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크립토퀵서치]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이라고 하는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6.27 15:46:30
조회 12255 추천 2 댓글 2
[IT동아 한만혁 기자] 가상자산은 디지털자산, 디지털화폐, 암호화폐, 암호자산, 암호화폐, 크립토, 코인, 토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코인, 암호화폐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2021년 3월 시행된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 개정안에서 가상자산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죠. 그런데 최근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가 자주 나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출처=셔터스톡



가상자산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경제적 가치를 지니지만 실물 없이 온라인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가상자산은 용도에 따라 투자, 지급, 결제, 의사결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초기에는 명확한 규제나 국제적인 표준이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국가, 기관, 기업은 정부 규제 방향이나 기능, 용도에 따라 그에 맞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것이 가상자산이 다양한 이름을 갖게 된 배경입니다.

가상자산, 가상화폐는 경제적 가치를 지니지만 실체가 없다는 의미를 담은 용어이고 디지털화폐, 디지털자산은 디지털 형태의 자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강조하는 경우 암호화폐, 암호자산이라고 불렀고, 결제나 교환 수단으로 활용되는 기능에 초점을 두는 경우 코인, 토큰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습니다. 외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크립토커런시(Cryptocurrency)를 줄여 크립토(crypto)라고 부르기도 했죠.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가상자산입니다. 특금법 개정안에서 가상자산을 법적용어로 명시하고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라고 정의했습니다. 지난해 시행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도 가상자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안에 따른 것입니다. FATF는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 방지를 위한 국제기구로, 가상자산을 버추얼 에셋(Virtual Asset)이라고 명시했습니다. 버추얼 에셋을 직역한 것이 바로 가상자산입니다. 김재진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상임부회장은 “특금법은 자금세탁방지에 관한 법률이므로 FATF 규정집의 용어를 직역해 법제화했다”라고 설명합니다.


우리나라는 FATF 권고안에 따라 가상자산을 법적용어로 사용한다 / 출처=금융위원회



그런데 최근 가상자산 대신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6월 10일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안에서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이라고 표기했습니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 준비 중인 ‘디지털자산 시장의 혁신과 성장에 관한 법안(디지털자산 혁신 법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은행 등 금융권에서도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합니다.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으로 대체하려는 이유는 가상자산이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상이라는 단어는 실체가 없다는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경제적, 기술적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죠. 이에 기술 중립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는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입니다. 민병덕 의원은 “가상자산은 부정적인 인식을 담고 있다”라며 “실물자산과 연결되는 실체 있는 자산이라는 점에서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하나의 이유는 디지털자산이 가상자산보다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디지털자산은 가상자산뿐 아니라 대체불가토큰(NFT),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토큰증권(STO) 등 디지털 형태의 다양한 자산을 포함합니다. 블록체인 기술 발전과 함께 향후 등장할 새로운 형태의 자산도 아우를 수 있죠.

김재진 부회장은 “가상자산 용어는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자산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라며 “디지털자산은 블록체인 기술뿐 아니라 그 위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자산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앞으로 등장하게 될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가치 저장 수단까지 아우를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이미 디지털자산을 공식 용어로 사용하는 곳이 있습니다.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DAXA, 가상자산 업계에서 유일하게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은 재단법인 디지털자산보호재단은 설립 초기부터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두나무 관계자는 “거래 자산의 유형을 고객에게 명확히 전달하고, 디지털자산을 법적인 자산으로 인정하는 국제적 추세를 반영하기 위해 디지털자산을 공식 용어로 사용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가상자산 대신 디지털자산 용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출처=엔바토엘리먼트



지금까지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이라고 부르는 이유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정리하자면 제한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가 담긴 가상자산 대신 기술 중립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보다 광범위한 개념을 포괄하는 디지털자산으로 부르자는 것입니다.

