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번역 자료입니다.
- 기사 철십자장이란 -
본래 이름은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릿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로, 직역하자면 \'철십자 中 기사 철십자\'라는 뜻 되겠다.
본래 기사 철십자장은 1939년 새로이 제정된 1급 철십자장을 수훈한 사람에 한하여 수훈되는 것으로 주로 전장에서 훌륭한 지휘 능력을 발휘한 자에게 수여되었다. 또한 잠수함 함장의 경우에는 10만톤 이상을 격침시킬 때 수여되었으며 공군 조종사들은 기본 20점을 채워야 수여되었는데 단발기 격추 시 1점, 쌍발기 이상은 2점, 야간 격추 시 배로 받는다. 물론 이 기준은 동부 전선에서 경이로운 숫자로 격추 기록을 세운 에이스들 덕분에 상향조정된다.
기사 철십자장을 수훈한 사람은 기사 철십자장 위에 장식을 추가함으로써 훈장의 급을 높일 수 있었는데, 백엽, 검, 다이아몬드, 황금 순이었다. 이 장식들의 이름을 넣어 상위 계급 훈장을 다음과 같이 부른다.
백엽 기사 철십자장(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s)
검 백엽 기사 철십자장(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dem Eichenlaubs mit Schwertern)
다이아몬드 검 백엽 기사 철십자장(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dem Eichenlaubs mit Schwertern und Brillanten)
다이아몬드 검 황금 백엽 기사 철십자장(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dem goldenen Eichenlaub mit Schwertern und Brillanten)
다음은 1939년 9월 1일에 제정된 철십자장의 수여 기준이다.
= 새로이 제정된 철십자장의 수여 규정 =
규정 1)
수여될 수 있는 철십자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2급 철십자장
1급 철십자장
기사 철십자장
대철십자장
규정 2)
철십자장은 적을 상대하는데 대단한 용감성을 보여주었거나 부대 지휘에 있어 훌륭한 공훈을 세운 자에게만 수여된다. 상위 계급의 훈장을 받기 위해선 이전 훈장 수여에 부합하는 공적보다 더 나은 공적을 보여주어야한다.
규정 3)
나(총통)는 나에 대한 전쟁의 판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을 때 수훈되는 대철십자장의 수훈을 보류하도록 하겠다.
규정 4)
2급 철십자장과 1급 철십자장은 구형 철십자장과 크기와 모양이 동일하도록 한다. 앞 부분에 스바스티카와 1939년 재제정 연도 양각만 빼고.
2급 철십자장은 흑-백-적 리본을 단추 구멍에 끼우거나 약장의 형태로 패용한다. 리본이 없는 1급 철십자장은 왼쪽 가슴에 패용한다. 1급 철십자장보다 조금 더 큰 기사 철십자장은 흑-백-적 리본과 함께 목에 두른 형태로 패용한다. 대철십자장은 대략 1급 철십자장의 2배 크기이며 가장자리에 은색 장식이 아닌 금색 장식이 들어간다. 역시 흑-백-적 리본과 함께 목에 둘러 패용한다.
규정 5)
제 1차 세계 대전 때 2급 철십자장이나 1급 철십자장을 수훈한 사람이 재수훈할 경우 새로이 제정된 철십자장 대신 2급 철십자장은 리본 위에, 1급 철십자장은 훈장 위에 약장을 추가로 패용한다.
규정 6)
수훈자에게는 수훈증서가 수여된다.
규정 7)
수훈자가 사망하더라도 그의 상속자가 철십자장의 소유권을 가진다.
규정 8)
위 규정은 군최고사령관과 정부 수상과 장관 사무국 총리의 만장일치로 결정된 것이다.
1939년 9월 1일, 베를린
총통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군최고사령관
빌헬름 카이텔(Wilhelm Keitel)
내무부 장관
빌헬름 프리크 박사(Doktor Wilhelm Frick)
제국 수상, 장관 사무국 총리, 제국 의회 의장
옷토 마이스너(Otto Meißner)
수훈자 명단에 들어가기 앞서 일러두는 말.
a) 계급의 번역에 대해
명단에 나오는 계급만 기재합니다.
