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팩린이를 위한 물류 시스템 총정리

EZ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1.29 01:04:45
조회 3293 추천 47 댓글 20
														

pc에서 작성한 거라 모바일 가독성은 잘 모르겠음




0. 물류 시스템이란?


 팩토리오에서는 필요에 따라 아이템을 생산지로부터 목적지로까지 수송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아이템을 운송하는 행위를 물류 처리라고 부른다. 물류 처리 수단에는 벨트, 기차, 투입기, 파이프, 로봇 등이 있다. 이 중 로봇을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을 특별히 물류 시스템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935a5cfc8a15b1c5581dadb

 그게 공식 명칭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로봇(건설로봇 및 물류로봇; 이하 드론)은 다른 물류 처리 수단들과 달리 튜토리얼에서 다루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많은 팩린이들이 입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나 또한 그랬다). 이 글에서는 물류 시스템을 왜 쓰는지, 어떻게 쓰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1. 물류 시스템을 왜 써야 하는가?


 언제나 그렇듯, 시설물을 하나 하나 설치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일이다. 벨트를 드래그로 긁어 설치하는 정도는 어려울 것 없지만, 투입기, 긴팔 투입기, 전신주 등이 복잡하게 섞여있는 대규모 공장을 손수 지어봤다면 그 불편함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팩토리오에는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수단이 있다. 바로 건설로봇이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8b1aa4abee146875d412b82d155f40a3d3061dc3b26253

(딸깍 한 방에 여러 구조물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모습)

 이것 하나만으로도 드론을 쓸 이유는 충분하지만, 드론은 그 외에도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바로 물류로봇을 이용한 물류처리이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8b1aa4abee146875d412b878450f17a4895e4bc3b26253

(벨트 하나 없이 로봇들이 각 생산설비에 자동으로 재료를 공급하고 있다)

 기차나 벨트와는 달리 드론은 아이템을 수송하는 출발지와 목적지만이 중요할 뿐 그 중간 과정은 크게 중요하지 않기에 기지 설계가 간편하고 구조 변경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 연구를 통해 드론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물론 단점도 있는데, 우선 요구 테크가 높다. 게임 시작부터 열리는 벨트나 물류 과학팩 수준에서 열리는 철도보다 사용 가능한 시점이 늦다. 무한동력인 벨트나 기반시설을 위한 약간의 전기와 연료만을 요구하는 기차에 비해 전력 소모도 훨씬 크다. 물동량도 비교적 적고 불안정하다. 그러니 적재적소에 맞는 활용이 필요하며 이는 각자의 몫이 되겠다.




2. 물류 시스템의 기본 구성


 물류 시스템은 로보포트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물론,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 로보포트에 한해서). 로보포트를 설치하고 커서를 올리면 초록색과 주황색 영역이 표시되는데, 초록색은 건설영역, 주황색은 물류영역이라고 불린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c5ed1c6074d9ca897bc75629862ae989b3911edb2d8a31f2

(건설영역과 물류영역)

이 중 물류영역이 물류시스템의 기본 영역이고 건설영역은 건설 및 해체 명령에만 반응하는 확장된 영역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서로 물류영역이 맞닿아있는 로보포트끼리는 하나의 물류 네트워크로 묶여 관리되며 이는 단축키 L키를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이제 건설 명령을 내리는 방법을 알아보자. 지도를 열고 원격 보기 상태에 진입한 후 인벤토리를 열려고 시도하면 고스트 상태 커서 설정이라는 창이 열린다. 여기서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면 고스트 개체가 커서에 선택된다. 이걸 로보포트의 건설영역 혹은 물류영역 내부에 배치하면 명령 내리기 끝이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8b1aa4abee146875d412b82c43091ca1d20f11c3b26253

(건설 명령을 내리는 모습 - 화질구지는 미안)

이외에도 ctrl+c, ctrl+v로 특정 영역의 구조물을 통째로 복사 붙여넣기 해 건설 명령을 내릴 수도 있고, 자주 쓰는 패턴은 alt+b를 통해 청사진화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자, 이제 로보포트도 설치했고, 로보포트에 전력도 공급했고, 로보포트에 건설로봇도 배치했으니 드론들은 우리의 명령에 따라 시설물을 자동으로 설치해줄 것이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662a09ac9fc0eedec52b546

라고 생각했다면 아마 이러한 메시지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당연하게도, 드론은 무에서 유를 창조할 능력이 없다. 우리가 건설 재료를 쥐어줘야만 이걸 가지고 이동해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드론에게 어떻게 아이템을 제공해야 할까?




