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A26의 日獨 무착륙 연락 비행

(투명인간) 2005.10.13 20:17:59
조회 1776 추천 0 댓글 25


A26의 日獨 무착륙 연락 비행 1937년(쇼와 12년) 「신풍호」의 도쿄-런던 무착륙 비행, 1939년(쇼와 14년) 「NIPPON호」의 세계 일주 비행. 그리고 1940년(쇼와 15년), 아사히신문사가 도쿄-뉴욕간 을 무착륙으로 나는 대비행과, 장거리 연락기 개발의 구상을 발표, 잡지 「항공 아사히」에는 완성 예상모형의 사진이 게재되기에이름. 도쿄-뉴욕간 1만 1000km을 나는데 충분한 1만 5000km의 항속 성능, 이것은 도쿄-뉴욕간은 물론, 비행 세계기록을 웃도는 대비행이 될것이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이 발발, A26 계획은 군부에의해 비밀의베일로 덮히게되고,대 중에게서멀어진다. ---------------------------------------------- 1943년(쇼와 18년) 육군 항공 본부의 川島 대장은 東條 수상에  「(___)에 의한 독일에의 연락 비행」의 입안을 명받게됨. (___)란 A26장거리 연락기의 육군에서의 시작기를 말한다. A26의 계획은 당시 장거리 비행의 세계 기록을 수립한 「航硏機」 의 멤버가 있던 東京帝國大學航空硏究所에,개발은 立川飛行機에위탁되고 있었지만 , 전쟁이 시작되고 육군의 試作計畵에 의해,(___)으로 불리게된 것이었다. 일본은 독일,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어 싸우고 있었지만, 미드웨이 해전에 패배하고, 전년의 여름부터 미국 군의 반격이 시작되어 일본은 극동에 고립되고 있었다. 日獨간의 무선 연락에서(로)은 정보의한계가있고. 요원을 보내 얼굴을 맞대고 전략 정세를 협의하고, 또 독일의 최신의 군사 기술을 물려 받을 필요도 있었다. 이미 잠수함에 의해 독일에 가고는 있었지만, 왕복에 80일넘게 걸리고,  격침되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탈리아 기가 중앙 아시아를 넘는 실크로드 항로 비행으로 만주에 도달한 것도, 정부 고위층에서 「하늘의 사자」을 파견하는 구상의 계기도 되었다. A26은 1만 5000km 이상의 항속 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수명의 승무원이 수 천 m의 고공을 장시간 날기 위한 액체 산소를 이용한 산소 마스크를 대비하고 있고, 또 순항속도도 300km/h로 장거리 기로써는 특별히 高速化도 신경을 쓴기종이다. 엔진은「零戰」에도 사용되고, 저연비와 신뢰성에 정평이 있는 나카지마 비행기제 「榮」 1000마력의 쌍발 프로펠러 효율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감속비를 크게하고, 동체는 완전한 유선형으로 조종석의 방풍단도 있지 않았다. 날개형에는 東大航硏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LB 형의 層流翼이 사용되고, 전후 NASA가 같은 연구 하고 있던 것이 밝혀졌지만, 시대의 수준을넘는  低抵抗翼型날개형이었다. A26의 능력을 볼때, 日獨간 1만 2000km의 거리는 가장큰문제는 아니지만 문제는 이탈리아 기가 통한 실크로드·루트는  소련과의 중립 조약을 자극하고 폐기의빌 미를 제공할우려가있어,싱가폴에서(부터)인도를 우회 해상을 날아, 아라비아 반도를 지나 크리미아 반도 에 도달한다는 南回코스를 비행하지않으면 안되일이었다. 이 루트의 모든것이 적의 땅인것이다. 하늘에는 전투기와 초계 기가 항상 날고 있고, A26에는 자위의 무기도 없으며 방탄도 되어있지않다. 연료를 가득실은 A26이 적의 초계기의 추적을 뿌리치는 것도 우선 불가능했고. 도중의 기후날씨변화도 알지 못하고, 비행을 숨기기 위해 무선 통신도 금지되었다. 하지만 日獨간의 연락은 A26을 의지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1943년(쇼와 18년) 7월 7일 오전 6시, 아사히신문사의 파일럿 長友 重光, 「神風號」의 기관사로써 구미 비행의 경험이있는 塚越 賢 , 그리고 항공 부원의 川崎, 杉田, 川島 元彦과 육군의 군인 (_)명을 태웠다 A26의 2호기는, 싱가폴의 (__) 비행장을 이륙, 천천히 상승해 올라갔다. 1만 2000km의 저쪽, 크리미아 반도의 사라 브스 비행장에서는 독일 군의 군 악대도 정렬하는 도착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40시간 정도에서 도착한다는 A26은 예정 시간이 지나고, 연료가 다하는 시간이 되 어도 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1통의 전신도 남기지 않은체로 연락두절 되어버린 것이다. 