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Topping DX3 Pro+ 리뷰 - "10만원대 언밸런스의 왕"

RSG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09 22:29:27
조회 7273 추천 28 댓글 41
														

0490f719b78561f62ef787fc58db343a813c1d935c94c2d00bbd7664dd


안녕하세요! 이번에 리뷰할 DAC/AMP는 Topping DX3 Pro+ 예요.

ㅡㅡ

서론 -

제가 항상 좋아하는 거치형 DAC/AMP 리뷰 시간이에요 :)

이번에는 10만원대 DAC/AMP 추천픽들,
Topping DX3 Pro+ / SMSL C200 / FiiO K7 중
Topping DX3 Pro+($199)를 리뷰해보려고 해요.

DX3 Pro+는 2021년 9월에 출시했으며, DX3 Pro의 후속작인 DAC/AMP 예요.
나날이 발전하는 DAC/AMP 세계에서 2021년이라는 출시 연도는
2024년인 지금, 어찌 보면 꽤나 예전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지금은 2022년 9월에 출시한 SMSL의 C200,
2022년 11월에 출시한 FiiO의 K7과 함께
10만원대 DAC/AMP 추천픽을 함께 하고 있어요.
(2022년 당시에는 DX3 Pro+가 입문 DAC/AMP 원픽이던 시절이었죠..)

위의 10만원대 DAC/AMP 들은 각각의 특징들을 갖고 있는데,

SMSL C200은 블루투스 수신 + TRS 풀밸런스 + 4.4 밸런스 단자 지원으로
여러 종류의 단자들을 지원함과 동시에 블루투스 편의성을 챙겼고,

FiiO K7은 4.4 풀밸런스 단자 지원으로 높은 출력을 자랑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요.

이번에 리뷰할 Topping DX3 Pro+는 풀밸런스 단자가 있는 것도 아니고
단자도 다양하게 지원하지 않는, 3.5mm 단자와 RCA 단자 밖에 없지만
언밸런스의 출력 세기가 높고, 블루투스 편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어요.

이제 Topping DX3 Pro+는 추천하기엔
SMSL C200와 FiiO K7에 추천도가 밀린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며 저 또한 그렇게 생각하지만,

2022년 입문 당시에 많은 신세를 진 DAC/AMP 이기도 하며,
Topping 특유의 슴슴한 음색이 제 취향이라
이렇게 다시 구매하여, 리뷰를 남기게 되었어요 :)

2024년 지금, Topping DX3 Pro+는 여전히 추천할 수 있는 DAC/AMP 일까요?
추억과 애정이 가득한 DX3 Pro+ 리뷰를 시작합니다.

ㅡㅡ

패키징 -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211f57f19e7e99dee4793a6b

겉 상자는 접는 형태의 흰 상자예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711b06a0c79ffa9ba19b41b8

겉 상자를 열어보면, 간단한 패키징과 함께 구성품들이 보여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754a01f6c3348869133c9058

구성품은 DX3 Pro+ 본체, 블루투스 안테나, 보증서와 설명서,
USB-B to USB-C 케이블, DC 15V 1A 전원 어댑터,
RC-15A 적외선 리모컨(AAA 배터리 X 2 필요)이 있어요.

ㅡㅡ

외관 -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221f57aa95e5f9c6afb42660

DX3 Pro+는 정면 기준 가로 12cm, 세로 16.5cm,
높이 4cm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751955f7c29a5d0c4c28c565

특이하게 옆면이 안쪽으로 파인 듯한 디자인을 하고 있어요.
나름대로의 디자인 표현일까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26450aa19eaecae4815cbc39

DX3 Pro+ 전면이에요.
중앙엔 여러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가 위치해 있으며,
왼쪽엔 3.5mm 단자가, 오른쪽엔 각종 조작을 담당하는 노브가 있어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714800a5c533338d57665308

DX3 Pro+ 후면이에요.
USB, OPT, COAX 1, COAX 2 입력 단자와 RCA 출력 단자,
블루투스 안테나 커넥터와 DC 15V 전원 입력 단자가 있어요.
(DC 전원 입력 단자의 외/내 구경 크기는 5.5mm x 2.1mm 이에요.)
(특이하게 COAX 입력 단자가 두 개 있어요.)