3. 물류 상자


 지금까지의 내용은 기초 중에도 쌩 기초이고 이 문단이 이 글의 핵심, 물류상자에 대한 내용이다. 물류 상자에는 다섯 종류가 있다; 능동형 공급상자, 수동형 공급상자, 보관 상자, 완충 상자, 요청 상자. 이 상자들을 적절히 이용하면 건설로봇에게 아이템을 공급하거나 물류로봇에게 아이템 운송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럼 바로 각각에 대해 알아보자.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435f39c93ff5bd0ae0e5b25

 우선 보관 상자(이하 노란 상자)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건설 재료가 없다는 메시지가 표시된 이유는 물류 시스템 인벤토리에 해당 물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노란 상자는 물류 시스템의 기본 인벤토리 역할을 한다. 즉, 노란 상자를 물류 시스템의 물류영역 내부에 배치하고 그 안에 아이템을 넣어두면 건설로봇은 이를 이용해 건설 명령을 수행한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8b1aa4abee146875d412b87a125f40a7d40b1dc3b26253

(1문단에서 본 움짤 - 자세히 보면 노란 상자에서 건설 재료를 가져와 건설을 수행한다)

 반대로 이미 건설되어있던 구조물을 대상으로 alt+d키를 통해 해체 명령을 내리면 건설로봇은 해당 구조물을 해체해 노란 상자에 보관한다. 물류 시스템의 아이템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관 상자라고 기억하면 된다.


 노란 상자의 필터 슬롯은 로봇이 그 상자에 해당 템 이외의 템을 보관하지 않도록 만드는 기능이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2331a096c5af08627461955a

 다음으로는 수동형 공급 상자(이하 빨간 상자)에 대해 알아보자. 노란 상자와 더불어 다른 세 종류의 상자보다 빨리 해금되는 기본 상자이다. 빨간 상자는 이름 그대로 물류 네트워크 인벤토리에 아이템을 수동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무슨 의미냐 하면 노란 상자에 더 이상 해당 아이템이 없을 때 자신이 보관한 아이템을 제공한다는 뜻이다. 이런 게 왜 필요한지는 가상의 상황 설정을 통해 알아보자.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c5ed1c6074d9ca897bc75629d27cbc8feb954bdcde230f4e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236dafcb97fd5d0ec84ff84e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2463a09892a10e2568bb84cf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867a5c8c9ae065283c2a4da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830f49ac4a00c99ad9eb395

 보다시피 생산물을 임시로 보관하는 용도로 적절하다. 물류 네트워크에 아이템이 부족한 경우에만 내용물을 공급하므로 수동형 공급 상자라고 기억하면 된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76cf0ca95a10a672488e598

 다음은 능동형 공급 상자 (이하 보라 상자). 얘는 빨간 상자와 달리 자신이 보관 중인 아이템을 무조건적으로 물류 네트워크에 공급한다. 무슨 말이냐 하면 노란 상자 등 물류 네트워크 인벤토리에 빈 공간이 있는 한 드론들은 무조건 보라 상자의 내용물을 꺼내 물류 네트워크 인벤토리에 집어넣는다는 말이다. 즉, 절대로 가득 차면 안 되는 상자가 필요할 때 쓴다.


 갤에서는 보라상자는 절대 쓰지 말라는 밈이 있는데 적절히 사용하면 다른 상자들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인벤토리에 잡동사니가 잔뜩 쌓였는데 버리기는 아깝고 적당히 물류 네트워크에 집어넣고 싶다 하면 보라 상자를 설치하고 그 안에 전부 집어넣은 후 드론들이 처리하길 기다리면 된다.


7ef3d72fe3f206a26d81f6e0458973681461

(보라 상자에 템이 들어오자마자 비워버리는 물류 로봇)

 이외에도 우주시대 DLC에서 글레바의 부패물질을 비우거나 풀고라에서 고철 생산품을 비우는 등 절대 막히면 안 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내용물을 무조건적으로 물류 네트워크에 공급하므로 능동형 공급 상자라고 기억하면 된다.


 빨간 상자와 보라 상자는 공급 상자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 자신의 내용물을 물류 네트워크에 공급하는 기능만 있으며, 보관 기능은 없기 때문에 드론들은 절대 이 두 상자에 아이템을 집어넣지 않는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2567f2c892af5cef6a918d82

다음은 요청 상자 (이하 파란 상자). 파란 상자는 아이템 요청을 설정할 수 있고, 드론들은 이렇게 설정된 아이템 요청이 만족될 때까지 물류 네트워크 인벤토리의 아이템을 반출해 요청 상자에 보관한다. 물류 로봇 사용의 핵심으로 다음과 같은 딸깍 공장의 구성에 필수적이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886fa1bd62531b19a96f1cd404ede18aa6cde17c8798f8932e2dc8cfa31787ace4ff6a8801e60a58e5b8243261613357665f5cc92fb5a5f4ab08983

(차이를 알겠는가?)

