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 아래에 판매 이야기보니까
스팀 전반에 판매량 정리해둔거 있어서 올려봄
20년도 비디오 게임 인사이트랑 19년도 하우투 마켓게임에서 누가 기고한 글임
19년도 기준
-평균 인디 타이틀이 붙은 게임의 수익은 1136달러(한화 147만원)
-19년도 까지 출시된 인디 타이틀 중 68%는 현재까지 $10,000(한화 1300만) 미만 수익 창출
-인디 타이틀의 91.5%가 25000$미만 수익 창출(한화 3250만)
-스팀 알고리즘은 3250만원에 도달했을때 게임에 대해서 관리, 즉 프로모션 및 검색 노출을 올려줌(약 8.5%)
-상위 20%의 게임 수익은 약 34000(한화 4000만 )달러
-상위 10%의 게임 수익은 약 198000(한화 2억 5천만 )달러
그래서 해외 인디 사이트에서는 주로 목표를 34000$를 기준으로 잡으라고 함(이때부터 알고리즘 노출이 된다고 함)
그외에 20년도에 게임 인사이트가 조사한 것은
-인디 게임의 50%가 4000$를 넘지 않음. 즉, 개발 비용에 비해서 기타비용을 감당할 만큼 충분한 수익을 못얻음
-평균적으로 인디 게임의 수익은 3947달러(실제로는 중간값인데, 최상위권과 하위권의 분포 차이가 크기때문에 실소득은 더 아래로 봐야함)
-게임의 2/3이상이 평생 수입이 10000$를 넘지 못함
하지만
-인디 상위중 1/3은 50000달러 이상 범. 하지만 이마저도 평균 개발자 연봉에 비해선 부족함
-상위 9%는 20000$를 넘음(약 3억원)
-대망의 인디 게임 최상위는 700만 달러를 범(약 91억)
인디 게임 장르별 수익으로는
MMO 게임이 절반이고
캐쥬얼 게임이 수익에서 최악임
RPG랑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이 인디에서 가장 높은 수익이고
서브 장르별로 다른데
수익성이 높은 인디 장르는
대전략(Grand strategy),4x 게임류라고함(이 게임 유저들은 주로 다른 게임도 같이 해주는 경향이 있음)
최근에 22년도 23년도에서는 덱빌딩이 꽤 높은 수익을 차지하고, 생존게임시리즈가 수익률이 높던데 이는 좀 허수라고 보이긴함
참고로 인디 게임 개발자중에 첫게임을 성공한 사람은 거의 없음.
페글린(Peglin이라는 고블린 빠찡꼬 게임), 돔 키퍼(Dome Keeper,타워 디펜스 게임)같이 대다수 개발자가
첫 게임을 실패했고, 성공할때까지 약 10년의 개발이 필요했음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