물론 여전히 우리나라의 법적용어는 가상자산입니다. 하지만 가상자산 업계나 정치권, 금융권에서는 디지털자산이라는 용어를 선호합니다. 현재 발의된 법안에서도 디지털자산이라고 표기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여러 용어가 혼용되면 시장과 이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효성과 시장 목소리에 부합하는 명확한 개념 정립과 법적정의가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산업 활성화와 이용자 보호 균형 맞춘 '디지털자산기본법'▶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 위한 혁신 법안 공개 ‘이르면 7월 발의’▶ DAXA, 법인 가상자산 시장 참여 대응 위해 ‘공시’ 강화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1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6085 오픈마인드 CEO “성장하는 로봇 OS 시장, 폐쇄형 아닌 개방형이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0 0
6084 830만 중소기업 책임지는 중소기업중앙회, 디지털 전환 출발점은 '두레이'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9 0
6083 콘텐츠 자산 체계적인 관리·활용 돕는 ‘텐밀리그램’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3 0
6082 AI 데이터센터 확보 경쟁, 사회적 갈등 극복이 관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822 1
6081 펫나우 "수출, 기술이전...반려동물 비문인식 성과 속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4 0
6080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키라앤컴퍼니·퍼슬리·포플러플래닛·프론트웍스 “사업 방향을 구체화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9 0
6079 [스케일업] 넥톤·도미노이펙트·릿툰·아틀로·안심하이 “기업 맞춤형 지원이라 유용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37 0
6078 강동구 청년해냄센터·서울창업센터 관악, 연합 IR 개최 “유망 스타트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42 0
6077 인덱스핑거 “맞춤형 직원 찾아주는 AI 기반 채용 중개 플랫폼, 지금알바”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88 0
6076 맞춤형 AI 설계로 돋보이는 기업으로 탈바꿈 돕는 '도둠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79 0
6075 [주간스타트업동향] 리빙크리에이터, 日 돈키호테 입점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72 0
6074 스튜디오팝콘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026 2
6073 프랜킷 "소모품 수급에서 AI 리뷰 관리까지, 외식업자용 토털 솔루션 노린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71 0
6072 88후드 "AI 기반 스마트 자판기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 도울 것"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9 0
6071 악어에듀 “아케오AI, 세계 선생님·학생 동반 성장 이끈다”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2 0
6070 넥스트챌린지,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항로 여는 '어라운드 X 코스믹 오디세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82 0
6069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01 0
6068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61 0
6067 [위클리AI] xAI, 그로키피디아 출시…가정용 로봇 네오 사전 주문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197 4
6066 허슬러즈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 돕는다, 터닝"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83 0
6065 [자동차와 法] 경미한 교통사고, 무거운 형사처벌…뺑소니의 함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104 3
6064 SBA "2025 서울콘, 인플루언서와 문화 모이는 K 컬처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91 0
6063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93 0
606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20 0
6061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17 0
6060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87 0
6059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138 1
6058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08 0
6057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199 0
6056 모빌인텍 “사람 중심의 이동환경 만들고 싶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41 0
6055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31 0
6054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79 0
6053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72 0
6052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성수동 젠틀몬스터, 감각이 만든 가장 거대한 브루탈리즘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5796 3
6051 운약근답올핏 "누워서 하는 AI 재활 운동, 건강 약자의 새로운 희망"[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56 0
6050 "누구나 제빵 즐기도록" 토스터즈, 개인화 발효종 관리 기술 개발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57 0
6049 스마트드림 “뇌 자극으로 식욕 완화, 두루미다이어트”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161 0
6048 “AI가 만드는 따뜻한 돌봄” 마크노바, HW·SW 통합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390 0
6047 AI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로 음악 산업 활성화 뒷받침…‘사운드엣’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65 0
6046 스타트업 교육·인력·해외진출 복합 서비스 구축하는 '인트윈'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8 0
6045 “데이터는 버려지지 않는다”… AI로 기업 내 문서 정리하는 넥톤 ‘유링파워’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8571 2
6044 [고려대 초창패 2025] 912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음성 보안 기술, 피싱 폐해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55 0
6043 프론트웍스 “블루프린트·작업실 기능 추가로 영상 제작 워크플로 완성”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45 0
6042 켐바이 “AI·데이터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동물실험 없는 안전한 사회 꿈꾼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150 0
6041 [스케일업] 릿툰 [2] 인스타툰 작가 3인이 말하는 숏툰 플랫폼의 가능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54 0
6040 파워테스크 “전문가도 놓치는 정보, 에이전트로 끝까지 찾아냅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44 0
6039 AI 시대 공영방송의 역할은? “공익 추구하는 기술기업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50 0
6038 오아시스 스튜디오 “영화 IP 확보로 OVP 활용도 확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50 0
6037 "마케팅·광고 대중화 시대" 팔레트, AI 기술로 경계 허문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54 0
6036 일상 맞춤형 모빌리티, PBV가 주도하는 이동 패러다임의 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3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