 여러 지형지물과 구조물 등의 방해를 뚫고 벨트를 연결하려 머리를 싸맬 필요가 없고 그냥 파란 상자와 생산 설비를 투입기로 연결하면 즉시 배치 완료. 많은 종류의 재료를 요구하는 생산품도 벨트 여러 줄과 투입기 여러 개를 들고 뚝딱거릴 필요 없이 딸깍 한 방에 정리가 된다. 확장도 쉬운 게, 저 한 단위를 복사해 붙여 넣으면 그게 바로 공장 확장.


 소소한 팁으로 shift+우클릭으로 생산 설비 설정을 복사하고 shift+좌클릭으로 이를 요청 상자에 붙여 넣으면 해당 생산 설비를 30초간 가동할 수 있는 재료가 자동으로 요청된다. 이만큼 채워주세요 하고 요청하므로 요청 상자라고 기억하면 된다.


 이 상자는 오직 요청을 생성해 아이템을 받아먹기만 할 뿐 자신의 내용물을 물류 네트워크에 공급하는 기능이 없기에 L키를 눌러 보이는 물류 네트워크 통계에서 그 내용물이 아예 조회조차 되지 않는다.

 

7fed8272b4836afe3cec82ec43891b6c019b7cd600129d3683e63e1fe5d4

 마지막은 완충 상자 (이하 초록 상자). 가장 난해하지만 마찬가지로 사용하기에 따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기본 기능은 파란 상자와 마찬가지로 요청을 생성해 아이템을 보관하는 것이고, 파란 상자와 다른 점은 보관 중인 아이템을 물류 네트워크에 공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가상의 상황을 통해 활용예를 보도록 하자.


7fed8272b4836aff3eef86e542861b6f53b72e6d325e4efac775bfa5dc1507d5

7fed8272b4836aff3eef86e542861b6e8ab4c8e5a5684956b265f07db1f4af61

7fed8272b4836aff3eef86e542861b696221715cb0b49581fddef2b4bc06f926

 이는 단순히 활용예일 뿐이고 다른 용도로도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다. 장거리 물류 충격을 완화해주므로 완충 상자라고 기억하면 된다.




4. 마무리

 내용은 이 정도지만 자유자재로 활용하려면 경험이 필요하다. 언급한 활용예들은 어디까지나 그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예시를 하나 들었을 뿐, 그외에도 무수히 많은 활용 방법이 있으므로 스스로 개발하고 적용해보자. 자세하게 설명하다보니 분량이 너무 많아져서 최대한 눈에 잘 들어오라고 그림을 중간중간 많이 넣었는데 의도한대로 됐을지 모르겠다. 내가 설명을 잘 한 건지도 모르겠고. 아무튼 누구 하나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추천 비추천