독일에 여로에 오른 A26은 2호기였지만, 1호기는 1944년 (쇼와 19년) 7월에, 만주에서 周回 장거리 비행에 도전하고, 戰時中의 이었기 때문에 공인 기록은아니지만 1만 6435km의 장거리 세계 기록을 수립하게된다. ---------------------------------------------------------- @#@####@#@@(태클걸분들은...다음...문제를..통과해야함!^^)#@@#@#@#@#@@ -------------------------------------------------------------- 1.A26은 일본 육군에서는 무엇이라 불리고 있었는가? (1) 키 55 (2) 키 77 (3) 키 99 2.A26이 독일에 향해 날아 올랐을때, 타고 있던 승무원은 합계몇명? (1) 7명 (2) 8명 (3) 9명 3.A26이 독일을 향해 날아 올랐을 때의 비행장의 이름은? (1) 라틴 비행장 (2) 레온 비행장 (3) 카란 비행장 4.A26이 독일로 향하는 때, 구 소련과의 중립 조약을 자극할 두려움이 있어 南回 코스로 비행 루트가 변경되었습니다, 이 때 일본이 소련과 맺고 있던 조약의 이름은? (1) 日소 불가침 조약 (2) 日소 평화 조약 (3) 日소 우호 조약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74241 호이2 이제부터 할일 [2] 문제(124.60) 10.09.11 87 0
74240 2000년대 들어와서 무슨 기준으로 친일파을 가늠하겠다는건가? [7] qwer(59.12) 10.09.11 32 0
74239 EBS 2차세계대전사 -얼어붙은 동부전선 - [3] 듣보잡놈(118.45) 10.09.11 70 0
74238 세계대전이나 현대전을 다룬 만화같은거 없나요? [7] dsd(58.142) 10.09.11 117 0
74237 브리튼에서 루프트바페가 성공했더라면 [8] 일본해병대(222.239) 10.09.11 53 0
74236 얃옹 싸이트 [1] 일본해병대(222.239) 10.09.11 82 0
74235 지난번 한-일 토양비옥도 논쟁에 관한 전문가의 의견 [5] 大元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1 103 0
74234 떡국들은 해군도 준비안했으면서 [7] M26 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1 44 0
74233 미대통령 루즈벨트가 2차대전에 참전하려고 독일, 일본을 도발했다미대통령 [16] 개나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1 64 0
74232 미국이 과달카날에서 일본 탱크와 기갑전 치르고 깜짝 놀랐다던데...사실? [8] 셔먼(121.164) 10.09.11 112 0
74229 왜 광기하면 베트남 전쟁임? [6] 무식한놈(59.6) 10.09.11 98 0
74228 대안 없는 인권 논란에 망가지는 한국 교육 [3] qwer(59.12) 10.09.11 37 0
74227 해방 후 만들어진 상상의 공동체, 친일파 [11] qwer(59.12) 10.09.11 59 0
74225 보수우파의 희생을 요구하는 퇴폐좌파의 친일론 [1] qwer(59.12) 10.09.11 23 0
74224 레이건, 대처의 이념적 스승―밀턴 프리드먼 qwer(59.12) 10.09.11 10 0
74222 엔하위키에까지 수록된 나X광팔이 주피옥(121.133) 10.09.11 49 0
74221 중일전쟁기간동안 중국인 수천만명이 죽엇다고하던데;; 진짜임? [1] ㅇㅁㅈ(121.173) 10.09.11 34 0
74220 브리튼전투에서 어떻게 하면 독일이 영국에게 항복을 받아낼수 있었을까? [4] dq(211.215) 10.09.11 70 0
74219 최고의 전술 [1] ㅇㅇ(222.239) 10.09.11 31 0
74214 네네넨씨 반갑습니다. [2] 히아킨토스(121.151) 10.09.11 42 0
74213 이해가 안가는게.. [3] 일본해병대(222.239) 10.09.10 29 0
74208 이거 참이야? 구라야? [3] 118.41(118.41) 10.09.10 37 0
74205 감벽의 함대라는 애니메이션 보신분? [9] 소는맛있다(119.196) 10.09.10 59 0
74202 2차대전 참전 나이 비율 보면 10대가 무지하게 높네 [5] ㅈㄷ(125.177) 10.09.10 69 0
