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노동당]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하라앱에서 작성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16:16:31
조회 144 추천 12 댓글 1
														

3fb8c32fffd711ab6fb8d38a4683746f7bcb91c78c5f58c378fc500d2f76074cfd358a8434a3a964d07cf6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 ‘건당 최저임금’ 등을 활용해서 적용범위 확대를 -​



내일(5월 21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을 논의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경총 등 사용자측은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적용을 주장하는 등 온갖 이데올로기 공세를 통해, 노동자의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는 이런 시도는 당연히 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저지하고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액수를 약간 올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현재로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광범위한 사실상의 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우리 노동당은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플랫폼 노동자나 프리랜서 노동자 등 실제로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댓가를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형식상 근로계약이 아닌 업무에 대한 도급계약 등을 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숱한 인적용역 사업자 이른바 3.3% 대상자들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규모는 확실하지 않지만, 국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인적용역 사업소득이 있는 대상인원은 총 847만명이다. 물론 이 중에는 별도의 사무실을 갖춘 전문용역 사업자나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중 사실상 노동자인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이 자료만으로는 알 수없다. 하지만 별도의 사무실 없이 각종 인적용역 즉 노무만을 제공하는 프리랜서는 대략 406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플랫폼에 종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도 80만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거의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실상 노동자임에도 노동법의 보호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작년에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프리랜서의 주당 평균노동시간은 33시간이며 평균월급은 180만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중위값도 아닌 평균이므로, 일부 고소득자의 존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프리랜서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에 따른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당수가 거의 전업임을 감안하면 이들이야말로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가.

혹자는 이들은 업무실적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방식이므로 노동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워서 최저시급 등 최저임금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현행 최저임금법에도 적용가능한 조항이 이미 규정되어 있다. 최저임금법 5조 3항과 관련 대통령령에 따르면 도급제 등 근로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 ‘생산고 또는 업적의 일정 단위에 의하여 최저임금액을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즉 ‘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라이더 등 배달노동자의 경우 배달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학원강사나 대학의 시간강사 등도 강의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고, 방송작가나 프리랜서 작가 등도 원고분량 기준으로 원고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각자의 업무에 맞게 실적 기준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일단 건당 최저임금 적용이 시작되기만 하면 각자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즉 대중운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해당 조항은 법령에만 규정되어 있을 뿐 실제로 건당 최저임금을 정해서 적용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현행법 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인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이들도 건당 최저임금 등 적절한 보호제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현행법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권리를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회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총 등 사용자측은 또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며 노동자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말했듯이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서 실제로 노동자가 아닌 것이 아니거니와, 노동자성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에도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 각종 보호제도를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최저임금 또한 마찬가지로 업무의 성격이 사실상 노무제공이라면 그에 따른 건별 최저임금 등의 보호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냐 아니냐라는 좁은 형식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건당 최저임금은 이를 위한 중요한 전진이 될 수 있다. 업종별 차등적용 저지 등 방어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용범위 확대 등 보다 공세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는 사회를 위해 앞으로도 우리 노동당은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다.


2024. 5. 20.

노동당 대변인실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 ‘건당 최저임금’ 등을 활용해서 적용범위 확대를 내일(5월 21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을 논의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경총 등 사용자측은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적용을 주장하는 등 온갖 이데올로기 공세를 통해, 노동자의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는 이런 시도는 당연히 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저지하고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액수를 약간 올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현재로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광범위한 사실상의 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우리 노동당은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플랫폼 노동자나 프리랜서 노동자 등 실제로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댓가를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형식상 근로계약이 아닌 업무에 대한 도급계약 등을 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숱한 인적용역 사업자 이른바 3.3% 대상자들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규모는 확실하지 않지만, 국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인적용역 사업소득이 있는 대상인원은 총 847만명이다. 물론 이 중에는 별도의 사무실을 갖춘 전문용역 사업자나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중 사실상 노동자인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이 자료만으로는 알 수없다. 하지만 별도의 사무실 없이 각종 인적용역 즉 노무만을 제공하는 프리랜서는 대략 406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플랫폼에 종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도 80만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거의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실상 노동자임에도 노동법의 보호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작년에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프리랜서의 주당 평균노동시간은 33시간이며 평균월급은 180만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중위값도 아닌 평균이므로, 일부 고소득자의 존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프리랜서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에 따른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당수가 거의 전업임을 감안하면 이들이야말로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가. 혹자는 이들은 업무실적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방식이므로 노동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워서 최저시급 등 최저임금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현행 최저임금법에도 적용가능한 조항이 이미 규정되어 있다. 최저임금법 5조 3항과 관련 대통령령에 따르면 도급제 등 근로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 ‘생산고 또는 업적의 일정 단위에 의하여 최저임금액을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즉 ‘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라이더 등 배달노동자의 경우 배달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학원강사나 대학의 시간강사 등도 강의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고, 방송작가나 프리랜서 작가 등도 원고분량 기준으로 원고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각자의 업무에 맞게 실적 기준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일단 건당 최저임금 적용이 시작되기만 하면 각자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즉 대중운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해당 조항은 법령에만 규정되어 있을 뿐 실제로 건당 최저임금을 정해서 적용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현행법 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인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이들도 건당 최저임금 등 적절한 보호제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현행법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권리를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회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총 등 사용자측은 또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며 노동자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말했듯이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서 실제로 노동자가 아닌 것이 아니거니와, 노동자성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에도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 각종 보호제도를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최저임금 또한 마찬가지로 업무의 성격이 사실상 노무제공이라면 그에 따른 건별 최저임금 등의 보호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냐 아니냐라는 좁은 형식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건당 최저임금은 이를 위한 중요한 전진이 될 수 있다. 업종별 차등적용 저지 등 방어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용범위 확대 등 보다 공세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는 사회를 위해 앞으로도 우리 노동당은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다. 2024. 5. 20. 노동당 대변인실

