지 볼까?
민첩기반으로 헥스 바인드는 없지만 어느정도 조건1을 만족하고
검바드 6LV 2회 공격이 가능해 조건 2를 만족하고
팔라딘 2LV 찍어서 강타가 있으니 조건 3을 만족하고
ESL 11이니까 5레벨 슬롯도 있네?
....근데 바드에겐 그림자 검 주문이 없어.
10레벨 찍어서 배우는 마법적 비밀(Magical Secret) 목록에도, 섀도우 블레이드 블레이드 주문이 없음.
https://bg3.wiki/wiki/Magical_Secrets
그래서 바다딘은 '주문을 얻을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됨.
여기서, 똑똑한 친구들은 재차 반론을 할 수도 있음
??? : "헥스블레이드 5렙으로 2회 공격 + 팔라딘 2로 강타 + 소서러 5렙으로 다 채우면 ESL 11로 달성가능합니다!"
맞는지 볼까?
매력 기반 전투 가능이니까 조건1을 만족하고
검계약 5LV 2회 공격이 가능해 조건 2를 만족하고
팔라딘 2LV 찍어서 강타가 있으니 조건 3을 만족하고
ESL 11이니까 5레벨 슬롯도 있네?

....근데 워락의 경우는 나머지 캐스터와 슬롯이 호환되지 않아.
써봐서 알겠지만, 워락의 경우는 아예 슬롯이 보라색으로 분리되어 있고
성격/수량/주문풀 모두가 다름.
그래서 ESL이 5+1+5 = 11이 되는게 아니라,
일반 주문 슬롯 ESL 5+1=6, 계약 주문 슬롯 5로 분리되어 합쳐지지 않음
이게, 워락을 멀티클래스 빌드에서 거의 안 쓰는 이유야.
많이들 물어보는 질문 중에,
"왜 워락 계열만 멀티클래스 빌드에서 항상 배제되는가?" <- 란 질문이 있는데
위의 ESL 문제 때문에 섞으면 섞을수록 주문 슬롯 손해를 보기 쉬워서 그래.
Hex 1 Dip이 고평가 받는 이유도 마찬가지.
ESL 입장에서 손해를 거의 안 보니까.
C. WHAT - 리버스 헥사딘?
다시 조건으로 돌아가서,
조건 1 : 주무기에 헥스 바인드를 걸어, 매력 기반으로 싸우는 주인공 빌드
조건 2 : 최소 2회 공격 이상을 보유할 것
조건 3 : 강타를 쓸 수 있을 것
조건 4 : 그림자 검 업캐스팅을 위해 5레벨 주문 슬롯을 얻을 것. (ESL 9 필요)
그래서, 위의 조건을 해결하는 단 하나의 방법은
"워락으로 검계약을 써서 9레벨 이상 찍는다" 밖에 없어.
그런데 강타를 쓰려면 팔라딘 2가 있어야 하잖아?
그러니까 팔라딘2 + 워락9까지 가는 게 사실상 유일한 방법임.
그래서, 이 빌드의 이름을 헥사딘을 거꾸로 만든, 리버스 헥사딘이라고 '내가 지음'
(당연히 학계의 공증 같은 거 없는 이름입니다.)
C1. 블레이드 싱어 기반의 빌드 - 추가항목
댓글에서 추가공격을 획득하는 스펠캐스터로 블레이드 싱어 <- 를 얘기해줘서 생각남.
근데 이걸 왜 내가 놓쳤을까 생각해봤더니, 처음부터 고려대상에서 배제한 채 탐색했었음
블레이드 싱어로 헥스 강타를 쓰겠다는 게 무슨 문제가 생기냐면
1. 파워빌드 핵심인 1스탯의 집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는 주인공이기 때문에 매력이 1스탯이어야 해.
Hex Bind로 이 스탯으로 근접전도 짱 잘할거야.
그런데 블레이드 싱어는 위저드 서브클래스기 때문에,
지능(INT)이 1스탯급으로 필요해.
그러다보니 스탯을 짜보면
STR 8
DEX 10 (....)
INT 16
CON 14
WIS 8 (.....)
CHA 17
스탯에서 기본적으로 구멍이 2개가 발생해.
