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중국, 국가자본주의인가 사회주의인가

시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8.06 16:01:51
조회 329 추천 0 댓글 0
														

마이클 로버츠 Michael Roberts 는 굴리엘모 카르치디 Guglielmo Carchedi 와 공동 집필한 최신 저서 '21세기 자본주의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에서 소련과 중국의 정치경제 시스템을 어찌 볼것인가와 관련된 쟁점들을 다루고 있다. 책 전체 (Pluto, 2023)를 추천하지만 특히 6장 "사회주의"를 추천한다. 몇 개의 발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과도기적 경제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는 반드시 다음이 포함된다:

1. 자본과 그 '무장한 인간 집단'에 의한 국가 권력의 상실.

2. 자본주의 국가 권력은 엥겔스의 두 가지 원칙, 즉 민주적 소환권과 평균 노동자 임금과 동일한 수준의 공무원 임금에 기반한 노동자 민주주의로 대체된다.

3. 생산 수단의 대부분과 신용의 공동 소유.

4. 투자와 생산을 시장의 힘에 맡기지 않고 국가가 계획한다.

5. 노동 시간을 줄이고 사회적 필요의 [충족의] 부족을 점진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해 노동의 기술 및 생산성 수준이 높고 상승한다.

6. 상품 생산이 사용을 위한 직접 생산으로 점진적으로 대체.

7. 교환 수단과 가치 저장물로서의 임금 노동과 화폐의 점진적인 종말.

8. 국가 권력(군대, 경찰, 관료)의 점진적인 '시들음'.

두 번째 요점은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로의 전환을 분류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원칙이 포함되어야 한다. 첫째, 모든 직책은 선거를 통해 채워져야 하며, 선거는 직접 선택과 위임의 조합이 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선출된 사람은 소환될 수 있다는 중요한 조건이 따라야 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근본적인 문제는 선거를 통해 채워질 직책의 계급적 성격이다. 이와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자본의 기능(통제와 감시)을 수행하는 사람과 노동의 기능(노동 과정의 조정과 단결)을 수행하는 사람을 본질적으로 구분한다. 부르주아 사회학은 이러한 구분을 지워버린다. 마르크스는 음악감독이 음악가들을 조율하는 오케스트라에 비유한다. 노동 과정의 조정과 통합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관리자가 아니다. 그들은 감독하고 단속하지 않으며, 자본을 대신하여 노동자를 착취하는 자본의 대리인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집단 노동자의 구성원이다. 노동 과정의 조정과 단결 업무를 수행하는 이들은 자본주의 생산 관계에서 관리자와는 정반대이다. [고 마이클 레보비츠 Michael Lebowitz 는 "현실 사회주의" 하에서 이 구분이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그의 "현실 사회주의의 모순: 지휘자와 피지휘자"를 참조하라.] [196-197 쪽] […]

"사례 연구: 소련"에서 카르치디와 로버츠는 결론을 내린다:

소련이 달성한 전환의 진전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이전 기준 목록 인용]:

1. 자본과 그 '무장된 인간 집단'에 의한 국가 권력의 상실. 자본에 의한 국가 권력의 상실은 러시아 체제 전환 초기의 특징이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역전되었다.

2. 자본주의 국가 권력은 엥겔스의 두 가지 원칙, 즉 민주적 소환권과 평균 노동자 임금과 동일한 수준의 공무원 임금을 기반으로 한 노동자 민주주의로의 대체다. 그것은 실행되지 않았다.

3. 생산 수단과 신용의 대부분에 대한 법적 공동 소유.

4. 투자와 생산을 시장의 힘에 맡기지 않고 계획하는 것.

5. 노동 시간을 줄이고 사회적 필요의 부족을 점진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해 노동의 기술과 생산성 수준이 높고 상승한다. 수십 년 동안은 그랬지만 결국에는 노.

