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러진 나비 날개 수술기

머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08.05 10:14:53
조회 107735 추천 1,301 댓글 168
														




엊그저께 공원에서 나비 주웠다는 곤붕이다.

야외에서 나비를 관찰하다 보면 날개가 부러지거나 찢어져서 

더이상 날지 못하고 죽어가는 나비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을 텐데

그냥 죽게 내버려 두는 것도 물론 자연의 섭리이긴 하다만

살리고자 하면 살리지 못할 이유도 없기에

이렇게 나비 날개 고치는 법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나비의 날개가 망가졌다함은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눠보자면 다음과 같다.


1, 날개 일부가 부러진 경우

2. 날개 일부가 떨어져 나간 경우

3. 선천적 기형이나 우화 실패로 날개가 말려들어간 경우


오늘 소개할 방법은 1의 경우를 고치는 것으로

2와 3의 경우는 나중에 기회가 있다면 그때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faef696df83e3edb536ab64



환자와 막 조우했을 때 찍은 사진이다.

한 시민공원을 산책을 하고 있었는데 잔디밭 위에서 주황색의 무언가가 팔딱 거리고 있길래 뭐지 해서 봤더니 환자였다.

해당종은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로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 크게 나타나는 종 중 하나인데,

이로 말미암아 볼 때, 환자는 암컷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말하자면, 본인이 해당 공원에서 몇 주 동안 관찰해본 바로는,

이곳에서 마주치는 암끝검은표범나비의 수컷과 암컷의 성비는 거의 8:2에 가까워서

해당 개체를 무사히 살려낸다면 이 공원의 암끝검은표범나비 개체수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 분명했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d2faa093ded1ebb8b536ab64


<object width="560" height="315"><param name="movie" value="https://www.youtube.com/v/9Uq1pewxNhQ?rel=0&version=3"></object></div>



환자를 갓 포획했을 때의 모습이다.

무의미한 날갯짓을 하느라 상당히 지쳐 있다.

영상을 재생하면 들을 수 있겠지만, 주변에 물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이 상당히 많았다.

나비의 날개가 망가지는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날개 비늘이 상당히 떨어져 있는 점으로 봤을 때

누군가 해당 개체를 잡아서 가지고 놀다가 이런 사단이 일어나지 않았나 하는 짐작을 해본다.

좆간이 미안해 ㅠㅠ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1fcf4c28881e2edb536ab64



수술을 위해 집으로 데려가기 위해 마시던 아이스티를 원샷 때리고 그 안에 환자를 모신 모습.

임시방편으로 이런 플라스틱컵에 환자를 담았지만 사실 이런 용기에 나비를 담아두면 

흥분한 나비가 용기 내부에서 날갯짓을 하다가 날개가 용기벽에 부딪혀

날개를 더 찢어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그닥 바람직하진 않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0f2f4978edceaefb536ab64



그래서 작은 지퍼백을 구해다 다시 환자를 담았다.

이렇게 지퍼백에 나비를 담아둔다면 날갯짓을 하다가

날개를 더 찢어먹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 이제 수술을 시작해보자.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6c8ee9271741341b7b0e91b99750dee312e3b6b1ee9bb9301c6e79



수술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카드보드지

헌수건

베이비파우더(기타 입자가 고운 파우더류로 대체 가능)

순간접착제

굵은 철사(두꺼운 비닐 피막이 있는/세탁소 옷걸이로 대체 가능)

나무 이쑤시개

면봉

핀셋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6aaf694daddebedb536ab64



환자의 모습.

네발나비과에 속하는 나비답게 다리가 네 개 뿐인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퇴화된 작은 앞다리 한 쌍을 볼 수 있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2f3f7958dd4b7bfb536ab64



환부를 자세히 찍어본 모습.

10mm 정도로 크게 찢어져 있었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ef9fcc0de87ebedb536ab64



곤충의 날개에 있어서, 시맥(翅脈)은 날개를 지지하고 보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맥에 손상을 입은 곤충은 비행능력이 떨어지거나 사라지고 만다.


경험해본 바로는 나비들은 대개 앞날개 전연(앞가장자리, costa)에 위치한

아전연맥(subcosta vein)중실 상부를 감싼 경맥(radial vein)에 손상을 입으면 비행능력을 상실하는 듯 했다.

아무래도 비행 시 해당 부위에 부하가 가장 크게 걸리기 때문일 것이다.

오른쪽의 그림은 환자의 환부를 표시해본 것이다.

해당 그림은 수술 이후에 그려진 그림이며 한국나비시맥도감(손상규著)을 보고 그린 것이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0fdfd91dcd5e0eeb536ab64



환부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카드보드지를 제단하자.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2f3f3c18edce7ebb536ab64



미리 카드보드지를 제단해놔야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환자가 받게 될 부담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eafa7c28ad0e4bab536ab64



수술 직전 환자의 모습.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6f2f090dcdce7b8b536ab64



헌수건을 두툼하게 포갠 후

그 위에 환자를 올려놓고

굵은 철사로 사진과 같이 환자의 몸을 고정하고

환자가 큰 부담을 느끼지 않을 만한 무게의 사물(본인은 수정테이프를 이용했다)을 철사 위에 올려 환자를 제압한다.


