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사료] 중국 '삼국지'에 적혀있는 고구려 기록

단군왕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7.04 11:20:53
조회 67 추천 0 댓글 0
														

중국 '삼국지'에 적혀있는 고구려 기록 



viewimage.php?no=24b0d769e1d32ca73cee8efa11d02831b169fb2255dcc071d46250c582ff827534d9fe47d5b6666b173ccbbfdd539408a0dc8f8c76dc3905359cb8c5a726949c0ad403e9af8c1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중국정사외국전 '삼국지' 위서魏書 권30 동이전東夷傳 > 고구려高句麗 편



https://youtu.be/_srrbJN0b4s



고구려는高句麗는 요동遼東의 동쪽 천리 밖에 있다.

남쪽은 조선朝鮮 , 예맥濊貊과,

동쪽은 옥저沃沮와, 북쪽은 부여夫餘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환도丸都의 아래에 도읍 하였는데

면적은 사방 2천리가 되고 호수戶數는 3만이다.


큰 산山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넓은 들은 없어 산골짜기에 의지하여 살면서 산골의 물을 식수로 한다.

좋은 밭이 될 땅(전지田地)이 없으므로 부지런히 농사를 지어도 식량이 충분하지 못하다.

그들의 습속에 음식은 아껴 먹으나 궁실宮室은 잘 지어 치장한다(DB주석 : 宮室짓기를 좋아한다).


거처하는 좌우에 큰 집을 건립하고 [그곳에서] 귀신에게 제사지낸다.

또 영성靈星과 사직社稷註 061에도 제사를 지낸다.

그 나라 사람들의 성질은 흉악하고 급하며, 노략질하기를 좋아한다.

그 나라에는 왕王이 있고, 벼슬로는 상가相加·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가古雛加·주부主簿·우태優台

·승丞·사자使者·조의皁衣·선인先人이 있으며,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각각 등급을 두었다.


高句麗在遼東之東千里, 南與朝鮮濊貊, 東與沃沮, 北與夫餘接. 都於丸都之下, 

方可二千里, 戶三萬. 多大山深谷, 無原澤. 隨山谷以爲居, 食澗水. 無良田, 雖力佃作,

不足以實口腹. 其俗節食, 好治宮室, 於所居之左右立大屋, 祭鬼神, 又祀靈星·社稷.

其人性凶急, 喜寇鈔. 其國有王, 其官有相加·對盧·沛者·古雛加

主簿·優台丞 ·使者·皁衣先人, . 尊卑各有等級.



東夷동이의 옛 말에 의하면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別種이라 하는데,

말이나 풍속 따위는 부여와 같은 점이 많았으나,

그들의 기질이나 의복은 다름이 있다.

[고구려에는] 본디 다섯 [부部]족族이 있으니,


연노부涓奴部註 072·절노부絶奴部·순노부順奴部·관노부灌奴部·계루부桂婁部註 073가

그것이다.


래는 연노부涓奴部(=소노부=비류부)에서 왕王이 나왔으나 점점 미약해져서 지금은 계루부桂婁部에서 왕위王位를 차지하고 있다. 註 074


東夷舊語以爲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服有異. 本有五族,

有涓奴部 [주석 范書, 涓, 作消, 下同. ]

絶奴部·順奴部·灌奴部·桂婁部 [주석 章懷注, 案今高驪五部, 一曰內部, 一名黃部, 卽桂婁部也. 二曰北部, 一名後部, 卽絶奴部也. 三曰東部,

一名左部, 卽順奴部也. 四曰南部, 一名前部, 卽灌奴部也. 五曰西部, 一名右部, 卽消奴部也. ]

本涓奴部爲王, 稍微弱, 今桂婁部代之



한漢나라 때에는 북과 피리와 악공樂工을 하사하였으며,註 075

항상 현토군玄菟郡에 나아가 [한나라의] 조복朝服과 의책衣幘을 받아갔는데, [현도군의] 고구려高句麗(현) 령令이 그에 따른 문서를 관장하였다.

그 뒤에 차츰 교만 방자해져서 다시는 [현토玄菟]군郡에 오지 않았다.


