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 나 정말 좀 꿋꿋한 듯. 으하하;
C. 프리 스케이팅
Rule 520 프리 스케이팅, 싱글 스케이터
1. 싱글 스케이팅:
프리 스케이팅은 잘 균형 잡힌 프리 스케이팅 요소들, 즉 점프, 스핀, 스텝 그리고 다른 연결 동작들이 최소한의 투 풋
스케이팅으로, 선수가 선택한 음악과의 조화 속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가사가 포함된 보컬곡은 허용되지 않는다.
시니어, 균형 잡힌 프로그램
남자 선수의 잘 균형 잡힌 프리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최대 8개의 점프 요소 (그 중 하나는 반드시 악셀 점프여야 함)
. 최대 3개의 스핀 (하나는 반드시 컴비네이션 스핀이어야 하며, 하나는 플라잉 스핀, 나머지 하나는 한 가지 포지션으로만 된 스핀)
. 최대 두 개의, 서로 다른 선을 그리는 스텝 시퀀스
(구성 예: 타카히코 코즈카의 SA FS
1. 4T
2. 3A-3T
3. 3F
4. FSSp [단일 자세 스핀]
5. SlSt
6. FCCoSp [플라잉 스핀]
7. 3S-2T
8. CiSt [여기까지 스텝 2회]
9. 3Lz-2T-2Lo
10. 3Lo
11. 3A
12. 3Lz [여기까지 점프 8회]
13. CCoSp [컴비네이션 스핀]
스핀의 경우, 컴비네이션일수록, 체인지풋이 있을수록, 플라잉일수록 아닌 경우보다 점수 배점이 높다. 따라서 선수들은
최대한의 스핀 구성으로 점수를 얻어야 하는데, 단일 자세 스핀 규정이 있어 3회를 모두 컴비 스핀으로 할 수 없으므로
컴비 스핀은 2회가 최대가 된다. 또한 3회 모두 플라잉 스핀을 할 수 없으므로(이에 관해서는 2. General의 Remarks[설명]를
참고할 것) 플라잉도 2회가 최대이다.)
여자 선수의 잘 균형 잡힌 프리 스케이팅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최대 7개의 점프 요소 (그 중 하나는 반드시 악셀 점프여야 함)
. 최대 3개의 스핀 (하나는 반드시 컴비네이션 스핀이어야 하며, 하나는 플라잉 스핀, 나머지 하나는 한 가지 포지션으로만 된 스핀)
. 최대 1개의 스텝 시퀀스
. 최대 1개의 스파이럴 시퀀스
(구성 예: 김연아의 SA FS
1. 3F-3T
2. 3Lo
3. 3Lz-2T-2Lo
4. FSSp [단일 자세 스핀]
5. 2A-3T [악셀 점프]
6. 3Lz
7. SpSq
8. 3S
9. FCoSp3 [플라잉 스핀]
10. SlSt
11. 2A [여기까지 점프 7개]
12. CCoSp [컴비네이션 스핀])
(설명: 올해 바뀐 부분은 스핀. 숫자도 4개에서 3개로 줄었으며 스핀의 타입을 규정했다. 이 때문에 올 핀란디아 트로피에서는
잘못된 규정 이해로 엘레네 게데바니쉬빌리의 경우 스핀 하나가 0점 처리 당했다. 당시 엘레네의 스핀 구성은
CoSp, FSSp, CCoSp이었는데, 언뜻 보기에는 플라잉 스핀과 단일 자세 스핀, 컴비 스핀이 모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핀란디아 트로피 심판진은 이 중에서 마지막 CCoSp을 0점 처리하면서 팬을 혼란스럽게 했다. 이 일이 가능하려면,
CoSp으로 컴비네이션 스핀 규정 만족, FSSp으로 플라잉 스핀 또는 단일 자세 스핀 규정 만족, 그리고 남은 하나- 가 되어야
하므로, 엘레네는 마지막 스핀에 플라잉을 붙였다면 0점 처리가 되지 않았을 수 있었다. 이 일로 플라잉 스핀과 단일 자세
스핀을 동시에 쳐주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주니어, 균형 잡힌 프로그램
남자 선수의 잘 균형 잡힌 프리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최대 8개의 점프 요소 (그 중 하나는 반드시 악셀 점프여야 함)
. 최대 3개의 스핀 (하나는 반드시 컴비네이션 스핀이어야 하며, 하나는 플라잉 스핀, 나머지 하나는 한 가지 포지션으로만 된 스핀)
. 최대 한 개의 스텝 시퀀스
여자 선수의 잘 균형 잡힌 프리 스케이팅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최대 7개의 점프 요소 (그 중 하나는 반드시 악셀 점프여야 함)
. 최대 3개의 스핀 (하나는 반드시 컴비네이션 스핀이어야 하며, 하나는 플라잉 스핀, 나머지 하나는 한 가지 포지션으로만 된 스핀)
. 최대 1개의 스텝 시퀀스
(설명: 올해부터 주니어 여자 프리에서 스파이럴은 규정 요소가 아니다. 해도 되지만 레벨과 점수는 없다.)
