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드론 강국’ 튀르키예가 일냈다, 스텔스 무인전투기 첫 비행 성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10 09:39:01
조회 1578 추천 7 댓글 20


◇ 드론 강국 튀르키예, 무인전투기까지 첫 비행 성공

드론(무인기) 강국인 튀르키예가 최근 스텔스 무인 전투기 ‘크즐레마’의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스텔스 무인전투기는 미국,러시아,중국,프랑스 등 군사강국들이 개발중인 첨단무기여서 우크라이나전 등에서 활약중인 튀르키예의 무인기 기술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튀르키예 민간 무인기 회사 바이카르 테크놀로지스(Baykar Technologies)는 지난 14일 자체 개발 제트추진 무인전투기 ‘크즐레마’의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크즐레마는 450m 길이 활주로에서 이륙해 3시간 20분간 비행한 뒤 착륙했다. 앞서 지난달엔 크즐레마의 첫 엔진 가동 및 지상 활주로 주행 시험을 가졌다. 바이카르의 최고 기술책임자 셀쿠크 바이락타르는 “우리의 국가적인 드론 모험에서 20년 간의 꿈이 오늘 실현됐다”고 말했다.

2022년12월 첫 시험비행에 성공한 튀르키예의 스텔스 무인전투기 '크즐레마'. 공대공 전투까지 할 수 있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고 경항모 운용도 가능하다. /튀르키예 바이카르 테크놀로지스

2022년12월 첫 시험비행에 성공한 튀르키예의 스텔스 무인전투기 '크즐레마'. 공대공 전투까지 할 수 있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고 경항모 운용도 가능하다. /튀르키예 바이카르 테크놀로지스


◇ 무인 전투기, 경항모에서도 운용 가능

크즐레마는 최대 이륙중량 6t, 탑재중량 1.5t으로 전투행동반경은 약 920㎞다. 우크라이나제 터보팬 엔진을 장착, 순항속도는 마하 0.6으로 초음속형도 개발된다. 10.7㎞ 고도에서 5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다. 조종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카나드(보조 날개)도 장착하고 있다.

바이카르 테크놀로지스는 홈페이지에서 크즐레마를 자동 이착륙, 스텔스 설계, 고기동성, 가시선 및 비가시선 통제, AESA(위상배열) 레이더 장착을 통한 높은 상황인식 능력, 그리고 짧은 활주로 또는 항공모함에서 운용하기 위한 단거리 이착륙 능력을 가질 것이라고 홍보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전서 활약중인 바이락타르 무인공격기도 개발

각종 미사일과 폭탄을 장착해 지상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으며, 공대공 전투까지 염두에 둔 무인전투기로 개발중이다. 특히 경항모에서 운용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튀르키예는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건조한 경항모(대형상륙함) 아나둘루에 크즐레마와 무인공격기, 정찰용 무인기 등을 탑재해 드론 항모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나둘루는 세계 최초의 드론 전용 항모가 될 전망이다.

바이카르는 우크라이나전 등 실전에서 성능을 입증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바이락타르 TB2를 개발한 회사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돈바스 등 동부 지역 분리주의 반군과의 전투를 위해 2019년 1월 튀르키예에 TB2 무인공격기를 주문했고, 같은 해 6월 첫 물량을 인도받았다. 지난 2월 우크라이나전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TB2 무인공격기를 사용하여 북부 지역에서 러시아군에 타격을 입히는 영상이 다수 공개됐다.

우크라이나전 등 실전에 활약해 명성을 떨치고 있는 튀르키예 무인공격기 바이락타르 TB2. 대전차 미사일 등 다양한 무장을 장착한다. /튀르키예 바이카르사

우크라이나전 등 실전에 활약해 명성을 떨치고 있는 튀르키예 무인공격기 바이락타르 TB2. 대전차 미사일 등 다양한 무장을 장착한다. /튀르키예 바이카르사


