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월가 헤지펀드 판 골목식당 "Pod Shop" 이슈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9 17:38:16
조회 193 추천 1 댓글 2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3d71ffdf048137320c81b8c5

0. 부제: 포드 샵: 혁신인가, 혼돈인가?

다중 전략 헤지펀드, 일명 "포드 샵(Pod Shops)"은 헤지펀드 업계에서 가장 핫한 트렌드 중 하나다. 다양한 전략을 한 곳에 모아 투자자들에게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익을 약속하는 혁신적인 모델이다. 그러나 포드 샵의 부상은 여러 가지 리스크와 부작용을 가져왔고, 업계는 이제 그 미래를 고민하고 있다.
이 글은 포드 샵의 운영 모델, 리스크, 그리고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최초로 논의되는 이 핫한 이슈에 대해 흥미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만약 당신이 금융 지식이 거의 없다면 파란색으로 쓴 문단 4번, 5번만 읽어도 무관하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3a25f5d453d233620c81b810

1. 헤지펀드 판 "혼자면 죽고 뭉치면 산다"

포드 샵의 핵심은 여러 개의 개별 투자 팀을 모아 "포드"를 형성하는 것이다. 각 포드는 특정 전략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한다. 주식, 채권, 상품, 파생 상품 등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걸쳐 자본을 동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포드 샵의 부상은 다양한 요인이 합쳐진 결과다. 특히 은행의 독점적 거래 활동을 제한하는 볼커 룰(Volcker Rule)의 시행이 두드러진다. 또한, 규제 장벽의 증가, 창업 비용의 급증, 기존 펀드에서 포드 샵으로의 인재 유출도 이 추세를 가속화했다. 포드 샵은 투자자들에게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익을 약속하며, 특히 불안정한 시기에 매력적인 제안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포드 샵의 운영에는 잠재적인 리스크와 부작용이 있다. 운영 비용 상승, 인재 확보 전쟁, 규제 기관의 조사 증가 등은 포드 샵과 관련된 주요 도전과제다. 또한,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단순히 잘 나가는 전략들을 훔친 "복사-붙여넣기"의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6b76a8d952856a330c81b810

2. 리스크 다각화라는 허울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여러 개의 개별 투자 팀을 결합하여 "포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포드는 특정 전략을 담당하며,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수익을 극대화다. 그러나 이는 또한 리스크를 다각화한다는 명분으로 메뉴판을 왕창 늘리고 운용수수료만 비싸게 받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포드 샵은 다양한 전략을 결합함으로써, 단일 시장 부문의 하락세에 의해 타격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적 위험을 줄이고 투자자들에게 보다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한다. 그러나 여러 포드가 유사한 전략을 구현하거나 동일한 자산에 투자할 경우, 그들의 행동은 시장에 피드백 루프를 생성하여 가격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즉 리스크를 다각화 한다는 말은 다 뻥이고 오히려 헤지펀드의 전략을 난잡하게 만들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규제 기관의 주목을 받았다. 레버리지 사용, 시스템적 위험, 투명성 부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업계에 추가적인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규제 준수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이 될 수 있으며, 규제 기관과의 적극적인 대화가 있다지만 아직까지 미진할 따름이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3a7ffe8e03d465620c81b85a

3. 헤지펀드 업계의 "백종원 선생"을 기다리며

포드 샵과 관련된 리스크 중 하나는 재상관 위험이다. 다양한 전략과 자산 간의 상관 관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관관계가 갑자기 급증하면 포드 샵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마진 콜을 유발할 수 있다. 마진콜은 포드 샵이 마진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자산을 매도하도록 강요하여 시장 하락을 악화시킬 수 있다.

포드 샵은 이러한 재상관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그들은 역사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에만 초점을 맞추는 대신 다양한 자산군과 지역에 걸쳐 다각화했다. 또한, 포드 샵은 상관 관계 추세를 모니터링하고 변화하는 시장 역학에 맞게 전략을 조정하여 재상관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포드 샵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투자자들은 높은 수수료와 제한된 유동성에 실망할 수 있다. 또한, 규제 기관의 조사와 금융 파트너의 변화하는 우선순위는 업계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포드 샵이 지속적으로 성공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시장 역학에 적응하고, 혁신하며, 회복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쉽게 쓴 버전
4. 여기 뭐 잘해요? 일단 저희 열심히 다 하긴 해요~
아마 이쯤 되면 이 글을 생략하고 3줄요약으로 넘어갈 수도 있겠다. 하지만 금융업계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724e8c89fd1e5ff789ef38b51b90e4a71542293b01e7d964bc
성공한 식당에 손님이 몰리듯이, 헤지펀드 업계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몇몇 헤지펀드에서 고객이 고를 수 있는 메뉴를 늘리니 성공을 한 것이다.
마치 해물집에서 돈까스 메뉴 추가했더니 대박 난 케이스다. 우리는 이를 "포드 샵"이라고 부른다.