ㅡㅡ

간단 스펙 -

분류 - DAC / AMP (원박스)

입력 - USB-B, COAX 1, COAX 2, OPT, BT, POWER(DC 15V 1A)

출력 - 전면 : 3.5mm, 후면 : RCA

출력 세기 (L7Audiolab 실측 기준) - 후면 RCA : 2.1Vrms,

전면 3.5mm - 16옴 5Vrms, 32옴 이상 7Vrms

특징 : 블루투스 5.0 수신 지원, 적외선 리모컨 지원,
프리-앰프 지원, 높은 언밸런스 출력, ASIO 지원.

더 자세한 스펙은 Topping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ㅡㅡ

성능 -

이번에는 L7audiolab 사이트의 실제 측정치를 가져와봤어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754b07a2c0bc24f853ad4275

RCA 2.1Vrms 기준 SINAD 117.6dB,
SINAD 115dB를 넘으면 대개 성능 차이는 무의미해져요.

다만 TRS, XLR 같은 밸런스 구조가
RCA 같은 언밸런스 구조보다 노이즈에서 훨씬 유리하기에,

만약 DAC와 AMP 스택을 쌓으신다면 무조건 접지 환경을 만들고,
밸런스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DAC와 AMP를 알아보시는 게 좋아요.
(아니면 소스 기기 노이즈로 고생할 수도 있거든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2f1b56aa9ec9d639e3d729c0

전면 3.5mm의 출력 16옴 5Vrms, 32옴 이상 7Vrms 출력.
C200의 12옴 5Vrms 출력, 16옴 이상 6Vrms 출력과 비교하면
근소하게나마 32옴 이상의 출력에서 DX3 Pro+가 앞서고 있어요.
(K7의 언밸런스 출력은 16옴 5Vrms, 32옴 이상 6Vrms 출력.)

더 자세한 측정치와 정보는 L7audiolab 사이트를 참고해 주세요.

ㅡㅡ

성향 -

저에게 Topping의 성향은 레퍼런스라고 할 수 있어요.
높은 측정치를 바탕으로 한 Topping의 착색 없는 뉴트럴한 성향은
이어폰/헤드폰이든, DAC/AMP든 비교할 기준이 될 수 있거든요.

물론, Topping도 기기마다 성향이 조금씩 다르다는 점이 있어요.

DX3 Pro+의 성향은 그냥 슴슴 그 자체예요.
어디에 착색이 들어간 것도 아니고, 평범 그 자체.
맛이 없다고들 표현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들어본 Topping 기기들 중에선
뉴트럴이지만 약간 쿨이 첨가된, 조금 밝은 성향이라 느껴져요.

이렇게 성향을 표현해봐도 결국은 직접 들어보시는 게 최고라 생각하기에,
가능하시면 중고로 구매해보셔서 직접 들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이럴 땐 청음샵에서 Topping 제품을 취급하는 곳이 없는 게 아쉽기도 하네요 ;-;)

ㅡㅡ

장점 -

1. 10만원대 DAC/AMP 중 가장 준수한 언밸런스 출력 세기

위에 언급했었듯, 10만 원대 DAC/AMP 3대장을 꼽자면
Topping DX3 Pro+, SMSL C200, FiiO K7이 있어요.
그 중 DX3 Pro+는 언밸런스 출력 세기가 가장 준수해요.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274507a492f104b8753030fd

DX3 Pro+는 16옴에서 5Vrms, 32옴 이상에서 7Vrms 출력 세기를 보이며, (L7audiolab)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2f1f0af2c4d79120bbdae985

C200은 12옴에서 5Vrms 출력, 16옴 이상에서 6Vrms 출력 세기를 보여요. (ASR)

DX3 Pro+의 16옴에서의 출력 세기는 C200과 동급이지만,
32옴 이상에서의 출력 세기를 본다면

DX3 Pro+는 32옴에서 7.5Vrms, 68옴 이상에서 8Vrms 출력 세기로
C200과 K7(언밸런스 기준 5-6Vrms)보다 더 나은 출력 세기를 보여요.

2. 오토 온/오프 기능

DX3 Pro+는 1분간 입력이 없을 시 자동으로 대기 모드로 전환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덕분에 소스 기기 연결만 끊고 밖에 나가도 알아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어
편하게 전원 오프가 가능하며, 기기 수명과 사용 전력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특히 이 기능은 SMSL이나 FiiO에는 없는 Topping 만의 장점이기도 해요.

3. 블루투스 5.0 수신 지원

블루투스 수신 기능을 지원하기에,
소스 기기와의 블루투스 무선 연결로
편리하게 음악 감상이 가능해요.

블루투스 코덱은 LDAC, AAC, APTX,
APTX-LL, APTX-HD, SBC 코덱을 지원해요.