2. 블레이드 싱어의 특징으로 인해, 갑옷을 입을 수 없다.
팔라딘 기반의 멀티클래스를 타는 이유와 정확하게 상충해.
블레이드 싱어의 경우 갑옷을 입지 않아야 검무를 출 수 있는데,
중갑/평갑 등의 숙련이 있어도 이 페널티를 상쇄할 수 없음.
DEX 10을 찍겠다는 건, 중갑으로 방어도를 상쇄하겠다는 의도거든?
그렇다는 얘기는 위에서 얘기한 DEX의 구멍을 맨몸 그대로 맞아야 해서
전투에서 순식간에 다굴맞아 눕기 십상.
게다가 하필 블레이드 싱어는 근접이라 안전거리 확보도 사실상 안됨.
3. 파워빌드가 되기 어려워 보임.
??? : 그러면 주문 슬롯만 받고, 강타에만 다 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어 그게 말인데 친구야
파워빌드를 짜는 이유가 정직하게 1+1=2를 하려고 하는 게 아니거든?(..)
약점보완/시너지강화를 통해서 1+1 = 5(!) 같은 사기를 치려고 하는 거란 말이야?(..)
그래서 핵심클래스(심지어 6이상을 찍어야 하는)의 파워를 풀로 활용하지 못할 리스크가 높아 보인다는 생각임.
블레이드 싱어 기반은 차라리 주인공을 포기하고 (매력캐 안하겠다 그러면 주인공으로 해도 됨)
매력 덤핑해서 동료로 쓰는 게 나을 거 같다. <- 의 결론.
D. HOW - 어떻게 키우면 됨?
빌드를 어떻게 만들거냐?
우선, 매력 기반으로 스탯을 짠 다음
첫번째 직업으로 바드를 고를거야
??? : "워락+팔라딘이라면서요? 갑자기 바드가 왜 나와요?"
....이유는, 9+2를 하고 나면 12레벨 제한에서 남는 레벨이 1 밖에 없는데
이 1레벨 Dip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법 중에서
가장 큰 이득을 얻는 방법이 바드 스타팅이라서 그래.
4개의 스킬에 숙련을 얻고,
전용 캔트립 / 주문을 다수 얻고, 악기 연주 까지 가능해지는
바드 1레벨의 혜택이, 나머지 선택지 중 가장 괜찮음.
(로그도 고려해봤지만, 비시전자이기 때문에 강타 써야하는 입장에서 손해임)
그래서 이 빌드는 바드1 + 팔라2 + 워락9의
듣도 보도 못한 혼종 빌드가 될 거임

E. HOW - 어떻게 하면 됨?
LV0 - 종족
하고 싶은 종족 하세연.
그래도 성능이 가장 중요하다면
1순위는 하프오크(근접 치명타 시 피해량 주사위 추가)
2순위는 우드엘프(기본 이동력 9 → 10.5m)
대신 이동력 낮은 종족은 플레이할 때 힘드니 주의할 것.
특히, 힘 스탯이 낮기 때문에 점프 거리도 짧아서
근접 공격이 불가능한 상황이 자주 나옴.
LV0 - 스탯
STR 8
DEX 14
CON 16(+1)
INT 8
WIS 10
CHA 17(+2) + 에델1/거울1 + 피트2 + 거울2 = 22
1순위 매력, 2/3순위 건강/민첩
힘을 버리고(Dumping), 민첩을 보조스탯으로 올려
"평갑(중갑 아님) 입는 로그"가 될 거야.
빌드를 찾아보는 초보 입장에선,
우선권 & 기교명중/피해1 보다 건강으로 생존력을 높이는 게 나을 것.
전투는 어차피 매력으로 할 거기 때문에, 민첩은 그렇게까지 높지 않아도 됨.
바드 스타팅이기 때문에 중갑을 입을 수 없는데,
중갑이 더 중요하다 그러면, 팔라딘 스타팅을 해도 무방함.
Q. 건강16보다 민첩16이 더 나은 거 아님?
→ A. 님 말이 맞음
Q. 매력보너스 or 3막 건강 목걸이 얻으면 리스펙 하면 됨?
→ A. 맘대로 하세여.
