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 간단히. 공방 해설자 필루스 맞습니다


원래 메인픽이 나딘이라 나딘 공략을 올리려고 했는데...
이번 시즌 초기에 단재로 점수 대차게 다 까먹고 판수 차이가 나서 그냥 전체적인 팁, 공략 위주로 써볼까 합니다
나딘 판수가 적지만, 매 시즌 이터를 달리면서 나딘이나 운영 위주를 갈고 닦았으므로 반드시 유용할겁니다
때문에 글이 꽤나 기니까 마지막 '총 정리' 부분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야생동물이 정확히 '왜' 필요한 것인가?
많은 뉴비, 그리고 하다못해 상위권 플레이어들도 야생동물 안 잡으면 도태된다, 아니면 먹어서 성장 해야한다 라고 대략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진짜 간략하게 말하면 저 내용이 100% 맞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이유를 들어보면 더 좋겠죠
하나. 야생동물 피해량에 비례해 무기 숙련도가 상승하고, 처치 시 크레딧을 획득한다
실험체(100당 57)에 비해 100당 5라는 적은 획득량을 가지고 있지만 처치 숙련도 또한 가지고 있어
처치 숙련도를 포함하면 꽤나 많은 양의 숙련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 야생동물이 1개체씩 사망할 경우 획득할 수 있는 숙련도와 크레딧은 아래와 같습니다
1레벨기준
- 닭 60 (2크레딧)
- 박쥐 108 (2크레딧)
2레벨 기준
- 멧돼지 190 (3크레딧)
- 들개 143 (3크레딧)
3레벨 기준
- 늑대 174 (3크레딧)
6레벨 기준
- 곰 381 (6크레딧)
조금 특이한건, 멧돼지가 늑대보다 획득량이 높습니다. 심지어 체력도 많기 때문에 총 획득량은 꽤나 많은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늑대는 다른 사람에게도 리젠 시간이 보이기 때문에 야생동물을 선점당할 수 있다는 부분도 있습니다
둘. 야생동물 변이체는 실험체보다 효율이 좋을 때도 있다?

야생동물 무리가 중요하고, 성장에 굉장히 도움이 된다는 부분 또한 많은 분들이 알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기 위해, 변이체를 기준으로 몹들의 숙련도 획득량을 비교해봅시다
1레벨기준
- 변이 닭 121 (4크레딧)
- 변이 박쥐 216 (5크레딧)
2레벨 기준
- 변이 멧돼지 380 (5크레딧)
- 변이 들개 285 (5크레딧)
3레벨 기준
- 변이 늑대 328 (6크레딧)
6레벨 기준
- 변이 곰 762 (13크레딧)
간단하게 요약하면, 변이체는 크레딧이나 숙련도나 기존 일반몹보다 2배가량 증폭되어 획득됩니다
변이체의 체력이 더욱 높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2배의 효율을 넘어가기도 합니다
이를 토대로, 각각 야생동물 무리 효율을 따지고 보면..
늑대 무리의 경우 2일차 낮에 리젠
- 11레벨 변이 늑대가 총 3마리. 획득량은 544(328+레벨당27)*3 = 1632+a, 크레딧은 18
곰 무리의 경우 2일차 밤에 리젠
- 17레벨 변이 곰이 총 2마리. 획득량은 1082(762+레벨당30)*2 = 2164+a, 크레딧은 26
비교를 위해 설명드리면, 2일차 밤에 리젠되는 알파의 숙련도 획득량이 1100+a입니다
셋. '확률 드랍'으로 가능한 고점 성장
아마 이 내용은 뉴비분들보다 정식출시 전 고인물분들이 알고 있을 내용입니다
야생동물 중 늑대, 곰에게는 일정 확률로 오브젝트 아이템이 등장합니다
- 늑대 : 생명의 나무(4%), 운석(4%)
- 곰 : 생명의 나무(3%), 운석(3%), 미스릴(3%), 포스 코어(2%)
(확률은 가장 마지막으로 공개된 확률입니다. 조금의 변동이 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늑대와 곰쪽으로 야생동물을 굴리는 경우가 많고, 야생동물 무리가 오브젝트처럼 운영되곤 합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확률이며, 늑대와 곰 모두 10레벨이 넘어간 야생 동물에게만 드롭 확률이 생기니 알아두셔야 합니다
이 뿐만 아니라, 늑대와 곰에는 트랩의 주요 재료 또한 드롭됩니다. 미약하지만 이것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덧댄 가죽(지압판 트랩), 철사(더블 기요틴), 전자 부품(C4)
2. 야생동물을 정확히 '어떻게' 운영해야할까?