이에 [현도군의] 동쪽 경계상에 작은 성城을 쌓고서 조복朝服과 의책衣幘을 그곳에 두어, 해마다 [고구려]인이 그 성에 와서 그것을 가져가게 하였다.

지금도 오랑캐들은 이 성을 책구루幘溝漊註 076라 부른다. 구루溝漊란 [고]구려 사람들이 성城을 부르는 말이다.


漢時賜鼓吹技 人, 常從玄菟郡受朝服衣幘, 高句麗令主其名籍. [元本, 令主, 作今王, 誤. ]

後稍驕恣, 不復詣郡, [元本, 詣, 作諸, 誤. ]

于東界築小城, 置朝服衣幘其中, 歲時來取之, 今胡猶名此城爲幘溝漊 溝漊者, 句麗名城也.


[고구려에서는] 관직을 설치할 적에 대로對盧가 있으면 패자沛者를 두지 않고, 패자沛者가 있으면 대로對盧를 두지 않는다.

왕王이 종족宗族으로서 대가大加인 자는 모두 고추가古雛加로 불리워진다.

연노부涓奴部는 본래의 국주國主였으므로 지금은 비록 왕王이 되지 못하지만 그 적통適統을 이은 대인大人은

고추가古雛加의 칭호를 얻었으며, [자체의] 종묘宗廟를 세우고 영성靈星과 사직社稷에게 따로 제사지낸다.

절노부絶奴部는 대대로 왕실과 혼인을 하였으므로註 077 [그 대인大人은] 고추가古雛[加]의 칭호를 더하였다.


모든 大加들도 스스로 사자使者·조의皁衣·선인先人을 두었는데, 그 명단은 모두 왕王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대가大加의 사자使者·조의皁衣·선인先人은] 마치 중국의 경卿이나 대부大夫의 가신家臣과 같은 것으로,

회합會合할 때의 좌석 차례에선 왕가王家의 사자使者·조의皁衣·선인先人과 같은 렬列에는 앉지 못한다.

그 나라의 대가大家들은 농사를 짓지 않으므로, 앉아서 먹는 인구(좌식자坐食者)가 만여명이나 되는데,

하호下戶註 078들이 먼 곳에서 양식·고기·소금을 운반해다가 그들에게 공급한다.


其置官, 有對盧則不置沛者, 有沛者則不置對盧. 王之宗族, 其大加皆稱古雛加. 涓奴部本國主, 今雖不爲王, 適統大人, 得稱古雛加, 亦得立宗廟, 祠靈星·社稷. 絶奴部世與王婚, 加古雛之號. 諸大加亦自置使者·皁衣先人, 名皆達於王, 如卿大夫之家臣, 會同坐起, 不得與王家使者·皁衣先人同列.

其國中大家不佃作, 坐食者萬餘口, 下戶遠擔米糧魚鹽供給之.


그 백성들은 노래와 춤을 좋아하여, 나라 안의 촌락마다 밤이 되면 남녀가 떼지어 모여서 서로 노래하며 유희를 즐긴다.

큰 창고는 없고 집집마다 조그만 창고가 있으니,

그 이름을 ‘부경桴京’註 079이라 한다. 그 나라 사람들은 깨끗한 것을 좋아하며, 술을 잘 빚는다.

무릎을 꿇고 절할 때에는 한쪽 다리를 펴니 부여와 같지 않으며, 길을 걸을 적에는 모두 달음박질하듯 빨리 간다.


10월에 지내는 제천祭天[행사行事]는 국중대회國中大會로 이름하여 ‘동맹東盟’이라 한다.

그들의 공식公式 모임에서는 모두 비단에 수놓은 의복을 입고 금金과 은銀으로 장식한다.


대가大加와 주부注簿는 머리에 책幘을 쓰는데,

[중국中國의] 책幘과 흡사하지만 뒤로 늘어뜨리는 부분이 없다.

소가小加는 절풍折風註 081을 쓰는데, 그 모양이 고깔(변弁)과 같다.

그 나라의 동쪽에 큰 굴이 있는데 그것을 수혈隧穴이라 부른다. 10월에 온 나라에서 크게 모여 동굴 신(수신隧神)註 082을 맞이하여

나라의 동쪽 [강江]위에 모시고 가 제사를 지내는데, 나무로 만든 수신隧神을 신神의 좌석에 모신다.


