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배음공명화성학> 5. 소리그물 기능화성학 (2)

예수님짱짱맨(115.31) 2014.11.22 05:15:49
조회 2034 추천 6 댓글 1
														

<배음공명화성학> 5. 소리그물(tone-nets) 기능화성학 (2)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fba5efd854bfda54920b2a5399a5d70cbe4307d6c87613a781727f3997805707b06fc46




[1-3]을 문맥기둥으로 하는 Tonic에 대해서 Upper/Sub로 관계맺을 수 있는 리전은 위와 같이 4개이다.


좌우관계는 P5관계라고 했다. P5관계로 [S-T-U]의 온음계의 세 문맥기둥이 형성된다.

오른쪽경사관계는 M3관계라고 했다. M3관계로 [cS-T-cU]의 반음계적 조성이 확립된다.

[cS-T-cU] 관계로부터, [화성단음계] [화성장음계] [가락단음계] [증6도화성] [장단조교착] [서브마이너] 이 모든 것이 파생된다.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fba5efd854bfda54920b2a539dc0121a5e13d7e6b856d55761728b7e5234d671b3274eb8dc73b9f



온음계 문맥의 세 기둥은 

S[4-6] T[1-3] U[5-7] 이라고, 앞에서 마르고 닳도록 얘기했었다.


그러면 위에 T에 대한 S/U, cS/cU가 있다면,

온음계 문맥의 다른 두 기둥 S와 U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겠다.

S에 대해서도 S/U, cS/cU가 존재하며

U에 대해서도 S/U, cS/cU가 존재한다.


위에 그림을 잘 보길 바란다.

S를 기준으로 S는 S.S이다.

S의 U는 물론 T이다.

S의 cS는 cS.S이다.

S의 cU는 cU.S이다.


U의 S는 물론 T이다.

U의 U는 U.U이다.

U의 cS는 cS.U이다.

U의 cU는 cU.U이다.


이렇게 하나의 온음계에 대해서, 총 11개의 문맥적 리전이 발전된다.

언급되지 않은 리전은 [O]리전은(opposite맞은편의), T의 반대편에 가장 멀리 있는 ‘어둠’의 리전이다.


cS.S / cS.U / cU.S / cU.U

이렇게 합성된 이름을 가진 리전의 경우, 토닉으로부터 “두 가지”의 경로를 취할 수 있다.

즉, cS.S리전으로 가는 길은, cS->S로 가는 길과 S->cS로 가는 길, 두 가지가 존재한다.

cS.U로 가는 길은, cS->U와 U->cS

cU.S로 가는 길은, cU->S와 S->cU

cU.U로 가는 길은, cU->U와 U->cU


또 리전의 이름을 이렇게 적고보니, 

cU.S - cU - cU.U

cS.S - cS - cS.U

이러한 관계도 도출된다.

즉 cU리전에 대해서 S/U가 존재하고

cS리전에 대해서 S/U가 존재한다.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fba5efd854bfda54920b2a539dc0121a5e13d7e6b856d55761728b7e5234d671b3274eb8dc73b9f


그리고 중요한 점은,

cU.S와 cS.U는 토닉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온음계문맥에서 T에서 U로 움직인 후에 S로 움직여서 T로 돌아오면서 조성을 확립한다.

토닉 - U->S - 토닉 (가령 I-V-I)


이와 마찬가지로,

토닉 - cU->S - cU.S토닉 (가령 VIm - IIIM - VIM, 단조의 Im-VM-IM)

토닉 - U->cS - cS.U토닉 (가령 I-V-Im)


이리하여 장단조교착이 이루어진다.


---------------------------

또 하나의 놓쳐서는 안되는 cS/cU의 관계성이 바로 S.S와 U.U 사이에 있다.

즉 U.U로부터 cS로 미끄러져내려가 S.S에 다다를 수 있다.

대표적으로 IIM - bVIIM - VIm 진행이다.

단조표기로 하자면 IVM - bIIM(네아폴리탄) - Im 이런 익숙한 진행이다.


(위 표에서 햇갈리지 말 것은, 아래에 단조도수 표기가 있는데 이것은 “서브마이너”로 굴절될 때의 도수관계이다. 물론 단조도수에 익숙하겠지만, 앞으로 장조에 대하여 “서브마이너”만 단조도수로 표기할 것이고, 토닉마이너는 I의 나란한조인 VIm을 기준으로하여, 장조와 단조를 동일하게 표기할 것이다. 이것에 익숙해야만 한다.)


