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주관적 3티어 이하 타이탄 로봇 평가글

4족보행로봇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31 13:21:08
조회 1215 추천 3 댓글 5
														

주관적 3티어 이하 타이탄 로봇 평가글

주관적 4티어 타이탄 로봇 평가글


타이탄은 게임 내에서 일반 로봇들과 격을 달리하는 특수한 로봇들임. 덩치는 일반 기체들의 최소 2배 이상 차이나며, 내구도와 기본 화력도 자릿수부터 차이나는 대신 게임 내에서 단 한대밖에 굴릴 수 없는 희귀한 로봇임. 다만 덩치에 걸맞게 이속은 느린 편인 기체가 대부분이라 덩치값만 믿을 수는 없고, 그만큼 큰 체격이 역으로 쉽게 포커싱당해서 금새 사출될 정도로 운용상 까다롭기 때문에 의외로 섬세한 조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타이탄은 모든 업그레이드를 PT(플래티넘) 으로 진행함. 타이탄이 추가된 5.6.0 버전에서 같이 추가된 신규 재화로, 희소성은 골드보다 더 높기 때문에 웬만한 일반 로봇 업그레이드보다 타이탄 업그레이드가 돈은 배로 깨질 가능성이 크다. 그래도 열심히 플레이하면 어느정도 쌓이게 되는 골드와 달리, 희귀한 만큼 무과금으로 플래티넘을 모으기엔 굉장히 힘들기 때문. 다행히라고 해야할지, 타이탄은 게임상 단 한대만 굴릴 수 있기 때문에 딱 마음에 맞는 타이탄 하나를 정해놓고 그 타이탄에만 플래티넘을 투자해야 비교적 돈을 절약할 수 있음. '아, 난 상황에 따라 이런 타이탄도 쓰고 저런 타이탄도 쓰고싶은데!' 이라는 생각은 접는 것이 지갑의 건강에 이롭다.


타이탄 로봇 평가글의 1번째에 기재된 기체들은 1티어, 2티어, 3티어 기체들이다. 타이탄은 일반 기체와 달리 키드정도를 제외하면 웬만한 타이탄 모두가 어느 티어에서든 1인분은 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음. 2티어짜리 아서나 아오 밍도 마스터 이상이 되었건 세팅에 따라 충분히 게임이 가능하다는 얘기. 물론 웬만한 경우에서 확실히 우위를 점하는 타이탄들은 모두 4티어 타이탄임은 맞음. 그 이하의 타이탄들도 제각기 특출난 부분이 있어 굳이 구하기도 힘들 4티어 타이탄만을 바라보기 보단 눈을 어디 두냐에 따라 선택지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겠다.


8.3.0 버전에서 타이탄별 티어를 조정하고 업그레이드 비용을 조정하였음. 원래 업그레이드 만렙 가격이 1만 플래티넘으로 티어별 차이가 없었지만, 이 패치로 1티어 타이탄은 2천 플래, 2티어 타이탄은 4천 플래, 3티어 타이탄은 9천 플래 정도로 비용이 많이 감소했기 때문에 비교적 윗티어보다 떨어지는 성능을 업그레이드 비용 절감으로 가성비가 생겨나게 되었음.


건의사항, 오타 제보 등의 모든 의견은 댓글로 언제든지 환영.


주관적 등급

5등급 : 병신

4등급 : 비추천

3등급 : 애매함

2등급 : 무난함

1등급 : 메타

0등급 : 좆사기



략 2.5등급 위부터는 명사수 이상 상위권에서도 어느정도 굴릴 수 있는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될거같음.




1. Kid(키드)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e31e26b82d8bda68e018cd3a99c2bc4d

1티어 4등급

높은 내구도와 방어력, 평범한 기동력, 낮은 화력을 가진 기본 타이탄 기체.

Full Power : 등에 장착한 알파 무기 슬롯을 활성하고 추가 방어 포인트를 대량으로 얻음.

Stove : 전방위 100m에 5초동안 지속피해를 입힘. 딜량 자체는 나쁘지 않아 근접으로 들어오는 상대 기체나 타이탄을 견제하기도 썩 괜찮고, 엄폐물과 에너지 실드를 뚫을 수 있음.