-병
Schütze(병과에 따라 다름) - 이병
Gefreiter, SS-Sturmmann - 상병(공군, 해군 구별 안함)
Obergefreiter, Oberjäger, SS-Rottenführer - 병장(공군, 해군 구별 안함)
Stabsgefreiter - 상급병장
-부사관
Unteroffizier, Bootsmannsmaat(병과에 따라 다름), SS-Unterscharführer - 하사
Feldwebel, Wachtmeister, Oberbootsmann(병과에 따라 다름), SS-Oberscharführer - 상사
Oberfeldwebel, Oberwachtmeister, SS-Hauptscharführer - 상급상사
Hauptfeldwebel - 원사
Stabsfeldwebel, Stabswachtmeister, Stabsoberbootsmann - 상급원사
-사관후보생
Fahnenjunker - 하급사관후보생
Oberfähnrich, SS-Standartenoberjunker - 상급사관후보생
-위관
Leutnant, SS-Untersturmführer - 소위
Oberleutnant, SS-Obersturmführer - 중위
Oberleutnant, Rittmeister, Kapitänleutnant, SS-Hauptsturmführer - 대위
-영관
Major, Korvettenkapitän, SS-Sturmbannführer - 소령
Oberstleutnant, Fregattenkapitän, SS-Obersturmbannführer - 중령
Oberst, Kapitän, SS-Standartenführer - 대령
SS-Oberführer - 상급대령
-장관
Generalmajor, Konteradmiral, SS-Brigadeführer - 소장
Generalleutnant, Vizeadmiral, SS-Gruppenführer - 중장
General, Admiral, SS-Obergruppenführer - 대장
Generaloberst, Generaladmiral - 상급대장
Generalfeldmarschall, Großadmiral - 원수
-경찰계급
Major der Schupo - 경정
Oberstleutnant der Schupo - 상급경정
b) 작위와 학위에 대해
명단에 나오는 작위는 많이 없습니다만 대체로 나오는건 다음과 같습니다.
Ritter(릿터) - 기사
Edler(에들러) - 오스트리아 귀족
Freiherr(프라이헤르), Baron(바론) - 남작
Reichsfreiherr(라이히스프라이헤르) - 직속남작
Graf(그라프) - 백작
Prinz(프린츠) - 대공(본래 왕자가 맞으나 껄끄럽지 못하여 변경)
작위는 바이마르 공화국 때 폐지되었습니다만(평민들도 von, van을 성씨 앞에 붙일 수 있게 되었음) 1대에 한해 그 이름을 물려줄 수 있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번역을 다음과 같이 하였습니다.
Ex. Hasso-Eccard Freiherr von Manteuffel -> 핫소-에카르트 폰 만토이펠 남작
Ex.2 Hermann Graf -> 헤르만 백작 X -> 헤르만 그라프
또, 당시엔 학위를 이름에 같이 적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만큼 대학가기가 힘들던 시절이었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학위도 같이 번역합니다.
Dr.(Doktor) - 박사
Dipl.(Diplom) - 학사
Prof.(Profesor) - 교수(여기서는 해당 학과의 인정된 권위자를 말합니다.)
뒤에 따라오는 학과는 생략합니다.
Ex.) Dr. med. dent. Karl Mauss -> 카를 마웃스 의학·치의 박사 -> 카를 마웃스 박사
c) genannt에 대해
genannt(게난트)는 본래 \'~라는 이름의, 이름 붙은\' 는 뜻입니다. 보통 입양되었을 때 쓰는 모양인데 생략해도 그만이지만 입양 전의 성씨를 나타낼 때 씁니다.
Ex. Erich von Lewinski genannt von Manstein(에리히 폰 레빈스키 게난트 폰 만슈타인) -> \'폰 만슈타인\'이라 이름 붙은 에리히 폰 레빈스키(실제로 만슈타인은 레빈스키家에서 만슈타인家로 입양되었습니다).
= 기사 철십자장 수훈자 =
그럼 이제부터 히틀러에게 가장 충성했던 자들의 이름을 보시겠습니다.
이름 - 봐둠직한 사람
[A]
아돌프 아벨(Adolf Abel) 육군 소령, 제 364 척탄병 연대 제 1 대대 - 1943. 09. 23.
요제프 아벨(Josef Abel) 육군 상급상사, 제 217 보병 연대 제 7 중대 - 1941. 11. 23.
아르눌프 아벨레(Arnulf Abele) 육군 대위, 제 134 제국척탄병 연대 제 1 대대 - 1944. 02. 12.
에리히 아브라함(Erich Abraham) 육군 대령, 제 230 보병 연대 - 1942. 11. 13.
에리히 아브라함(Erich Abraham) 육군 소위, 제 13 기갑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4. 01. 20.