◇ 두 종류의 스텔스 무인전투기 개발중인 우리나라

이런 활약 때문에 우크라이나에서는 TB2 무인공격기를 칭송하는 노래까지 만들어졌고, 애완동물의 이름으로 붙이는 등 국민적 인기를 얻었다. 앞서 지난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아제르바이잔군이 TB2로 아르메니아군의 전차, 장갑차, 대공미사일 등을 파괴하는 영상이 잇따라 공개돼 국제적 관심을 끌었다. 바이카르는 경항모 탑재용으로 TB2를 개량한 TB3도 개발중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튀르키예처럼 경항모 등 항모에서 무인기를 적극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우리나라도 두 종류의 스텔스 무인전투기를 개발중이다. 가오리 계열의 스텔스 무인전투기와, 한국형전투기 KF-21을 호위할 ‘저피탐 무인편대기’ 등이다. 가오리 계열 스텔스 무인전투기는 지난해 말 방위사업청 홍보 영상에서 KF-21과 함께 비행하는 모습이 등장해 주목을 받았다.




◇ 독자 작전하는 대형 스텔스 무인전투기 ‘가오리’

지난 2020년8월 국방과학연구소는 창설 50주년을 맞아 “스텔스 무인기를 개발중이며 현재 약 70% 기술 수준에 도달했다”고 밝혔었다. 이때 공개된 가오리-X는 길이 10.4m, 날개폭 14.8m로 중량은 10t에 달하는 대형 무인기였다. 속도는 마하 0.5 이하, 최대 비행시간은 3시간 이하로 고도 10㎞ 이내로 비행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가오리는 KF-21를 호위하는 무인전투기가 아니라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무인기다. 군 소식통은 “기체 형상 특성상 가오리는 KF-21과 함께 급격한 기동을 할 수 없다”며 “KF-21 호위 무인전투기를 다른 형상으로 따로 개발된다”고 말했다. 이는 무인무기 비중이 커짐에 따라 유인 무기와 무인 무기를 함께 운용하는 ‘유무인 복합운용체계’, 일명 ‘멈티’(MUM-T) 개념에 따른 것이다.

국방과학연구소와 대한항공이 개발중인 ‘저피탐 무인 편대기'. 스텔스 무인전투기로, 한국형전투기 KF-21을 호위하며 독자적인 감시정찰, 방공망 제압 등의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대한항공

국방과학연구소와 대한항공이 개발중인 ‘저피탐 무인 편대기'. 스텔스 무인전투기로, 한국형전투기 KF-21을 호위하며 독자적인 감시정찰, 방공망 제압 등의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대한항공


◇ KF-21 전투기 호위할 저피탐 무인편대기

‘멈티’ 개념에 따라 KF-21을 호위할 스텔스 무인전투기 사업은 지난 8월 본격화됐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저피탐 무인편대기 개발’ 과제에서 대한항공을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신형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국방과학연구소의 ‘미래 도전 국방 기술과제’ 중 하나로 추진되는 것이다.

앞서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해 11월부터 무인편대기 기술개발을 착수해 기본 설계를 마쳤으며, 대한항공이 국방과학연구소와 상세 설계를 함께 진행하게 된다. 저피탐 무인편대기 3~4대는 KF-21 1대와 편대를 이뤄 KF-21을 지원·호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감시정찰, 전자파 교란, 정밀 타격 등 독자적인 자율 임무도 수행하게 된다.

