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컴린이를 위한 조립컴퓨터 구매 가이드

itx_xj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20 09:13:40
조회 41052 추천 18 댓글 18
														


- 3D/CG 작업자용 조립컴퓨터 기준으로 2023년 12월 말에 작성된 글입니다.

- 스스로 조립 가능한 사람들이 봤을때는 다 아실만한 내용이 많습니다


이번에 컴퓨터를 맞추다가 일주일정도 시간을 썼는데

한번의 구매에 왜 이렇게까지 알아봐야 하는가..

너무 지쳐버려서.. 컴린이분들을 위해 적어봅니다.



견적 공부

견적 공부는 본인이 짜간 견적을 컴퓨터가게 사장님이 첨삭할때

왜 그 부품으로 바꿨는지 듣고, 이해를 할정도면 될 것 같습니다.


업체에 맡길때 게임용 주식용 작업용 용도별로 구성이 바뀌니

사용하는 프로그램 이름과 용도를 이야기 하는게 좋습니다


온도 같은 경우 업체에서 20분 30분 테스트하는것보다는

본인의 렌더시간을 기준으로 보수적으로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랜더시간이 길수록 컴퓨터 내부에 온도가 누적된다고 합니다.



부품 주기와 호환성

부품에는 주기라는게 있습니다. CPU도 새대마다 지원하는 보드가 다르다던가

메모리(RAM)같은 경우 DDR5가 지원되는 메인보드냐 DDR4가 지원되는 모델이냐 등등




각 부품별 구매 가이드


CPU

인텔 i 시리즈, AMD 라이젠 시리즈

흔히 다중코어의 경우 AMD가 더 유리하다고 하고

어도비처럼 다중코어를 활용 잘 못하는 프로그램은 인텔이 더 유리하다고 합니다.

블랜더에서 CPU가 담당하는 부분은 시뮬레이션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다중코어를 빠방하게 쓰신다면 AMD 라이젠

개별 코어 성능이 중요하다면 (어도비는 다중코어 지원이 약하다고 합니다) 인텔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3f12f4c9f


CPU같은 경우 등급이 하나 올라가면 20만원정도밖에 차이가 안난다고 착각하기 쉬운데


등급이 올라가면 발열량도 올라가고 전압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더 비싼 메인보드, 더 크고 비싼 쿨러, 이를 탑재하기 위한 큰 케이스등 비용이 크게 올라갑니다.


벤치마크만 보고 구매하지 마시고 온도가 어느정도인지도 확인하고 사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메인보드

비쌀수록 전류를 더 많이 보낼 수 있고, 온도잡기가 더 쉬워집니다. (방열판도 추가됩니다)

컴퓨터의 USB포트가 몇개 들어가는지, WIFI/블루투스 기능이 들어가는지도

메인보드 모델에 따라 다릅니다. 램호환은 DDR4말고 DDR5 지원되는걸로 사시면 됩니다



그래픽카드

칩셋 제조사 - NVIDIA / AMD / INTEL

3D나 어도비 작업하시면 무조건 NVIDIA 칩셋으로 사시면 됩니다.

어도비나 3D 작업에서는 CUDA코어라는거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이게 NVIDIA겁니다.


40시리즈부터 코덱이 달라져서 어도비에서는 프리뷰를 더 빠르게 볼 수 있다고 하네요.

30보다는 40시리즈 위주로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카드 제조사 - ASUS / MSI / 이엠텍 / 갤럭시 / 기가바이트 / 조탁등등

위 칩셋 제조사에서 칩셋을 받아 카드를 제작하는 회사들입니다.

40시리즈의 경우 동급 그래픽카드는 제조사별로 성능차이가 미비하다고 하니 가장 저렴한 브랜드를 사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4080같은 경우 이엠텍이나 갤럭시가 제일 저렴합니다)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c62f3284d9c

VRAM

같은 등급의 그래픽카드면 VRAM이 많은게 작업할때 유리합니다. (4060TI의 경우 8GB와 16GB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AI그림 관련해서 VRAM이 중요해 그래픽 카드 가격이 요지경이 됐다고 합니다



램(RAM)

이게 많으면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띄울 수 있고,

애팩같은 프로그램에서 램프리뷰 보기가 수월해집니다.

부족하면 하드디스크를 램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매우 느려집니다.


현재 DDR5가 최신이고 삼성보다 SK하이닉스가 더 좋다고 합니다.

하이닉스가 비싸면 에센코어같은 하이닉스의 A다이를 쓰는 제조사를 사서 쓰면 된다네요.

램오버클럭을 안할거니 튜닝램말고 그냥 56000사시면 될것 같습니다.