루돌프 아브라함칙(Rudolf Abrahamczik) 공군 중위, 제 2 폭격비행단 제 14 중대 - 1944. 02. 29.
헤르베르트 아브라티스(Herbert Abratis) 공군 대위, 제 1 강하엽병 연대 제 2 대대 - 1944. 10. 24.
알브레히트 아힐레스(Albrecht Achilles) 해군 대위, U-161 - 1943. 01. 16.
게오르크 악커만(Georg Ackermann) 공군 소위, 제 53 폭격비행단 제 5 중대 - 1945. 03. 27.
헬뭇 아담(Helmut Adam) 육군 중위, 제 192 돌격포 대대 제 3 중대 - 1941. 11. 21.
파울 아담(Paul Adam) 육군 예비역 소령, 제 158 척탄병 연대 - 1943. 04. 18.
빌헬름 아담(Wilhelm Adam) 육군 대령, 제 6 군 사령부 - 1942. 12. 17.
펠릭스 아담오비취(Felix Adamobitsch) 육군 대위 - 제 904 돌격포 여단 제 3 연대 - 1944. 10. 20.
미르발디스 아담존스(Miervaldis Adamsons) 무장친위대 소위, 제 44 SS 척탄병 연대 제 6 중대 - 1945. 01. 25.
호르스트 아데마잇(Horst Ademeit) 공군 소위, 제 54 전투비행단 제 1 대대 - 1943. 05. 01.
파울 아돌프(Paul Adolff) 공군 예비역 대위, 제 1 강하공병 대대 - 1944. 03. 26.
발터 아돌프(Walter Adolph) 공군 대위, 제 26 전투비행단 제 2 대대 - 1940. 11. 13.
프리드리히 아트리아노(Friedrich Adriano) 육군 대위, 제 171 전차엽병 대대 - 1944. 12. 26.
요제프-후베르트 아트리안(Josef-Hubert Adrian) 육군 상급상사, 제 24 척탄병 연대 제 6 중대 - 1945. 03. 28.
프릿츠 아에히트너(Fritz Aechtner) 공군 상급상사, 제 5 근거리항공정찰단 제 1 중대 - 1944. 12. 20.
에르하르트 아프헬트(Erhard Afheldt) 공군 중위, 제 2 강하엽병 연대 제 2 대대 - 1945. 03. 17.
에곤 아가타(Egon Aghata) 육군 예비역 중위, 베를린 제 3 공군 지역 부대 - 1945. 02. 03.
하인리히-빌헬름 아네르트(Heinrich-Wilhelm Ahnert) 공군 상급상사, 제 53 전투비행단 제 1 대대 - 1942. 08. 23.
알베르트 아렌스(Albert Ahrens) 육군 상급상사, 제 31 전차엽병 대대 제 3 중대 - 1943. 07. 25.
힌리히 아렌스(Hinrich Ahrens) 육군 하사, 제 1141 척탄병 연대 제 13 중대 - 1943. 07. 25.
빌헬름 아렌스(Wilhelm Ahrens) 육군 대위, 제 17 척탄병 연대 제 3 대대 - 1944. 05. 04.
라인하르트 아이겐(Reinhard Aigen) 공군 상급상사, 제 4 폭격비행단 제 7 중대 - 1944. 06. 30.
헤르만 알버(Hermann Alber) 무장친위대 상병, 제 20 SS 기갑척탄병 연대 제 9 중대 - 1944. 12. 26.
로베르트 알버(Robert Alber) 육군 예비역 대위, 제 201 전차 대대 제 1 중대 - 1943. 09. 07.
한스-빌헬름 알버스(Hans-Wilhelm Albers) 육군 대위, 제 1 포병 연대 제 1 대대 - 1943. 05. 10.
빌헬름 알베르트(Wilhelm Albert) 육군 예비역 대위, 제 35 전차엽병 대대 - 1945. 02. 14.
옷토 알베르츠(Otto Alberts) 육군 예비역 대령, 제 501 척탄병 연대 - 1943. 12. 10.
에곤 알브레히트(Egon Albrecht) 공군 중위, 제 79 중전투비행단 제 9 중대 - 1943. 03. 01.
프릿츠 알브레히트(Fritz Albrecht) 육군 대령, 마크데부르크 방위 부대 사령관 - 1945. 04. 19.
쿠르트 알브레히트(Kurt Albrecht) 육군 대령, 제 172 포병 연대 - 1944. 11. 03.