내구도만큼은 루차도르에 이어 2위이며 방어포인트는 최대 300까지 받을 수 있어 기본 방어력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음. 이동 속도는 크게 빠른 편은 아니지만 워낙 타이탄들이 느린 기체들이고, 높은 내구도를 생각하면 나름 준수한 편이라고 볼 수 있음. 기본 화력이 베타 2개라는 저열한 화력에 1스킬을 사용해야 웬만한 타이탄과 화력이 비슷해진다는 웃긴 성능을 가지고 있음. 키드의 주요 방어 기능인 방어 포인트가 같은 타이탄에게 의미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내구도 하나만 믿고 탱킹하는 것밖에는 안됨. 시작기라는 입지 치고는 스테이터스의 밸런스는 나름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근본적인 대타이탄 능력과 화력이 처절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골동품 성애자가 아니라면 버림받고야 마는 비운의 기본 타이탄.

추천 세팅: 풀 액션 지속시간 동안 상대를 몰아낼 수 있는 강력한 근접 세팅.




2. Arthur(아서)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924467f194a2bc433cc91c5516227b01603928

2티어 2등급

낮은 내구도, 매우 느린 기동력, 굉장히 튼튼한 방패를 가진 탱커 타이탄 기체.

Phalanx Mode - 사선에 위치한 2장의 방패를 전면으로 전개하고 이속이 1/5 감소함.

Blast Wave - 전방위 100m에 강력한 피해와 넉백을 가진 폭발을 일으킴.

기본 내구도를 상당수 포기한 대신 게임내에서 가장 튼튼한 물리 방패를 각각 두장을 사용하는 기체임. 이 방패는 물리 방패에 2배의 피해량을 적용하는 실탄 무장으로 한참을 쏴야 방패 한장 파괴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내구도를 자랑하기 때문에 방패가 부숴지기 전까진 전장의 조건에 따라 거의 무적이라고 할 수 있음. 대신에 물리방패를 파훼하는 폭발 무장이나 화염방사기, 독분사기 등의 무장에겐 한없이 취약해짐. 또한 방패는 2장을 사용하기에 전면에 전개할 경우 각 방패가 반쪽을 수호하니 방패 하나 깨지면 이후로는 거의 죽는다고 보면 됨. 양쪽 다 거덜나면 말할 것도 없고. 무장이 머리 위에 몰려있고 아서의 키와 비슷한 엄폐물이 생각보다 많아서 이런 곳에 캠핑하면서 수비적으로 사용하면 방패도 아끼면서 근접해오는 기체는 블라스트 웨이브로 밀쳐내면 되니 상대하는 입장에선 여러모로 난감함. 방패가 전면만 보호하니 기본적으로 머리 위를 공격하거나 빠른 기동력으로 머리를 넘나드는 비행 기체에게는 대처가 어려워 별로임. 상위권으로 올라갈수록 자릿수가 달라지는 딜량에 방패는 금방 깨지기 마련. 선회와 이동속도가 가뜩이나 느리기 때문에 양각에서 오는 상대의 협공을 버티기 힘듦.

추천 세팅: 근거리에 붙을 수만 있으면 강력하나 그 느려터진 이동속도가 발목을 잡으니, 중근거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기관총 계열이나 에너지 무장 추천.



3. Ao Ming(아오 밍)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924464f1b24b73951969d9582ed186014f2163

2티어 2.5등급

매우 낮은 내구도, 높은 기동력, 굉장히 높은 화력을 가진 비행 타이탄 기체.

Dragon Flight - 아오 밍의 모드를 전환하는 스킬. 기본 상태인 지상모드는 알파 슬롯 2개만 활성화되는 대신 피해를 33% 경감한다. 스킬을 사용해 공중 모드로 전환하면 아오 밍은 추가 베타 슬롯 2개를 활성하는 대신 기존의 방어 포인트는 사라진다. 이상태의 아오밍은 타이탄 중 손꼽히는 화력을 손에 넣게 됨. 또한 일반 기체보다 약 2배는 더 높은 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공격각이 잘 나옴. 반대로 어그로도 쉽게 끌리지만. 착지 후 5초의 쿨을 가짐.

Self-repair - 6초간 자신의 내구도를 일부 수리하는 스킬.

