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에서 가장 이론 공부를 해야하는 부분이 바로 3개 슌쯔역에 관한 내용이라고 생각함.
어차피 머가리깨지고 모으면되는 불고계열, 물들이기계열은 그냥 머가리 깨고 모으면 되는데 반해,
3개 슌쯔 쓰는역들은 하나만 바뀌면 이제 서로 같이 동시에 노릴수 있는 역들이 많아서, 이 부분을 잘하는 게 중요함.
실제로 국표 화료중 1/3정도는 3개 슌쯔를 사용하는 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3개 슌쯔 사용하는 역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함.
다음이 3슌쯔를 사용하는 역의 목록임
사용하는 수패 종류
| 점수 | 역 이름 | 어긋난 정도 | 패 예시 |
1 | 24 | 일색삼동순 | 0 | 123m,123m,123m |
1 | 16 | 청룡 | 3 | 123m,456m,789m |
1 | 16 | 일색삼보고 | 1 | 123m,234m,345m |
1 | 16 | 일색삼보고 | 2 | 123m,345m,567m |
3 | 8 | 화룡 | 3 | 123m,456p,789s |
3 | 8 | 삼색삼동순 | 0 | 123m,123p,123s |
3 | 6 | 삼색삼보고 | 1 | 123m,234p,345s |
하나의 역만 보고 달리는건 역만 배운 뉴비들도 할수 있지만, 목록의 역 두가지 이상을 동시에 보는게 어렵고
이걸 할 수 있게 된다면, 당연히 화료율이 많이 올라가겠지?
그럼 두가지 역을 같이 노리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사용 가능한 몸통은 4개인데 3슌쯔 역을 2개 만들려면 슌쯔가 6개 필요하니까 최대한 겹치는 3슌쯔 역을 노리는 게 좋아.
근데 서로 다른 3슌쯔역 A랑 3슌쯔역 B가 2개의 슌쯔를 공유할수는 없어.
이건 '규칙'이고 중국뭐시기 협회에서 나온 규칙서에 적혀있는 내용이야.

예를 들어, 이런 패는 123s, 234m, 345p의 삼보고와 234m,345p, 456s의 삼보고가 동시에 보이는 모양인데,
이런 모양에서 삼보고는 오직 한번만 카운팅 되거든?
규칙상 2개의 슌쯔를 공유하는 3슌쯔역 2개는 같이 세어질수 없어.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양면대기의 특징으로 이를 '우회' 해야해.
양면대기를 하는 경우에는 화료하기 직전까지, 어떤 슌쯔인지가 정해지지 않았잖아?
그래서 이를 이용해서 이 양면대기 타쯔를 3슌쯔역 두개에 모두 포함되게 할수 있는거야.

이런 패의 경우를 보면, 123s, 456p, 789m의 화룡과, 123s, 234m 345p의 삼보고를 동시에 볼수 있어.
한개의 슌쯔를 공유하고(123s), 각각의 3슌쯔 역에 포함되는 슌쯔 하나씩(화룡 : 789m, 삼보고 234m), 그리고 양면대기로 서로 다른 슌쯔가 각각에 포함되도록(45p)
하는 거야.
항상 이게 기본적인 포메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됨.

