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27 부동산 대출 규제가 시행되면서 주택 매매 시장은 물론, 경매 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경매 낙찰가율이 하락하고 응찰자 수도 줄어드는 등 시장 분위기가 빠르게 위축되는 모양새다.
법원경매 전문 플랫폼 지지옥션이 7월 1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지역 아파트 경매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낙찰가율은 평균 94.9%로 확인됐다. 이는 전달 기록한 98.5%에 비해 하락한 수치로 지난 2월(91.8%) 이후 약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응찰 경쟁도 눈에 띄게 약화되어 같은 기간 한 물건당 평균 응찰자 수는 7.3명으로 나타나 전월 대비 9.2명보다 줄어들었으며 이는 올해 1월 이후 가장 낮은 응찰 수준이다.
이번 하락세는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아파트값에 대출 규제가 더해지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사진=SBS뉴스
특히 6·27 대출 규제는 경매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면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규제는 수도권 경매 낙찰 주택에 대해 최대 6억원 한도의 경락잔금대출을 허용하되 6개월 이내 전입 조건을 지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1주택자의 경우 6개월 내 기존 주택을 처분해야 한다는 조건이 적용되면서 다주택자는 추가 대출이 사실상 금지된 상태다.
경매 물건이 시세보다 낮은 감정가로 책정되는 특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대출 조건은 실거주 수요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여 응찰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 15일 입찰이 진행된 서울 마포구 창전동 태영아파트 전용면적 85㎡는 감정가 12억2000만원으로 경매에 나왔지만, 단 한 명의 응찰자도 나타나지 않아 결국 유찰됐다.
강남·송파 등 상급지 수요는 여전히 굳건해
사진=SBS뉴스
불과 한 달 전 해당 아파트는 12억9000만원에 실거래됐으며 현재 시세도 13억5000만원 수준인 걸 감안한다면 경매 입찰자조차 없었다는 사실은 현재 시장의 반전된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광진구 구의동 소재 구의현진에어빌 전용 85㎡ 아파트도 감정가 10억원에 지난 7일 입찰이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응찰자 없이 유찰되어 현재 2차 경매를 앞두고 있다.
해당 매물은 현재 시세가 12억~13억원 수준으로 감정가보다 최소 2억원 이상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수요자가 없었던 셈이다.
다만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로 침체 분위기는 엇갈리고 있다. 강남·송파 등 고가 주택이 밀집한 이른바 '상급지'의 경우 여전히 경매 경쟁률은 치열한 편이다.
지난 14일 경매에 부쳐진 송파구 잠실 우성4차 아파트(전용 95.84㎡)는 1회차 입찰에서 무려 15명이 몰려 감정가 16억8400만원의 126.48%인 21억3000만원에 낙찰됐다. 최근 해당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21억~21억7000만원이며 매물 호가는 2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