(오버클럭을 안할건데 수율이 의미가.. 이 부분은 저도 이해를 못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램의 경우 평생 A/S보증이라는건

해당제품이 단종될때까지를 뜻합니다.



클럭과 용량, 브랜드가 동일한 제품으로 짝수로 구매해야 한다고 합니다



저장장치


SSD

삼성, SK 하이닉스가 주로 채용되며

쓰기 읽기 속도와 컨트롤러가 구매하실때 척도가 됩니다

보통 500기가에서 1테라로 구매합니다


디램리스 제품은 SSD가 가득 찰수록 느려지기 때문에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하드디스크(HDD)

어차피 느리지만 많이 저장해두는 용도로 사는거니

버퍼나 rpm보다는 용량을 위주로 고르면 될것 같습니다.


SSD나 하드의 경우 망가졌을때 무상보증은 부품을 말하는겁니다.

안에 있는 데이터복구까지 해주지는 않습니다.


복구 비용은 저장장치가 크면 클수록 시간이 길어져서 어마어마하게 비싸집니다.

SSD같은 경우 2테라 말고 1테라를 2개 구매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복구 업체에서 쓰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가정에서도 다운받을 수 있다 하네요


HDD같은 경우 하드디스크가 좀 이상하다 싶으면

배드섹터 검사프로그램 돌려보시고

같은 용량 하드 구매하신뒤 통째로 복사하시는게 좋습니다

(배드섹터 하나라도 발생하면 시한부입니다.)



파워 서플라이

전력량과 등급, 브랜드가 구매척도가 됩니다.


권장전력은 그래픽카드나 CPU에 적혀있고 넉넉하게 사는게 좋다고 하네요

그래픽카드를 추후 교체하실거라면 교체할 카드에 맞춰서 여유있게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등급은 스탠다드 - 브론즈 - 실버 - 골드 - 플래티넘 - 티타늄순이고

플래티넘/티타늄으로 가면 가격이 매우매우 올라갑니다. 저는 골드로 샀습니다


쿨러와 마찬가지로 파워도 소모품입니다. 오래 쓰면 성능저하가 일어나구요


파워는 잘못 죽으면 다른 부품들도 같이 죽어버리는 불상사가 일어나

좋은 파워의 기준은 죽을때 혼자 죽는 파워라고 하네요


동급파워라면 무거울수록 안에 여러 장치가 있다고 합니다.

무거운게 좋다고 하구요


보증기한이 넉넉한 제품중 출시된지

4,5년 지난 제품중에 후기를 보고 검증된 제품을 사시면 될 것 같습니다



CPU 쿨러

CPU 식혀주는 장치입니다. 공랭, 수랭등이 있고

컴퓨터를 풀로 돌릴때 (렌더할때) 보통 수랭이 더 시끄럽고,(..) 비싸다고 합니다.

조립 의뢰하실때 수랭이면 설치비를 추가로 더 받습니다.


같은 제품인데 RGB가 들어갔냐 안들어갔냐에 따라 가격이 다른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성능차이X)


작업자용 컴은 CPU를 안쓰는게 아니기 때문에

등급이 낮은 CPU라고 해도 사무용과는 다르게 번들쿨러는 비추천합니다

특히 인텔의 번들쿨러는 똥이라고 하니, 잘 찾아보시고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수랭쿨러의 경우 A/S와 누수 보상 A/S가 다릅니다. A/S는 제품만 책임지는거고

누수보상의 경우 누수가 일어나서 안에 부품이 망가졌을때 망가진 부품까지 쿨러 업체가 책임져주는걸 말합니다.


당연히 누수보상이 있는게 더 유리합니다.

그래서 누수 보증기간이 끝나면 바로 바꾸셔야 한다고 하네요


공랭은 팬이 안돌아가면 소리로 알아채기 쉽지만

수랭은 3,4열의 팬중 안돌아가는게 어느건지

펌프고장인지 뭔지 알아채기 어려워서 온도로 파악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죽으면 위험한 제품이다보니 보증기한이 넉넉한 제품중 출시된지

4,5년 지난 제품중에 후기를 보고 검증된 제품을 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케이스

크면 클수록 비싸집니다. 예쁘고 화려한것보다

투박하고 안에 팬이나 공기흐름같은걸 의식한 디자인이 더 가성비 있고 좋습니다.

쿨러가 커지면 케이스도 더 비싼걸 사야 하는데,

예를 들어 수랭쿨러 360이 들어가는 브라보텍 가디언 5100m가 8만원에서 9만원 사이라면

420사이즈가 들어가는 케이스는 20만원 넘어가는게 많습니다.