이처럼 온음계적인 S/U 움직임 말고도, 반음계적으로 직접적인 관계에 놓은 cS/cU의 관계망을 요리조리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


T에 대해서 S/U, cS/cU는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만,

그 나머지 리전들은 S와 U를 통해서 관계맺고 있으므로 간접적인 관계다.


얼핏 생각해서는 b7과 #4변화음으로 인한 SS나 UU 리전이 cS나 cU보다 더 가까울 것 같아보이지만, SS/UU는 토닉에 대해서 엄연히 간접적인 관계에 있다.

서브마이너 화음들(cS)과, IIIM 또는 단조 도미넌트(cU) 같은 화음들이 토닉에 대해서 직접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곧바로 굴절될 수 있지만,

네아폴리탄화음(SS)이나 더블도미넌트 IIM(UU) 같은 화음은, 토닉에서 직접 굴절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종지 근처에서 다른 리전과 간접적인 관계로 엮어서 진행하고 있다.


물론 토닉에서 곧바로 SS나 UU로 접어든다면 그 생소한 관계성이 부각되면서 선법적인 사운드를 내게 된다.


그런데 UU보다는 SS가 그나마 온음계에서 가까운 편인데,

UU[b7-2]가 언급될 때 [5-b7-2]Vm으로 등장해도 문맥기둥음 5음 때문에 부드럽고,

[b7-2-4]bVII로 등장해도 문맥기둥음 4음 때문에 부드럽다.

그러나 SS[2-#4]는 [2-#4-6]IIM으로 하든 [7-2-#4]VIIm으로 하든 문맥 안에서 약한 음들이라서 뚜렷하고 부드러운 편은 아니다.


소리그물을 대략적으로 보는 방법은 여기까지 설명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이 그물망을 친숙하게 읽을 수 있도록 상술해보자.

------------------------------------------------------------


다음은 소리그물 안에서 읽을 수 있는 기본적인 화음도형들이다.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fba5efd854bfda54920b2a539dc0121a5e13d7e6b856d55761728b7e2264c634b3571bb8dc73b9f



우선 장/단 화음을 보자.

온음계의 영역은 가로로 나란히 3개 영역이다.

온음계 안에서 오르가눔이 배음공명적으로 깨지지 않고 쫙펼쳐서 나열할 수 있는 경우는

1) 장화음 위로 리디안 오르가눔

2) 단화음 위로 도리안 오르가눔

이렇게 두 가지이다.


하여간 장화음이면 무조건 리디안이고, 단화음이면 무조건 도리안이라고만 생각해라.


장화음 계열에서

1) 배음공명이 깨지지 않는 [리디안]은 어보이드가 없다.

2) #4->4로 [이오니안]이 된다. 위 그림을 보면 4음만 배음공명을 깨뜨리고 있다. 그래서 4가 어보이드다.

3) 7->b7로 [믹솔리디안]이 된다. b7음은 배음공명을 깨뜨리지만, 도미넌트 주기공명 [1-3-b7]을 이룬다(1강에서 너무 심하게 계속 말했다). 여전히 4음이 공명성을 해치므로 어보이드이다.


단화음 계열에서

4) 3->b3이 되면 단화음 계열로 접어든다. [리디안]은 온음계 오르가눔 안에서 배음공명이 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어보이드가 없다. (통상적 재즈이론에서 6음이 어보이드인 이유는 IIm-V7-I 모션에서 [도-시-도]라인을 살리기 위해서이다.)

5) 6->b6이 되면 [애올리언]이 된다. b6이 배음공명을 깨뜨리므로 어보이드이다.