여기서부터 운영 차이와 템포가 확연하게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특히 상위권에서도 '고정된' 운영 자체는 몇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 실험체, 그리고 플레이어별 스타일이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그 중에서 '야생동물'과 관련된 운영 요소를 짚어보죠
하나. '낮늑밤곰'의 법칙
어쩌면 많은 분들이 몸으로 기억하고 있을 내용입니다. '낮에는 늑대, 밤에는 곰'이 리젠된다는 내용이죠
정확히는 리젠 시간에 맞춰서 사냥했을 경우 1일차와 2일차에는 이 법칙이 적용된다 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잠깐 각 야생동물의 정보를 정리한 이미지를 보여드리면..

늑대와 곰 리젠시간은 190초(3분 10초)와 250초(4분 10초)이며,
첫 리젠은 각각 90초, 150초 타이밍으로 각각 1일차 낮 1분, 그리고 1일차 밤에 출현합니다
그 이후, 늑대의 리젠 시간을 이론상 계산하면 90+190초로 270초(2일차 낮 시작)
곰 리젠 시간을 계산하면 150+250초로 400초(2일차 낮 약 30초 이전)이 됩니다
곰 리젠시간이 조금 어긋나지만, 정확히 맞추어 오는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편하게 밤에 곰이 나온다. 라고 표현하게 된 것이죠

때문에, 1일차와 2일차의 낮과 밤에는 늑대와 곰이 리젠된다. 라고 이해하시면 '최소한의' 야생동물 운영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둘. 야생동물을 기본으로 게임을 굴려나가면 어떨까?
가장 큰 장점은 순위방어가 편하고, 숙련도 템포를 빠르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도태되는 경우가 없게 됩니다
거기에 확률적 오브젝트 획득과, 키오스크를 이용한 아이템 밸류업까지 하면 '이론상' 완벽하죠
물론, 어디까지나 '이론상'의 이야기입니다. 도중에 교전이 일어나고, 팀이 많아 그 지역의 야생동물을 포기하고,
가끔 팀원들이 오브젝트 가자고 하면 그 시간대의 야생동물을 포기하고 가야만 합니다. 결국엔 팀원과의 선택 하에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죠
아래는 '이론상' 야생동물 사이클 시간대와, 제가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사이클을 기재한 표입니다
이론상 사이클은 야생동물을 잡는 시간까지 무시한 것이므로, 크게 신경쓰지 마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들개와 박쥐, 멧돼지를 묶은 이유는 리젠 타임 때문
각각 170초, 165초, 155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산하기 쉽고, 2일차부터는 한 번 잡았을때 똑같은 시간 밤에 다시오면 리젠됩니다
2. 2일차 낮 늑대와 밤 곰은 야생동물 무리와 겹친다
그렇기 때문에, 1일차 낮에 양궁장, 병원, 공장 늑대를 사냥했거나 / 1일차 밤에 모래사장, 절 곰을 사냥했다면 빠르게 가줍시다
특히 2일차 낮 1분~ 타이밍이 가장 한적하고 키오스크를 뽑을 수 있는 타이밍이므로, 뽑은 뒤 운영해주시면 됩니다
3. 모래사장 전장과 절 전장은 못먹어도 고
전장 타이밍과 무리 타이밍은 항상 겹치게 됩니다. 때문에 절과 모래사장이 전장으로 맞춰질 경우 최대 리턴을 볼 수 있습니다
(전장 아이템 + 기본 곰 + 무리 곰)
4. 야생동물 무리도 '낮늑밤곰'
항상 같지는 않습니다만, 리젠되는 시간과 사냥하는 시간 때문에 3낮에 늑대무리, 3밤에 곰무리가 활성화 됩니다
3일차 운영에서 밀리게 된다 생각이 들면 야생동물 무리로 빠르게 가봅시다
5. 무리해서 운영하지 않아도 괜찮고, 가능한 연결된 지역 사이클을 운영하자
루프 억까당하고 다시 부활시간 잡히면 그건 그대로 도태입니다. CCTV로 연결된 지역 정보를 얻어가며 운영하면 더욱 안정적입니다

제가 가장 많이 쓰고 있는 루프 사이클들 입니다. 점선은 여유가 있거나, 팀원이 이용할 경우 서브로 쓰는 루트입니다
특히 최근 쓰고 있는 나딘 루트는 호-소-학, 고-소-병으로 쓰고 있어 1번과 2번을 가장 많이 쓰고 있습니다

익숙해지면 이렇게 3일차 17~18 정도를 찍을 수 있습니다. 전장으로 리드를 보기도 했습니다만, 그 타이밍에 곰무리를 먹으면 18을 넘을 수 있습니다
셋. 야생동물을 '최소한'으로 운영하고 싶다면?