이게 워낙 잘 나가니 비슷한 전략을 모방한 "포드 샵"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이는 마치 인기 있는 식당의 메뉴를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는 것과 같다.

즉, 하버드 다닌 사람들이 엄청난 노력을 해도 옆집 가게에서 "딸깍" 전략을 복사해버리니 현타가 온 것이다.
이러니 다들 김밥천국을 차리는 실정인 것이다.
앞서 말했던 리스크 다변화는 핑계다. 마치 실력없는 식당에서 매출이 안 나와 메뉴를 늘리는 멍청한 선택과 똑같다.

콧대 높던 월가 헤지펀드 업계는 "고급 레스토랑"를 추구했던 과거와 달리, "김밥천국"과 같은 단순 전략 복제 프랜차이즈로 변하고 있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3f71fb8a56d26a340c81b8e5

5. 이 모든 메뉴 다 먹어도 안전해요?

그러나 포드 샵의 운영 모델은 만능이 아니다.
김밥천국이 메뉴 다양화로 인해 식자재 관리에 취약한 건 다들 알 것이다.
참 웃기게도 포드 샵 또한 유사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포드 샵은 한 가지 전략 또는 식재료(우동다시)를 사용하여 다양한 메뉴(김치우동, 얼큰 우동, 어묵 우동 등)를 만드는 것과 같다.
만약 그 한 가지 전략이나 식재료에 문제가 생긴다면, 전체 포트폴리오 또는 메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 Pod Shop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지면서 헤지펀드 내부에서 수익률을 위해 무리한 일을 벌이고 있다는 내부자 인터뷰도 꾸준히 나오는 상황이다.
마치 김밥천국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자 불법적인 영업활동을 하는 사장과 똑같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포드 샵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량은 월가 헤지펀드 전체 중 25%까지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7%였던 3년 전에 비해 무려 3배가량 오른 수치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3f23f88d04d7366f0c81b8ff

이들의 욕심은 여전하다. 그리고 이제는 전세계의 연기금까지 이 전략을 따라하려고 한다.


아직까지 포드 샵에 대한 규제는 미비한 수준이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안겨주고 있다.
포드 샵의 운영에는 높은 운영 비용, 인재 확보 전쟁, 규제 기관의 조사 증가 등 여러 가지 도전과제가 뒤따른다.

김밥천국 또한 규모가 커지고 메뉴가 다양해지면 식재료관리가 더 어려워지는 것이 상식이다.
따라서 포드 샵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각 포드의 전략과 리스크 관리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
FT에 따르면 향후 주식시장에서 가장 큰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는 평이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3970f8d955d236350c81b857

6. 결론: 적응, 혁신, 그리고 투명성

포드 샵의 부상은 헤지펀드 업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모델은 투자자들에게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익을 약속하며,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수익성 높은 부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성공에는 여러 가지 리스크와 부작용이 뒤따른다. 운영 비용 상승, 인재 확보 전쟁, 규제 조사 증가, 전략 복제 프랜차이즈의 확산 등은 포드 샵과 관련된 주요 도전과제다.

포드 샵이 지속적으로 성공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시장 역학에 적응하고, 혁신하며, 회복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규제 준수, 투명한 보고, 강력한 거버넌스를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포드 샵은 그들의 전략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며, 투자자들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허나 이 과제를 무시하고 형편없는 헤지펀드들이 몸집을 키우기만 급급하면...
Financial Times의 마지막 문단을 인용하며 마무리하겠다.


