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뭐라 써야될지 모르겠노
지금 다음 레이드가 나오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애들이 빙결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갖거나 빙결을 잘 모르는 애들이 많아서 씀 예전에도 한번 정리했었는데 지워서 다시씀
참고로 로쏘 레이드 이후 던전에서 보스 빙결 메커니즘은 다 동일했기에 (아닐 수도 있는데 적어도 내가 돈 던전은 동일했음 아니면말좀) 다음 레이드도 빙결이 가능하다면 메커니즘이 이와 같을거라고 생각한다.
일단
1. 빙결이 들어가는 방식
일단 빙결 판정 타격을 세 번 이상 맞으면 빙결 면역(약 30초)에 들어감.
여기서 빙결 판정 타격은
1) 일반적인 통상 빙결 (물구, 블샤, 프징, 제켈, 첸여불 등등)
2) 빙결이 아니지만 빙결 판정을 받는 타격, 대부분 무력화 계열 스킬으로
그로기(라비의 각성키, 우같펀 등) , 속박류(사그락, 레펑, 악몽 등), 단죄(쇼크랑은 다름. 천년여우 은, 어비스 스나이핑이 이에 속함)이있음 더있을수도 있는데 대략 이정도임
글고 일반적으로 2번 계열은 빙결로 채용받지도 못하는 방해 스킬임. 즉 절대 쓰면 안됨
그로기와 속박류는 속깎 영향도 받지 않아 절대 빙결로 채용할 수 없음. 다만, 단죄는 속깎의 영향을 받음(아마도 빛저). 그러나 메인빙으로 채용하는 경우는 역시 본 적 없음. 기본적으로 짧기도 하고 인식이 방해라 그런듯?
그럼 빙결 판정 타격 세 번이라면 어떤거냐면 대충 이런거임

어비스 스나이핑(단타)- 어비스 스나이핑(단타)- 물구(단타)
보다시피 단타 빙결 판정 세 번으로 인해 총 세 번 얼은걸 볼 수 있음. 이후 어비스 스나이핑을 한 번 더 썼는데(잘 안보이지만 썼음) 단죄에 걸리지 않음.

노첸프징( 폭발타격+ 얼음타격 총 두 번) - 노첸프징 (빙결타 두 번)
노첸프징은 빙결 타격이 한번 쓸때 두 번 타격되므로 스킬 두 번이 최대임을 알 수 있음. 마지막에 노첸프징을 한번 더 썼는데 얼지 않음.

비슷한 예시로 노첸프징- 노첸프징- 물구임
마지막 빙결이 끝나기 전에 물구를 던지긴 했는데 만약 물구 타격에서 얼었다면 좀 더 길게 얼어야 됨. 하지만 거의 던지자마자 끝났음
이걸로 이해가 좀 어렵다면

노첸프징( 빙결타 두번)- 물구(빙결타 한번)
마지막에 이상하게 얼긴 했으나 두 번 어는걸 볼 수 있음.