헌수건을 깔아둠으로써 환자가 철사의 하중을 완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개에 접착제를 바를 때 혹시나 접착제가 새서 날개와 붙게 되더라도

다른 물질에 비해 쉽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헌수건을 사용한다.


환자를 고정할 때 환자의 다리가 꺾여있지 않도록 주의하자.

아무렇게나 대충 고정하고 수술해서 날개를 고쳐내도 다리가 부러져서

날개병신에서 다리병신으로 환부가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앞날개와 뒷날개가 겹쳐있지 않도록 날개를 제대로 펴놓고 수술하도록 하자.

접착제 때문에 앞날개와 뒷날개가 붙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d5adfdc5d5d7b1b9b536ab64



접착제를 붙이기 전에 날개를 정렬하자.


환자의 머리 위에 검은 종이 쪼가리를 올려둔 건

고인, 아니 고충(故蟲)으로 만들어버리겠다는 의지의 표상이 아니다.

이렇게 환자의 시야를 어둡게 하면 구속된 환자가 안정감을 느껴

'덜' 발악해서 수술이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fa8a095d980b4efb536ab64



나무 이쑤시개에 접착제를 발라 날개에 접착제를 도포하자.

나무 이쑤시개를 쓰는 까닭은 우선 표면적이 작고,

소재 특성상 접착제가 발라져 있어도 나비 날개와 덜 달라붙기 때문이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6fffc9588d3e4bdb536ab64



그리고 재단해놓은 카드보드지를 붙이자.

한 번 올리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신중하게 작업해야 한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3a9f495ded3b0eeb536ab64



카드보드지를 살짝 눌러 접착제가 카드보드지 부착면 전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하자.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3fda3c78fd6e0efb536ab64



접착제가 마를 시간을 충분히 두고 나서

수술 부위에 베이비파우더를 도포한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5fdf4c2d9d4b7eab536ab64



혹시나마 접착제가 덜 굳어있다면 날개가 반대쪽 날개나 뒷날개와 붙어버릴 수도 있는데

베이비파우더를 뿌리면 덜 굳은 접착제에 베이비파우더가 붙어 접착력을 제거한다.

베이비파우더는 잔여 접착제 때문에 날개가 붙어버리는 그런 사태를 방지하게끔 하는 일종의 보험인 셈이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faaf0c0dcddb4e8b536ab64



면봉으로 베이비파우더를 다시 걷어주면...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ffff091d9d1e0eeb536ab64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8efaa6918ed0b1ecb536ab64



수술이 끝났다!

수건 보풀이 살짝 붙어버려 눈에 좀 거슬리긴 하지만 비행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다.






<object width="560" height="315"><param name="movie" value="https://www.youtube.com/v/vhNQHQfg2SE?rel=0&version=3"></object></div>



수술 직후 날개를 움직이는 모습이다.

우리의 환자는 절대 안정이고 나발이고 그냥 빨리 날아가고 싶은가 보다.

카드보드지가 환부를 확실히 고정해서 첫 번째 동영상과 비교해보면

이제 날갯짓을 해도 날개가 접히지 않는다는 것이 확실하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d5a8f795dcd4b0e3b52cb564


<object width="560" height="315"><param name="movie" value="https://www.youtube.com/v/Erb49dXttRg?rel=0&version=3"></object></div>



5분 내외의 수술이 끝났을 때는 이미 밤이 깊어

수술 받느라 고생했을 환자의 영양을 챙겨주고 한숨 푹 재운 후

날이 밝으면 풀어주기로 했다.






viewimage.php?id=24b3c323e6c6&no=24b0d769e1d32ca73fef80fa11d028314d28878c8e439571894d71b565e3c7c89d7e02a562ea28dcb8491643371b710992d7aaf7918ad5ebedb536ab64



그리고 다음날 아침.

과연 우리의 환자는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 것일까?

그 결말은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자.































<object width="560" height="315"><param name="movie" value="https://www.youtube.com/v/pDhq-4cVnOw?rel=0&version=3"></object></div>



응 잘가~


이상으로 부러진 나비 날개 수술기를 마치고자 한다.

대충 쓰고 끝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글이 길어져 글 쓰는데 시간이 걸렸지만

이 글을 읽은 곤붕이들 중 몇몇은 이제 더이상 다친 나비를 그냥 지나치지 않으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제부터라도 

길을 걷다가 날개가 부러져 날지 못하는 나비를 보면

집에 데려와 치료하고 배를 채워 다시 날려보내줄 수 있는,

그런 가슴 뜨거운 곤붕이가 되보는 건 어떨까?