viewimage.php?id=23bcc322e4c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3cfb4a3c56043f5cd340c591f208d8bf71059694976299a6b7ea9d904d56b6e0c81b892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4071 공지 [필독] 블룸버그 갤러리 고지사항 및 글삭기준 [39] 블갤매니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3 6830 33
457 공지 세스클라만-안전마진 읽어보고 싶은 사람 [15] ㅇㅇ(110.35) 20.07.28 15855 15
3245 공지 블룸버그 갤러리 정보글 모음집 [8] 블갤매니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5 20048 20
6751 공지 글머리 명예의전당 / 뻘글 관련 [8] 블갤매니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9 2384 4
1627 공지 블룸버그 갤러리 공식 게임입니다. [15]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23 5511 16
16694 일반 매우 좋은 유튜버 공유! [2]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19 2
16693 일반 낭만 레포트 쉽게 해설해본 글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68 1
16692 일반 수소 글 깔끔하게 바꾼 버전. [4]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52 3
16691 일반 이거 뭐임?? [1] B갤러(121.141) 06.09 84 0
16690 일반 수소경제가 굉장히 힘든 이유 [14]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65 5
16689 일반 투자보고서: 기묘한 일본 라멘집 [4]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8 7
16688 일반 투자 보고서: 일본 물류 산업의 숨겨진 보석 [4]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59 3
16687 일반 너무 좋은 사이트 발견!!!!!!! [6]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44 9
16686 일반 개인적으로 정리 해 본 금투세와 사모펀드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81 3
16685 일반 무위험 차익거래로 돈을 번 경험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84 3
16684 일반 투자보고서: 청나라같은 할리우드, 영국같은 중국 [7]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70 1
16683 뻘글 여기 주딱은 현금보유 얼마나 하고있음? [8] Großdeutschla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46 0
16680 일반 일본 투자 전망: 리플레이션과 지배구조 개선의 시대 [4]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04 3
16679 일반 요즘 자주 읽는 블로그 [2]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336 3
일반 월가 헤지펀드 판 골목식당 "Pod Shop" 이슈 [2]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93 1
16677 일반 투자보고서: 귀여움과 경험의 힘 [5]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16 0
16676 일반 퍼싱스퀘어 주관 가치투자 발표 대회 영상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7 101 0
16675 일반 헤지펀드를 이용해 수익을 올리는 법 [8]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464 11
16674 일반 글 조회수 뭐노 ㄷㄷㄷ 아는오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182 0
16673 일반 군대식문화로 망해버린 독일 100년 기업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310 5
16672 일반 주린이 포트좀 평가해주세요 ㅇㅇ(14.52) 05.02 148 0
16671 일반 알리바바 그렇게 쳐 빨아대시더니 갤럼들이랑 주딱 파딱 찰리멍거 따라감 ㅋ [2] ㅇㅇ(210.178) 04.26 201 0
16670 일반 Isa 배당금 들어오면 납입한도 포함됨? B갤러(223.39) 04.17 65 0
16669 일반 니들이 생각하는 디시에서 가장 도움되는 금융 ,경제 주식갤러리는 어디임?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250 0
16668 일반 월가 헤지펀드의 가치투자 종류 및 실제 투자결정 인터뷰 [1]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390 1
16665 일반 물가상승을 금리 탓하는 정치인들의 선동 초안 [6]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636 4
16664 일반 한중일대만 연합하면 이론상 세계최강연합국가 아님?? [3] B갤러(118.235) 01.14 457 1
16662 일반 지금쓰고 있는 글 주제 - 금리와 물가 간의 미신적인 관계에 대해. [3]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3 562 3
16661 일반 또 갤주련 질질 싸겠네 [3] B갤러(222.108) 23.12.23 760 2
16660 일반 멍거옹 별세 B갤러(223.38) 23.11.29 242 0
16659 일반 소중한 내 몸 정보 속아서 뺏기지 마세요 ㅇㅇ(39.118) 23.11.28 275 0
16657 일반 블룸버그 해지 프로모션 끝나고 할수 있는거임? [1] B갤러(175.205) 23.11.13 207 0
16656 일반 이코노미스트 2024년 산업 전망 보고서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1 980 2
16654 일반 타임즈 구독하려고 하는데 [2] B갤러(180.65) 23.11.07 247 0
16653 일반 sjm 샀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114 0
16652 일반 일론머스크는 걍 머리가 안좋음 테슬라 투자 ㄴ [1] B갤러(39.7) 23.11.06 285 0
16651 일반 현대가 테슬라 따라잡는건 시간문제다 ㅂㅅ들아 ㅋㅋㅋㅋㅋ [1] 영어고학력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270 0
16650 일반 지금 스테그기폭제가 있다면 당연히 기름값 ㅇㅇ(203.229) 23.10.27 144 0
16649 일반 채권 타이밍이네 ㅇㅇ(203.229) 23.10.27 192 0
16648 일반 주식투자에서 젤 중요한게 뭐냐하면 [1] B갤러(211.49) 23.10.24 315 0
16647 일반 달러 현금이 3987달러인데 왜 예수금은 2275달러임??? B갤러(221.141) 23.10.24 201 0
16646 일반 뻘글) 미국의 미래 [4]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3 1986 13
16645 일반 혹시 STO 관심있으신가요? [1] B갤러(175.209) 23.10.20 169 0
16644 일반 아주 훌륭한 유튜브 추천 [3]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0 677 2
16642 일반 사토시 나카모토의 어록 모음집 B갤러(168.126) 23.10.18 346 3
16641 일반 펌) 가자의 인도적 위기, 턴 [1]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8 291 2
16640 일반 투표) 비트코인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B갤러(143.244) 23.10.16 157 0
16639 일반 앞으로 20년간 가장 수익률이 높을것 같은 코인은? [2] B갤러(143.244) 23.10.16 177 0
16638 일반 좋은 텔레그램 채널 알고계시는 분 있나요? [1] B갤러(14.56) 23.10.11 371 0
16633 일반 +가치투자는 아직 살아있다. -투자자 편지- [6] 미주갤블룸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8 717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