LV0 - 스킬
바드 스타팅 시, 모든 스킬에 숙련을 찍을 수 있으며, 3개의 스킬을 선택 가능하다.
(인간 시작 시 총 4개의 스킬에 숙련 가능)
0. 설득(Persuasion)
1. 공연(Performance)
2. 손재주(Sleight of Hand)
3. 통찰(Insight)
3. 지각(Perception)
4. 은신(Stealth)
5. 위협(Intimidation)
6. 기만(Deception)
매력 기반 주인공 캐릭터이기 때문에 설득은 반드시 필요. (대화 + 상점할인)
바드를 골랐으니, 공연(Performance) 스킬은 가급적이면 가져가는 게 좋다.
- 바드 고른 김에, 버스커(Busker)업적도 노려보자.
민첩 기반이므로 손재주(Sleight of Hand) 역시 좋은 선택이 되며
지혜가 낮아도 통찰(Insight)/지각(Perception)에 숙련이 있는 게 연애(?!)에 도움이 된다.
그 외 은신/위협/기만 등의 보조 선택지도 있으면 좋음.
배경(Background) 선택으로 저 중에서 원하는 능력을 가져갈 수 있는데
장인(Guild Artisan) = 통찰+설득
사기꾼(Charlatan) = 기만+손재주
부랑자(Urchin) = 손재주+은신
추천은 위에 것 중 하나를 고르고 나머지 3개(또는 4개)를 고르는 건데
주인공 컨셉을 따로 생각하고 있다거나 하다면, 그걸로 하면 됨.
LV1 - Bard1
캔트립 - 친구 1순위. 나머지는 취향껏
1레벨 주문 - 동물대화, 깃털낙하 1순위. 나머지는 취향껏
LV 2 - Bard1 / Paladin1
멀티클래스 시작.
1순위는 선조의 맹세. 이유는 광역 힐이 있기 때문임.
어차피 2레벨로 강타만 찍을 거기 때문에
주문 보고 맘에 드는 거 고르면 됨
LV 3 - Bard1 / Paladin2
전투유파 - 결투(Dueling)
양손무기 GWM 헥사딘과는 달리, 한손 무기 결투 기반으로 진행함.
왜냐면 결국 쓰게 될 그림자 검이 장착시 소검(Short sword) 판정이기 때문임.
LV 4 - Bard1 / Paladin2 / Hexblade1
멀티클래스 2차 시작 + 워락(Warlock) 서브클래스 : 헥스 블레이드 선택
캔트립
- 1순위 : 부밍 블레이드(Booming Blade)
https://bg3.wiki/wiki/Booming_Blade
- 2순위 : 섬뜩한 작렬(Eldrich Blast)
https://bg3.wiki/wiki/Eldritch_Blast
친구는 앞에서 찍었을 거기 때문에, 부밍블레이드 + 엘드리치 블라스트 2개 고르면 된다.
주문
- 1순위 : 주박(Hex)
https://bg3.wiki/wiki/Hex
- 2순위 : 방패
https://bg3.wiki/wiki/Shield_">https://bg3.wiki/wiki/Shield_(spell)
헥스블레이드는 이 주문에 접근이 가능하니 꼭 집자.
- 3순위 : 아가티스의 방패
https://bg3.wiki/wiki/Armour_of_Agathys
LV 5 - Bard1 / Paladin2 / Hexblade2
워락 2레벨에 얻는 섬뜩한 기원을 2개 선택
https://bg3.wiki/wiki/Eldritch_Invocation
1순위 - Devil's Sight
암흑 시야 관련 최상급 능력. 이게 있으면 암흑(Darkness)마법 안에서도 적 썰 수 있음.
2순위 - Agonising Blast
엘드리치 블라스트의 피해량에 매력 수정치 추가
- 엘블 쓸거면 필수로 찍어야 하는 옵션
3순위 - Repelling Blast
적을 밀어내는 용도로 엘블을 쓰겠다 그러면 해도 되는데,
엘블을 쓰면 액션하나를 완전히 털어먹기 때문에, 추가 공격을 하기 힘듬.