2. 총칙
선수들은 프리 스케이팅 요소를 선택함에 있어서 완전히 자유로우며, 총합이 프로그램을 완성하게 된다.
모든 요소들은 서로 다른 성상을 가진 연결 스텝이나 그에 해당하는 스케이팅 무브먼트로 연결되어야 하며 전체 빙판을
완전히 사용하여야 한다. (전진과 후진의 크로스오버는 연결 스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어떤 추가적인 요소나 미리 규정된 숫자 이외의 요소들은 점수 계산에 반영되지 않는다. 오직 처음 시도된 (혹은 허용된
숫자 내에서 시도된) 요소들만이 계산된다.
설명
모든 싱글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은 사항이 적용된다.
점프 요소
하나의 “점프 요소”는 하나의 독립된 점프, 점프 컴비네이션 혹은 점프 시퀀스로 정의한다.
독립된 점프
독립된 점프는 어떤 회전수든 가능하다.
점프 컴비네이션
컴비네이션 점프는 같은 혹은 다른 싱글, 더블, 트리플, 쿼드러플 점프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 프로그램에서 최대 3개의
컴비네이션 점프 혹은 시퀀스 점프가 가능하다.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만 3개의 점프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둘은 최대
2개까지만 가능하다. 만일 점프가 규정된 점프[토룹, 살코, 러츠, 플립, 룹]가 아닌 경우(예. 하프 룹), 그 요소는 시퀀스가
된다. 만일 첫 번째 점프가 2개의 점프로 이루어진 컴비네이션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규정되지 않은
점프”가 된 경우에도, 그 요소는 여전히 컴비네이션으로 계산된다.
컴비네이션에서 첫 번째 점프의 착지하는 발은 두 번째 점프의 도약 발이어야 한다. 세 번째 점프에도 같은 내용이 적용된다.
점프들 사이에서 프리풋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혹은 작은 터치가 있더라도 무게가 실리지 않는 경우)로 쓰리턴이 들어가는
경우, 그 요소는 이 정의에 따라 여전히 컴비네이션 점프(실수가 동반된)가 된다.
점프 시퀀스
시퀀스 점프는 모든 종류의 점프와 회전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규정되지 않은 점프나 홉Hop이 점프 리듬을 유지한 채
즉각 다음 요소로 넘어가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는 턴이나 스텝, 시퀀스 사이의 크로스오버나 스트로킹이 아니면 된다.
(‘턴’은 스리턴, 트위즐, 브래킷, 룹, 카운터, 로커. ‘스텝’은 토 스텝, 샤세, 모호크, 촉토우, 체인징엣지커브, 크로스-롤)
점프 시퀀스 중 하나의 규정된 점프와 다른 하나의 규정되지 않은 점프로 이루어진 것은 시퀀스로 인정되지 않으며, 단독
점프로 계산된다.
(설명: 3-3을 뛸 수 없는 여자 선수의 경우 시퀀스 점프가 자주 들어간다. 자주 볼 수 있는 시퀀스 점프는 더악-더악, 트토-트살,
트토-더악, 드물게 트럿-더악. 시퀀스 점프는 전체 총점의 0.8배만이 주어지지만, 하나라도 더 트리플을 뛸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이득이다.