타이탄 최하위 방어력을 가진 대신 극강의 화력을 가지고 있는 유리대포같은 기체. 무제한 비행을 하는 최초의 기체로 지상 공중 전환이 가장 자유로운 기체임. 일반기체보다 더 높은 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견제와 저격각을 굉장히 잘 잡을 수 있음. 화력도 샤랑가에 밀려 1위는 내주었지만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데다 블라인드같은 영향축적 무기인 경우 무기 슬롯이 4개라 영향 축적엔 이점을 잡을 수 있음. 다만 명색의 타이탄이라는 놈이 최대 체력은 40만 전후로, 좀 튼튼하다는 일반 기체들보다 체력면에서 딸리거니와, 비행 특성상 쉽게 끌리는 어그로를 보호할 방어 수단을 직접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음. 낮은 내구도를 커버하기 위해 500 ~ 600m 거리 중거리 무기가 강요됨. 일부 세팅을 통한 고점은 높으나, 저점부터 한없이 낮기 때문에 고점에 비해 비교적 낮은 등급을 부여한 비행기체.

추천 세팅: 공격 모듈 Onslaught Reactor 4개 몰빵 / 중거리 무장 Cataclysm Cyclone, Dazzler Lantern




4. Nodens(노덴스)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924465f13d5768e3e5a04bc5e676cb707f950c

3티어 2등급

준수한 내구도, 느린 기동력, 높은 힐량을 가진 후방 서포터 타이탄 기체.

Active Support - 최대 3번 사용 가능한 아군 링크 스킬. 600m 내 아군에게 힐 링크를 꽂아 7초 내 초당 1% ~ 5%의 치유를 가함. 아군 링크 수에 따라 노덴스 자신에게 50 방어 포인트를 부여. 따라서 최대 방어 포인트 증가량은 150. 사거리 내 아군이 없거나 아군이 700m를 벗어나면 자신에게만 치유가 들어감. 이 경우 방어 포인트는 증가하지 않음. 일정 퍼센트 힐이라서 일반 기체 타이탄 안가리고 높은 수치의 치유량을 제공하는 스킬.

Disposal - 600m 내 사거리에 존재하는 적군 주변 50m에 소량의 폭발 데미지와 광역 서프레션 디버프를 거는 스킬. 서프레션 수치는 50%. 적군이 모여있을수록 효율이 증가함.

힐러 기체임에도 기동력이 낮으나, 긴 사거리를 자랑하는 치유 링크 기능 덕분에 공격이 닿지 않는 원거리에서 높은 수치의 치유량을 제공함. 팀에 잘 키운 노덴스 하나만 있어도 아군 타이탄이 복사가 된다고 할 수 있음. 보통 운용상 팀 전선 뒤에 자리잡아 원거리에서 각각 힐과 딜을 보조해주며, 비컨전에 경우 측면 비컨을 수호해주거나 중앙 비컨을 사수하려는 아군을 보조하는게 가능함. 원거리 서포터 기체라 오해하기 쉽지만, 의외로 이동속도 말고는 스펙이 좋은 편이라 1vs1 개싸움에서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당해주지는 않음. 1스킬 치유량이 코어 업그레이드에 영향을 받는지라 대부분 골고루 올려주는 편이 좋은 다른 타이탄과 달리 노덴스는 코어를 먼저 풀강하는게 우선시되는 편. 요즘은 다들 치유를 모듈과 모선 등으로 충분히 해결 가능한지라 입지가 상당히 감소한 편. 또한 명색의 타이탄임에도 스킬의 대부분이 아군 보조에 특화된지라 아무리 기본 스펙이 좋아도 계속해서 물리는 상황을 스스로 타파하긴 힘듦.

추천 세팅: 중거리 무기 Cyclone, Lantern, Pantagruel / 방어 모듈 Titan Anticontrol




5. Minos(미노스)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924462f1aa0831eb856f10e5ed2f8c9cd8604d

3티어 1.5등급

평범한 내구도, 매우 높은 기동력, 강력한 스킬 방어력을 가진 브롤러 타이탄 기체.

(참고로 기체 설명문엔 차지 스킬이 먼저 설명되지만 인게임에서는 리플렉터 스킬이 1스킬에 위치해있음. 인게임에 맞춰 서술함.)

Reflector : 7초간 받은 피해를 경감해서 받고 일부 피해를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활성함. 둘다 코어 업그레이드로 업그레이드 하는데 1레벨일 경우 반사 20%, 차단 50%로 많이 짜지만 50레벨까지 올리면 반사 50%, 차단 80%로 방어 기능과 공격 기능 모두 출중해짐.

Charge : 최대 2회 사용할 수 있으며 5초 간 이동속도가 크게 증가함. 직선 거리로 질주하면 200m 정도 단숨에 돌진할 수 있고, 아서의 블라스트 웨이브같은 넉백이 있는 강력한 폭발을 여러번 일으키기 때문에 적을 밀쳐버리기에도 좋음. 이 넉백이 너무 세서 호크같은 기체로 이륙하는 도중에 미노스의 폭발 다 맞으면 크게 날아가면서 천장에 부딪힐 정도임.