일단, '절대로' 야생동물 없이 게임을 리드하는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매 시간마다 상대 팀을 전멸시키는 수준이 아니면 그렇습니다
반대로, 야생동물 '만' 사냥하며 게임을 리드하는 것 또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오브젝트의 리턴이 종합적으로 더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배틀로얄인데 싸워야 게임이지! 하는 경우, '최소한'으로 운영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각 시간대를 비교하며 확인해봅시다
1낮-1밤(야생동물 - 늑대와 곰 / 오브젝트 - 없음)
이때는 야생동물 쪽이 절대적으로 좋습니다. 특히 초반 무기스킬을 획득을 위해서라도 야생동물쪽 사이클이 가장 베이스가 됩니다
그나마 교전 위주로 흘러가고 싶다면, 빠른 합류를 통해 야생동물을 굴리면서 사람이 보이면 싸우자라는 방식이 가장 좋습니다
+ 생나와 운석 싸움을 위해 움직인다면 해당 지역 CCTV를 따두는게 좋습니다
2낮(야생동물 - 늑대, 늑대무리, 30초 곰 / 오브젝트 - 생나2, 운석2)
첫 번째 선택지입니다. 여기서 교전 위주로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당연 생명의 나무와 운석쪽으로 이동해주는게 좋습니다만,
추가적으로 이득을 보기 위해서 리턴이 큰 방향으로 움직여주는게 좋습니다
생명의 나무는 각각 묘지, 절쪽에 등장하지만 묘지 방향은 동시에 늑대가 리젠되는 시간입니다. 병원, 공장, 성당과도 가깝습니다
때문에 절에서 획득 후 움직이는 것보다 동선낭비를 최소화하며 게임을 끌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정도는 해줘야 아이템만 먹고 도태당하지 않습니다
운석도 똑같습니다. 양궁장, 호텔, 공장, 병원, 소방서 등의 지역이면 리턴을 더욱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최대 이득 지역 : 양궁장(운석+늑대무리), 공장(운석+늑대무리) / 묘지(생나+늑대+병원과 공장쪽 늑대까지)
2밤(야생동물 - 곰, 곰무리, 2분 늑대 / 오브젝트 - 전장3, 알파2)
두 번째 선택지입니다. 교전 위주로 플레이하고 싶다면 전장도 괜찮고, 알파도 괜찮습니다
여기서 더 이득을 보고 싶고, 교전을 더 하고싶다면 알파와 가까운 전장, 그리고 모래사장/절 전장을 가는게 좋습니다
알파와 가깝게 전장이 지정된 경우는 전장을 안전지대 삼아 2개의 오브젝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모래사장/절 전장은 곰 무리와 타이밍이 겹치기 때문에 리턴이 최대치가 됩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가장 인기가 많은 지역이므로, 전장에 사람이 너무 많다고 느껴지면 몰래 나와서 알파를 먼저 노려주면 좋습니다
최대 이득 지역 : 절(곰무리+전장+경찰서 알파), 모래사장(곰무리+전장)
전장-알파 연결 지역 : 호텔(학교), 창고(성당, 고급주택가), 개울(연못, 소방서), 성당(숲), 주유소(소방서, 학교)
3낮(야생동물 - 늑대무리, 1분 40초 곰, 1분 30초 늑대 / 오브젝트 - 생나2, 운석2, 보라상자3)
반대로 오브젝트가 절대적으로 좋습니다. 거의 1팀을 제외하고 모두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만큼 오브젝트 싸움을 걸어줍시다
여기서 최대한 이득을 보고 싶다면, 상자와 운석 혹은 생나가 겹치는 위치나 늑대 무리와 겹치는 위치로 가주시면 됩니다. 물론 무리하지 않아도 됩니다
최대 이득 지역 : 양궁장(운석+상자+늑대무리) / 병원-공장(개울쪽 생나+상자+늑대무리)
3밤(야생동물 - 곰무리, 오브젝트 - 오메가, 보라상자3)
여기도 비슷합니다. 오메가 싸움 혹은 상자 싸움으로 본인들의 체급을 더 불려내주면 좋습니다
야생동물의 경우는 본인이 사이클로 돌려내 추가 획득이 가능한게 아니면 곰 무리쪽으로 운영해주고, 팀원 부활이 필요하다면 박쥐,들개,멧돼지쪽 운영을 해줍시다
최대 이득 지역 : 모래사장(곰무리+오메가+상자), 절(곰무리+오메가+상자)
4일차 부터는 이전 운영이 탄탄하게 다져졌을 경우 체급 차이가 크게 나므로 운영 위주의 이야기가 필요없게 됩니다