쿠르트 알브레히트(Kurt Albrecht) 육군 예비역 대령, 제 948 척탄병 연대 - 1945. 02. 28.
오스카르 알브레히트(Oskar Albrecht) 육군 하사, 제 15 엽병 연대 제 14 중대 - 1941. 07. 24.
빌리 알브레히트(Willy Albrecht) 육군 예비역 대위, 제 734 엽병 연대 제 1 대대 - 1945. 09. 05.
루돌프 알부스트(Rudolf Albust) 육군 병장, 제 129 전차엽병 대대 제 2 중대 - 1943. 12. 19.
에른스트 알렉스(Ernst Alex) 육군 상급상사, 제 243 돌격포 대대 제 1 중대 - 1941. 08. 01.
요제프 알러베르거(Josef Allerberger) 육군 병장, 제 3 산악엽병 사단 - 1945. 04. 20.(불확실)
하인츠 알러스마이어(Heinz Allersmeier) 육군 예비역 소령, 제 181 야전 보충 대대 - 1944. 12. 09.
프리드리히 알마허(Friedrich Allmacher) 육군 예비역 대위, 제 366 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4. 03. 07.
카를 알멘딩어(Karl Allmendinger) 육군 소장, 제 5 엽병 사단 - 1941. 07. 17.
카를 알름(Karl Alm) 육군 대위, 제 353 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4. 08. 12.
프리드리히 알퍼스(Friedrich Alpers) 공군 소령, 제 4 원거리항공정찰 대대 - 1942. 10. 14.
에두아르트 알타허(Eduard Altacher) 육군 대위, 제 143 산악엽병 연대 제 2 대대 - 1944. 11. 18.
카를-하인츠 알터만(Karl-Heinz Altermann) 육군 중위, 제 25 기갑척탄병 연대 제 1 중대 - 1944. 10. 04.
구스타프 알트만(Gustav Altmann) 공군 중위, \'코흐(Koch)\' 강하엽병 돌격 대대 - 1940. 05. 12.
루돌프 알트슈탓트(Rudolf Altstadt) 육군 예비역 대위, 제 380 척탄병 연대 제 1 대대 - 1944. 05. 14.
구스타프 알페르만(Gustav Alvermann) 육군 예비역 대위, 제 47 보병 연대 제 10 중대 - 1940. 05. 26.
헤르베르트 아만(Herbert Amann) 육군 중위, 제 905 돌격포 대대 제 1 중대 - 1944. 02. 10.
파울 아만(Paul Amann) 공군 상급상사, 제 4 폭격비행단 제 1 대대 - 1945. 03. 12.
요제프 암베르거(Josef Amberger) 무장친위대 중위, 제 1 SS 기갑 연대 제 8 중대 - 1944. 10. 31.
로타르 암브로지우스 박사(Doktor Lothar Ambrosius) 육군 예비역 대령, 제 268 분전투부대 - 1944. 01. 24.
안톤 아마이저(Anton Ameiser) 무장친위대 소령, 제 52 SS 의용 기병 연대 - 1944. 11. 01.
귄터 아멜룽(Günter Amelung) 육군 예비역 소위, 제 123 기병 대대 제 5 중대 - 1943. 01. 15.
하인츠-귄터 아멜룽(Heinz-Günter Amelung) 공군 대위, 제 77 급강하폭격비행단 제 5 중대 - 1942. 07. 15.
지크프리트 아머캄프(Siegfried Amerkamp) 육군 병장, 제 459 척탄병 연대 돌격 중대 - 1943. 11. 24.
프릿츠 아믈링(Fritz Amling) 육군 상사, 제 202 돌격포 대대 제 3 중대 - 1942. 12. 11.
프란츠 암만(Franz Ammann) 육군 소위, 제 62 척탄병 연대 제 5 중대 - 1943. 08. 23.
헤르만 암머(Hermann Ammer) 육군 예비역 대위, 제 62 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3. 10. 12.
요아힘 폰 암스베르크(Joachim von Amsberg) 육군 대령, 제 502 척탄병 연대 - 1945. 05. 09.
로베르트 안칸스(Robert Ancans) 무장친위대 소위, 제 19 SS 야전 보충 대대 - 1945. 01. 25.
카를 안더스(Carl Anders) 육군 대령, 제 484 척탄병 연대 - 1944. 05. 04.