기타 알아두면 좋은것들


오버클럭/언더볼팅

원래 컴퓨터 부품의 성능을 전압같은걸 조절해서 끌어올리는 건데..

3D 작업용은 안정성이 우선이니 하면 안된다고 합니다.

조립견적 맞추실때 용도가 게임이 아닌 작업용이라 위에 두개는 하면 안된다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드래곤볼(은어)

위 부품들을 모두 특가나 다나와 최저가로 맞춰서 가장 싸게 사는걸 칭하는데

업체 사장님들은 매우 싫어하신다고 합니다(마진 안나옴)


조립비 같은 경우 최저임금 수준이라 마진이라 보기 그렇고

보통 CPU나 GPU에서 마진이 나온다고 하네요.


참고로 조립컴퓨터라고 해도 업체에서 파는 완제품은

소비자 보호법에 의해서 업체측이 1년동안 무상 A/S를 해줘야 합니다.


드래곤볼은 일단 조립을 해주는곳도 많이 없고, 있어도

업체측에서 파는 완제품이 아니게 되니 저 1년 무상 A/S를 못받는다고 하네요


저는 그래픽카드정도만 따로 사가서 해달라고 했는데 사장님이 혼쾌히 해주셨습니다.

(이 경우 A/S가 어떻게 되는지 미리 여쭤보시는걸 추천합니다)


부품별 가성비 비교 팁


유튜버 신성조님

판매되고 있는 거의 모든 부품을 엑셀로 만들어서 가성비 비교분석 해주는 분이 이분밖에 없네요




견적서 만든 이후

라이브로 유튜브 하시는 컴퓨터 업체 유튜브에 가셔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용도를 말씀하시고 컨펌받아보시면 좋습니다. (교차검증 필수)


성능과 발열등 어떤 부품에 힘을 줘야 하는지는

유저그룹이나 리드미컬에서 실제 작업하시는 실무자분들이 더 잘아시고


각 부품별 A/S나 내구도, 안정성 및 불량률 같은건 조립해주시는 사장님이 더 잘 아십니다


업체의 경우 게임컴 뿐만 아니라 작업컴을 자주 조립하신 분들이 신뢰도가 높습니다.

이쪽이 게임용보다 안정성 있게 맞춰주실겁니다.


추가로 사장님들 개개인별로 불량에 대한 데이터가 다른것 같아요

간혹 같은 부품인데도 평가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부품이 싯가인 이유

총판업체 프로모션, 특가, 환율등이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오늘 맞춘 견적이 다음날 오르거나 내리는 이유는 이렇다고 하네요

램같은 경우는 환율때문에 역마진 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현금가가 더 싼 이유

세금계산서 발행 안하시고.. 이하 생략하겠습니다. 이 경우 현금영수증 못 끊습니다

보통 카드가랑 비교했을때 2,3프로 차이나면 카드수수료고 10프로 내외로 차이나면 세금계산서 입니다.



윈도우


이미 가지고 계신게 아니라면

무조건 FPP(처음사용자용)구매하셔야 합니다. DSP는 메인보드랑 하드 고정입니다. 재설치가 안됩니다


FPP로 구매하시면 추후 다른 컴퓨터를 구매하셨을때 재설치 가능합니다.


학생때 구매하셨던 그램이나 갤럭시의 윈도우를 재설치 못하는 이유는

이 제품들이 DSP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게이밍 노트북의 경우도 프리도스로 사서 FPP로 따로 설치하는게 보통 저렴합니다.


모 업체 같은데서 CPU 코어수나 클럭수에 따라서

더 비싼 윈도우 가격을 제시하는데

무시하시고 FPP로 구매하셔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11은 Home 버전과 Pro버전이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그냥 Home버전으로 구매하시면 될것 같구요


윈도우는 견적사이트의 업체가보다 다나와 최저가가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Home/Pro는 큰 차이 없으니 Home 구매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윈도우는 패키지 제품이라고 해도

시중에 유통되는 가짜 윈도우가 많다고 합니다. 조심해서 구매하셔야 합니다



노트북

노트북은 전력/발열로 인해 원래 동급 데스크탑에 비해 성능이 떨어집니다.


완제품이다 보니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메리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요즘은 CPU 발열이 상당해서(인텔) 노트북 자체가 큰 메리트가 없다고 이야기 합니다


작업자용 구매 기준은 게이밍 노트북으로 구매하시면 되구요

현재 발열때문에 AMD제품군이 추천되네요


발열이 크기 때문에 크고 무거울수록 성능이 잘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노트북 내부의 히트파이프가 무겁습니다)


온보드 형태가 아닌

교체가 가능한 제품의 경우 램이나 SSD를 추가하거나 교체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노트북용 부품이 따로 있습니다)



기타

혹시 모르니 부품별로 상자 달라고 이야기 하기 (A/S보증기한 때문에 보통 챙겨줍니다)



모니터

게임안하시면 144khz같은 고주사율은 필요 없습니다. 60정도면 괜찮구요.