6) 2->b2이 되면 [프리지안]이 된다. b2, b6이 배음공명을 깨뜨리므로 어보이드다. (b6이 어보이드가 아니고 ‘주의음’이라 하는 이유는, IIIm(b6)하면 IM7의 전위이므로 들어줄만한데, IM7사운드와 차별화를 위해 b6을 주의하라는 것임)

7) 5->b5이 되면 [로크리안]이 된다. 로크리안은 사실 별도의 오르가눔을 배음공명적으로 형성하지 못한다. 하지만 상성에서 [b3 b5 b7 b2 4 b6]은 서로 잘 섞이고 있고, 다만 b2음만이 근음에 대해서 단9도이기 때문에 지저분해서 b2만 어보이드 한다.(도미넌트가 아닌데 근음과 단9도가 되면 거슬리게 들린다). 또 특히 b6음은 주의음인데 V7로 들릴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

하여간 메이저나 마이너 코드를 생각하는 쉬운 방법은, 메이져는 죄다 리디안, 마이너는 죄다 도리안이라고 기본적으로 생각하고 출발하면 된다. 이게 배음공명이 깨어지지 않은 오르가눔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이어토닉에서 벗어나는 음들에 대해서는, 추가하지 않겠다면 온음계 상에서의 어보이드 노트를 패싱노트로 훑으면 될 것이고, 좀 넌다이어토닉의 맛을 내성에 주고 싶다면 여차할거 없이 메이저는 리디안, 마이너는 도리안으로 발라주면 되겠다. 

익히 알고 있듯이, IM7에서 #4가 나오는 것이나(리디안),

VIm에서 네추럴6이 나오는 것이나(도리안),

IIIm에서 네추럴2나 네추럴 6이 나오는 것이나(도리안) 말이다.


----------------------

장화음 오르가눔 왼쪽에 [6]이라 표기한 것은 M6을 나타낸 것이다. 장3화음에서 6음은 리전 내의 보조음으로서 매우 친화적이다.

단화음에 대해서도 [6]을 첨가할 수 있는데 m6화음은 실상 m7(b5)의 전위로 배음친화가 깨어진 것이다.

----------------------


그 오른쪽 그림을 보면, 도미넌트7화음과 m7(b5)화음이 있다. 보는 대로 이 화음들은 배음친화가 깨어진 상태에 있다.


m7(b5)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야할 중요한 점이 있다.

이 화음의 문맥적 기둥은 [b5-b7]에 있다. 그러므로 이 화음은 [b5-b7]을 문맥기둥으로 하는 화음에서 대리적으로 확장된 형태라는 것이다.

[1-3]에서 시작해보자. 이 문맥 기둥에서 [1-3-5] 장3화음을 형성할 수 있다.

[6-1-3-5] 단7화음도 여전히 [1-3] 문맥기둥 안에 있는 화음이다.

여기서 하성에 [4]를 추가해버리면, [4-6]이라는 새로운 문맥기둥에 삼켜지므로, 화음의 기능성이 달라져버린다. 따라서 단3도하성은 [#4]로 확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4-6-1-3]이라는 m7(b5)화음은 [1-3]문맥기둥의 기능성에 중심을 둔 대리화음이다. 즉 I의 대리화음으로 #IVm7(b5)를 사용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것은 VIm6과 같은 화음이다. 즉 단조도수의 Im6이다.


마찬가지로 [4-6] 문맥기둥에 대해서 [7-2-4-6]m7(b5) 화음은 [4-6]의 기능을 하는 대리화음이다. VIIm7(b5)화음은 단조도수상에서 IIm7(b5) 로서 S의 문맥이다. 


이런식으로 다른 모든 m7(b5)화음들도 같은 원리에 의해서 [b5-b7]문맥기둥에 근거한 대리화음이다.


---------------------------------

그 아래의 sus화음을 보자.

sus화음은 온음계를 구성하는 나란한 세 리젼으로 구성된, [도리안 오르가눔]에서

왼쪽으로 P5하성 더 확장한 상태이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근음[1]을 울리면서 상성에 b7도상의 메이저를 울리던지 5도상의 m7을 울리던지 자유롭게 할 일이다. (대표적으로 IV/V, IIm7/V 이런 화음들이다)


주목할만한 점은 sus화음임에도 불구하고 상성에 3음이 있다.

이건 원래 울려도 좋은 것이다.

주로 화성진행이라는 것이 선율의 굴절을 주기적으로 서포트해준다는 개념이기 때문에, 중역대의 프로그레션의 엉킴을 보호하기 위해 아예 3음을 어보이드 해버리는 것이지,

선율을 서포트하는 프로그레션이라는 개념의 화성이 아닌,

음향음악적 화성이나, 콜라쥬적인 미니멀리즘 화성이나, 서스의 평행진행 구간이나, 그런 화성이라면 sus위에도 마음껏 3을 울려도 좋다.