74200 근데 무서운건.. 우리 사회가 최지룡만화식으로 되어가는게 아닌가 싶은거다 [7] ㅁㄴㅇㄹ(125.139) 10.09.10 92 0
74199 대공탑 짤 [2] 피라모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87 0
74198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 해본 2대갤러 있나? [14] 지나가던행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70 0
74196 근데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태평양 전쟁은 안나오나? [12] 지나가던행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960 0
74194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모의전 맵이 몽땅 실제 전장이었다는게 최트루? [4] 지나가던행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564 0
74193 중국군이 잘싸웟다는 오송에서도 일본군 피해는 약 수만인데 중국군은 [8] ㅇㄹㄹㄷㄹ(121.173) 10.09.10 115 0
74191 반딧불이묘 라는 일본 애니 본사람 있남? 덕후내용아님-_-ㅋㅋㅋㅋㅋㅋㅋㅋ [11] 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138 0
74189 최처칠이 노벨문학상 수상한 이유가 머임? [9] ㅂㅂ(116.39) 10.09.10 247 0
74188 우리학교.jpg [6] (210.119) 10.09.10 51 0
74186 근데 2차대전때 배들도 뭐 선미에 쳐맞으면 크리티컬 뜨나요? [15] 앤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74 0
74185 미국이 2차 대전 때 천조국이였던 이유.flv [3] DCarffei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59 0
74184 세계 2차대전때 미국느님들이 일본인들 강제수용소로 보낸게 왜? [11] 앤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60 0
74183 [NGC} 2차세계대전 6부작(10부작) 이거 있는 횽 있어?? [4] 육유두(211.38) 10.09.10 868 0
74182 ㅅㅌ 퇴치짤 신형 자두찌질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39 0
74181 ㅅㅌ 올때마다 퇴치짤 [20] 12(121.167) 10.09.10 87 0
74180 히틀러에 대한 흥미로운 내용이 있더라 [4] ㄴㄴㄴ(121.146) 10.09.10 49 0
74179 야코프 스탈린, 독일군복 입고 한컷 ㅎ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6] ㄱㄱㄱㄱ(59.30) 10.09.10 166 0
74175 "전격전의 전설" 을읽고...............전격전의진실 [7] 대보름(125.143) 10.09.10 223 0
74174 조선의 효종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청나라로 어택땅 했다면 어떻게 됬을까 [22] 효종(61.32) 10.09.10 157 0
74172 이베리아 반도 애들은 사실 심정적으로 독일애들 편이라면서? [2] ㅇㅇㅇ(210.99) 10.09.10 58 0
74171 이원복=최지룡? [35] ㅇㄹㅇㄹ(121.159) 10.09.10 122 0
74169 다들 2차세계대전에 빠지게 된 이유가 뭐임???????? [35] 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10 139 0
74168 이원복느님 jpg. [75] ㅁㄴㅇㄹ(175.198) 10.09.10 204 0
74165 8월 포풍, 포풍이 몰려온다!-2 [3] 이제큐터(58.142) 10.09.09 259 0
74163 대전 초기 프랑스공군 활약은 있었음? [9] 요염한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9 97 0
74162 짤방 [1] 요염한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9 27 0
뉴스 '에스콰이어' 율림 송무팀으로 뭉친 이진욱-정채연-이학주-전혜빈! 신념과 감정이 맞부딪칠 인물관계도 대공개! 디시트렌드 07.2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