감옥이 없고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諸加들이 모여서 평의評議하여 사형에 처하고 처자妻子는 몰수하여 노비奴婢로 삼는다.



其民喜歌舞, 國中邑落,

暮夜男女羣聚,

相就歌戲. 無大倉庫, 家家自有小倉, 名之爲桴京

[ 何焯校, 改桴作稃. 弼按郝經, 續後漢書, 作稃. 郁宋年曰, 說文, 桴, 棟名. 稃, ????也. ????穅也, 稃京, 小倉名字當从禾. ]

其人絜淸自喜, 善藏釀. 跪拜申 一脚, [范書, 申, 作曳.]

與夫餘異, 行步皆走. 以十月祭天, 國中大會, 名曰東盟

其公會, 衣服皆錦繡金銀以自飾. [趙一淸曰, 酉陽雜俎, 魏時, 有高句麗客, 善用針. 取寸髮, 斬爲十餘段, 以針貫取之, 言髮中空也. 其妙如此. ]

大加主簿頭著幘, 如幘而無餘

其小加著折風, 形如弁.

其國東有大穴, 名隧穴, [范書, 隧, 作襚. ] 十月國中大會, 迎隧 神還于國東 上祭之,

置木隧于神坐. 無牢獄, 有罪諸加評議, 便殺之, 沒入妻子爲奴婢



그 풍속은 혼인할 때 구두로 미리 정하고(DB주석 : (혼인에 대한) 말이 정해지고 나면), 여자의 집에서 몸채 뒷편에 작은 별채를 짓는데,

그 집을 ‘서옥壻屋’ 이라 부른다. 해가 저물 무렵에 신랑이 신부의 집 문 밖에 도착하여 자기의 이름을 밝히고

궤배跪拜하면서, 아무쪼록 신부와 더불어 잘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청한다.


이렇게 두 세번 거듭하면 신부의 부모는 그때서야 작은 집(서옥壻屋)에 가서 자도록 허락하고, [신랑이 가져온] 돈과 폐백註 083은 [서옥壻屋] 곁에 쌓아둔다.

아들을 낳아서 장성長成하면 [남편은] 아내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간다. 註 084


그 풍속은 음란하며,註 085 남녀가 결혼하면 곧 죽어서 입고 갈 수의壽衣를 미리 조금씩 만들어 둔다.

장례를 성대하게 지내니, 금金·은銀의 재물을 모두 장례에 소비하며, 돌을 쌓아서 봉분을 만들고 소나무·잣나무를 그 주위에 벌려 심는다.


그 나라의 말은 모두 체구가 작아서 산에 오르기에 편리하다. 사람들은 힘이 세고 전투에 익숙하여, 옥저沃沮와 동예東濊를 모두 복속시켰다.


其俗作婚姻, 言語已定,

女家作小屋於大屋後, 名壻屋, 壻暮至女家戶外, 自名跪拜, 乞得就女宿, 如是者再三,

女父母乃聽使就小屋中宿, 傍頓錢帛,

至生子已長大,

乃將婦歸家.

其俗淫

男女已嫁娶, 便稍作送終之衣. 厚葬, 金銀財幣, 盡於送死, 積石爲封, 列種松柏. 其馬皆小, 便登山. 國人有氣力, 習戰鬭, 沃沮·東濊皆屬焉.


또 소수맥小水貊 이

있다. [고]구려는 대수大水유역에 나라를 세워 거주하였는데, 서안평현西安平縣註 087의 북쪽에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흘러드는 작은 강이 있어서,

고구려의 별종別種이 이 소수小水유역에 나라를 세웠으므로, 그 이름을 따서 소수맥小水貊이라 하였다.

그곳에서는 좋은 활이 생산되니, 이른바 맥궁貊弓이 그것이다.


又有小水貊. 句麗作國, 依大水而居, 西安平縣北有小水, 南流入海, 句麗別種依小水作國,

因名之爲小水貊, 出好弓, 所謂貊弓是也.



왕망王莽의 초初에 고구려의 군사를 징발하여 호胡(흉노匈奴)를 정벌하게 하였으나,

[고구려가 호胡를 정벌하러] 가지 않으려 하여 강압적으로 보냈더니, 모두 도망하여 국경을 넘은 뒤 [중국의 군현을] 노략질하였다.