특별히 Madd4라는 생소한 표기의 화음이 있는데, 이건 장화음에 완전4도를 부가하라는 게 아니고, 위에서 설명처럼 sus화음의 상성에 3음을 얹은 화음을 그냥 저렇게 표기한거다.

팝음악에서도 주로 전주같은데서 포인트를 주는 사운드에 이런 화음을 처발른다.

[1-4-5-3] 이렇게 말이다.

이 화음을 평행진행으로 이리저리 왓다갓다 거리면 좋다. 주로 80년대 퓨전재즈의 전주 간주 엔딩 따위의 비선율구간에서 처발르는 경향이 있는 시원한 사운드이다.(주로 단3도 상승 연쇄)


sus화음은 주로 sus7[1-4-5-b7]을 사용하므로,

위 도표에서 찾을때는 가로로 5도 오르가눔으로 나란히 4개 음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


맨 오른쪽 그림에서 디미니쉬와 증화음을 보자.

이 [소리그물] 그림은, 3도 오르가눔의 연쇄를 지그재그로 그려놓았기 때문에,

오른쪽 경사는 M3의 연쇄로서 한줄로 주욱 영원히 aug화음이 연쇄적으로 이어지고,

왼쪽 경사는 m3의 연쇄로서 한줄로 주욱 영원히 dim7화음이 연쇄적으로 이어진다.


--------------------------------------------------------------------------------------------



또 계속 이어집니다.

---------------------------------------------------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eba5ef8854bfda54920b25bfc09b07f1b4a9386de90f8c43e15233c38105d963269ebf0



                               예수님짱짱맨



----------------------------------------------------------------


<배음공명화성학>



[0. 서론잡설]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50



[1. 음정의 배음관계]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55


[1-2. 음정의 배음관계(2) ]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78



[2. 온음계화성의 공명관계와 기능성 ]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87


      [중간떡밥]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107


      [막간의 답변]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48



[3. 기능화성표]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3

      

      [12key 기능표 1]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4


      [12key 기능표 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5


      [12key 기능표 3]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6


      [막간의 답변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87



[4. 선법적 화성이란?]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620



[5. 소리그물(tone-nets) 기능화성학]


      1)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27


      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28



[6. 반음계화성 스케일]