주문은 남은 거 고르세욘
LV 6 - Bard1 / Paladin2 / Hexblade3 (빌드 1차 완성)
검의 계약 선택
2레벨 주문은 그림자 검(Shadow Blade) 1순위
어둠(Darkness) 2순위, Misty Step 3순위
그림자 검을 들고, 강타를 칠 수 있게 되는 시점.
LV 7 - Bard1 / Paladin2 / Hexblade4
재주(Feat) - 맹렬한 공격자(Savage Attacker)
2회 공격 달성 전이긴 한데, 1레벨만 더 참으면 되니까
핵심 피트 부터 갑시다.
LV 8 - Bard1 / Paladin2 / Hexblade5 (빌드 완성)
깊어진 검의 계약 : 추가 공격 1회 획득
3레벨 주문은 원소무기(Elemental Weapon) 1순위, 카운터 스펠 2순위, 하다르의 허기 3순위.
리펠링 블라스트로 적을 밀어내면서 싸울거면 하다르의 허기 추천
섬뜩한 기원 1개 더 선택 - 맘 가는대로 고르면 됨.
소기의 목표였던 조건 4종 중 하나를 빼고 모두 만족하는 상태가 됨.
1. 근접전투를 Hex Bind 기반으로 잘 할 수 있고
2. 강타를 쓸 수 있고
3. 그림자검 업캐스팅(현재는 3레벨) 쓸 수 있고
4. 드디어 2회 공격이 가능해지는 시점이 된다.
남은 레벨링은 오로지, 5레벨 주문 슬롯을 얻기 위해 진행함.
LV 9 - Bard1 / Paladin2 / Hexblade6
3레벨 주문 하나 더 고르면 됨
LV 10 - Bard1 / Paladin2 / Hexblade7
섬뜩한 기원 1개 더 선택 - 맘 가는대로 고르면 됨.
4레벨 주문 선택 - 상급 투명화 1순위
LV11 - Bard1 / Paladin2 / Hexblade8
재주(Feat) - 능력치 매력 +2
4레벨 주문 선택 - 맘 가는 거 아무거나
LV12 - Bard1 / Paladin2 / Hexblade9
5레벨 주문 선택 - 홀드 몬스터 1순위
F. Where - 아이템은 뭐 맞추면 됨?
1. 핵심 무기
그런 거 없어요. 2렙부터 아무거나 써서 계약박고 패면 됨.
그럼에도 좋은 걸 얘기하자면,
1-1. The 팔라르 알루베
https://bg3.wiki/wiki/Phalar_Aluve
주변에서 팰 때 마다 천둥 피해가 추가로 터지는 완소무기
다른 무기 쓸 거면, 이 무기는 옆에 탱커한테 넘겨주자.
1-2. 그림자 검
걍 이게 종결무기임. 무기 끝
2. 방패
2-1. 헌신의 방패
https://bg3.wiki/wiki/Shield_of_Devotion
- 주문 슬롯을 더해주는 가장 중요한 방패. 나도 이게 가장 중요해질 줄은 몰랐슴.
3. 원거리 무기
마찬가지로 우선권(Initiative) 위주로 세팅하면 좋고
관련 활은 딱 2자루 있으니 참고.
https://bg3.wiki/wiki/Bow_of_Awareness
https://bg3.wiki/wiki/Hellrider_Longbow
4. 방어구
바드 스타팅이라 평갑 사용. 팔라딘 중갑은 많이 아실테니 생략
https://bg3.wiki/wiki/Adamantine_Scale_Mail
그림포지 제작. 피치명 방어까지 붙은 사실상 최강 평갑. 더 맘에 드는 게 있으면 바꿔 끼세요.
https://bg3.wiki/wiki/Diadem_of_Arcane_Synergy
멀티캐스터 전용 비전 시너지 다이어뎀
https://bg3.wiki/wiki/Boots_of_Persistence
평갑 장화 중 최고. 활보+자유이동.
https://bg3.wiki/wiki/Legacy_of_the_Masters
파티 내 최고 근접딜러에게 어울리는 최고의 전투용 장갑
5. 장신구 및 기타
https://bg3.wiki/wiki/Ring_of_Arcane_Synergy
캔트립 사용 후, 2턴 간 무기공격력이 강화되는 반지. 부밍블레이드 쓰라고 만들어놓은 템.