넷. 스플릿은 왜 좋고 어떻게 해야하는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스플릿 운영은 1일차 밤. 최대한 하더라도 2일차 낮에서 끝내셔야 됩니다
스플릿은 다른 팀의 야생동물 사이클을 망가트리면서, 본인들의 크레딧과 숙련도를 늘리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성장력에 있어 중요한 숙련도 획득량은 아래와 같이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같이 사냥할 경우 - 처치(막타)한 인원 100%, 주변 팀원 70% (범위 15m 내, 현우 E가 5m)
스플릿을 할 경우 - 본인이 전부 처치(막타)이므로, 100%씩
크레딧 또한 본인이 처치하는 크레딧과, 팀원이 처치해 같이 획득하는 크레딧이 있다보니 리턴이 생기는 방식입니다
이 스플릿 방식을 운영하기 적합한 경우는 몇가지가 있는데,
- 1. 팀원의 루트가 전부 합류하기 어려운 위치이며
- 2. 초반 교전에서 파워그래프가 낮은 경우
- 3. 혹은 극초반 아이템 억까나 사망해 템포가 말렸을 경우
가 있습니다
아마 이해하신 분들이라면, 스플릿은 어디까지나 '손해보는 타이밍을 빠르게 끝내기 위해서' 하는 행위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망할 경우 너무 시간이 늦어지는 2일차 밤 이후는 절대로 비추천드립니다
+ 그리고, 스플릿은 어디까지나 팀원이 전부 야생동물을 잘 운영했을 경우 리턴이 있기 때문에 어설픈 운영으로는 이득을 보기 어렵습니다
------------------------------------------------
총 정리
1. 야생동물은 가장 기본적인 숙련도와 크레딧 획득 방법이다
곰(381)>멧돼지(190)>늑대(174)>들개(143)>박쥐(108)>닭(60) 순으로 숙련도 획득량이 높고, 의외로 멧돼지가 효율이 높다
2. 변이체는 기본적인 야생동물보다 2배 가량의 숙련도, 크레딧 리턴이 있다
때문에, 늑대 무리와 곰 무리의 단순 숙련도 수치는 알파 처치를 능가한다
3. 10레벨 이후 리젠된 늑대와 곰은 일정확률로 갸차템(오브젝트 아이템)을 드롭한다
늑대는 생명의 나무와 운석, 곰은 생명의 나무/운석/미스릴/포스코어까지 드롭하니 꼭 드롭템 확인하기
4. 운영을 모르겠다면, 2일차까지 낮늑밤곰을 떠올려라
늑대는 1일차 낮과 2일차 낮, 곰은 1일차 밤과 2일차 밤
5. 변이체도 낮늑밤곰! 오브젝트 안갈거면 필수
2일차 낮과 3일차 낮에 늑대 무리, 2일차 밤과 3일차 밤에 맞춰 곰 무리로
6. 모래사장 전장과 절 전장은 못먹어도 찍어보자
곰+곰무리+전장 승리라는 압도적인 리턴이 있다. 물론 약하거나 많으면 빠지는 것도 도움이 된다
7. 멧돼지와 들개, 박쥐는 동일한 사이클로 기억하자
각각 170초, 165초, 155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산하기 쉽고, 2일차부터는 한 번 잡았을때 똑같은 시간 밤에 다시오면 리젠!
8. 가능한 연결된 지역으로 운영하자
CCTV를 이용해 연결된 지역으로 운영하면 교전하기도 편하고, 기습에도 유리해진다
9. 야생동물을 최소한 사냥하고 싶다면, 1일차 낮과 밤에 최대한 기반을 다지자
2일차부터는 오브젝트와 전장, 무리 등 리턴이 동시에 생길 수 있는 지역으로 가기! CCTV로 시야는 필수
10. 스플릿은 어디까지나 손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스플릿 운영은 1일차 밤. 최대한 하더라도 2일차 낮에서 끝내야 하고, 팀원이 다 운영할줄 알아야 이득
------------------------------------------------
여기까지. 최대한 줄이고 쓸모없는 내용도 지웠는데 이렇게 나오네요 ㅎㅎ;
궁금한 내용이나, 추가적으로 알고 싶으신 내용이 있다면 편하게 질문주시길 바랍니다
+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이나 지역별 숙련도 획득량, 무기 숙련도 레벨 지표 등의 자료를 보고 싶다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https://pillus.postype.com/post/15059643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