프리드리히 안더스(Friedrich Anders) 육군 상급상사, 제 2 기갑정찰 대대 제 3 중대 - 1943. 08. 14.
리하르트 안더스(Richard Anders) 공군 중위, 제 12 근거리항공정찰 대대 - 1944. 07. 27.
쿠르트 안더젠(Kurt Andersen) 육군 대령, 제 153 육군 방공포 연대 - 1942. 12. 23.
프리드리히 안딩(Friedrich Anding) 육군 소위, \'그로스도이췰란트(Großdeutschland)\' 전차엽병 대대 - 1945. 05. 08.
쿠르트 안도르퍼(Kurt Andorfer) 공군 중위, 제 77 급강하폭격비행단 제 2 중대 - 1944. 03. 26.
볼프 안드레아에(Wolf Andreae) 육군 대령, 제 71 베르퍼 연대 - 1944. 06. 24.
하리 안드레(Harry Andree) 육군 소령, 제 504 척탄병 연대 제 1 대대 - 1944. 05. 04.
에른스트 안드레스(Ernst Andres) 공군 중위, 제 2 폭격비행단 본부 중대 - 1944. 07. 27.
한스 안드레스(Hans Andres) 육군 병장, 제 128 척탄병 연대 제 2 중대 - 1944. 05. 04.
옷토 앙엘(Otto Angel) 육군 예비역 하사, 제 6 전차엽병 연대 - 1945. 03. 15.
막시밀리안 드 앙엘리스(Maximilian de Angelis) 육군 중장 - 제 76 보병 사단 - 1942. 02. 09.
하인츠 앙엘마이어(Heinz Angelmaier) 육군 예비역 대위, 제 279 돌격포 여단 - 1945. 02. 18.
귄터 앙에른(Günther Angern) 육군 대령, 제 11 소총 여단 - 1940. 08. 05.
카를 앙어슈타인(Karl Angerstein) 공군 대령, 제 1 폭격비행단 - 1940. 11. 02.
귄터 안할트(Günther Anhalt) 무장친위대 대령, 제 2 SS 경찰 연대 - 1944. 08. 12.
빌헬름 안할트(Wilhelm Anhalt) 해군 대위, 제 4 소해정 함대 - 1944. 07. 03.
우도 안네켄(Udo Anneken) 육군 예비역 소위, 제 83 경보병 대대 제 1 중대 - 1944. 06 09.
차니스 안존스(Zanis Ansons) 무장친위대 대위, 제 44 SS 척탄병 연대 제 3 중대 - 1945. 01. 25.
베르너 안톤(Werner Anton) 공군 소장, 제 6 방공포 사단 - 1944. 06 18.
이오안 제오르제 안토네스쿠(Joan George Antonescu) 루마니아 육군 대장 & 수상, 루마니아 국방군 총사령부 - 1941. 08. 06.
빌헬름 안트룹(Wilhelm Antrup) 공군 대위, 제 55 폭격비행단 제 5 중대 - 1942. 11. 13.
빌헬름 폰 압펠(Wilhelm von Appel) 육군 소장, 제 9 소총 여단 - 1941. 05. 14.
페도르 아펠트(Fedor Apelt) 육군 대령, 제 102 척탄병 연대 - 1944. 02. 08.
카를리스 아페라츠(Karlis Aperats) 무장친위대 중령, 제 32 SS 척탄병 연대 - 1944. 09. 21.
빌리 아핏츠(Willy Apitz) 육군 병장, 제 81 포병 연대 제 10 중대 - 1944. 01. 01.
카를-아르투르 아핏취(Karl-Arthur Apitzsch) 육군 중위, 제 3 포병 연대 제 4 중대 - 1943. 11. 04.
쿠르트 아렌트(Kurt Arendt) 육군 대위, 제 5 전차 대대 - 1945. 02. 24.
펠텐 아렌트(Velten Arendt) 육군 대위, 제 36 기갑 연대 제 1 대대 - 1945. 03. 28.
페터 아렌트(Peter Arent) 공군 상급상사, 제 5 강하엽병 연대 본부 중대 - 1942. 12. 04.
알렉산더 폰 아렌칠트(Alexander von Arentschildt) 육군 대위, 제 76 전차 대대 제 2 중대 - 1940. 05. 05.
프릿츠 아른트(Fritz Arndt) 육군 병장, 제 32 기갑공병 대대 본부 중대 - 1943. 03. 31.