요서군遼西[郡]의 대윤大伊註 088 전담田譚이 그들을 추격하다가 [도리어 그들에게] 살해되었다.

[이에 중국의] 주州·군郡·현縣이 그 책임을 [고高]구려후句麗侯 추騊註 089에게 전가시키었다.

엄우嚴尤는,

“맥인貊人이 법法을 어긴 것은 그 죄가 추騊에게서 비롯된 것이 아니므로, 그를 안심시키고 위로해야 함이 마땅합니다.

지금 잘못하여 큰 죄罪를 씌우게 되면 그들이 마침내 반란을 일으킬까 걱정됩니다.”

라고 아뢰었다. 그러나 왕망王莽은 그 말을 듣지 않고 우尤에게 [고구려를] 치도록 명하였다.

우尤는 [고高]구려후句麗侯 추騊를 만나자고 유인하여 그가 도착하자 목을 베어 그 머리를 장안長安에 보내었다.

왕망王莽은 크게 기뻐하면서 천하天下에 포고하여 고구려高句麗란 국호國號를 바꾸어 하구려下句麗라 부르게 하였다.

이 때에 [고구려는] 후국侯國이 되었는데,註 090 [후後]한漢 광무제光武帝 8년(A.D.32; 高句麗 大武神王 15)에

고구려왕高句麗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하면서 비로소 왕王의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王莽初發高句麗兵以伐胡 [ 范書, 作伐匈奴 ]

不欲行, 彊迫遣之, 皆亡出塞爲寇盜. 遼西大尹

田譚追擊之, 爲所殺. 州郡縣歸咎于句麗侯騊 [范書, 騊作騶, 前書王莽傳, 亦作騶. 下同.]

嚴尤奏言: 「貊人犯法, 罪不起于騊, 且宜安慰. 今猥被之大罪, [師古曰, 猥, 多也, 厚也. 被, 加也. 王先謙曰, 猥, 猶猝也.]

恐其遂反.」 [ 前書王莽傳, 此句下云, 夫餘之屬, 必有和者. 匈奴未克, 夫餘·濊貊復起, 此大憂也. ]

莽不聽, 詔尤擊之. 尤誘期句麗侯騊至而斬之,[期字, 疑誤. 范書作誘句驪侯騶, 入塞斬之. ]

傳送其首詣長安. 莽大悅, 布告天下, 更名高句麗爲下句麗. [莽傳云, 莽, 下書曰, 迺者, 命遣猛將, 共行天罰, 誅滅虜知, 分爲十二部. 或斷其右臂, 或斬其左腋, 或潰其胷腹, 或紬其兩脅. 今年, 刑在東方, 誅貉之部, 先縱焉. 捕斬虜騶, 平定東域. 虜知殄滅, 在于漏刻, 此乃天地羣神, 社稷宗廟, 佑助之福. 公卿大夫士民同心, 將率虓虎之力也. 予甚嘉之, 其更名高句驪, 爲下句驪. 布告天下, 令咸知焉. 於是貉人, 愈犯邊, 東北與西南夷, 皆亂云. 丁謙曰, 攷朝鮮史, 此爲高句驪太祖東明王子琉璃王時事. 史云, 初, 漢王莽, 徵兵於高句麗, 琉璃王不應, 降於鮮卑, 而侵犯漢邊. 然則姑先應徵, 旋亡出塞者, 正用其聯合鮮卑之計乎. 惟嚴尤誘斬之句麗侯騶, 當是統兵之員. ]

當此時爲侯國, 漢 光武帝八年, 高句麗王遣使朝貢, 始見稱王. [ 范書光武紀, 建武八年十二月, 高句驪王, 遣使奉貢.]



상제殤帝와 안제安帝 연간에 [고高]구려왕句麗王 궁宮이 자주 요동遼東을 침입하였으므로,

다시 현도玄菟[군郡]에 속하게 하였다.

요동태수遼東太守 채풍蔡風과 현도태수玄菟太守 요광姚光은 궁宮이 두 군郡의 해害가 된다고 생각하여 군대를 일으켜 토벌하였다.

