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성남중앙초등학교
2. 성일중학교
3. 성일정보고등학교
4. 성일고등학교
5. 동광중학교
6. 동광고등학교
7. 성남여자고등학교
8. 성남중학교
9. 성남고등학교
실제구조




저는 학창시절을 이 곳에서 보내서 익숙했는데 막상 지금와서 사람들한테 보여주니 이런 곳이 있냐면서
많이 놀라더라구요 다시 한 번 곰곰히 생각해보니 정말 특이하고 신기한 곳이란 걸 새삼 깨달아 썰 좀 풀어보려고 합니다.
1. 등교, 하교 시간
정말 많은 학생들의 유동인구가 발생합니다 9개의 학교 모두 지리상 언덕위에 위치하고 있어서
8시 30분 쯤 되면 온 길위에 각기다른 교복을 입은 많은 학생들이 모두 언덕을 올라가고 있는 장관을 볼수있죠
하교할 때도 마찬가지로 5시 쯤에는 학교 주변 모든 버스와 길들이 학생들로 채워집니다.


2. 운동장 사용
성일중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성일고등학교. 이 세 학교는 모두 한 운동장을 사용합니다
많은 수의 학생이 한 운동장을 사용하는 만큼 점심시간에는 운동장 반대편에 있는 급식실 까지
운동장을 모두 전력으로 달려가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 모두 밥을 먹고 난뒤
남학생들은 운동장에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놀기도하며 여학생들은 운동장의 트랙을
회전초밥 처럼 계속 빙빙돌며 얘기를 나눕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이게 아니죠
바로 체육수업이 겹칠 때 입니다. 여학생들은 별로 운동을 하지 않고
체육시간을 대화에 소비하는 만큼 다른학교 학생들과 트러블은 없지만 남학생들은 축구를 하려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당연히 중학교 친구들은 고등학교 선배들에게 자리를 내줄 수 밖에 없는 위치이지만
같은 나이 대인 성일고와 성일정보고 학생들은 기싸움을 많이 벌였던 거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ex) 꼽주기, 상대 공 일부러 멀리 차기 등등

3. 끝까지 가는 인연
이름이 같은 것에서 눈치 채셨듯이 동광, 성일은 모두 한 교육재단 밑에있는 사립학교들 입니다
같은 재단을 둔 학교들이 서로 붙어있으니 선생님들 마저도 졸업하면 또 같이 따라오시는 경우도
많으며 중학교 때 없어진 선생님을 졸업하면 볼 수 있는 일도 생깁니다 또한 중학교에서도
같은 재단의 학교들로의 진학을 추천하여 같은 중학교 출신의 학생들이 많습니다
4. 매점
고등학교의 꽃인 매점이 이 구역에서는 모든 학교 공용 매점입니다. 1번 매점은 성일중과 성일고 사이에 있으며
주로 성일고매점으로 불립니다. 2번 매점은 운동장 옆에 있지만 성일정보고와 가까와 정보고 매점으로 불립니다
학생 수가 많다시피 매점을 이용하는 학생들 역시 정말 많습니다. 아침에 졸린 학생들은 1교시에 자서
2교시 쉬는시간 쯤 모두 일어나 아침을 먹으러 매점으로 향합니다 그 시간에 매점은 마치 블랙 프라이데이를
방불케할정도의 인파가 일어나 뭐 하나를 사먹으려면 쉬는시간 전체를 기다려야합니다.

5. 빨갱이와 스머프
이것은 성일중학교와 성일고등학교의 별명인데요, 각 학교의 하복들이 심하게 한 색깔만을 띄고
디자인이 심하게 구려서 나온 별명입니다 사진을 보면 왜 그런 별명이 붙었는지 이해가 되실겁니다....



재밌는 것은 1Km내에 학교가 4개가 더있다는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곳에서 학창시절을 보낸게 어떻게보면 또 재밌었네요ㅎㅎ
여러분들의 학교는 어떤 구조였는지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