기본 이속부터 1등이고 1스킬의 돌진 덕분에 타이탄 뿐만이 아니라 일반 기체를 통틀어도 손꼽히는 기동력을 보유하고 있음. 기본 내구도는 한정 옥스 미노스에 안컨 두개 풀강을 장착하면 90만 정도로, 브롤러 치곤 크게 높진 않으나(동스펙 백호 루차도르는 110만 정도.) 리플렉터와 타이탄 기본 방어 포인트 덕에 일반 기체에게 위협적이며 타이탄에게도 가볍게 받아들여지진 않음. 주로 돌진 풀충전인 상태에서 1회 소비해 진입한 후 근접용 무기로 일반 기체들을 휘젓거나 비컨 탈환, 타이탄 1대1을 신청해 리플렉터로 버티다가 리플렉터 빠진 후 내 쪽이 유리하면 다시 한번 차지 스킬로 압박을 가해주고, 불리하면 빠져서 재정비하는 식으로 운용함. 상술하였듯 기본 내구도가 아주 높지는 않으며, 화력도 키드 다음으로 낮은 베타 3개 화력이라 과거엔 압도적인 성능차이로 전장을 혼자서 휩쓸었다면 지금은 루차도르나 인드라같은 경쟁자 내지는 상위호환들이 많기 때문에 이런 기체들한텐 가릴건 가리면서 주의깊게 행동해야함.

추천 세팅: 방어 모듈 Titan Anticontrol 2개 풀강 필수 / 1대1 특화 근접 샷건 Squall, Vajra / 일반기체 다수전에서 뛰어난 Cinder



6. Sharanga(샤랑가)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924463f129b65601f1be28ee3a2a87382149b0

3티어 2등급

높은 내구도, 느린 기동력, 최강의 화력을 가진 극딜 타이탄 기체.

Full Power : 3초간 무기의 공격력이 25% ~ 50% 증가함. 쿨타임이 스트라이커 풀차징 속도와 딱 맞기 때문에 같이 쓰면 편함.

Phase Exile : 350m 내 존재하는 적군을 지정하면 5초간 강제로 페이즈 쉬프트 상태로 만듦. 페이즈 엑자일에 걸린 상태에선 이동 속도가 30% ~ 60% 감소함. 유일무이하게 상대방을 페슆 상태에 돌입하게 만드는 샤랑가만의 유니크한 능력. 페이즈 쉬프트 스킬인만큼 어떤 피해나 영향에도 무적이 됨. 보통 자신을 물러오는 세라프 등의 극딜러들을 추방시켜서 딜타임을 낭비하도록 만드는 스킬. 실력있는 사람이 잘 사용하면 당하는 입장에서 상당히 짜증나는 스킬이지만, 뭣도 모르는 사람이 막 남용하면 적군에게 피해도 못주고 그냥 느릿느릿하게 도망치는 꼴을 만들 수 있음.

기본 설계는 카타클리즘이나 스트라이커 등의 600m 사거리 이상의 중원거리 무장으로 적군을 저격하는 것으로 의도된 타이탄. 3알파의 강력한 셋팅과 1스킬의 공증 스킬이 합쳐 순간화력은 타이탄 중 1위임. 무기가 모두 위로 몰려있기 때문에 상술한 아서 캠핑과 비슷한 방식으로 굴리면 안전하고 강력하게 굴릴 수 있음. 탱커로 설계된 키드 못지 않은 체력을 가지고 있어 카타클리즘 근거리전, 그롬, 차르 등의 근접 세팅으로 제한적으로도 활약이 가능해 3그롬같은 예능 조합으로 상대 미노스나 루차도르까지 찢어죽일 정도로 나름 만능을 겸비한 타이탄이었음. 그러나 현재 메타의 모든 무장들의 딜량이 하늘을 찌르는 상황에선 단순 높은 내구도를 장점으로 내세우기 힘들어져 근거리 조합은 기피됨. 무장이 3개 뿐이고 모듈도 카니발이나 온슬롯등의 공격 모듈 위주로만 생각해서 껴주면 충분하기 때문에 저스펙이든 고스펙이든 좋게 굴리기 가능.

