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재] 4k spm 메가베이스 후기 - 1 <그리드 디자인>

루리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4.02 16:36:47
조회 15731 추천 23 댓글 13
														

지난번 글

4k spm 메가베이스 후기 - 0



오랜만에 다시 후기를 이어서 쓰게 됐음.

글 하나 쓰는데 생각보다 오래 걸리는것도 있고

그동안에 모드 이거저거 넣고 엔밥 새로 시작한거도 있고 해서 막상 글 쓸 시간은 업었음ㅎㅎ


아무튼 이번에는 그리드 베이스 구상할때 고려해야 할 것들을 이야기 해보고자 함.


다음편은 언제 쓸지는 모르지만 

각 생산 블럭 디자인이랑

기차를 100+대 굴리는 시스템에서 어떻게 손쉽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 같음.


1.팩토리오의 자원 흐름


바닐라 팩토리오는 생각보다 단순함.

이해를 돕기 위해 오늘 마침 레딧에서 좋은 짤 하나를 발견해서 첨부함.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d28e2b12fbbad54c629b02730b1ab431f571aafcd85fdb8042fc07303d2795409efe3b41c2cf1

레딧 원문 : https://www.reddit.com/r/factorio/comments/b8bwen/visualisation_relative_bandwidths_necessary_belt/


이 짤은 몇가지를 고려하고 봐야됨

  • It assumes full prod-3 wherever possible(모든 기계는 생산 모듈 3 사용)

  • The satellite is ignored (it adds a lot of noise and not much overall impact) (인공위성 생산은 무시, 근데 실제로는 생각보다 자원 꽤 많이 먹음)

  • Fluids are ignored(유체 무시, 근데 막상 해보면 정유공장 짓는게 제일 골치아픔)


몇가지 무시한게 있긴 한데 짤 하나에 모든 생산 과정이 다 담긴다는게 꽤나 놀라운것 같다.


그래서 이 짤을 들고온 이유가 뭔가 하면 계획의 중요성을 말하고 싶어서임.

그냥 무작정 크게 지으면 되는게 아닌가 할 수 있지만 노는 기계랑 노는 땅을 최소화하고 보기 좋게 만드려면 구상 단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봄.


최종 목표를 위해서 각 생산품이 얼마나 필요할지 미리 계획하고

어떤 생산품이 특별히 더 많은데서 쓰인다던가 특별히 재료를 많이 먹는다던가 그런걸 기준으로 하나의 블럭을 만들면 됨

그걸 생산품별로 잘게 쪼개서 공유하는 재료를 인접하게 배치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굴러갈거임.



2. 그리드 구상


위 짤에서 굵은 막대로 표시된 자원들과 중간 생산품이 일반적으로 굉장히 많은 양이 필요하고 다양한 공정에 들어가는 생산품들임

실제로 로켓 몇번 쏴보면 아 이건 많이 만들어야겠다 하고 감이 오는 것들이기도 할거임.


5k spm을 굴리려면 얼마나 필요한지 계산을 위해서는 팩토리오 계산기를 많이 활용했음.

https://kirkmcdonald.github.io/


그리드 베이스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음

나는 이렇게 했다 하고 후기식으로 풀어나갈거라 개선할 부분도 많고 다른 방법도 분명 많을듯.


제일 먼저 당연히 제련소가 필요하겠다고 생각했음.

철/구리 제련소 는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강철을 어떻게 만드느냐는 취향인데, 나는 철 광석에서 바로 강철로 만드는걸 선택했음.

쓸데없는 철판 이동으로 기차 트래픽 생기는걸 막자는 취지에서 그렇게 함.

벽돌은 입력을 똑같이 넣으면 다른 제련소에 비해 크기가 반만 필요해서 작게 만듬.


전자회로/고급회로/처리유닛은 당연히 많이 필요한 것들임.

처리유닛에 전자회로가 엄청 들어가니까

강철이랑 마찬가지 논리로 철/구리판->바로 처리유닛으로 갈것이냐

아니면 그냥 전자회로/고급회로를 다른데서 배달할것이냐 고민 할 수 있는데

이건 어떤걸 더 중요하게 여길지의 문제인거 같음.

기차 트래픽을 줄이려면 당연히 원재료 받아서 처음부터 만드는게 나은데 공정 단순화를 위해서는 아래가 나음.


정유공장은 들어가는건 원유/석탄이면 되는데 나오는건 엄청 많음. 이것도 분리 할 수는 있지만 크래킹까지 하려면 더 머리아플것 같아서 하나에 전부 만듬.