요한네스 아른트(Johannes Arndt) 육군 중령, 제 391 척탄병 연대 - 1944. 02. 23.
카를 아른트(Karl Arndt) 육군 대령, 제 511 보병 연대 - 1942. 01. 23.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Hans-Jürgen von Arnim) 육군 중장, 제 17 기갑 사단 - 1941. 09. 04.
카를 아르닝(Karl Arning) 육군 대령, 제 24 척탄병 연대 - 1943. 10. 11.
프리드리히 아르놀트(Friedrich Arnold) 육군 예비역 중위, 제 237 돌격포 여단 제 2 연대 - 1943. 11. 16.
헬뭇 아릅케(Hellmut Arpke) 공군 상사, \'코흐\' 강하엽병 돌격 대대 - 1940. 05. 13.
디트리히 아셔(Dietrich Ascher) 육군 예비역 소위, 제 159 돌격포 여단 제 2 연대 - 1945. 02. 28.
빌리 아셔펠트(Willi Ascherfeld) 육군 예비역 대위, 제 926 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5. 02. 14.
알로이스 앗스만(Alois Assmann) 육군 병장, 제 61 전차엽병 대대 제 1 중대 - 1942. 09. 18.
발터 앗스만 박사(Doktor Walter Assmann) 육군 소장, 제 101 엽병 사단 - 1945. 02. 10.
프란츠-크사버 앗텐베르거(Franz-Xaver Attenberger) 육군 상급병장, 제 144 포병 연대 제 3 중대 - 1945. 01. 21.
게오르크 아우덴리트(Georg Audenrieth) 육군 상급병장, 제 99 산악엽병 연대 제 3 중대 - 1945. 02. 10.
파울 아우도르프(Paul Audorff) 육군 중령, 제 754 척탄병 연대 - 1943. 05. 13.
카를 아우어(Karl Auer) 무장친위대 대위, 제 8 SS 경찰 기갑척탄병 연대 제 1 대대 - 1944. 10. 31.
하인츠 아우어트(Heinz Auert) 육군 소위, 제 116 기갑정찰 대대 제 2 중대 - 1945. 03. 28.
한스-하인츠 아우겐슈타인(Hans-Heinz Augenstein) 공군 중위, 제 1 야간전투비행단 제 7 중대 - 1944. 06. 09.
프란츠 아욱스베르거(Franz Augsberger) 무장친위대 소장, SS 척탄병 사단 - 1945. 03. 08.
안드레아스 폰 아울로크(Andreas von Aulock) 육군 대령, 제 226 척탄병 연대 - 1943. 11. 06.
한스 아우스텐(Hans Austen) 육군 대위, 제 487 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3. 12. 05.
요한네스 아우스터만(Johannes Austermann) 육군 소령, 제 1146 척탄병 연대 제 2 대대 - 1945. 10. 02.
아돌프 악스(Adolf Ax) 무장친위대 상급대령, 제 15 SS 척탄병 사단 - 1945. 05. 09.
에리히 악스트함머(Erich Axthammer) 공군 상사, 제 10 전폭비행단 본부 중대 - 1945. 04. 28.
발터 폰 악스트헬름(Walther von Axthelm) 공군 소장, 제 1 방공포 군단 - 1941. 09. 04.
프릿츠 악스트만(Fritz Axtmann) 육군 상급상사, 제 20 보병 연대 제 7 중대 - 1941. 08. 25.
이니셜 A 총계 : 120명
육군 : 80명
공군 : 26명
해군 : 2명
무장친위대 : 11명
딴나라 : 1명
예비역 : 21명
병 총계 : 10명
-------
상병 : 1명
병장 : 7명
상급병장 : 2명
-------
부사관 총계 : 17명
-----------
하사 : 3명
상사 : 3명
상급상사 : 11명
-----------
위관 총계 : 55명
---------
소위 : 11명
중위 : 15명
대위 : 29명
---------
영관 총계 : 29명
---------
소령 : 7명
중령 : 3명
대령 : 18명
상급대령 : 1명
---------
장관 총계 : 8명
---------
소장 : 6명
중장 : 2명
---------
기타 총계 : 1명
---------
루마니아 대장 : 1명
---------
피번역물 :
http://en.wikipedia.org/wiki/Ritterkreuz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Knight%27s_Cross_recipients:_A
http://www.lexikon-der-wehrmacht.de/Orden/Ritterkreuz/RKA-R.htm
번역자 : busut(실명 이재환)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