추천 세팅: 500m 이상의 중거리 무기 Cataclysm, Basilisk, Dazzler, Gargantua / 800m 장거리 저격 무기 Striker / 공격력 위주 세팅 (스트라이커 사용시 공모듈 몰빵)




7. Murometz(무로메츠)

06bcdb27eae639aa658084e54483756f9b92d44a95173889488c9610924460f1f3b840f9830ab8efd95f5d97bf34d4

3티어 2등급

낮은 내구도, 준수한 기동력, 높은 화력, 스텔스 비행을 가진 딜러 타이탄 기체.

Hard Rain : 스텔스를 켜고 6초간 공중에 뜬 상태에서 폭발 범위가 넓은 내장 로켓을 2문에서 발사함. 무로메츠의 딜타임에 안정성을 보완해주는 핵심 스킬. 착륙하게 되면 스텔스가 꺼지고, 널 주시하는 적군을 그걸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비행 시간 동안 느린 속도로 움직여가며 스텔스가 풀려도 금방 몸을 가릴 엄폐물을 두어야 함.

EMP Blast : 2초간 충전하고 500m 내 지정한 적군 주위 반경 100m내에 광역 EMP 디버프를 걸음. 스킬 사용이 필수적인 기체들을 카운터치기 좋음. 앞서 말한 대로 시전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준비하는 2초동안 디버프를 걸 적군을 계속 주시해야 그 적에게 디버프를 걸음. 중간에 고개 돌리거나 하면 엉뚱한 대로 날아가기 쉬움.

1스킬 하드레인의 제한된 딜타임에 모든 걸 올인해야 하는 극딜 타이탄. 기본 스펙은 아오밍과 비슷하게 내구도도 낮고 화력만 높은 기체이기 때문에 1스킬이 없는 지상에서 일반 로봇이나 타이탄들에게 당하기 쉬움. 2스킬의 EMP도 능력만 막을 뿐 상대의 화력은 그대로이니 방어적인 측면에선 별 효능이 없는 경우도 있음. 그래도 1스킬의 스텔스 비행은 적군의 공격을 회피하기도, 먼 거리의 엄폐물 없는 적군을 일방적으로 녹여버리기에도 가장 최적화된 스킬임. 자신에게 뛰어든 루차도르나 인드라 등의 기체들에게 EMP를 성공적으로 먹이고 1스킬을 사용하면 상대는 스킬로 방어나 회피도 못한채 무로메츠의 폭격에 반대로 박살내는 것도 가능함. 화력 올인 기체인만큼 무기들의 종류나 스펙도 잘 탐. 타이탄 최초로 만능 모듈 슬롯을 2개 가지고 나온 타이탄인데다 스텔스가 핵심인 타이탄이기 때문에 공격력을 일부 포기하고 퀀텀 모듈 풀강 2개를 만능에 끼우면 무로메츠 1VS1에서 농락하는게 가능함.