양면은 아니지만 이런 노베탄 모양도 있을수 있으니 참고하면 좋아.
여튼 요는 '확정되지 않은 슌쯔를 두가지 3슌쯔 역에 공유한다'라는 기본마인드를 가지고 있으면 됨.
좀더 근본적으로 들어가보면, 리치마작에서의 '타쯔'랑 국표에서 '타쯔'의 개념이 약간 다른것 같기도 함.
그니까 결국 3슌쯔역을 하려면 최대한 중첩되게 다양한 모양의 슌쯔에 대응되도록 타쯔를 들고가야되거든.
그렇기 때문에 항상 손패를 잘 쪼개보는 생각을 하는 게 중요해.
1) 양면 타쯔
양면 타쯔의 경우가 대기가 많고 기본이기 때문에 다양한 슌쯔를 보기 좋아.
45s이 있으면, 345s과 456s 두개의 슌쯔를 만들 수 있겠지?
2) 간짱 타쯔
간짱타쯔는 항상 고정된 슌쯔만 만들기 때문에, 안좋은 경우가 많아.
국표에서는 후리텐이 없기때문에 그냥 절대적으로 안좋아.
46s이 있으면 오로지 456s의 슌쯔만을 만들 수 있어.
3) 량칸 타쯔
량칸타쯔는 3장타쯔로 2가지의 서로 다른 타쯔를 볼수 있어.
246s이 있으면 234s과 456s 두개의 슌쯔를 만들 수 있어.
4) 노베탄 타쯔
보통 리치마작에서는 노베탄을 몸통+머리를 사용하는 복합타쯔로 보는경우가 많은데, 국표에서는 한개의 몸통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
예를들어 4567s이 있으면 일단 4567s을 들고가다가, 나중에 손패가 샨텐수가 줄어서 타쯔 선택을 최대한 미루는 거지.
그리고 타쯔 선택을 해야될때 456s과 567s중 하나를 취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4장으로 2개의 슌쯔에 대응하는게 비효율적일 수 있지만 노베탄은 이미 완성된 슌쯔를 들고 있기 때문에 이부분에 대해서 다른 타쯔와의 차별점을 가져.
5) 양면+간짱 타쯔
리치 마작에선 손역을 볼때 외에는 거의 안들고가는 모양이지만 국표에서는 손역을 무적권 봐야하기 때문에 많이 들고 가는 모양이야.
457s 같은 모양을 들고 있으면 이 타쯔는 3장타쯔로 345s 456s 567s 3개의 슌쯔에 대응할수 있어, 다양성만 따지면 양면급이니까 굉장히 효율적인 모양이야.
국표를 할때에는 457같은 모양이 있을 때 함부로 7을 버리지 않는 습관을 기르는게 좋아.
예시를 한번 들어볼께
만약 457p45m45s을 들고있다고 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미래의 슌쯔를 생각할수 있어.
457p -> 345p, 456p, 567p
45m -> 345m, 456m
45s -> 345s, 456s
그러면 이 미래의 슌쯔들을 가지고 만들 수 있는 역은 뭐가 있을지 살펴볼까?
345m, 345s, 345p의 삼동순
456m, 456s, 456p의 삼동순
345s, 456m, 567p의 삼보고
345m, 456s, 567p의 삼보고
이렇게 타쯔들을 가지고 서로 다른 4개의 3슌쯔 역을 볼 수 있는거야.
국표는 선제화료의 메리트가 리치마작보다 더 크니까, 국표에선 어지간하면 베타오리모드로 전환하기 전에는 안전패 들고가지 않는게 좋아.
7p 같은 보강패도 챙기는게 중요하고, 저 7p으로 대응할수 있는 손역이 2개나 늘어나니까 매우 이득이겠지?
거꾸로 이런 공격방식을 알아야지 수비하는데도 도움이 되겠지.
예를 들어 대가가 123s, 234m, 789m을 울었다고 생각해봐.
그럼 이 친구한테는 통수 3456통 근처가 굉장히 위험하다는 걸 인지해야 되거든.
(리치마작처럼 단기는 피하기 더럽게 힘드니 보통 상정하지 않는게 좋아.
또 국표에서는 쯔모아가리의 가치가 높기때문에 단기를 잡는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셀프 디메리트라서 기피하는게 좋아.)
그래서 이를 이용해서 저 쪽에 해당하는 타쯔를 사용한다던가, 머리를 잡는다던가 하는 방식의 '적극적인 수비'가 가능해.
국표에 수비가 의미 없다고 하는 친구들이 있는데, 저런 플레이는 생각보다 중요하니까, 해보기 전에 함부로 판단하진 말아줘 ㅎㅎ.
위험패를 쥐고 이를 이용한 다른 역을 생각해서 화료하는것도 국표를 플레이하는 또다른 재미중에 하나야.
마지막으로 쿳츠키 패에 대해 다루고 넘어갈게.
만약 내가 123m과 456p의 슌쯔를 확보한 경우를 예로 들어볼게.
우리는 789s의 슌쯔가 있으면 화룡을 할수 있잖아?
그래서 삭수 위쪽의 패에 쿳츠키를 할수 있도록 위쪽패를 버리지 않고 잘 들고가야해.
경우에 따라서는 완성된 몸통을 찢어가며 저 쿳츠키 패를 들고가야할 경우도 있으니까, 패를 항상 유연하게 보는 눈을 기르는게 중요해.
예시를 하나 더들게 만약 123s123p456m 3개의 슌쯔를 확보했다고 하자.
그럼 이 3개의 슌쯔로 만들수 있는 3슌쯔역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123s, 123p + 123m 삼색삼동순
123s, 456m + 789p 화룡
123p, 456m + 789s 화룡
이런 논리로, 쿳츠키패를 들고갈때 패효율은 크게 따지지 않고, 항상 역효율을 먼저 따져서 123m, 789p, 789s의 패를 쿳츠키패로 들고가는게 좋아.

그래서 국표를 할때는 이런식으로 머리가 없는 패를 들고있는경우가 굉장히 많아.
어차피 점수가 안되는 화료는 못하기 때문에, 더 많은 손역을 노리기 위해서 위와같이 머리를 포기하는거지.
이제 이샨텐 급으로 패가 나아간 후에, 저 쿳츠키 패들중 하나를 겹쳐서 머리로 쓰게 되는 경우가 많아.
아니면 몸통을 확보한 후에 단기대기를 잡거나.
꽤나 긴글이었는데 잘 이해했으려나?
그럼 마지막으로 퀴즈 하나 내고 갈게.
345p, 567p, 456m을 슌쯔로 쓰고있을때, 이 슌쯔를 이용해서 만들수 있는 3슌쯔역의 종류는 몇개나 있으려나?
사용가능한 슌쯔들을 모두 찾아봐!
국표질문은 언제나 환영이야! 궁금한거 있으면 자유롭게 물어봐!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