4. 적외선 리모컨 지원

기기를 직접 손대며 조작할 필요 없이
멀리서 버튼 하나로 설정을 조작할 수 있어요.

ㅡㅡ

단점 -

1.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메리트

C200은 전면 6.3mm 단자, 4.4mm 단자, 후면 RCA 단자, 풀밸런스 TRS 단자를 지원하고,
K7은 전면 6.3mm 단자, 풀밸런스 4.4mm 단자, 후면 RCA 단자를 지원하지만,
DX3 Pro+는 전면 3.5mm 단자와 후면 RCA 단자만을 지원해요.

C200은 많은 단자를 지원하며 또한 후면 풀밸런스 TRS 단자로
추후 DAC/AMP 업글 시 AMP만 추가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고,

K7은 전면 풀밸런스 4.4mm 단자로 출력이 C200과 DX3 Pro+ 출력에 비해
(32옴 이상) 출력 세기가 훨씬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요.

DX3 Pro+는 3.5mm 단자에서 준수한 출력 세기를 가지고 있으나 지원하는 단자가 매우 적어요.
특히 풀밸런스 출력이 없고, 거치형이지만 6.3mm 단자가 아닌 3.5mm 단자를 지원한다는 게..
거치형을 사용할 정도의 리시버라면 대개 6.3mm나 4.4mm 단자를 주로 쓰기에 더 아쉬운 부분이에요.
(구성품에 6.3mm to 3.5mm 젠더가 없는 것이 한몫하기도 하고요.)

2. 좁은 리모컨 수신 범위

C200은 어디에서 조작하든 C200 방향이면 리모컨으로 조작이 가능한데,
DX3 Pro+는 패널 중앙 쪽으로 리모컨 센서를 맞추어 조작해야 잘 조작돼요.

대충 리모컨 띡 눌러서 바로 조작되면 좋을 텐데,
패널 중앙 쪽에 맞추어 조작해야 한다는 점은 은근 불편한 부분이더라고요.

3. 기기의 아쉬운 설정 방식

리모컨으로 설정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는 있지만,
기기로 상세한 설정을 하고 싶다면

대기 모드에서 전원 어댑터를 분리한 후,
노브를 꾹 누른 상태로 어댑터를 다시 연결하면
상세한 설정이 가능해져요.

다만 위의 과정이 귀찮다든지, 어댑터를 잘못 뽑으면 기기가 고장난다든지
의 단점이 있어서 별로 좋아하지 않는 방식이에요.
(실제로 기기 재생 중 어댑터를 잘못 뽑아 고장난 경험이 있어요.)

저는 리모컨보단 기기로 설정하는 걸 자주 하다보니
기기만으로 편하게 기기 설정을 하지 못하면 조금 아쉽더라고요.

C200의 경우는 기기가 켜진 상태에서 노브를 한 번 누르면
메뉴 설정 창으로 넘어가 상세 설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C200은 또 C200 나름대로 설정이 복잡하지만요.)

ㅡㅡ

잡소리 -

1. 대기 모드 시 소스 기기와 연결되면 기기가 켜지며 입력을 자동으로 전환해줘요.
대기 모드 중 BT 페어링 시 BT 입력 전환, 대기 모드 중 USB 인식 시 USB 입력 전환 등.
다만, 기기가 켜진 상태에서는 소스 기기와 연결해도 입력을 자동으로 전환해주진 않아요.
(이 기능은 자동 온/오프 기능을 사용 시 지원해요.)

2, 밝기 설정을 L-A로 두면 조작이 없을 시 30초 후 디스플레이가
입력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가 꺼지게 돼요.

디스플레이가 꺼진 후 다시 조작을 하려면,
노브든 리모컨이든 한 번 건드려 디스플레이를 켜줘야 해요.

3. 득삼플의 노브를 한 번 누르면 인풋 전환,
득삼플의 노브를 빠르게 두 번 누르면 아웃풋 전환이 가능해요.

4. 볼륨은 -99 ~ -0dB 범위로
-99 ~ -10dB 까지는 1dB 단위로,
-10 ~ -0dB 까지는 0.5dB 단위로 조절돼요.

5. ASIO를 지원해요. ASIO를 지원하는 플레이어나 리듬 게임에서
(디제이맥스 리스팩트 V, 이지투온 리부트 R, Foobar2000 등)
ASIO를 사용하여 사운드 레이턴시와 음질에서 이득을 볼 수 있어.
(사운드 출력 장치에서 ASIO : Topping USB Audio Device로 잡혀요.)
(드라이버 설치 필수!)