윤활유, 플라스틱, 황, 황산, 고체연료, 로켓연료, 배터리

총 7가지 생산품을 한번에 만들고 있음.

황은 연구에는 필요없지만 대포라던지 원자폭탄이라던지 잡다하게 쓸데가 있어서 따로 빼둠.

배터리는 그것만 따로 빼기 애매해서 그냥 철/구리판 받아서 바로 만들게 함.


저밀도 구조물은 맨 위 그림에서도 보이듯이 들어가는 구리가 너무 많아서 따로 빼는게 낫겠다고 판단해서 따로 만듬.

로켓 제어 장치는 마침 처리유닛쪽에 자리가 남고 재료도 같아서 공유해서 만들었고


중간 생산품이 다 준비됐으니 연구팩 단지도 만들어주고

인공위성이랑 로켓 발사대 까지 만들면 준비는 끝남


마지막으로 연구소까지 만들면 일단 생산-소모 사이클은 완성되게 됨.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d28e2b12fbbad54c629b02730b1ab431f571aafcd85fdb8042fc07701d928560aede3b4a01819


지금 굴러가는 공장은 이렇게 생김.

중요 생산품, 또는 중요 입력을 기준으로 블럭 종류를 최대한 줄이려고 했고 그래서 한 블럭을 굉장히 크게 만든편임.

제련소는 5k spm 생각하고 만들었으니 한 블럭만 굴려도 2.5k spm은 굴릴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함.


이런 스타일 말고 다른 스타일로는 각각의 그리드에서는 한가지 공정만을 처리하는 방법이 있음.

예를들면 구리판->구리선, 철판->기어, 강철+기어+파이프->엔진 유닛 이런 식으로 하는거임.

근데 나는 그렇게 하면 기차 동선 짜는게 머리아플것 같아서 그냥 제일 중요하고 많이 필요한거만 기차로 나를 수 있게 했음.


3. 그리드 배치


참고해야 될게 하나 있는데 이 맵에서는 제일 오른쪽 아래 블럭부터 만들기 시작했고

처음부터 모든 땅을 확보하고 시작한게 아니라서 배치가 막 엄청 깔끔하지는 않음.

그래도 기차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최대한 고려해서 배치함.


모든 공장에 제일 먼저 필요한건 제련소임.

뭘 만들던 철판 안 들어가는데가 없다.

강철도 마찬가지고 구리는 그 자체로는 별로 안 쓰이지만 반 정도는 구리 전선으로 만들어서 회로에 엄청나게 들어가고 나머지 반은 저밀도 구조물에 또 엄청 들어감.


제련소의 특징으로는 1 종류의 자원(광석)만 먹고 1 종류 생산품 (철판, 구리판, 강철, 벽돌)만 뱉는다는 거임.

모든 생산품의 원재료로 들어가니까 제련소에 쓰는 땅의 총합이 거의 나머지 공장이랑 맞먹을 정도로 거대한 부지가 필요함.

또 입출력이 단순하기 때문에 공간 집적도를 엄청 높힐 수 있음

대신에 입력으로 광석을 요구하는데 얘는 한 스택당 50개밖에 안 쌓임.

그에 비해 철/구리판은 100개씩 쌓여서 생산품이 밀도가 훨씬 높아짐

또 광석은 제련소 아니면 전혀 쓸모 없는 자원임. 예외로 콘크리트가 있지만 이건 연구팩 생산에 필요없으니 제외함.


이런 특징들을 고려하면 제련소는 그리드 가장 바깥에 배치하는게 합리적임.

광석 기차가 쓸데없이 그리드 안으로 들어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미없는 트래픽 발생을 막아줌.


제련소에서는 철판/구리판이 나오고 당연히 이 둘을 제일 많이 먹는 전자회로를 바로 옆에 배치하는게 합리적일 거임.
자연스럽게 고급회로는 구리판과 가까운 쪽으로 해서 그 옆에 붙이게 되고
플라스틱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유공장을 하나 지어줌
플라스틱은 생각보다는 소량이 필요해서 정유공장을 고급회로 옆에 바로 붙이기보다는 안그래도 여러가지 많이 만드니까 적당히 멀리 두는게 나은거 같음.

처리유닛은 나머지 두 회로 사이에 만드는게 자연스러운것 같고
저밀도 구조물에는 구리가 엄청 들어가니까 바로 옆에 배치하고 강철도 붙어있는게 좋아보임.
연구팩이랑 나머지는 모든 자원이 필요하니 적당히 중심에 배치하려고 함.


4. 확장 준비


이건 굳이 이야기 안해도 되는거지만 꼭 필요한거기도 함.

