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201304~202010 컴퓨터 본체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201304~202010 컴퓨터 본체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일본인만 가지고 있다는 YAP유전자 ㅇㅇ
- 싱글벙글 정육점 아재의 손기술 수인갤러리
- 훌쩍훌쩍 우주생활 803일.jpg Chart_Manager
- 조국 "국민의힘 본색은 '늙은 일베'…해산하거나 파산돼야" 세티르
- 2026년, 자영업자 세금 인상된다 ㅇㅇ
- 영국 토트넘 근황 뽕탐
- ebs 레벨로 쉽게 설명해주는 상대성이론 ㅇㅇ
- 주우재는 멸치다vs아니다 논란중인 댓글창.jpg ㅇㅇ
- 카이진 신사(사세보) 방문기 엉겅쿤
- 애 키우는 만화...jpg 수류탄이여
- 김문수 당대표 출마에 대한 안철수 입장 떴다 ㅇㅇ
- 스압) 7월 출시 인디 게임 모음 (후반부) 1,2 편 빗소리P
- 보잉 또 사고쳤다 ㅇㅇ
- 난카이 대지진시 우리나라가 입는 피해.jpg ㅇㅇ
- 야숨과 원신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ㅇㅇ
"지옥의 물가 시작됐다" 물가상승률 40% 찍을 수도..
미국이 멕시코산 토마토에 관세 17%를 부과한다고 통보했습니다. 2019년 멕시코와 맺은 무관세 협정이 연장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종료됐습니다. 멕시코산 토마토는 미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나 됩니다. "미국 토마토 농가의 승리"라는 입장과 "소비자에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는 걱정이 미국 안에서 교차하는 가운데 멕시코 정부는 "새로운 국제 시장 개척"으로 맞서겠다며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 멕시코 대통령 : 미국에서 멕시코산 토마토 수입을 중단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미국은 자국 생산만으로는 국내 수요를 충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토마토와 함께 햄버거의 핵심 재료인 패티용 쇠고기 다짐육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0.45㎏당 가격이 지난 5월 기준 5.98달러로 1년 전보다 16.2% 올라 사상 최고치였습니다. 농가에서 기르는 소가 줄어든 탓도 있고 관세 정책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오른 측면도 있습니다. 미국은 주요 쇠고기 수출국이지만 다짐육 같은 가공된 쇠고기는 브라질과 호주, 멕시코 등에서 싸게 사다 먹습니다. 브라질에는 다음 달 1일부터 50% 관세 부과가 예정돼 있습니다. 이렇게 수입 토마토나 쇠고기에 관세가 붙으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의 주요 지표인 햄버거 가격에도 영향을 줍니다. 퍼듀대학의 햄버거 지수를 보면 관세 영향을 빼고도 미국에서 치즈버거 한 개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지난 2년 사이 11% 올랐는데 상승률은 가팔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빌 로레텔리 /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데스토 농부 : (관세)30% 인상 얘기가 나오면 40%는 올릴 수밖에 없어요. 유통 과정에서도 추가 비용이 드니까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에 미칠 영향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지만 미국 중앙은행은 여름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늦추고 있습니다.
작성자 : 스이세이상고정닉
매와 관련된 이야기.jpg
우리나라에서는 백제 시대 때부터 매(鷹, 매사냥에 쓰이는 맹금류)를 기르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나 여러 사서에 따르면, 왕실과 귀족 사이에서 매를 사육하고 사냥에 활용하는 문화가 자리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매사냥은 단순한 취미나 유희를 넘어서 지배계층의 권위와 지위를 상징하는 활동이었다.고려 시대에는 매를 기르고 매사냥을 즐기는 것이 상류층 사이에서 큰 유행이었다. 왕실은 물론 귀족과 무신들까지 매사냥을 권위와 용맹의 상징으로 여겼고, 실제로 왕들은 직접 나서서 매사냥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풍습은 단순한 취미를 넘어 사회적 신분과 권력을 드러내는 하나의 문화 코드로 자리잡았다.이처럼 매와 깊이 관련된 생활문화가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우리말에는 매와 매사냥에 관련된 어휘들이 현재까지도 풍부하게 남아 있다. 하지만 매는 본디 야생성이 매우 강한 맹금류이기 때문에, 아무리 훈련을 시켜도 사냥 도중 도망가거나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매가 도망쳤을 때 다시 돌려받을 수 있도록 매 주인의 이름과 주소를 적은 표식을 매의 꼬리에 달았는데, 이 표식을 ‘시치미(矢䎎尾)’라고 불렀다.