      1)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30


      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56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77914 작갤수준 ㅎㅈ(182.215) 14.12.24 591 8
77877 [배음공명화성학] 헐퀴 충격;;; [9] 예수님짱짱맨(115.31) 14.12.23 1473 8
77754 여기서 진짜 웃긴 건 [3] 굿모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22 594 11
77721 작곡 일하고 싶은 놈들에게 몇가지 조언 [8] 누룽지(223.62) 14.12.21 1896 25
77604 비트 하나 써봤씁니다 [24] 꼽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18 2973 22
77512 음악계 특히 지망생들 중에 제일 븅신같은 것들이 실용음악충 새끼들.TXT [21] ㅊㅊ퓿퓨(59.21) 14.12.17 2325 25
75871 [작곡갤] 2014 갈무으리! 컴필레'잉'션 [25] JulL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17 2052 24
77332 보지를 문질문질~ [1] ㅇㅇ(175.223) 14.12.13 735 14
77146 2014년 12월 기준 컴퓨터 견적 정리해줌 [14] 피펨즈팬(58.120) 14.12.10 677 5
77063 제2회 Steinberg공식인증 Cubase 자격시험 시행 공지!! [3] emusicmarket(124.49) 14.12.08 774 7
76840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획사에서 연락왔다 [4] ㅇㅇ(119.69) 14.12.05 986 9
76837 노래방 MR로 들어도 좋은거는 병신아 ㅋㅋㅋ [2] ㅇㅇ(175.199) 14.12.04 1147 14
76816 작곡은 믹싱이 아니다. [25] 프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04 2491 26
76762 뒤치기획사에서 연락왔다 형형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04 329 5
76513 조형기획사에서 연락왔다... [1] The(61.4) 14.11.30 735 12
76501 칸예웨스트한테 러브콜받고 미국 갔다왔다 [5] 허언증(175.197) 14.11.30 954 11
76322 듣든지 말든지 [22] ㅇㅇㅇ(211.236) 14.11.25 956 8
76282 <모달작법> 현대음악 온음계주의 중에 듣기좋은 소품 하나 [14] 예수님짱짱맨(115.31) 14.11.24 2628 10
76222 이진아같은 스타일 딱 지금 전형적인 입시생들이나 음대생들 느낌아니냐 [3] ㅁㄴ(110.14) 14.11.23 2506 11
76156 <배음공명화성학> 6. 반음계화성 스케일 (2) [5] 예수님짱짱맨(115.31) 14.11.22 7169 8
76148 보지를 벌리고 [1] ㅇㅇ(110.70) 14.11.22 604 15
76130 <배음공명화성학> 6. 반음계화성 스케일 (1) [5] 예수님짱짱맨(115.31) 14.11.22 2601 7
<배음공명화성학> 5. 소리그물 기능화성학 (2) [1] 예수님짱짱맨(115.31) 14.11.22 2034 6
76127 <배음공명화성학> 5. 소리그물(tone-nets) 기능화성학 [3] 예수님짱짱맨(115.31) 14.11.22 3090 7
76125 보지를 쪽쪽 핥핥 [2] ㅇㅇ(110.70) 14.11.22 609 13
76114 멜론에 열폭질하는 음악인들ㅉㅉ [11] ㅈㅈ(223.62) 14.11.21 771 9
76104 JYP 기획사에 곡 보는것 신중해라. [13] 나이든형(119.201) 14.11.21 2174 13
76089 음악 팁 리스트 [6] (110.70) 14.11.21 918 11
76083 작갤은 허황된거야 애들아 [8] ㅇㅇ(36.38) 14.11.20 537 5
76042 습작을 많이 만드셈 [17] ㅅㅇㅅ(112.151) 14.11.20 1318 8
75956 자작곡이다 들어봐 [5] 나이든형(119.201) 14.11.18 954 8
75923 [올해를 정리하는 모음집] 4집 - 공항 [14] 감나무사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18 690 8
75898 작곡사이트 눈팅하지마라 [7] 1(223.33) 14.11.17 1198 24
75897 작갤 주요 논란 고찰.텍스트 [1] (118.45) 14.11.17 508 12
75866 근데 클작전공이 어줍잔한 실력으로 어줍잔한 대학갈바엔 [22] Dz(221.138) 14.11.17 1590 9
75311 보지 존나 핥고 싶다 [2] ㅇㅇ(110.70) 14.11.08 661 20
74933 우리나란 애초에 예술이 발달못하는 구조임.txt [7] ㅍㅌ(199.115) 14.11.03 1112 19
74902 자작곡 08 [30] JulL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03 1836 8
74863 노래평좀 해주라 작곡가들아 [9] 무인성(27.35) 14.11.02 582 7
74795 대중가요에서 제일 꼴보기 싫은 제목류甲 [5] asdf(1.224) 14.11.01 1333 25
74722 마이크 고를때 여기라도 들어가서 보고 고르세요 [3] 마이크(175.223) 14.10.31 658 10
74671 실용음악입시 한줄요약.txt [7] ㅣㅣ(119.192) 14.10.29 1599 7
74650 [자작곡] 니애미창녀.... [3] ㅇㅇ(39.7) 14.10.28 866 19
74620 <배음공명화성학> 4. 선법적 화성이란? [4] 예수님짱짱맨(115.31) 14.10.27 3337 9
74615 안녕 개로리들아! 나 싱글 냈어! [12] ㅅㅌ(165.132) 14.10.27 912 10
74594 [왔다 자작곡] 끝내줘 (by 감나무사운드) [20] 감나무사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27 1174 9
74577 솔직히여기그냥 십하타취들만있는거 부정하지말자 [2] 이즈리얼(58.120) 14.10.27 564 9
74570 사운드 클라우드 올리는법.easy [1] ㅣㅣ(119.192) 14.10.27 694 6
74549 뮤비를 만들어봤는데 평가좀 ㅋㅋㅋㅋㅋ [22] 작곡해(183.104) 14.10.26 1420 13
74497 작갤은 뭐 말투만 진지빨고 조언이랍시고 아무렇게나 쓰면 다 개념보내주네 [6] (175.112) 14.10.24 968 2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