6. 방 온도 21도 기준 발열은 약 28도로 측정되었어요.
평범한 발열 정도로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해요.
(환경에 따라 발열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요.)

7. 대기 모드 시 전력을 약 1.5W 소모하며,
기기 사용 중 평균 4W의 전력을 소비해요.

8. 프리 앰프 볼륨을 0dB로 고정시켜주는 DAC 모드가 있으나,
프리 앰프 모드를 0dB로 사용하셔도 음질과 출력은 같아요.

9. 대기 모드 상태에서도 블루투스 페어링이 가능해요.
덕분에 USB - BT 간 입력 전환이 끊기지 않고 자연스러워요.

10.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는 볼륨을 표시하며,
샘플 레이트 변경 시 화면에 변경된 샘플 레이트를 잠깐 표시해요.

11. 블루투스 연결 시, 연결 코덱을 따로 표시하지 않아요.
O-1(라인 아웃 출력) 사용 중 DAC 모드라면 샘플 레이트만 표시해요.
O-3(라인+헤드폰 출럭) 사용 중이면 샘플 레이트를 잠깐 표시 후 볼륨만 표시해요.

12. RCA 출력(O-1), 3.5mm 출력(O-2), RCA + 3.5mm 출력(O-3)이 가능해요.
O-3 사용 시, DAC 모드여도 프리앰프 모드로 전환돼요.

13. 사용 중 틱/팝 노이즈 등의 문제가 없다면, 펌웨어와 드라이버 버전을
다운그레이드나 업그레이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제가 사용한 드라이버 버전은 4.14 버전이며,
펌웨어는 1.25 버전을 사용하고 있어요.

만약 ASIO 사용 등의 이유로 드라이버를 설치하셔야 한다면,
여기 링크로 가셔서 4.14 버전을 설치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14. DX3 Pro+는 DC 15V 전원을 사용하기에,
DC 15V를 지원하는 PD 배터리와 PD to DC 젠더를 이용하면

viewimage.php?id=23b8c72ee0d33cb666b0d8b0&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0d3cfb4a2485406f5f7b402cb9334a51f80a415de58ed9bc37d9c7337d965714407a19308560c4cfbd469

이렇게 유사 포터블 DAC/AMP 처럼 사용이 가능해요.
(농담인 거 아시죠? ㅋㅋㅋㅋ)

ㅡㅡ

총평 -

다시 한 번 장점과 단점을 정리해보면,

장점 - 좋은 언밸런스 출력 세기, 블루투스 5.0 수신,
적외선 리모컨, 오토 온/오프 기능

단점 - 적은 지원 단자, 좁은 리모컨 수신 범위,
아쉬운 기기 설정 방식

이라고 할 수 있어요.

언밸런스 단자를 주로 사용하고 블루투스를 자주 사용한다면
여전히 추천드릴 수 있는 Topping DX3 Pro+ 이지만,

단자를 많이 지원하지 않고, 풀밸런스 단자가 없다는 게
제일 아쉬운 부분이 아니지 않을까 싶네요

지금은 6.3mm, 4.4mm 단자와 풀밸런스 TRS 단자,
블루투스 5.0 수신을 지원하는 SMSL C200과,

풀밸런스 4.4mm 단자를 지원하는 FiiO K7이 있으니,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맞는 DAC / AMP 를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ㅡㅡ

요약 -

언밸런스와 블루투스를 주로 쓴다면 여전히 추천하는 DX3 Pro+.
다만 풀밸런스나 추후 DAC/AMP 업글을 고려한다면
더 나은 대안의 DAC/AMP 존재.

ㅡㅡ

마무리 -

이번 리뷰는 바쁘기도 했고 아프기도 해서 꽤나 오래 걸렸네요..
앞으로는 더 빨리 리뷰를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

