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ㅇ 한국의 주요 도시들을 비교하는 시리즈를 연재할거야
1편은 대표적인 해양도시, 부산과 인천을 다룰거임
일단 부산은 아직까진 한국 제2의 도시라곤 하지만 빠른 속도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반면 인천은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는 광역시로, 2천년대초반에 대구를 따버리고 빠르게 성장해 300만을 바라보고 있어
2016년에 300만 발한번 담갔다가 300만을 못넘고 횡보하고있지만..
송도신도시의 개발로 20년대 들어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10년안엔 부산을 딴다는 소리도 나오고 있음

하지만 단순한 행정구역의 인구로는 실제 생활권을 반영못함
대표적으로..서울의 인구는 가장 빠르게 감소하지만 이는 서울이 쇠퇴하기 때문이 아니라
서울 행정구역 밖으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서울생활권자체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야
현재 부산의 인구는 331만으로 부산의 영향을 받는 주변도시를 합치면
부산331만+창원김해양산거제 =544만이 돼
인천은 좀 애매한게 크게보면 서울광역권의 일원이지만 그 안에서도 인천의 영향이 강한 도시를 합치면
인천298만+부천안산시흥김포 =542만임
인천은 국내 원톱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을 보유하고 있어
인천공항은 전세계에서도 매년꾸준히 탑5안에 들고있으며 2위인 김해공항과는 거의 10배 가까운 차이를 보여

반면 부산의 김해공항은 2위라곤 하지만 인천에 비해 후달리는게 팩트지
부산은 항공보단 항만이 발달했는데 부산항은 한국의 무역물류를 책임지고 있는 1위 항구를 보유하고있어
부산항 또한 전세계에서 10위 안에 드는 항구야
서해안은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인천항은 도시규모에 비해 꽤나 작은 항구라고 볼수있어
때문에 인구가 많은 서울과 무역을 책임지는 부산을 연결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데
한국에서 경부선, 경부고속도로가 가지는 위상을 생각한다면 부산항의 경제적 중요성을 알수있음

그럼 다음으로 교통을 볼게
부산도시철도는 4호선까지 있고 광역철도인 김해선, 동해선(울산)이 있어
여기에 마산선(창원), 5호선과 양산선이 몇년안에 개통할 예정이야
역수는 108개로 부산 바깥에 있는거까지 합치면 147개가 돼
서울지하철역이 289개인걸 감안하면 지하철이 상당히 잘되어있다고 볼수있어

반면에 인천은 수도권임에도 불구하고 도시철도가 많이 후달려..
얼마나 후달리냐면 역수에서 대구따리한테도 밀리는 편임..
지하철 역수는 65개로 인구수에 비해 많이 빈약해
1호선 2호선이 있고 서울 7호선도 인천과 강남을 연결해주고 있어
공항철도가 있긴한데 이건 사실상 인천시민을 위한거라기보단 서울사람들이 타는거지..
인천자기부상철도가 있는데..이거 타는 사람이 있긴하냐
또 수인분당선과 서울1호선으로 수도권 곳곳과 연결되어있어
이런 수도권의 지역간 연계성은 확실히 부산을 압도하는 부분이지

또 여기에 gtxB와 송도선이 개통할 예정이야
하지만 이 두 노선은 공사가 한창 진행중인 부산의 예정노선에 비해 추진이 많이 느림
또 인천은 ktx가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전국 앵간한 주요도시에 다 있는 ktx가 없다는건 좀..
송도에서 출발하는 고속철도를 가까운 미래에 개통한다고 하지만 계속 미뤄지고 있음
철도와 달리 도로교통은 인천이 부산보다 훨씬 좋아
부산은 산동네가 많고 625때 인프라초기화가 안되어서 도로가 개씹헬임
반면 인천은 간척지가 많아서 평야가 많고 면적자체도 부산에 비해 훨씬 넓어
경제를 보면 부산의 총생산은 99조, 인천은 98조로 또이또이해
다만 인천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때문에 인천이 곧 추월할 예정이고
1인당으로 따지면 인천이 더많음

교육기관을 보면
부산에는 부산대학교, 부경대학교, 동아대학교 등이 있음
인천은 인하대학교, 인천대학교가 대표적이고 유명하지만 연세대국제캠도 송도에 있음
또 송도에는 외국명문대학들의 캠퍼스가 꽤 있음
근데 각지역을 대표하는 부산대, 인하대는 빠르게 추락중이라 미래가 어둡다고 볼수있어

부산은 동부산과 서부산의 소득격차가 심함
해운대가 위치한 동부산은 부자도시로 유명한 센텀시티, 마린시티를 보유하고있음
또 롯데타워 다음으로 높은 마천루들이 거의다 동부산에 위치함.. 엘시티 제니스 아이파크 등등
반면 서부산의 사상, 사하는 공단이 많고 낙후된 지역임..
지도 보면 양쪽으로 강서구, 기장군이 있는데 여기 평야지역은 미개발지로 앞으로 부산의 여러 신도시가 들어설 곳임
또 부산은 인천과 다르게 구도심, 원도심이 아예 죽은게 아님 부산 중구의 남포동은 여전히 부산을 대표하는 상업지이고
바로 위에 지방최대 상권인 서면(부산진구)이 위치해 있어 부산은 신도심과 구도심이 나름 같이 발전하고 있음


인천도 동서 불평등이 심한데 부산과 반대로
동인천이 낙후되었고 서인천이 발달한 곳임
동인천의 여러 구도심들은 슬럼화 되어서 보통 인천을 마계라고 깐다면 여길 보고 하는 얘기임
특히나 서인천의 경제자유구역은 인천의 신산업, 미래비전, 교육문화 등등이 모두 집중된 곳으로
여기에 영종신도시, 청라신도시(서구), 송도신도시(연수구)가 위치해 있음
서인천에는 주요기업들이 들어서 있는데 포스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가 경제자유구역에 자리잡아
인천의 경제를 지탱하고 있음

포스코는 요즘 포항 손절하고 슬슬 인천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고 한국의 바이오 산업이 인천에 위치해
바이오가 뜨면 인천도 같이 뜨는 그런 구조를 보임
반면 부산에는 대표적인 기업이 없다는게 문제임
르노삼성자동차, 한진중공업이 있긴한데 이런 중공업들은 중국에게 하나씩 따이고 있고
특히 르노삼성은 문제가 많음 프랑스의 르노가 일본 닛산을 손절하고 중국 지리와 밀착하는 분위기인데.. 음..
부산은행에다 최근 이사온 산업은행이 있지만 여기도 미래가 밝다곤 할수없음..예전부터 한국은 금융이 약해서
————————
정리하자면
지금은 부산>인천이지만
10년뒤엔 경제자유구역 버프로 인천이 땀
근데 인천 교통은 쓰레기
다음엔 너네가 좋아하는 대구를 들고올게
대구의 라이벌 도시로 어디를 갖고 오는게 좋을까?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