컴비 점프에서 한 발로 이동하는 2번 이하의 쓰리턴만을 인정하듯이, 시퀀스에도 그 이상의 움직임은 있어서는 안된다.
더악-더악 시퀀스의 경우 한 번 정도의 호핑 후 즉시 다음 점프를 뛰어야 하고, 중간에 위에 규정된 턴과 스텝이 들어가면
각각을 단독 점프로 계산한다. 이 경우 자약룰에 걸려 하나를 0점 처리 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이번 아사다
마오의 FS에서 스텝-트리플 토 다음에 더블 악셀을 뛰는데, 사이에 턴이 들어갔기 때문에 3T+2A+Seq가 아니라 각각이
단독 점프이다. 물론 이 경우는 선수가 의도한 경우이다.)
반복:
싱슬 스케이터의 프리프로그램에서 더블 악셀은 단독 점프와 컴비네이션의 일부로, 3회를 초과할 수 없다.
모든 트리플과 쿼드러플 점프는 2회까지 반복할 수 있으며, 이 반복은 반드시 1회의 점프 컴비네이션이나 1회의 시퀀스
점프 내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같은 이름을 가진 트리플과 쿼드러플 점프는 다른 점프로 취급한다. 컴비네이션이나
시퀀스 점프 내에 포함되지 않고 반복된 트리플이나 쿼드러플 점프는, 잘 수행되지 못한 시퀀스 점프로 취급되어 시퀀스
점프와 같은 점수를 주며 하나의 점프로 구성된 시퀀스 점프로 표시한다. 만일 3개의 점프 컴비네이션이나 점프 시퀀스가
이미 수행되었다면, 이후 반복되는 단독 점프는 추가적인 요소로 취급되고 계산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빈 점프 요소
박스가 있다면 그 자리에 넣는다.) 어떤 트리플이나 쿼드러플 점프도 2회를 초과하여 수행될 수 없다. 만일 세 번째 점프가
시퀀스나 컴비네이션으로 수행된 경우, 그 요소 전체를 추가 요소로 보고 점수를 주지 않는다. (그러나 빈 점프 요소 박스가
있다면 그 자리에 넣는다.)
(설명: COC FS에서 연아가 첫 번째 컴비네이션으로 예정되어 있던 러츠를 스텝아웃하여 2T-2Lo을 붙이지 못한 후, 후반부 단독
러츠에서 2T를 붙였다. 이때 인터뷰에서 ‘컴비네이션을 뛰지 못하면 감점이 크기 때문에’라고 말했었는데, 이는 위와 같은
규칙 때문이다. 만일 두 번째 러츠에서 2T를 붙이지 못하면, 그 점프는 두 번째 시행된 같은 점프이므로 (07 월드 FS에서와
같이) 시퀀스로 취급되어 기본점 6.0 x 후반부 가산점 1.1 x 시퀀스 0.8로 5.28점밖에 받지 못한다. 그러나 여기에 2T를 붙이면서
더블토 기본점 1.3점 뿐 아니라, 기초점 (6.0+1.3) x 후반부 가산점 1.1로 기초점만 8.03이 되었고 여기에 가산점 0.8을 받아
총 8.83점을 얻었다. SA에서 단독 점프로 얻었던 가산점이 1점이었으므로 시퀀스화되었을 때에 같은 가산점을 붙인다 해도
전체 2.5점 이상 차이가 난다.
다른 예를 보자면, TEB에서 엘레네 게네바니쉬빌리의 경우, 프로그램 초반 3F-3T, 2A-2T-2T를 뛰었으나 후반부에 예정되어
있던 2A-3T에서 두 번째 점프를 더블로 처리하면서 순간적으로 2T를 한 번 더 붙였고, 3연속 컴비네이션이 두 개가 되어 두 번째
점프 전체를 0점 처리 당했다.ㅠㅠ 이 경우, 이 점프를 포함하여 전체 점프가 7개였기 때문에, 두 번째 쓰리콤보는 프로토콜에
점프 요소로 표시되고 0점이 주어졌다.)
스핀:
모든 스핀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어떠한 스핀이든 이미 수행된 것과 같은 특성(약자)을 가지는 경우, 그것은
삭제된다.(빈자리가 있는 경우엔 표시된다.)