6. 상품 생산을 사용을 위한 직접 생산으로 점진적으로 대체. 이것은 중단되었다.

7. 교환 수단과 가치 저장물로서의 임금 노동과 화폐의 점진적인 종말. 이것은 결코 진행되지 않았다.

8. 국가 권력(군대, 경찰, 관료)의 점진적인 '시들음'. 그 반대이다.

1917년 이후 몇 년 만에 소련에서 노동자 민주주의의 원칙은 점차 제거되었다. 그리고 1989-90 년에는 과도기 경제의 기준 1, 3, 4조차도 해체되고 역전되었다. 위의 기준에 따라 모든 의미에서 러시아는 이제 생산 수단의 개인 소유주의 이익을 위해 상품 생산에 기반한 경제를 가진 자본주의 국가다. 러시아에서 노동자 민주주의와 국가에 대한 통제력의 상실(기준 2)은 사회주의로의 더 이상의 이행을 차단했고, 결국 자본주의적 국가권력 회복(기준 1)과 경제의 충격요법적 민영화(기준 3)로 이어졌다. [202-203 쪽]

"사례 연구: 중국의 전환"에서 저자들은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이 썼다:

과도기 경제에 대한 8가지 기준(6.1절 참조) 중 1, 3, 4번만 중국에서 작동하고 있고, 5번은 작동하지 않는다. 5번은 국가 부문, 자본주의 부문, 제국주의 간의 경제력 균형에 따라 달라진다. 사회주의로의 전환의 두 번째 특징과 마지막 세 가지 구성 요소는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은 '사회주의를 향해' 나아가고 있지 않다. 노동자 민주주의의 주요 특징이 결여되어 있고 제국주의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사회주의로 나아갈 수 없는 과도기 경제이다. 그리고 그것은, 소련에서 증명되었듯이, 결국 역전될 수 있는 '갇힌 과도기'에 놓여 있다.5 그것을 피하고 사회주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먼저 노동자 민주주의를 달성한 다음 중국이 제국주의 핵심 국가 수준으로 생산성 수준을 높여 노동시간과 사회적 필요의 [충족의] 부족을 줄이고 임금 노동과 화폐 교환을 종식시켜야 한다. 그리고 중국은 제국주의 중심부에서 노동계급 혁명을 일으켜 그곳에 과도기적 경제를 수립하고 이윤이 아닌 사회적 필요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생산과 분배를 민주적으로 계획할 수 있어야 한다. [206 쪽]

카르치디와 로버츠는 "생산성 대 수익성"이라는 하위 섹션에서 "중국이 다른 자본주의 국가(미국, 일본 등)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경제 법칙을 따른다면, 이윤율의 하락과 그로 인한 자본 축적의 둔화가 뒤따를 것이며, 이 하락은 주요 경제 위기로 절정에 달할 것"이라는 리민치 Minqi Li 를 인용하는 저자들을 인용한다. "하지만 문제는 중국 경제가 이러한 경제 법칙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지 여부이다. 지금까지의 중국 경제의 성공이라는 증거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중국 경제는 아직 시장에 의해, 수익성에 기반한 투자 결정에 의해, 또는 자본주의 기업들과 경영자들에 의해, 또는 외국 투자자들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다." [213 쪽]

저자들이 다양한 국가 자본주의 이론을 비판하고 과도기 경제의 의미를 설명하는 "국가 자본주의인가, 과도기 경제인가?" 하위 섹션도 참조하라:

그러나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주장하는 것은 프롤레타리아트가 권력을 장악하고 '독재'가 수립 된 후에도 가치 법칙은 사라지지 않으며 실제로 과도기 경제에, 특히 노동력 시장에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주의 하에서만 사라질 것이다. 과도기 경제는 바로 가치 법칙이 계획 메커니즘 및 집단적 생산과 경쟁하는 곳, 즉 경제가 과도기에 있는 곳이다. 국가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단계를 만들 필요가 없다. 소비에트 연방 초기에 레닌은 '국가 자본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소비에트 경제 전체에 적용한 것이 아니라 일부 부분, 즉 외국 조계지, 혼합 산업 및 상업 기업, 부분적으로는 국가 통제하에 있는 농민 및 대부분 쿨락(부농) 협동조합에만 적용했다. 이 모든 것은 자본주의의 불가항력적인 요소이지만, 국가에 의해 통제되고 심지어 국가의 직접 참여를 통해 혼합 회사로 기능하기 때문에 레닌은 조건부로, 또는,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따옴표를 붙여' 이 경제 형태를 '국가 자본주의'라고 불렀다. 이 용어의 조건은 부르주아가 아닌 프롤레타리아 국가가 관여한다는 사실에 달려 있었기 때문에 그 따옴표는 적잖게 중요한 이 차이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국가가 민간 자본을 허용하고 그것이 일정한 제한 내에서 노동자를 착취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프롤레타리아 국가는 가치 관계를 그것의 한 쪽 날개 아래에서 보호했다. 이 엄격하게 제한된 의미에서, '국가 자본주의'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게다가, 중국이나 베트남과 같은 국가를 새로운 형태의 자본주의인 '국가 자본주의'라고 보는 시각은 오늘날 세계 자본주의가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함을 시사한다. 제국주의 열강의 쇠퇴와 함께, 국가 자본주의는 중국과 같은 후진국에서 생산력 발전의 새롭고 놀라운 국면을 열었으며, 따라서 마르크스가 19세기 자본주의에 대해 설명했던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인상적이라는 것이다. [218 쪽] […]