궁宮이 거짓으로 강화講和하기를 청請하자, 두 군郡은 진격하지 않았다. [그 틈을 이용하여]

궁宮은 몰래 군대를 파견하여 현도군玄菟郡을 공격해 후성候城을 불사르고, 요수遼隧에 침입하여 관리와 백성들을 죽였다.

그 뒤 궁宮이 다시 요동遼東을 침범하자, 채풍蔡風이 가벼이 군사들을 거느리고 추격하였다가 패하여 죽었다.


至殤·安之間, 句麗王宮數寇遼東, 更屬玄菟. 遼東太守蔡風 [范書, 風, 作諷. 下同.]

玄菟太守姚光以宮爲二郡害, 興師伐之. 宮詐降請和, 二郡不進. 宮密遣軍攻玄菟, 焚燒候城, 入遼隧,

[丁謙曰, 候城, 遼隧, 均漢縣屬遼東郡. 漢地理志, 候城, 爲中部都尉所治, 惟不知爲今何地. 遼隧, 地理志, 作遼隊. 水經注, 遼水入塞, 經襄平縣西, 又逕遼隧縣西, 入大遼水, 乃田安市, 入海, 襄平故城, 在今奉天省城西南. 遼隧, 當在其西南濱遼河處, 故公孫淵, 遣兵, 拒司馬懿於此, 蓋阻水以自固也. 錢坫曰, 今奉天府海城縣西之牛莊. ]

殺吏民. 後宮復犯遼東, 蔡風輕將吏士追討之, 軍敗沒.

[范書東夷傳, 建武八年, 高句驪, 遣使朝貢. 光武, 復其王號. 二十三年冬, 句驪, 蠶支落大加戴升等萬餘口, 詣樂浪, 內屬. 二十五年春, 句驪寇右北平·漁陽·上谷·太原, 而遼東太守祭彤, 以恩信招之, 皆復款塞. 後, 句驪王宮, 生而開目能視, 國人懷之. 及長, 勇壯, 數犯邊境. 和帝, 元興元年春, 復入遼東, 寇略六縣. 太守耿夔, 擊破之, 斬其渠帥. 安帝, 永初五年, 宮遣使貢獻, 求屬玄菟, 元初五年, 復與濊貊, 寇玄菟, 攻華麗城. 建光元年春, 幽州刺史馮煥·玄菟太守姚光·遼東太守蔡諷等, 將兵出塞, 擊之. 捕斬濊貃渠帥, 獲兵馬財物. 宮乃遣嗣子遂成, 將二千餘人, 逆光等, 遣使詐降. 光等, 信之. 遂成因據險阸, 以遮大軍, 而潛遣三千人, 攻玄菟·遼東, 焚城郭, 殺傷一千餘人. 於是, 發廣陽·漁陽·右北平·涿郡屬國三千餘騎, 同救之, 而貊人已去. 夏, 復興遼東鮮卑八千餘人, 攻遼隊, 殺掠吏人. 蔡諷等, 追擊於新昌, 戰沒. 功曹耿耗·兵曹掾龍端·兵馬掾公孫酺, 以身扞諷, 俱沒於陳, 死者, 百餘人. 秋, 宮, 遂率馬韓·濊貊數千騎, 圍玄菟. 夫餘王, 遣子尉仇台, 將二萬餘人, 與州郡幷力, 討破之, 斬首五百餘級.]



궁宮이 죽고 그 아들 백고伯固가 왕王이 되었다.註 092 순제順帝와 화제桓帝 연간에 다시 요동군遼東郡을 침공하여 신안新安과 거향居鄕을 노략질하고,

또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하여 도중에서 대방령帶方令을 죽이고 낙랑태수樂浪太守의 처자妻子를 포로로 사로잡았다.

영제靈帝의 건녕建寧 2년(A.D.169; 高句麗 新大王 5)에 현도태수玄菟太守 경림耿臨이 그들을 토벌하여 수 백 명을 죽이고 사로잡으니,

백고伯固가 항복하여 요동遼東에 속하였다.


가평熹平 연간(A.D.172~177; 高句麗 新大王 8~13)에 백고伯固는 현도군玄菟郡에 속하기를 청하였다.註 093

공손도公孫度註 094의 세력이 요동遼東에 웅거하자, 백고伯固는 대가大加 우거優居와 주부主簿 연인然人 등을 파견하여

[공손公孫]도度를 도와 부산富山註 095의 도적을 격파하였다.