https://bg3.wiki/wiki/Killer%27s_Sweetheart
치명타 이후의 강타 연계가 중요한 팔라딘이기 때문에, 강제 치명타는 언제나 옳다.
https://bg3.wiki/wiki/Shade-Slayer_Cloak
치명타 확률을 높여주는 망토. 상급투명화를 받을 수 있으면 좋다.
https://bg3.wiki/wiki/Amulet_of_Greater_Health
HP의 대폭 증가 및, 주문 집중에 이점을 제공하는 최강 목걸이
Y. 강점
1. 이론적으로 완벽한 고점의 빌드
그림자 검 최대 업캐스팅 + Hex Bind로 매력 기반 추가 피해 + 치명타 시 최대 레벨의 강타 추가
조건으로 부밍블레이드를 휘두르는 2회 공격 전열 마샬.
말 만 들어도 얼마나 셀지 짐작이 가지 않슴?
빌드 테스트로 길드 갔다가
보스 나인핑거 한 대(한 턴이 아님)에 눕히는 거 보고 깜짝 놀람.
2. 마참내! 망령소환이 가능한 헥스블레이드 멀티클래스
다양한 시도에도 결국 워락레벨을 6까지 올리기가 어려웠으나
까다로운 조건으로 인해 마침내 워락 기반의 멀티클래스 빌드가 탄생.
적들의 시체에서 망령을 소환해 잘 싸워보자.
Z. 약점
1. 바드임에도 기술 전문화(Expertise)가 불가능하다.
바드의 경우 기술의 전문화가 3LV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1레벨만으로는 기술을 전문화를 할 수 없음.
기술 전문화를 위해 바드 대신 로그를 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에는 1레벨 주문 슬롯이 줄어들고 바드 1LV 주문에 접근이 불가능해서
오히려 게임하기 더 어려워짐.
2. 자고 나면 곧바로 쉬어야 한다.
무슨 얘기냐면, 긴 휴식 이후에 바로 사용해야 하는 주문이 2개가 있기 때문이고
(그림자검 5LV 업캐스팅 + 엘레멘탈 웨폰 5LV 업캐스팅)
이러면 워락 주문 슬롯이 모두 소진 되기 때문에 짧은 휴식을 취해야 해(..)
그래서 가용해지는 짧은 휴식이 사실상 1번 밖에 없을 거라서
지금까지 겪어 보지 못했던 가장 쇠약한 주문시전자가 될 거야.
(짧은 휴식 1번하고 난 이후 주문이 다 소진되면 바로 긴 잠 자야 함.)
3. 주문슬롯이 얇다.
실제로 써보면, 고점에 비해 지속력이 너무 낮음.
5레벨 슬롯은 있지만, 나머지 슬롯의 볼륨이 처참하게 부족하거든.
1레벨 4개(그나마도 방패 때문에 4개임), 5레벨 2개 밖에 없기 때문에
주문 사용의 다양성이 심각하게 부족해.
그래서 주문 시전자 빌드라기 보다는,
하루에 궁극기(5렙 강타) 딱 4번 쓸 수 있는 근접 헥사딘<-이라고 보면 될 거야.
X. 대안
위의 조건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바드1/팔라2/Hex9 대신
바드3 + Hex9 로 빌드를 변경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음.
팔라딘을 포기 했기 때문에 강타를 쓸 수는 없어지겠지만,
바드3렙을 찍게 되면서 기술 전문화 2개를 선택할 수 있고
검바드 선택을 통해 다양한 Flourish(이거 한국어 번역은 모르겠슴)를 사용할 수 있음
이 경우에는 바드 2레벨 주문을 쓸 수 있어지고
주문 슬롯도 조금 넉넉해지기 때문에, 더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을 거임.
그림자검 5렙 업캐스팅은 물론 쌉가능.
....대신 강타를 희생해야 하지만.
PS. 추천 모드
PPS.
어디까지나 초보용 공략글이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지는 않음.
초심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너무 많아서 선택장애가 오는 거 자체가 스트레스기 때문에
레벨마다 해야할 거 하나씩만 골라둔 거니까,
혹여 놓치고 있는 사항이나 다른 좋은 선택지 등이 있다면, 댓글로 추가해주면 감사함.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