위 베이스 스샷에는 없지만 아래쪽에 스타팅 베이스가 있음.

모듈 없이 여기서 꾸준히 200~300spm 정도는 생산했고 채취 생산성을 계속 연구함.

채취 생산성이 나중가면 중요한게, 500%, 600% 이렇게 되면 드릴을 엄청 적게 박아도 금방 자원이 나옴.

바닐라에서 채굴지 설치하는건 끝까지 자동를 못해서 결국 다쓰면 손으로 일일히 벨트 연결하고 역 만들어줘야 되는데

채산성 높아지면 이 귀찮은 작업을 훨씬 덜 하고도 베이스 유지가 가능함.

개인적으로 로봇 날아다니는걸 별로 안좋아해서 로봇을 별로 안 쓰는 편인데

다른덴 로봇 안써도 채굴은 그냥 로봇마이닝 쓰면 훨씬 편해질듯.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d28e2b12fbbad54c629b02730b1ab431f571aafcd85fdb8042fc07702da2a035ebbe4b477782e


그리고 연구 돌리고 남은 대부분의 자원은 계속 모듈3으로 돌려서 생산 모듈, 속도 모듈은 강철상자 한두박스 정도 쌓을 수 있게 계속 모아줌.

처음부터 모듈이 많이 나올수는 없음.

어짜피 메가베이스 만드는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할테니 그동안 꾸준히 생산하면 되는거임.


또 아무리 로봇이 있다고 해도 엄청나게 큰 공장을 개인용 로보포트로 전부 짓는건 고통일수밖에 없는데

건설용 기차를 잘 활용하는게 좋음.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d28e2b12fbbad54c629b02730b1ab431f571aafcd85fdb8042fc074068e2c055debb3b4060879


어떤 형태로든 일단 많이 필요한건 전부 다이소를 만들고

짤에는 없지만 저 밑에 원자로도 다이소에서 만들고 있음.

UPS 따지면 태양광 추천하지만 그거 설치하는데 드는 노력에 비하면 원자력이 훨씬 쉬워서 난 원자력 썼음.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d28e2b12fbbad54c629b02730b1ab431f571aafcd85fdb8042fc07356dd79560cbfbdb439b653



그리고 건설용 기차 만들어서 자동으로 수동형 공급 상자에 공급하게 하면 블프만 찍어두면 알아서 지어줄거임

그동안 다른 블럭 디자인하고 자원 캐러 가면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음.


주의할건 그리드마다 로봇 물류는 전부 분리 시켜줘야됨.

지금 베이스에서는 로봇을 쓰지는 않지만 혹시라도 연결되면 로봇이 자기 할일은 안하고 세계일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거임.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e83fa11d02831be17f6b16442b2da382c1b3ead28e2b12fbbad54c629b02730b1ab431f571aafcd85fdb8042fc07207dd2d535dbab6b4cc7873



다들 메가베이스의 꿈을 이루길 바라며

이번 편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번엔 그리드 안에 들어가는 생산 블럭에 대해 얘기해볼까 함.