백고伯固가 죽고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은 발기拔奇, 작은 아들은 이이모伊夷模였다.

발기拔奇는 어질지 못하여, 국인國人들이 함께 이이모伊夷模를 옹립하여 왕王으로 삼았다.註 096

백고伯固 때부터 [고구려는] 자주 요동遼東을 노략질하였고, 또 유망流亡한 호족胡[族] 5백여호戶를 받아들였다.


宮死, 子伯固立 [范書, 宮死, 子遂成立, 遂成死, 子伯固立. 丁謙曰, 朝鮮史載, 宮年老, 讓位於弟遂成, 稱次大王. 以暴戾, 爲國人所弑. 因立其弟伯國, 稱新大王, 卽傳中伯固. 傳言, 宮死, 子伯固立, 不獨脫卻遂成, 而以弟爲子, 亦誤. 弼按下文, 位宮, 爲宮之曾孫, 則伯固, 爲宮之子, 其世系不誤. 然與范書及朝鮮史, 均不合. 又按, 惠棟曰, 蔡邕集云, 東夷高句驪翮子伯固, 逆謀並發. 亦可爲遂成被弑之證. ]

順·桓之間, 復犯遼東, 寇新安·居鄕, [郝經續後漢書, 居, 作民. ]

又攻西安平, 于道上殺帶方令, 略得樂浪太守妻子.[

범엽의 후한서에 따르면 순제 양가 원년 현토군 둔전 6부를 설치하였다. 질제 환제 사이 (구려놈들이) 다시 요동 서안평을 범해

대방령을 죽이고 낙랑태수 처자를 포로로 사로잡았다. 군국지에 따르면 대방은 낙랑군에 속해있다.

일통지에 따르면 대방 옛 성이 지금 평양의 남쪽 국경에 있다.

范書, 順帝, 陽嘉元年, 置玄菟郡屯田六部. 質桓之間, 復犯遼東西安平, 殺帶方令, 掠得樂浪太守妻子. 郡國志, 帶方, 屬樂浪郡. 一統志, 帶方故城, 今平壤南境.]

靈帝 建寧二年, 玄菟太守耿臨討之, 斬首虜數百級, 伯固降, 屬遼東. (嘉)[熹] 平中, [此敍靈帝時事, 當作熹平.]

伯固乞屬玄菟. 公孫度 之雄海東也, 伯固遣大 加優居·主簿然人等 [馮本, 大作犬.] 助度擊富山 賊, 破之.

伯固死, 有二子, 長子拔奇, 小子伊夷模. 拔奇不肖, 國人便共立伊夷模爲王. 自伯固時, 數寇遼東, 又受亡胡五百餘家.



건안建安 연간(A.D.196~219; 高句麗 故國川王 18~山上王 23) 에 공손강公孫康註 097이 군대를 보내어 고구려를 공격하여

격파하고 읍락을 불태웠다.

발기拔奇는 형兄이면서도 왕이 되지 못한 것을 원망하여, 연노부涓奴部의 [대大]가加와 함께 각기 하호下戶 3만명을 이끌고

[공손公孫]강康에게 투항하였다가 돌아와서 비류수沸流水 유역에 옮겨 살았다. [지난 날] 항복했던 호족胡[族]도

이이모伊夷模를 배반하므로 이이모伊夷模는 새로 나라를 세웠는데註 098 오늘날 [고구려가] 있는 곳이 이곳이다.

발기拔奇는 드디어 요동遼東으로 건너가고,註 099

그 아들은 [고高]구려句麗에 계속 머물렀는데, 지금 고추가古雛加 교위거駮位居가 바로 그 사람이다.

그 뒤에 다시 현도玄菟를 공격하므로 현도군玄菟郡과 요동군遼東郡이 힘을 합쳐 [고구려에] 반격하여 크게 격파하였다.