www.laborparty.kr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9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09103 공지 영구 차단자 명단 (24.06.12 작성) [4]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2 81 0
184339 공지 로갤 신고센터 (2024.02.13 갱신) [7]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2934 10
184376 공지 3갤(로자,진보당,진정) 상호 비난 금지 및 정파 존중 선언 [2]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681 16
175277 공지 로갤대사전 통합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7 2440 23
175274 공지 로갤 추천 도서목록 모음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7 2694 25
125715 공지 사상·양심·표현의 자유가 없는 체제를 여행하는 로붕이를 위한 안내서 [1] ㅇㅇ(117.111) 22.04.13 3504 40
35266 공지 갤주 텍스트 모음 및 번역 프로젝트 [3] Constructivi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9 3953 27
209206 일반 내 친구 승질 드러운놈 있는데 로붕이(223.39) 10:04 6 0
209205 일반 대한민국 군대와 경찰은 사실 다뉴브연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9 0
209204 일반 나눔) 서퀴 굿즈 나눔 함(대회?로) [5]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3 23 0
209203 일반 님들은 청소년 흡연/음주 어케 생각함? [25]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45 0
209202 일반 이쯤되면 대대적인 병역거부운동 터져야 되는 거 아닌가 [1] URAnI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9 22 0
209201 일반 사안을 볼때 흑백 논리 확대 해석을 지양하세요 로붕이(58.121) 09:37 15 0
209200 일반 이스라엘 애바임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7 13 0
209198 일반 씨발 [1] 내고향점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3 26 0
209192 일반 무인가게 어처구니가 없더라 [8] 로붕이(223.38) 09:29 44 0
209191 질문 부르주아 민주주의 배우고 싶은데 서적 추천좀 [6] ㅇㅇ(106.101) 09:28 34 0
209190 일반 내 계획으론 7/13에 로갤대오 할건데 [3]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5 18 0
209189 일반 물가오르는건 정부에 항의못하면서 최저임금에는 시위까지하며 [5] 로붕이(223.38) 09:22 29 0
209188 일반 근데 모델업계 열정페이 너무한 것 같음 [3] ㅇㅇ(211.234) 09:19 29 0
209187 일반 ㄱㅇㄹ) 나 진짜 개 돼지거든? [8]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5 52 0
209186 일반 이.. 이게 뭐노.. [5]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44 0
209185 일반 잠만 만약 내가 로갤대오 그만두면 누가함? [3]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8 45 0
209183 일반 가끔 드는 의문 로붕이(58.121) 08:49 16 0
209182 일반 의외로 빡쳤던 점 [12]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7 74 0
209181 질문 ‼+경제 수행 도움요청 [19]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9 92 0
209180 일반 노무사 되면 하고픈 일 [3]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5 76 0
209176 일반 아침에 일어나서 든 생각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52 24 0
209174 자료 〔번역〕 정치경제학 제23장 (3/6): 사회주의 국유화 백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7 48 4
209173 자료 〔번역〕 정치경제학 제23장 (1/6):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기 백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6 66 6
209172 일반 나중에 내가 선출직 되면 뜰 기사 [1]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74 0
209171 일반 요즘 군대 근황.jpg [3] 백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82 0
209170 일반 사회주의 나오는 웹소설 추천점 [2] ㅇㅇ(14.52) 03:56 40 0
209169 일반 하 당적땜에 고민이 많다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5 44 0
209168 일반 좀비나 아포칼립스류 문화들 보면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49 0
209167 질문 자본론 상대적 가치 형태/등가물 읽다가 이해 안되는 부분 [45] 로붕이(121.191) 01:59 164 0
209164 일반 ㄱㅇㄹ) 코보게 디시콘 어디 갔냐 [6] Liberi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94 0
209163 일반 내꿈은 [4]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74 0
209162 일반 ㄱㅇㄹ) 철지난 자살 떡밥 [6]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113 2
209160 일반 잘 할수 있는걸 하라고요...? [9] 노동과_정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9 140 2
209159 일반 진지하게 궁금해서 그런데 [5] 로붕이(106.250) 00:17 135 0
209158 일반 리버럴과 혁사는 다를바 없다 [10] 엘사는합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7 184 0
209157 일반 열벙은 좋지 로붕이(58.121) 00:15 40 0
209156 일반 결국 다들 잘할수있는걸 합시다... [8]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153 1
209155 일반 나도 꿈이 이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9 38 0
209154 일반 ㄱㅇㄹ) TV를 시청해야겠다. [8]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1 81 0
209153 일반 나의 꿈 [34]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11 2
209152 일반 지역구선거제에서 지역정치는 필요악 [2] 로붕이(211.234) 06.12 60 1
209151 일반 갤에 심심해서 써보는 밀덕질 때려친 이유 [13] 조르주VS소렐세기의대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47 2
209150 일반 ㄱㅇㄹ) 책왔다. [7]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