언제나 그렇지만 다음편이 언제 나올지는 나도 모름ㅎ

추천 비추천

23

고정닉 3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83761 공지 운영 규칙 및 신문고 [5] 팩붕이(118.235) 24.12.16 1650 0
21906 공지 [뉴비필독] 이 글 먼저 읽어라 (2024-11-04업데이트) [28]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12 100318 110
68168 공지 우주 시대 DLC 출시함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29 13026 24
1711 공지 팩토리오 갤러리는 어떤 곳인가요? [6]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02 65912 38
24150 공지 공략 모음 Ver 0.1 (2020-08-31) [12] 고속도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31 143907 24
17413 공지 팩토리오가 어려운 뉴비분들에게 전하고싶은 이야기 [32] ㅇㅇ(175.124) 20.04.07 55722 93
91175 일반 솔직히 내가 우주선에 타고 있으면 팩붕이(222.103) 11:34 16 0
91174 일반 기차 버프 그냥 품질만 영향받아도... [3]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72 0
91173 자랑 글레바 노부패기차 만들어옴 [8] pap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68 5
91172 일반 뉴비인데 멀티방 열었는데 들어와서 이것저것 도와주실 분 계신가요.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52 0
91170 질문 빨칩 노벨한줄 만들려하는데 이 계산 맞나요?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6 106 0
91169 일반 프로메튬 구경도 못한 팩린이 인데... [3] ㅇㅇ(112.165) 03:32 124 0
91168 질문 나우비스에서 벌레들 진화게이지 글레바랑 공유인가요? [2] 팩붕이(116.37) 02:33 96 0
91167 일반 박테리아는 우라늄 불리는거마냥 불려야 되네 [1] 컴공전투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4 120 0
91166 질문 역 켜고 끄는 조건 어떻게 해야 되냐 [9] 팩붕이(211.202) 01:28 144 0
91165 일반 마라톤이라 공업 좀 등한시 했는데 대형뜸; [4] ㅇㅇ(59.13) 01:12 176 0
91164 일반 재활용기에.. 생산 모듈 넣는 경우는... 어떤 경우야 ㅇ? [5] ㅇㅇ(112.165) 01:01 113 0
91163 일반 철 판을 파이프로 만들고 갈기 vs 철 상자로 갈기 [7] ㅇㅇ(175.116) 00:23 140 0
91162 질문 글레바 토양 구분 어떻게 하는거?? [5] 팩붕이(125.130) 00:22 121 0
91161 일반 내행성 순환 방해석채굴선 개선함 팩붕이(112.145) 00:15 93 1
91160 질문 자랑은 시발 존나큰일났음 [18] 팩붕이(211.202) 00:01 291 0
91159 일반 DLC 정ㅋ벅ㅋ 계획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68 0
91158 질문 우주 플랫폼 포탑에 탄창 자동으로 넣는 법 없음? [4] 팩붕이(59.14) 05.07 100 0
91157 일반 뉴비 큰일 났어.... [9] ㅇㅇ(112.165) 05.07 154 3
91156 일반 아 진짜 그만해야 되는데 [1]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76 1
91155 일반 볼카누스 와서 대충 주조소랑 드릴만 조금씩 만들고 있긴 한데 [8] Sonati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93 0
91154 질문 이 게임은 뉴비가 좀 적응하기 쉽게 피드백 해줄순 없을까요.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91 0
91153 자랑 글레바 열차운송 시스템 만든 거 자랑 [2] 팩붕이(211.202) 05.07 156 4
91152 일반 모듈도 드론 딸깍으로 맵 전체 넣어줄수있구나 Припят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89 0
91151 일반 스팀에서 가장 퍼거들 많은 게임 순위 [6] 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327 2
91150 일반 소행성 품질작의 최대 장점이.... [3] ㅇㅇ(112.165) 05.07 153 0
91149 일반 글레바는 걍 막히면 뒈져야하네 [4] ㅿㅿ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201 0
91148 일반 DLC에서 기차는 이미 버프를 받았음 [3] 회전회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72 0
91147 일반 도전과제 깨보고 있는데 바낌? [4] 팩붕이(95.94) 05.07 118 1
91146 일반 YATM 기차 대기역에 멈추는 버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86 0
91145 일반 ??? 생존하는 데 공기가 왜 필요함? [13]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274 1
91144 정보 레이더 정보공유는 같은 행성 표면 위에서만 됨 [8]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45 0
91143 일반 크라2 전용 적재기 이새끼 전기를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57 0
91142 일반 아 생산모듈만 그냥 일반 품질로 쓸까.. [9] 팩붕이(222.103) 05.07 149 0
91141 일반 방해석 채굴선 만들어놓으니 편하네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87 1
91140 질문 근데 LTN 이제 불필요함? [2] 팩붕이(1.225) 05.07 136 0
91139 일반 저히 공장 밤에도 정상 영업해요 [15] ㅇㅇ(59.13) 05.07 268 2
91138 일반 너넨 바이오플럭스 신선도 얼마정도 나오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15 0
91137 일반 글레바에서 바플만 수출하는거어떰 [3] 팩붕이(61.255) 05.07 99 0
91136 질문 축전지에 범위가 있는건 아니지?? [3] Припят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35 0
91135 질문 DLC 엔딩봣다가 다시복귀하는데 DLC랑한글까지 호환잘된 모드 있나유 [5] 팩붕이(49.167) 05.07 78 0
91134 일반 기차 전용으로라도 로더 추가하면 할만할지도 ㅇㅇ(122.35) 05.07 47 0
91133 질문 근데 글레바 과일 신선도 관리는 어케함? [10]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34 0
91132 일반 글레바 이제 좀 감이 오네. [8] 팩붕이(112.217) 05.07 113 0
91131 일반 dlc 오면서 기차 좀 구데기되긴 했어 [1] ㅇㅇ(122.35) 05.07 161 0
뉴스 [TVis] 제니, ‘엄마 샤라웃’ 해도…“평범한 모녀인데 아름답게 포장” (유퀴즈)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