建安(196~220)中, 公孫康 出軍擊之, 破其國, 焚燒邑落. 拔奇怨爲兄而不得立, 與涓奴加各將下戶三萬餘口詣康降, 還住沸流水. 降胡亦叛伊夷模, 伊夷模更作新國
今日所在是也.
[丁謙曰, 伯固次子, 伊夷模, 東藩紀要云, 名男武, 稱故國川王. 伊夷模子, 位宮, 紀要云, 稱東川王. 惟東川未立以前, 尙有山上王, 名延優, 爲伊夷模弟. 立於建安二年, 在位幾五十年, 東川王始立. 此, 又脫漏. 且攷, 位宮, 乃太祖王宮孫, 並非曾孫. 又攷, 位宮, 爲毋丘儉所破, 始移都平壤. 朝鮮史與東藩紀要, 所載皆同. 作新國者, 指山上王, 築丸都山城之事. 吳其昌曰, 高麗國都, 在晋以前, 位於今日鴨綠江北岸奉天境內輯安懷仁附近. 劉宋以後, 始南移今日之平壤. 吳說, 已略見前. 詳見北平圖書館月刊. 姚範曰, 今日云云, 疑循舊文. ]
拔奇遂往遼東 有子留句麗國, 今古雛加駮位居是也. 其後復擊玄菟, 玄菟與遼東合擊, 大破之.

이이모伊夷模는 아들이 없어 관노부灌奴部의 여자와 사통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름이 위궁位宮註 100이다.
이이모 伊夷模가 죽자 즉위하여 왕王이 되니, 지금의 [고高]구려왕句麗王 궁宮이 바로 그 사람이다.
[위궁位宮의] 증조가 이름이 궁宮이었는데,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보았으므로, 그 나라 사람들이 미워하였다.
[궁宮이] 장성해지자, 과연 흉악하여 자주 [이웃 나라를] 침략하다가 나라가 잔파殘破되는 지경에 이르렀었다.

지금의 왕王[위궁位宮]도 태어나자마자 눈을 뜨고 사람을 보았다. [고]구려에서는 서로 닮은 것을 위位라고 부르는데,
그의 증조부曾祖父와 닮았기 때문에 위궁位宮이란 이름을 지었다. 위궁位宮은 용감하고 힘이 세었으며, 말을 잘 타고 사냥에서 활을 잘 쏘았다.

伊夷模無子, 淫灌奴部, 生子名位宮.  伊夷模死, 立以爲王, 今句麗王宮是也. 其曾祖名 宮,
[ 宋本, 宮上有名字. ]
生能開目視, 其國人惡 之,
[范書, 作國人懷之. 黃山曰, 懷, 當爲怪之譌. 古, 懷多混爲怌, 故轉寫易譌.]
及長大, 果凶虐, 數寇鈔, 國見殘破. 
今王生墮地, [毛本, 墮, 作墯. 錢大昕曰, 承祚作志之時, 位宮久已破亡, 不應云今王. 蓋承舊史之文.]
 亦能開目視人. 句麗呼相似爲位, 似其 祖, 故名之爲位宮. 位宮有力勇,[ 趙一淸曰, 力勇, 當依寰宇記, 作勇力.]
便鞍馬, 善獵射.



경초景初 2년(A.D.238; 高句麗 東川王 12) 에 태위太尉 사마선왕司馬宣王(중달)이 군대를 거느리고 공손연公孫淵註 101을 토벌하니,
[위位]궁宮이 주부主簿와 대가大加를 파견하여 군사 수천명을 거느리고 [사마선왕司馬宣王의] 군대를 도왔다.
정시正始 3년(A.D.242; 高句麗 東川王 16)에 [위位]궁宮이 서안평西安平을 노략질하였다.
[정시正始] 5년(서기 244년)에는 유주자사幽州刺史 무구검毌丘儉(관구검)註 102에게 격파되었는데, 그 때의 사실은 [무구毌丘]검儉의 열전列傳에 실려 있다.