국가 자본주의 이론의 문제점은 변증법적 분석이 아닌 형식적 논리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이다. 형식적으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있다. 형식적 논리에 따르면, 경제에서 사회주의의 특징, 즉 시장이나 화폐 교환없이 직접 소비를 위해 생산자가 연합하여 공동 생산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경제는 자본주의이어야 한다. 경제는 검은색이거나 흰색이다. 그러나 이것은 변증법적 분석이 아니다. 모든 것은 움직이고 있으며 한 가지에서 다른 것으로, 한 생산 방식에서 다른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과도기 경제에는 기존 생산 방식의 요소와 잠재적으로 새로운 생산 방식의 요소가 나란히 존재한다. 오리부리 오리너구리가 포유류의 요소(새끼에게 젖을 먹임)를 가지고 있지만 파충류의 요소(알을 낳음)도 가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전환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흑과 백이 모두 존재한다. 그러나, 이 맥락에서 변증법적 접근은 새로운 경제의 잠재력을 열면서 질적 변화가 일어났을 때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219 쪽]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97471 공지 분탕 및 요주의 유동 인물 [3]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3 1026 1
184339 공지 로갤 신고센터 (2024년 2월 13일 갱신) [7]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2717 10
184376 공지 3갤(로자,진보당,진정) 상호 비난 금지 및 정파 존중 선언 [2]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654 16
175277 공지 로갤대사전 통합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7 2405 23
175274 공지 로갤 추천 도서목록 모음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7 2650 25
125715 공지 사상·양심·표현의 자유가 없는 체제를 여행하는 로붕이를 위한 안내서 [1] ㅇㅇ(117.111) 22.04.13 3465 40
35266 공지 갤주 텍스트 모음 및 번역 프로젝트 [3] Constructivi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9 3930 27
207634 문화 천민자본주의적 폐해를 바라보고 있는 털보와 신사.jpg 늑댕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 39 0
207633 일반 모 단체 ㄹ황 ㅇㅇ(106.101) 15:33 84 0
207631 일반 근데 검사장 직선제랑 대통령 직선제 뭐가 다름? [2] ㅇㅇ(211.36) 15:08 53 0
207630 일반 촘스키와 하워드진은 공산주의자임? 무정부주의자임? [1] 맹구인(1.246) 14:55 54 0
207629 일반 영국의 역사에서 리버럴 자유당이 보수당보다 복지에 더 적대적이었다고. 맹구인(1.246) 14:54 34 0
207628 일반 칸 영화제 인종차별 논란을 보니.. 맹구인(1.246) 14:53 30 0
207627 일반 한국에서는 노동운동 사람들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안 맞다고 비난했잖음 맹구인(1.246) 14:51 53 0
207626 일반 국힘 김예지와 정의 장혜영 [4] ㅇㅇ(211.234) 14:49 128 1
207625 일반 멋있다 로붕이(58.121) 14:28 34 0
207624 일반 리즈 트러스 "내가 감세정책 못한 이유는 딥스테이트 때문" [2] 엘사는합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5 113 3
207623 일반 좌익대중주의 [1] 평등사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7 75 1
207621 일반 출산율이 안 늘어나니깐 [3] ㅇㅇ(211.234) 13:29 128 0
207620 일반 이렇게 된거 커여운 소녀도 보고 가자 [1] A.E.I.O.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2 102 0
207619 일반 박경석 회고록 <출근길 지하철> 북펀딩 1천만원 돌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49 1
207618 일반 군가는 전선을 간다 미만 잡이여 [1] ㅇㅇ(58.142) 12:30 80 1
207617 일반 군가 웃음벨 공산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2 56 0
207616 일반 독립군가 가사도 뽕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2 53 0
207615 일반 근데 가사 거르고 [6] ㅇㅇ(223.39) 11:51 144 0
207614 일반 커여운 소년 보고가쇼 [5] 해나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171 2
207613 일반 멸굥의 횃불로 개사하자 Liberi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3 64 0
207612 일반 우스개소리이지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7 44 0
207611 일반 위키 전환 항목에 양경규 사진연 취재 입갤도르 ㅋㅋ ㅇㅇ(220.71) 11:35 72 0
207610 일반 snl 체벌 비꼬기 ㅋㅋ [1] 로붕이(58.121) 11:34 97 0
207607 일반 사실 군가 제거할 이유가 있나 [1] 로붕이(58.121) 11:16 74 0
207606 일반 멸공의 횃불 빼지마라 [9]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211 4
207604 일반 <마오주의> 북펀딩 500만원 근접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58 0
207603 일반 ???: 룩셈부르크 동지... 보고계십니까... [2] 천대녀프리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6 126 0
207602 일반 남아공 총선 결과 거의 뜬듯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108 0
207601 일반 독일 총선 여론조사 평등사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9 58 0
207600 일반 멸공의 횃불같은 것도 이제 군가에서 빼야하지않냐 [3] 로붕이(121.150) 10:00 177 0
207599 일반 이제 내 사칭도 생기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6 109 3
207598 일반 연구소에서 기대할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65 0
207596 일반 中 "창어6호 탐사선,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노동과_정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7 53 1
207595 일반 변증법적 유물론을 배우고싶습니다 [1] ㅇㅇ(211.234) 07:15 79 0
207593 건의 이음위키 협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5] 에다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53 132 0
207592 일반 노사과연은 너무 심하네 [12] 천대녀프리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434 12
207591 일반 왜 나도모르게 분탕이 되는것같지..?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8 74 0
207590 질문 지구당생기면 화성당 태양당도 생김?? [4]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158 6
207589 일반 일본에서 유신회도 조세연 비슷하게 말한게 있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63 0
207588 질문 레닌은 왜 사민주의자를 소부르주아 정파라 봤나요?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74 3
207587 일반 로붕이들은 지구당 부활할꺼라고 봄? 로붕이(125.177) 01:12 60 0
207586 일반 소련찬가에 이런 댓글도 있네 로붕이(211.36) 01:05 123 1
207585 문화 ㄱㅇㄹ)황혼의투쟁 샀다 [6] 노동당깃발따라나가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3 11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