원 간섭기에 접어들면서 고려는 훈련된 매를 원(몽골) 황실에 조공으로 바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잘 길들여진 매는 매우 귀하고 값비싼 물건이 되었다. 그만큼 훈련된 매 한 마리의 가치가 수 마리 말이나 값진 비단에 해당될 정도로 높아졌으며, 매매와 밀수가 성행하기도 했다.이런 상황에서 타인의 매를 훔쳐 자기 것처럼 속이는 사례도 잦았고, 그 수법 중 하나가 바로 꼬리에 달린 ‘시치미’를 몰래 떼는 행위였다. 시치미가 없으면 주인을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도둑이 시치미만 떼면 “내 매다”라고 주장해도 입증이 어려운 것이다.이처럼 ‘시치미를 떼다’는 말은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자기가 해 놓고도 “내가 안 했어”라며 딱 잡아떼는 태도를 뜻하는 관용어로 자리 잡았다.‘매섭다’(또는 옛말 ‘매스럽다’)라는 표현은 매의 눈빛처럼 날카롭고 사나운 인상이나 성격을 빗댄 말에서 유래했다. 매는 사냥할 때 목표물을 응시하는 눈빛이 매우 예리하고 위협적이어서, 고대부터 맹수 못지않은 존재감을 지닌 동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매의 특성은 인간의 언어 속으로 스며들며, 날카롭고 위압적인 태도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자리잡았다.‘매몰차다’라는 말은 “매가 꿩을 몰아 끝내 냉혹하게 차버린다”는 데서 유래한 표현으로, 인정머리 없고 매우 쌀쌀맞으며 냉정한 태도를 의미한다. 이때의 ‘차다’는 발로 걷어찬다는 뜻으로, 매가 사냥감인 꿩을 거침없이 제압하는 모습에서 감정 없이 모질게 대하는 태도를 빗댄 것이다.‘매달다’와 ‘매달리다’라는 말은 본래 매를 길들이는 과정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매는 사냥에 앞서 인간에게 조련되기 위해 일정 기간 구속되는 훈련을 받는다. 이때 조련사는 가느다란 줄(다리끈)을 매의 발에 묶어, 함부로 날지 못하게 하며 인간의 존재에 익숙해지도록 한다.하지만 매는 야생성이 매우 강한 맹금류이기 때문에, 줄에 묶인 채 가만히 있지 않고 발버둥치며 하늘로 날아가려 안간힘을 쓴다. 이 모습에서 비롯된 것이 바로 무언가에 붙들려 떠나지 못하는 상태, 혹은 구속된 채 애달프게 매여 있는 상황을 뜻하는 ‘매달다’, ‘매달리다’라는 말이다.매는 야생성이 강해 쉽게 길들여지지 않는 새였다. 조련사의 인내와 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도, 매는 사람의 뜻대로 움직이기보단 스스로의 본능에 충실하려는 성향을 끝까지 고집스럽게 드러내곤 했다.이런 특성 때문에 예로부터 사람들은 매처럼 말을 안 듣고 자기 고집만 부리는 사람을 빗대어, ‘응고집(鷹固執)’, 즉 매처럼 완고한 고집이라 불렀다. 여기서 ‘응(鷹)’은 매, ‘고집’은 굳게 자기 주장만을 내세우는 성질을 뜻한다.시간이 흐르면서 이 말은 소리 나는 대로 변화하여 ‘옹고집’이라는 말로 굳어졌고, 자기 의견만을 고수하며 남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오늘날까지도 널리 쓰이고 있다매를 길들일 때 조련사는 단지 먹이를 주는 것뿐만 아니라, 매의 깃털을 조심스럽고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서서히 신뢰를 쌓아간다. 이때의 손길은 거칠지 않고 매우 섬세하고 조심스러워야 한다. 이렇게 매를 다루는 섬세한 행위를 표현한 것이 바로 ‘매만지다’라는 말의 유래다. 여기서 ‘매’는 맹금류인 매(鷹)를 뜻하고, ‘만지다’는 조심스러운 접촉을 의미한다.또한 매의 성질은 날카롭고 사나우나, 그와 대조적으로 깃털은 유난히 보드랍고 매끈하다. 이 부드러운 촉감에 대한 인상이 언어에 반영되어, 거칠거나 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끈한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매끄럽다’는 표현이 생겨났다.매가 사냥에 실패했을 때, 먹잇감을 놓친 뒤 하늘에서 바람을 맞으며 빙글빙글 도는 모습을 묘사해 바람맞다 바람맞았다라고한다일상에서 ‘바람맞다’는 기대했던 일이 이루어지지 않고 헛수고를 했을 때 느끼는 허탈감과 실망감을 뜻하는데, 이는 매가 사냥 실패 후 바람을 맞으며 재도전하는 모습과 인간의 좌절과 재기를 은유적으로 연결한 것이다‘시큰둥하다’라는 말이 조련된 매가 꿩을 앞에 두고도 별다른 관심이나 행동을 보이지 않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는 정말 흥미롲다이 표현은 본래 ‘매가 사냥감 앞에서 시큰둥한 태도’를 묘사하는 말에서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의 무심하고 냉담한 태도를 나타내는 관용어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또한 이 표현은 단순히 무심한 태도를 넘어서, 내면의 냉담함이나 관심 부족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데 사용되며, 상대방의 기대에 못 미치는 반응을 비판하거나 실망감을 표현하는 데도 쓰인다- dc official App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