景初二年(238), 太尉司馬宣王率衆討公孫淵,宮遣主簿大加將數千人助軍. 
[宮, 應作位宮. 下同. 北宋本, 大, 作犬. ]
正始三年, 宮寇西安平, 其五年, 
爲幽州刺史毌丘儉所破. 
語在儉傳. 
[儉傳, 正始中, 儉督諸軍, 討高句驪. 六年, 復征之. 齊王紀, 七年, 儉討高句驪, 破之. 蓋用兵數年, 此傳記其始, 齊王紀記其終也.]


https://youtu.be/_srrbJN0b4s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696 일반 젤다공주 짤 청림책사풍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7 22 0
1695 일반 짤저장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7 23 0
1694 일반 삼국지에 로마와 유대인에 대한 기록이 나오는걸 책사풍후가 밝혀내다!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21 0
1693 일반 책사풍후가 해설하는 요한계시록 144000과 666 +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20 0
1692 일반 책사풍후의 정감록 주석 + 10승지 주석 + 요한계시록 해설 첨가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42 0
1691 일반 조선 예언서 정감록에 흰 토끼 따라 청림으로 가라고 했음.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116 0
1690 일반 '기문둔갑'의 유래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21 0
1689 일반 발기의 요동 고구려 건국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39 0
1688 일반 광개토호태왕 OST - 요서정벌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20 0
1687 일반 삼국지 동이전 - 삼족오의 비상 OST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21 0
1686 일반 노아대홍수는 실제로 있었던 사건이지만 지구에서 발생한건 아님.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25 0
1685 일반 삼국지13 오케스트라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6 31 0
1684 일반 구약성경 다니엘서 7장에 예언된 세계 최후의 날과 아틀란티스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5 32 0
1683 일반 징용 문제와 위안부 문제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36 0
1682 일반 척준경(拓俊京)은 곡주(谷州) 사람으로 선조는 그 주의 아전[吏]이 한량카타프락토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30 0
1681 일반 한국문화컨텐츠의 취약점에 대해 토갤러가 쓴 글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31 0
1680 일반 진짜 조센은 국뽕 빨만한 요소가 너무 없다.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35 1
1679 일반 부여 왕실 역사도 전해오는게 중국 기록 말곤 없잖아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33 0
1678 일반 백제의 역사 기록의 시작 신묘마루호태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26 0
사료 중국 '삼국지'에 적혀있는 고구려 기록 단군왕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67 0
1676 일반 삼토 연노부대 진군할 때 듣는 음악 신묘마루호태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22 0
1675 일반 rpg메이커로 만든거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4 29 0
1674 일반 rpg 메이커로 만든 탄금대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3 21 0
1673 일반 황소자리 유성우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3 44 0
1672 일반 일본군이 대한제국 군대 를 침략해 학살한 사진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03 22 0
1671 일반 신라시대 수박도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30 14 0
1670 일반 듣기만하면 방구석에서도 영웅호걸이 되는 음악 책사풍후z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30 11 0
1669 일반 책사풍후 유튜브 투네이션 후원 링크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30 30 0
1668 일반 에이전트 오브 쉴드 ost 유튜브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30 57 0
1667 일반 왜구 게릴라 복장 음양오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9 29 1
1666 일반 짤저장 짤저장(210.221) 19.06.29 11 0
1665 일반 책사풍후 얼굴 노출하고 삼국지토탈워 방송!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9 135 0
1664 일반 amcap 좌표 관미성(210.221) 19.06.28 20 0
1663 일반 신라 삼년산성 조망도 +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8 32 0
1662 일반 태조왕건 당시 아지태에 대한 사료 ​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8 44 0
1661 일반 웹툰 예시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8 17 0
1660 일반 내 사진에서 선땀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8 19 0
1659 일반 캡틴티비 반박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7 47 0
1658 일반 클립스튜디오 선 따는 법 [2]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6 36 2
1657 일반 오늘 그린 그림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6 10 0
1656 일반 책사풍후가 알려주는 탄금대 전투의 비밀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6 9 0
1655 고대사 치우 메모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6 13 0
1654 일반 오늘 그린거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5 15 0
1653 일반 삼토 유저 스크립트 사용 방법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4 28 0
1652 일반 삼토 일러 모딩글4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4 49 0
1651 일반 삼토 일러 모딩글3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4 77 0
1650 일반 삼토 일러 모딩글2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4 17 0
1649 일반 삼토 일러 모딩글1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4 20 0
1648 사료 임시정부 헌장 임시정부대통령이풍후(119.195) 19.06.24 25 0
1647 일반 토탈워 일러스트 모딩 책사풍후미나모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3 2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