출처: 유용원의 군사세계 [원본 보기]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1360 주한미군 A-10 공격기 '라스트 댄스'… 2025 오산 에어파워데이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050 1
1359 지작사, '2025년 전반기 연합합동 공중재보급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91 1
1358 김명수 합참의장, 정조대왕함·잠수함사·진해기지사·특전단 대비태세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93 0
1357 육군, 'UN 평화유지활동 삼각협력 공병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50 0
1356 국방부, 군인 사칭 사기 적극 대응… “국방헬프콜 1303으로 확인하세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45 0
1355 정전 이틀 앞두고 전사… 72년 만에 아들 품에 안긴 ‘고 함상섭 하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31 0
1354 해군, 전·평시 상용 무인체계 작전 운용 가능성 검증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92 0
1353 방위사업청장, 중동지역 K-방산 주도권 확보를 위해 사우디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87 0
1352 합동참모본부, 제3차 한-NATO 군사참모대화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5 0
1351 한미 해군, 동해상 연합 해상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6 0
1350 합참의장, 영공 수호의 최일선… 제20전투비행단 대비태세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2 0
1349 “이게 제 아버지의 얼굴이네요…” 6·25전사자 얼굴 복원 사업 첫 성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48 0
1348 레바논 현지인, 대한민국을 체험하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21 0
1347 육군, 비호복합 및 천호 대공 실사격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63 0
1346 한미, 우주위협 대응 위해 손맞잡다「한미 연합 우주위협 대응연습」첫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9 0
1345 범정부·기업 방산협력 사절단, 멕시코 등 중남미에서 K방산 세일즈 활동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2 0
1344 최태성과 국방부·보훈부 2030 자문단, 호국영웅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9 0
1343 한화시스템, ‘수도권 최후의 방패’ LAMD 레이더 개발 맡는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62 0
1342 <방산UP> “중국 기술 없다” 우리 기술로 만든 자폭드론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32 0
1341 HD현대重, 해군 발주 ‘전투용 무인수상정’ 개념설계 사업 수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6 0
1340 KF-21 전자전기 개발 시동!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결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4 0
1339 방사청, 페루에 KF-21 차기 전투기 도입사업 참여 요청할 것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0 0
1338 해군, 군사대비태세 확립을 위한 함대종합전투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0 0
1337 AI·반도체·로봇 차세대 방산기술 개발에 박차 가한다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6 0
1336 합참의장, "서북도서는 적의 비수(匕首), 적 도발 시 처절하게 응징"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58 0
1335 민·관·군이 함께 미래 기반통신체계 발전 논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0 0
1334 2025년 MZ병사들의 ‘군통령’ 2위는 프로미스나인, 1위는?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18 0
1333 해군·해병대, 상륙작전 수행능력 향상 위한 합동상륙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59 0
1332 NATO 회원국 튀르키예와 군사교류협력 강화 방안 논의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16 0
1331 아크부대와 첫 합동 고공강하·화물투하·비포장 착륙 등 데저트플래그 풀사진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91 0
1330 “국군의 생명과 건강, 우리가 지킨다” 692명의 신임 의무장교 임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4 0
1329 천무 유도탄 수명연장 사업 협업회의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1 0
1328 해군·해병대, 2025년 합동상륙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8 0
1327 김명수 합참의장, KTSSM사격대와 중부지역 미사일우주감시대 현장점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74 0
1326 방위사업청, EU·NATO와 글로벌 공급망 파트너십 구상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7 0
1325 육군 저격수팀, '미 국제 저격수대회' 국제부문 1위!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47 0
1324 이라크 방산전시회 참가, K-방산 중동 진출 정조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48 0
1323 수km 밖 소형 드론 잡아내는 ‘AI 기반 광자 레이더 기술’ 개발 성공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66 0
1322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 더욱 강화된 대북 감시정찰역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2 0
1320 육군, 스토리표적지 7년 만에 포탄 사격훈련 재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21 0
1319 한미공군, 프리덤 플래그 훈련 미디어데이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11 0
1318 육군, 화력대비태세 확립 '야간 해상사격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42 0
1317 미 해병 F-35B 가상 적기로 참가… 한미 공군 프리덤 플래그 현장취재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14 0
1316 한미 공군, ’프리덤 플래그(Freedom Flag)‘ 훈련 실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0 0
1314 軍, 자폭드론 막는 ‘전차용 국산 재머’ 신속사업으로 개발한다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287 2
1313 공군-UAE공군 KF-21 포괄적 협력에 관한 의향서 체결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553 2
1312 ‘천무 유도탄’ 폴란드서 생산한다…한화에어로, 유럽 재무장 계획 선제대응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746 2
1311 기뢰부설에서부터 탐색·식별 및 제거까지… 한·미 해군 연합 기뢰전 훈련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620 3
1310 국방부장관 직무대행, 해군 제2함대사령부 방문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545 1
1309 미국 B-1B 전략폭격기 전개 하 한미 연합공중훈련 시행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681 3
뉴스 '최음제 논란' 배우 하정우 "팬에 직접 사과…언행에 신중 기할 것" 디시트렌드 07.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