추천 세팅: 중거리 무기 Basilisk Krait, Dazzler Lantern / 공격 모듈 Onslaught Reactor / 만능 모듈 Quantum Raider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1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9921 공지 📢 War Robots 갤러리 공지 (20230514 갱신) 4족보행로봇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1 1117 13
1395 공지 War robots 신규 및 복귀 유저를 위한 팁 모음 [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19 12282 39
3722 공지 주관적 평가글 모음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4679 12
1 공지 War Robots 마이너 갤러리입니다. Murb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0.14 1064 20
14034 일반 허리케인 시발 [2] ㅇㅇ(180.68) 06.12 31 1
14033 일반 씨커 이거 8500원 제안 떴는데 사야함? [4] ㅇㅇ(112.187) 06.12 72 0
14032 일반 이정도 자원이면 순위표 몇번더 가능함? [12] 꾼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9 0
14031 일반 지금 리퍼 구데기임? [1] ㅇㅇ(14.40) 06.11 60 0
14030 일반 생각해보면 얼티 밸런스는 잘잡은듯 REMAND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66 0
14029 일반 이런 게시판이 있었구나. [1] 처제(112.145) 06.11 65 0
14028 일반 2023년 말 까지가 할만했던 거 같고 [1] ㅇㅇ(1.214) 06.11 65 0
14027 일반 이런 애들은 어떻게 이기냐 ㅋㅋ [1] ㅇㅇ(58.234) 06.11 96 2
14026 일반 워로봇 처음 하는데 [3] ㅇㅇ(39.121) 06.11 72 0
14025 일반 순위표미션으로 얼티쇽 구하기 [3] 돈소닉(118.43) 06.11 64 0
14024 일반 순위표 이벤트 얼티 숔트 얼마전 보라패드 순위표도 포함인가?? [2] ㅇㅇ(175.198) 06.11 48 0
14023 질문 얼티밋 펜리르 얻고싶은데 지금 현질해도 못얻음? [2] ㅇㅇ(106.101) 06.11 79 0
14022 일반 이거 아직도 하는사람 좀 있구나 ㅇㅇ(106.101) 06.11 44 0
14021 일반 무경하다 귀여운 애들 만났다 ㅇㅇ(121.181) 06.10 69 0
14020 일반 '전통주의자' 유해조수(58.29) 06.10 68 0
14019 일반 대혼돈 모드 아발론 유저들 조지는법 흑우(223.39) 06.10 48 0
14018 일반 점수 좀 팍팍 깎아줬으면 좋겠다 [3] ㅇㅇ(121.181) 06.10 63 0
14017 일반 타이탄 파일럿스킬 [1] ㅇㅇ(175.198) 06.09 90 1
14016 일반 허리케인 진짜 존나 재밌네ㅋㅋㅋ [1] ㅇㅇ(121.181) 06.09 93 0
14012 일반 넵튠 생각보다도 더 단단하구나 [5] ㅇㅇ(175.198) 06.08 104 0
14011 일반 전멸 3단계 별문제없나요? [4] 워갤러(175.113) 06.08 88 0
14010 일반 이거 사야하는거맞지? [5] ㅇㅇ(59.18) 06.08 125 0
14009 일반 웹샵에 3달러 보너스 생김 [1] 흑우(223.39) 06.07 80 0
14008 일반 3년만 복귀 유저 질문~ [5] ㅇㅇ(118.235) 06.07 104 0
14007 일반 리그 내릴때 힐하지 마라고 [1] 마스터싫어(183.105) 06.07 94 0
14006 일반 이런 덱 맞출려면 보통 얼마정도씀? [6] ㅇㅇ(59.18) 06.07 144 0
14005 일반 금고패드개망햇다 [1] ㅇㅇ(211.36) 06.06 90 0
14003 일반 스팀 계정 평가 좀 [4] 세갤러(39.7) 06.05 140 0
14002 일반 페북 무기 맞추는 거 이벤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77 0
14001 일반 패파왤케좆구린거같지 [2] ㅇㅇ(211.36) 06.05 123 0
13999 일반 푸진 플래쉬 왔음 [3] 4족보행로봇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44 3
13998 일반 근데 골렘,보아는 왜 삭제된거냐 [4] ㅇㅇ(121.181) 06.04 145 0
13996 일반 스킬, 모듈셋팅 질문 [3] Smik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24 0
13995 일반 얘뭐냐...? [5] ㅇㅇ(59.18) 06.03 159 1
13994 일반 오피온 파일럿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16 0
13993 일반 시발 진짜 파밸 개 엉망이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40 0
13992 일반 에펠너프 언제먹냐 [2] ㅇㅇ(112.168) 06.03 127 0
13991 일반 ㅅ발 [5] 흑우(223.39) 06.02 106 0
13990 일반 내 에펠 어디감 [3] 민갤러(112.168) 06.02 129 0
13989 일반 Siren은 원래 엔진명사수가 없냐? [1] ㅇㅇ(58.226) 06.02 99 0
13987 정보 제안 1등급과 4등급의 차이는 얼마나 될까 [4] REMAND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38 1
13986 일반 드론중에 [4] ㅇㅇ(223.39) 06.02 101 0
13984 일반 님들아 이거 사도 괜찮나요? [4] ㅇㅇ(49.172) 06.02 123 0
13983 일반 이거 살게요 [2] ㅇㅇ(120.142) 06.01 137 0
13982 일반 ㅋㅋ 20초 남기고 1등 뺏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02 0
13981 일반 시발 마스터 다시와버렸노 ㅋㅋ [3] ㅇㅇ(58.226) 06.01 155 0
13980 일반 큐리 지금 키워도 되냐 [4] ㅇㅇ(58.234) 06.01 115 1
13978 일반 워로봇 뉴비인데 도와줘ㅠㅠ [2] ㅇㅇ(118.235) 06.01 111 0
13977 일반 댐퍼 그냥 개나락갔냐?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23 0
13976 일반 금고패드 벌써 만원에떤지네ㅋㅋ [2] ㅇㅇ(211.36) 05.31 10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