패널은 IPS랑 VA, TN이 있고 이 순서대로 비쌉니다.

개인적으로 VA는 시야각이 좋지 않아서 32인치처럼 큰건 비추입니다. (이건 정말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TN은 반응속도는 빠른데 색감이 안좋습니다. 임 안하시면 사지 마세요

OLED (여러분 휴대폰의 그것)라는것 도 있는데.. 매우매우 비싸고 2,3년 지나면 번인이 심해져서 작업용으로는 좀 그렇습니다.

IPS가 무난한것 같습니다


커브드 모니터 또한 게임용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곡이 있어 실제 크기보다 작게 보이는 효과가 있고

모니터 암 설치시 암에 표기된 권장스펙보다 넉넉하게 설치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모니터도 소모품입니다

열을 받는 부분만 변색되서 오래되면 색이 살짝 얼룩덜룩해져요



서멀구리스

1년에 한번정도 재도포 해주셔야 합니다. 2,3년 정도 된 컴퓨가 시끄러워 지는 경우

서멀구리스 때문에 온도를 못잡아서 팬이 엄청나게 돌아갑니다



중고

파워, 모니터, HDD, SSD같은 소모품의 경우 중고로 사면 불리하구요

CPU/GPU의 경우 새대가 넘어가면 같은 성능이라도 더 저전력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파악하셔야 하고, 그래픽카드는 보증기한이 넉넉한것

램같은 경우는 중고로 구매하셔도 무방하다고 하네요



싸게 구매하기


특가 사이트


https://coolenjoy.net/bbs/29

 


https://coolenjoy.net/bbs/jirum

 

https://quasarzone.com/bbs/qe_sale

 


https://quasarzone.com/bbs/qb_saleinfo

 


 


모니터 한정으로 모니터 마이너 갤러리 가면 핫딜탭이 따로 있습니다
오픈마켓 쿠폰발급 특가는 다나와검색으로 잘 안나옵니다


위에 없는것들은 다나와에서 검색

https://www.danawa.com/

 





견적 맞춰보는 사이트

부품별 호환성을 체크 할 수 있구요

금액을 어림짐작하시기 좋습니다

사이트별로 가격은 조금씩 다르게 나옵니다


https://shop.danawa.com/virtualestimate/?controller=estimateMain&methods=index&marketPlaceSeq=16

 

https://www.assacom.com/shop/product/ex_u1.htm?ctime=1703030111



행복쇼핑이라는곳도 있는데 현금가가 많아서 제외했습니다.