(설명: 이 규정 때문인 건지, 체력 문제인 것인지 아직 스핀 3회를 모두 플라잉 스핀으로 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
스핀 자세: [앞서 몇 번 나왔던 설명과 동일하다. 생략]
스핀들이 채워야 할 최소한의 회전 수: 플라잉 스핀에서 6회, 단일 자세 스핀에서 6회,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10회, 이
이하인 경우 심판들에 의해 판정되며, 3회 이하의 스케이팅 무브먼트는 스핀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이 최소 회전수는 반드시
스핀의 도입부부터 끝나는 시점 사이에서 세어져야 한다. 스피 컴비네이션에서 체인지 풋은 옵션이며, 자세 변화의 횟수는
자유이다. 단일 자세 스핀에서, 다른 자세로 2회 이상 도는 자세 변화가 포함된 경우, 그 스핀은 “단일 자세 스핀”의 요건을
충족한 것이 아니며, 스핀 컴비네이션으로 취급한다. 그러나 마지막에 업라이트 스핀으로 끝내는 경우(파이널 윈드-업
Final wind-up)는 만약 그것이 3회를 초과하지 않고 그 회전수가 규정 회전수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엔 자세 변화로 치지
않는다. 스핀에서 발을 바꾸는 것은 반드시 앞뒤로 스핀이 있어야 하고 최소 3회를 돌아야 한다.
자세를 바꾸는 동안 어려운 자세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자세 인정을 위한 최소 회전수는 중지 없이 2회이다. 이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그 자세는 인정되지 않는다.
모든 수행된 자세에서 2회 이하로 수행된 스핀 컴비네이션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모한 것으로 보고 레벨과 점수
모두 주지 않는다.
[넘어짐에 관한 부분, 이전과 동일. 생략]
만약 스핀 축(발을 바꾸고 난 전후]의 간격이 지나치게 멀어, “두 개의 스핀”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첫 번째 스핀이 끝나고
나서 그린 커브와 두 번째 스핀으로 들어가기 위한 커브가 있는 경우), 발 바꾸기 전에 수행한 스핀만이 인정되고, 레벨로
반영된다.
(설명: 마지막 축 얘기는 그야말로 말로 봐서는 애매하기 그지없는데;;; 발을 바꾸는 동안 스핀축이 지나치게 멀어지면 그
스핀을 두 개로 취급하고 앞쪽만 채점한다는 뜻이다. “Two spins” 기준 설명에 따르면, 스핀이 끝나고 나가면서 그리는
커브와 시작하면서 그리는 커브가 명백히 둘 다 보이는 경우라고 한다. 스핀 도중 축이 흔들려 처음 시작점과 멀어지는 것은
이 두 개의 스핀 기준이 아니며, GOE 요소이다.)
스텝, 스파이럴 시퀀스(여자), 그리고 필드 무브먼트
스텝:
선수는 어떠한 종류의 스텝 시퀀스든 완전히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스텝 시퀀스 도중 점프도 포함될 수 있다.
모든 스텝 시퀀스는 음악의 특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텝 시퀀스는 반드시 전체 링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스텝 시퀀스가 너무 짧거나, 거의 알아 볼 수 없는 경우, 이것은 스텝 시퀀스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본다.
턴과 스텝은 시퀀스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여야 한다.
스파이럴 시퀀스(여자):
[스파이럴의 정의와 형태. 쇼트와 같음. 생략]
최소한 두 개의 스파이럴 포지션이 있어야 한다.
[기타 다른 내용, 쇼트와 동일. 생략]
필드 무브먼트:
이것은 움직임들의 연속으로, 턴, 스파이럴, 아라베스크, 스프레드 이글, 이나 바우어, 그리고 깊은 에지를 사용한 움직임
등이 포함되며 이것들은 스텝과 풋워크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필드 무브먼트는 프로그램 중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Transitions”으로 평가된다.
이전 번역 링크
https://gall.dcinside.com/figureskating/473543 페어, 쇼트
https://gall.dcinside.com/figureskating/469872 싱글, 쇼트
https://gall.dcinside.com/figureskating/465964 총칙, 시간 규정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