첸프징 (빙결타 여러번)- 물구
마지막에 물구를 던졌으나 물구 타격에 얼지 않음. 이는 첸프징이 한번에 빙결을 여러번 타격하여 스킬 한번에 빙결 면역에 들어갔기 때문
아무튼 이런 방식으로 빙결이 되기 때문에 레이드에선 빙결을 한사람이 맡는게 일반적임.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물구를 동시에 던지면 얼마 얼지도 못하고 일찍 끝나기 때문. 그니까 빙결이 아니면 빙결스킬을 쓰지 말고, 물구를 던지지 말자.
(물론 예외 상황도 있긴 함. 용머리 얼릴때 섭빙같은 경우나 켈빈)
2. 빙결을 하는 방법
빙결을 하는 방법은 투력캐 기준으로 블루헨+아인/데브/나머지 빙결캐로 나눌 수 있음.
왜 저렇게 나누냐면 블루헨의 경우에는 빙결 스킬(빌레로라, 빌레 첸퀴엠, 버가이즌)의 빙결타가 죄다 단타이기 때문에 얼리는 방법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음.
여기에 물구를 섞어서
빌레로라> 버가이즌 > 물구로 얼리든, 물구> 빌레첸퀴엠> 버가이즌으로 얼리든. 크게 상관이 없음. 블루헨은 그래서 유저에 따라 숙련도나 그런게 좀 크게 차이나는 편임
나머지 아인은 여기서 버가이즌만 있기 때문에 대부분 물구로 스타트를 끊는 편임(버가이즌이 바로 얼지 않기 때문)
데브는 빙결하는 방식이 두가지임
1) 노첸프징 두번
2) (시즌벞을 이용해) 물구-물구-프징(노첸 첸 상관없음)
물구- 프징도 할 수 있으나 물구- 프징보다 노첸프징 두번이 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시즌벞이 없다면 노첸프징 두번을 채용하는게 나음.
나머지캐릭들은 무조건 물구를 섞어서 하는 빙결임. 물구-빙결스킬 또는 시즌벞을 이용한 물구-물구-빙결스킬
숙련도가 쌓였다면 빙결 스킬을 일부러 한 타격만 맞춰서 시즌벞 없이도 오래 얼게 하는 꼼수가 있긴 한데... 통상적인 방법은 이럼.
3. 빙결방해?
일반적으로 빙결 방해는 메인빙(빙결을 맡은 사람)이 아닌 다른사람이 빙결판정스킬/펫/물구를 써서 빙결을 방해하는 행위를 말함.
근데 빙결에 대해 잘못된 인식이 박혀서 메인빙이 아닌 다른 사람이 빙결을 걸면 바로 빙결이 풀린다던지 그런 말이 많아서... 빙결은 기본적으로 덮히는 개념이기에 그렇지 않음. 물론 일반적인 경우에서는 어짜피 빙결이 한사람이고, 다른 사람이 빙결스킬을 걸면 짧게 얼고 방해가 될 수 있기에 안쓰는 것이 맞긴 함.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도 있고, 잘못 알려진 것도 있기에 그걸 짚어봄
1) 제로켈빈
제로켈빈의 경우에는 받피증이 달려있기 때문에 메인빙이 도미가 아니어도 쓰는게 좋음.
그렇기에 메인빙이 빙결이 끝났다고 신호를 주면 쓰는게 좋고(퀵보), 딜러가 대라인 경우에는 대강 여불을 쓰고 한 4초~지난 뒤에 쓰면 보통 방해 없이 켈빈의 받피증만 얻을 수 있음.
그래도 빙결이 방해받는 것 같고 받피증보다 빙결의 유지가 신경쓰이면 쓰지 말라 해도 되긴 함.
2) 쇼크는 빙결테이블?

결론부터 말하면 쇼크는 빙결과는 다른 테이블임
이미지를 보면 알겟지만 스나이핑- 물구- 스나이핑을 해 빙결면역이 걸리고도 평타로 계속 때려 쇼크가 걸린 것을 볼 수 있음.
쇼크와 비슷한 단죄가 빙결을 방해하기 때문에 오인한 것으로 추측.
근데 쇼크가 진행을 방해하는 때가 있긴 있음.
(1) 3-1 머리가 올라가기 전 쇼크가 걸리는 경우
> 이 경우에는 머리가 늦게 내려옴. 빙결을 빨리할 때는 상관 없는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머리가 늦게 내려와서 그 이전에 소라가 터진다던지 여러 방식으로 게임 진행이 방해받을 수 있음. 쇼크 속성인 사람은 머리가 올라가기 전에 액티브/ 평타를 쓰지 않는게 좋음
(2) 1과 비슷하게 타격박스가 공중에 있을 때 쇼크가 걸리는 경우
> 대부분 저때 걸려고 하진 않으니 그냥 운이 나쁜거긴한데 방해하는 요소긴 함...
(3) 메인빙이 쇼크까지 거는 경우(사람마다 다름)
> 메인빙 중 쇼크 테이블까지 관리하면서 하는 애들이 있음 그런 애들은 다른 사람이 쇼크 거는 걸 좀 싫어하더라. 일반적으로 저런 경우는 드물음
4.속깎과 빙결
속깎 스킬은 시작할때만 쓰면 된다?< 절대 아님. 속깎은 지속이 끝날때마다 틈틈이 써가면서 유지시켜야 함.
첫 빙결때 묻은 속깎 받고 오래 지속 되었다가 두번째 빙결때 속깎 지속 다 끝나서 안넣어져있으면 빙결이 당연하게도 조금만 얼고 끝남.
오즈는 절대 다크웹 싸개가 아니고 라소는 절대 여우비 싸개가 아님. 속깎이 존재하기에 채용하는 시너지 중 하나임
이건 빙결 얘기라기엔 조금 거리가 있지만 가끔 속깎애들이 이상하게 하는거 자주 봐서 말함. 그리고 빙결캐들은 속깎 캐릭과 스킬을 알고 있는게 좋음. 파티에 속깎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면 대충 내 빙결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예상을 하고 오래 얼릴 수 있기 때문.
일단 여기까지 씀 잘못된 정보나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로 ㄱㄱ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