언제나 좋은 리뷰를 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이 글에
개추 함 눌러주실 수 있으실까요?
다음 리뷰 작성에 큰 동기가 된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다른 DAC/AMP의 리뷰글 링크들을 남기며,
SMSL C200 리뷰 / SMSL DL200 리뷰
Topping DX3 Pro+ 리뷰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더 많은 리뷰가 보고 싶으시다면.. : 여기로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2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1023262 공지 헤드폰 마이너 갤러리 운영 방침 [8] 엔디제이디제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24 33859 12
1193172 공지 완장 호출벨 [13] 엔디제이디제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7003 5
899489 공지 [필독] 이어폰, 헤드폰 추천 양식 [14] RSG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4 35515 19
189112 공지 헤드폰갤 이어폰 측정치/EQ 사이트 사용법 및 측정 방법 총정리 [9] ER4S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4 63517 17
634393 공지 각잡고 써보는 이헤폰 실전 peq [12] FY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0 41223 25
736265 공지 [ 헤드폰 정보모음 미니 갤러리 개설 ] [15] RSG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4 38813 21
667121 공지 "100만원 이하 헤드폰 추천픽" by 정보갤 [144] S.바빌로니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62209 131
1342909 일반 귓구멍만 이상할정도로 작음...... 바보무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4 1 0
1342908 일반 점심의 보법조차 하나를보면 나머지가보이는거 어느분야건 감적 센스는 느껴짐 쫑럽(14.33) 12:34 0 0
1342907 일반 보법부터엇나가면감다뒤고머고다무의미한소리 시간낭비큰손실 악순환 삽질의 연속 쫑럽(14.33) 12:34 4 0
1342906 일반 헬스장에 사는 60후반쯤되보이는 아저씨?할아버지있는데 리사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3 7 0
1342905 일반 내가 찾던 사운드가 메제 엘리트인 것 같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1 11 0
1342904 일반 스핀핏 이단딜도 사봐야겟어 SexmachineJam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16 0
1342903 일반 음부 토템 사야지 꽁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13 0
1342902 일반 이어팁 불편해서 하나 사고 싶은데 종류 더럽게 많네.... [7] 바보무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8 23 0
1342901 일반 이제 슬슬 2차 종결을 해야겠다 [3] MIM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8 31 0
1342900 일반 아크릴 블럭 조명 비포/에포터 비교 번역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6 26 0
1342898 일반 오점 [10] Fill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3 38 0
1342897 일반 짱깨좆같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3 30 0
1342896 질문❓ SMSL C200이랑 토핑 L30II중에 HD600에 어떤게 나을까요? [1] 유키(221.140) 12:23 14 0
1342895 일반 주딱 너가 허락한거야 [2] 조금만기다려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1 109 12
1342894 일반 메제 엘리트 지리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9 30 0
1342891 음악🎵 What a Wonderful World- 루이 암스트롱 따릉이100개목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7 13 0
1342890 일반 퐁샵 댄클락 행사좀 제발 ㅜㅠ 공무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7 18 0
1342889 일반 스포티 음원 볼륨이 좀 작은가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4 47 0
1342888 일반 중고70이면 뭐살수잇지 [9] 설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3 63 0
1342887 일반 Ft7 측정맡기기로햇워 [14] 깅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2 49 0
1342886 일반 kz an01 왔네 [2] ㅇㅇ(121.173) 12:08 35 0
1342885 일반 잉여로운 금요일이구나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6 23 0
1342884 음악🎵 에릭 카르멘 - My Girl [1] 밍키모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3 10 0
1342883 일반 오 인천항 많이 밀렸었나보다 볼락발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2 26 0
1342882 일반 매물 올린거 문의왔는데 [9] 설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2 89 0
1342881 음악🎵 개다 [2] 따릉이100개목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18 0
1342880 일반 포시 k7이란 거치dac 뭔가 좋아보임... [7] 하트비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63 0
1342879 일반 타오에 마요이 넨도 매물있네 [1] 설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9 28 0
1342878 일반 얼버기 [6] dar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8 32 0
1342877 일반 오픈무선이어폰 레이턴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7 15 0
1342876 음악🎵 여유롭게 치보마토 [1] 명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4 20 0
1342875 음악🎵 에릭 카르멘. 플리(플레이 리스트) All by myself 밍키모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14 0
1342874 일반 어제 새로 산 베개 써봤는데 [15] 꾸꾸에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95 0
1342873 일반 A5000 사니까 [2] 답변잘해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8 70 0
1342872 일반 이제 어쩌지? [3] 일반명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8 44 1
1342871 일반 득삼플 왔어 [1] Pushk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7 43 0
1342870 일반 주딱과 파딱의 좆목을 포착하러 가면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6 76 0
1342869 일반 보면 불편해짐 [4] 일반명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60 0
1342868 정보📖 비전이어스 신제품 5종 발표 [4] 꽁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99 0
1342867 일반 스벅문어 재추첨 [13] 드포니사써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81 3
1342866 일반 버거 [2] 박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4 47 1
1342865 일반 공유 안하고 나혼자 들으려고 했다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3 51 0
1342864 일반 에티모틱에보정발미개봉파빈다4트 팔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3 68 0
뉴스 피원하모니 미니 8집 ‘DUH!’ 타이틀 포스터, 감각적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