이 모든게 귀찮을때 완제품 싸게 사는 법

https://youtu.be/7XjuEaK5DHI?si=i9M6dgc_NWTlGy0V


추천 비추천

18

고정닉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42345 공지 당분간 통피 금지 [3] 건축블렌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08 1181 2
30591 공지 블렌더 튜토리얼 / 팁 모음 [12] Ha_r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0 24379 25
30588 공지 ★★★★ ★★★★ 질문 전에 제발 꼭 읽기!!★★★★ ★★★★ [11] Ha_r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0 16108 29
37470 공지 호출벨 [4] pig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6 1967 0
28805 공지 Wenbo zhao 튜토리얼 이벤트 한답니다 [13] x_xv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9 6216 15
21846 공지 광고글 관련 공지. [3] pig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7 4753 12
43743 질문 nurbspath에서 버텍스 이동시 다른 좌표들도 회전됩니다. 블갤러(183.99) 11:55 19 0
43742 일반 벡터 내적 외적이 어떨때 쓰는거임? [2] 블갤러(121.170) 11:33 20 0
43741 질문 블렌더 리깅 고수님 이게뭔가요.. 블갤러(221.150) 08:57 37 0
43740 일반 모델링 잘하는법 없나 ㅇㅇ(58.228) 02:46 55 0
43738 일반 카니발 65%정도 한듯? 블랙배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3 53 0
43737 일반 1년차? 실력 [2] Eternal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1 137 2
43735 일반 애니메이션 모델링 채색 완료 (나가토로) [2] 블갤러(183.102) 05.03 128 6
43734 일반 뉴비의 f키 질문 [2] 블갤러(175.117) 05.03 69 0
43733 일반 스타렉스 작업률 25% 민초피자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58 0
43732 일반 블렌더에서 툰쉐이딩 후 텍스쳐 베이크 방법 [1] 블갤러(121.136) 05.03 55 0
43731 일반 큰맘먹고 쿼드리메셔 샀는데 이거 왜멈춰있냐 [2] 블갤러(58.228) 05.03 66 0
43730 질문 뉴비 헬프미.. 블갤러(221.150) 05.03 57 0
43729 일반 지오메트리 노드 챗지피티한테 물어봄 [3] 블갤러(118.36) 05.03 90 0
43728 질문 블랜더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2] 블갤러(210.94) 05.03 112 0
43727 일반 체찌피티 거짓말 너무 심한데 [3] 블갤러(211.201) 05.03 138 0
43726 질문 30일 챌린지 1일차 질문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177 0
43724 일반 슈퍼 하이브 출시 번들(애드온,에셋) 좋아보이는데 어떤가요? [3] 블갤러(39.114) 05.03 136 0
43723 일반 챗 GPT 지리네 .. 나 개 초보인데 지금까지 막히는거 다 해결중 [1] 블갤러(89.187) 05.02 156 0
43722 질문 AMD AI max+ 395 렘32기가 인데 도와주세요 [1] ㅇㅇ(210.98) 05.02 60 0
43721 일반 혹시 애니메이션 이런 것도 가능한가요 [3] 블갤러(211.201) 05.02 130 0
43720 일반 개인적으로 블렌더의 모델링 기능이 [7] 블갤러(58.230) 05.02 204 0
43719 일반 엣지루프 기능은 어케킴? [2] 카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58 0
43718 일반 ㅇㅇ 블갤러(114.201) 05.02 43 0
43715 일반 뉴비 건축 해봤음 [3] 블갤러(49.170) 05.02 295 8
43714 일반 스타렉스 앞부분 모델링 대강 완료 [2] 민초피자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32 1
43713 일반 이거 천 시뮬레이션 돌리는데 뭐가 문제일까 [3] 블갤러(121.131) 05.02 141 1
43712 일반 어렵네요 ㅠ ㅎㅡㅎ(39.112) 05.02 79 0
43711 일반 다들 마우스는 뭐 써?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35 0
43710 일반 사물그림자 툰쉐이딩처럼 하는 법 없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30 0
43709 질문 블렌더 1일차인데 기즈모 관련 질문 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28 0
43708 질문 이거 왜 혼자 렌더링이 안됨? [6] 아파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181 0
43707 일반 카드결제되는 학원이나 과외 추천해줄수있는 사람있음?? 블갤러(125.131) 05.01 58 0
43706 일반 블렌더 법선 빨간색일 때 뒤집으면 파란색이 안 나오는데 어떡함? [5] 블갤러(59.12) 05.01 103 0
43704 일반 다 만들었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465 10
43703 일반 스타렉스 작업률 15% 민초피자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126 0
43702 일반 여기갤 쓰는 사람들은 모션 종사자들임? [3] 블갤러(61.78) 05.01 172 0
43701 질문 특정 면만 섭디 안 먹이는 방법 있어? [4] 블갤러(183.107) 05.01 114 0
43700 일반 오토웨이트는 ai도입 못하나 [3] 블갤러(14.6) 05.01 124 0
43699 일반 여기서 메쉬에 본을 합치려면 ...? [1] 수염난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80 0
43698 일반 고수님들 지오메트리노드 질문입니다 블갤러(118.36) 05.01 55 0
43697 일반 리깅은 진짜 강의도 자료도 너무 없네 허 [5] 블갤러(122.36) 05.01 195 0
43696 일반 도장만들기 생각보다 쉽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143 2
43695 일반 카니발 50%정도 만듦 [2] 블랙배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71 2
43694 질문 블렌더 뉴비 질문점요 [3] 블갤러(116.44) 04.30 138 0
43693 일반 모델링 노트북은 걍 닥치고 에이수스 사면됨? [3] 블갤러(125.130) 04.30 86 0
43692 질문 실내디자인 하는 사람들에게 질문 [13] 블갤러(61.101) 04.30 150 0
43691 일반 태초마을 해버림 [2] 민초피자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89 0
43690 질문 블렌더에서 애니메이션 중력 시뮬레이션 중간 모습을 오브젝트로 바꿀수있나요 [1] 블갤러(112.168) 04.30 104 0
43689 일반 랜더뷰아이콘 사라짐 [1] 블갤러(112.164) 04.30 88 0
43687 질문 블렌더에 쓰려고 스페이스마우스 사는거 배보다 배꼽이 큰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38 0
뉴스 스테이씨 세은, 새하얀 피부로 프린세스 아우라 가득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