47

고정닉 16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83761 공지 운영 규칙 및 신문고 [5] 팩붕이(118.235) 24.12.16 1650 0
21906 공지 [뉴비필독] 이 글 먼저 읽어라 (2024-11-04업데이트) [28]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12 100318 110
68168 공지 우주 시대 DLC 출시함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29 13026 24
1711 공지 팩토리오 갤러리는 어떤 곳인가요? [6]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02 65912 38
24150 공지 공략 모음 Ver 0.1 (2020-08-31) [12] 고속도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31 143907 24
17413 공지 팩토리오가 어려운 뉴비분들에게 전하고싶은 이야기 [32] ㅇㅇ(175.124) 20.04.07 55722 93
91175 일반 솔직히 내가 우주선에 타고 있으면 팩붕이(222.103) 11:34 15 0
91174 일반 기차 버프 그냥 품질만 영향받아도... [3]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9 0
91173 자랑 글레바 노부패기차 만들어옴 [8] pap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68 5
91172 일반 뉴비인데 멀티방 열었는데 들어와서 이것저것 도와주실 분 계신가요.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52 0
91170 질문 빨칩 노벨한줄 만들려하는데 이 계산 맞나요?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6 106 0
91169 일반 프로메튬 구경도 못한 팩린이 인데... [3] ㅇㅇ(112.165) 03:32 124 0
91168 질문 나우비스에서 벌레들 진화게이지 글레바랑 공유인가요? [2] 팩붕이(116.37) 02:33 96 0
91167 일반 박테리아는 우라늄 불리는거마냥 불려야 되네 [1] 컴공전투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4 120 0
91166 질문 역 켜고 끄는 조건 어떻게 해야 되냐 [9] 팩붕이(211.202) 01:28 144 0
91165 일반 마라톤이라 공업 좀 등한시 했는데 대형뜸; [4] ㅇㅇ(59.13) 01:12 176 0
91164 일반 재활용기에.. 생산 모듈 넣는 경우는... 어떤 경우야 ㅇ? [5] ㅇㅇ(112.165) 01:01 113 0
91163 일반 철 판을 파이프로 만들고 갈기 vs 철 상자로 갈기 [7] ㅇㅇ(175.116) 00:23 140 0
91162 질문 글레바 토양 구분 어떻게 하는거?? [5] 팩붕이(125.130) 00:22 121 0
91161 일반 내행성 순환 방해석채굴선 개선함 팩붕이(112.145) 00:15 93 1
91160 질문 자랑은 시발 존나큰일났음 [18] 팩붕이(211.202) 00:01 291 0
91159 일반 DLC 정ㅋ벅ㅋ 계획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68 0
91158 질문 우주 플랫폼 포탑에 탄창 자동으로 넣는 법 없음? [4] 팩붕이(59.14) 05.07 100 0
91157 일반 뉴비 큰일 났어.... [9] ㅇㅇ(112.165) 05.07 154 3
91156 일반 아 진짜 그만해야 되는데 [1]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76 1
91155 일반 볼카누스 와서 대충 주조소랑 드릴만 조금씩 만들고 있긴 한데 [8] Sonati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93 0
91154 질문 이 게임은 뉴비가 좀 적응하기 쉽게 피드백 해줄순 없을까요.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91 0
91153 자랑 글레바 열차운송 시스템 만든 거 자랑 [2] 팩붕이(211.202) 05.07 156 4
91152 일반 모듈도 드론 딸깍으로 맵 전체 넣어줄수있구나 Припят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89 0
91151 일반 스팀에서 가장 퍼거들 많은 게임 순위 [6] 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327 2
91150 일반 소행성 품질작의 최대 장점이.... [3] ㅇㅇ(112.165) 05.07 152 0
91149 일반 글레바는 걍 막히면 뒈져야하네 [4] ㅿㅿ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201 0
91148 일반 DLC에서 기차는 이미 버프를 받았음 [3] 회전회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71 0
91147 일반 도전과제 깨보고 있는데 바낌? [4] 팩붕이(95.94) 05.07 118 1
91146 일반 YATM 기차 대기역에 멈추는 버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86 0
91145 일반 ??? 생존하는 데 공기가 왜 필요함? [13]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274 1
91144 정보 레이더 정보공유는 같은 행성 표면 위에서만 됨 [8]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45 0
91143 일반 크라2 전용 적재기 이새끼 전기를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57 0
91142 일반 아 생산모듈만 그냥 일반 품질로 쓸까.. [9] 팩붕이(222.103) 05.07 149 0
91141 일반 방해석 채굴선 만들어놓으니 편하네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87 1
91140 질문 근데 LTN 이제 불필요함? [2] 팩붕이(1.225) 05.07 136 0
91139 일반 저히 공장 밤에도 정상 영업해요 [15] ㅇㅇ(59.13) 05.07 268 2
91138 일반 너넨 바이오플럭스 신선도 얼마정도 나오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15 0
91137 일반 글레바에서 바플만 수출하는거어떰 [3] 팩붕이(61.255) 05.07 99 0
91136 질문 축전지에 범위가 있는건 아니지?? [3] Припят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35 0
91135 질문 DLC 엔딩봣다가 다시복귀하는데 DLC랑한글까지 호환잘된 모드 있나유 [5] 팩붕이(49.167) 05.07 78 0
91134 일반 기차 전용으로라도 로더 추가하면 할만할지도 ㅇㅇ(122.35) 05.07 47 0
91133 질문 근데 글레바 과일 신선도 관리는 어케함? [10] 안전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34 0
91132 일반 글레바 이제 좀 감이 오네. [8] 팩붕이(112.217) 05.07 113 0
91131 일반 dlc 오면서 기차 좀 구데기되긴 했어 [1] ㅇㅇ(122.35) 05.07 161 0
뉴스 김학래, ‘34세’ 子 며느릿감 찾는다…“의사·2억↑선호한다”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