추천 비추천

1,301

고정닉 90

1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공지 ※ 곤충 갤러리 공지글 ※ [12] 개미똥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1 13277 22
공지 곤갤에 흔히 올라오는 질문 유형 [86] AVI(99.30) 11.10.25 69996 272
공지 2013 곤충갤 사육 가이드 (사슴벌레/장수풍뎅이/밀웜/왕잠자리/풀벌레) [21/1] 춘(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13 26877 33
공지 곤충 갤러리 이용 안내 [222] 운영자 07.01.15 44702 23
313797 집에곱동이들어옴 곤갤러(110.8) 08:14 3 0
313796 이 친구 이름이 뭐에요?? [1] 정실은사쿠라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 0
313795 임마는 뭐지 곤갤러(211.235) 05:57 16 0
313794 이거 화상벌레 집에 나온거같은데 곤갤러(119.204) 05:35 20 0
313793 얘 이름머임? 곤갤러(106.101) 04:20 19 0
313791 얘 무슨곤충임? 카멜레이시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3 30 0
313790 이 친구는 이름이 뭘까요 큰두루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26 0
313789 길가다 매미 찍은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30 0
313788 이거 무슨 나방인가요? 집에서 자꾸 나와 ㅠㅠ 곤갤러(118.235) 03:15 26 0
313787 혐) 어떤 바퀴인지 알 수 있을까요? [1] ㅇㅇ(211.235) 03:08 39 0
313786 어떤 바퀴 유충일까요.. [8] ㅇㅇ(115.92) 02:52 86 0
313785 이거 무슨 하늘소임? [1] 줌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0 36 0
313784 끝무늬녹색먼지벌레? [1] 곤갤러(218.146) 02:50 34 0
313782 챗지피티 성능 좋네 곤갤러(39.7) 02:28 31 0
313781 이거무슨벌이에요? [1] 로청갤러(221.141) 02:24 31 0
313778 어떤 바퀴일까요. [9] ㅇㅇ(115.92) 01:46 80 0
313777 길걸어 다니다가 봤어요 [1] 곤갤러(114.204) 01:31 34 0
313776 바퀴벌레 당첨이냐? ㅇㅇ(118.235) 01:27 38 0
313775 ㅜㅜ이거 머에여..? 곤갤러(14.35) 01:26 34 0
313774 하늘소 주웠다 ㅋㅋ 곤갤러(211.57) 01:26 32 0
313773 학교 후배 섹트찾았는데 어캄?? 헤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30 0
313772 밥 먹는데 계속 벌레나옴 이거 뭐임? [7] 곤갤러(118.220) 01:13 54 0
313771 이거 무슨 곤충인가요.. 하늘소같기두 곤갤러(106.101) 01:10 32 0
313770 내가 요즘 폭죽 실험하는 애벌레들 사진 [1] ㅇㅇ(211.224) 01:10 30 0
313769 농진청 : 큰광대노린재 냄새 뇌기능에 좋아.. 순수한그자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22 0
313768 이새끼 러브버그 맞죠 곤갤러(39.7) 00:59 32 0
313767 왜 유독 바퀴벌레는 무서운걸까 [1] ㅇㅇ(121.170) 00:57 28 0
313766 이거 무슨벌레에요? [3] ㅇㅇ(14.40) 00:41 57 0
313765 노린재 냄새가 안좋은가? [2] 반쪽이반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3 22 0
313763 소용돌이 모양으로 착지하는 벌레도 있음??? [5] 곤갤러(119.199) 00:26 50 0
313762 이건뭐임 [2] or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3 60 0
313761 이사왓는데 벌레가 나와요 무슨벌레인가요 [2] 곤갤러(118.235) 00:09 51 0
313760 나방유충한테 분수폭죽으로도 실험해봤었는데 [3] ㅇㅇ(211.224) 00:07 48 0
313759 제발 알려주세요 [2] 곤갤러(222.121) 00:07 57 0
313758 곤충갤 덕분에 권연이라는 존재를 알게되었고 ㅇㅇ(211.179) 00:00 24 0
313757 이거 무슨종임? [3] ㅇㅇ(49.166) 07.25 58 0
313756 엉덩이 간지러워서 긁었더니 진드기다 곤갤러(211.36) 07.25 35 0
313755 얘는 누군가요 [2] 곤갤러(118.235) 07.25 49 0
313754 노린재는 어케 잡음 [1] ㅇㅇ(58.143) 07.25 35 0
313753 이거 대채 무슨 곤충임?? [9] ㅇㅇ(121.170) 07.25 69 0
313752 소금쟁이는 주택가에 많음? [1] ㅇㅇ(121.176) 07.25 24 0
313751 이거 무슨 하늘소인가요? [1] 곤갤러(183.106) 07.25 48 0
313750 이거 쥐박각시 였을까 [1] 아기별집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4 0
313749 이 시발 이거머임? [12] ㅇㅇ(210.117) 07.25 93 0
313748 귀엽다는 나방 애벌레 [4] 순수한그자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43 0
313747 집에 자꾸 벌이 쳐들어오는데 [1] 곤갤러(211.241) 07.25 35 0
뉴스 십센치, 7년 11개월 만에 정규 5집으로 돌아온다…선공개 싱글 ‘춤’으로 컴백 예열 디시트렌드 07.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