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노출에 관하여

ㄹㅅㄷ(175.192) 2020.07.20 23:32:38
조회 4051 추천 49 댓글 20
														

최근들어 입문한 혹은 근래 입문해서 이것저것 자료를 찾다가 유튜브로 "필름별 색감비교"같은 영상을 필름을 고르는 분들이 주변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영상에서 비교를 위해 각기 다른 필름을 장착한, 여러 카메라를 들고다니며 동일한 노출값(ex:뷰파인더에서 노출지시 0)으로 촬영하는데도


색과 밝기, 콘트라스트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을겁니다.


(*1 : 필름에서 콘트라스트는 필름감도가 낮을수록 강하고, 감도가 높을수록 연합니다. 고로 같은 감도의 여러 필름을 비교해야 비교적 정확합니다)


필름별 색재현비교에 대해서도 할말이 굉장히 많은데 분량상 노출만 다뤄야 하므로 "동일 노출값"의 노출결과가 왜 다른지에 대해부터 시작해 봅시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c648ecf2a4936eddc954cf91f368f9a79e809392b740baed


사진용 렌즈에서 조리개수치를 표현할 때 F넘버를 사용합니다.


F는 Focal Length, 초점거리를 의미하는데, 이는 초점거리를 유효구경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100mm의 렌즈를 설계할때 최대개방시 50mm의 유효구경을 가지게 설계한다면, 최대개방 조리개는 F2가 됩니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ab25e762912a29b902dfe9092696a004ddf25476bd8777df14


영상용 렌즈에서는 T넘버를 사용합니다. T는 Trasmittance, 투과율을 의미합니다.



사진용 렌즈는 보통 단렌즈-6매에서 표준줌-22매에 이르는 개별렌즈의 각 면(매당 표리양면)에서 모두 반사가 발생합니다.


이는 제조시 F값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50mm F1.4로 테스트하더라도 "같은회사의 동일렌즈"가 아닌 이상 렌즈 매수, 코팅의 차이로 노출이 달라집니다.


물론 뒤에서 설명한 TTL노출계는 이 손실 이후의 빛을 재고, 촬상면에도 같은 빛이 들어가기에 동일해야하지만 카메라의 노출은 1/3 혹은 1/2 스탑 단위로만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 미만인 노출차로 인해 TTL노출계가 지원되더라도 이러한 오류가 발생됩니다.


영상에서는 동시에 여러 카메라가 촬영하기에 밝기차이가 편집에서 잡기엔 귀찮고 수고스럽기때문에 동일한 밝기로 촬영할 수 있는 투과율 기준으로


표기합니다. 노출도 외장형 입사식으로 재죠.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ab25e762912a29b902dfe9092694f309daf306752c149d83b0


영상용 CINE와 사진용 DR라인이 있는 Sekonic 758. 입사식+반사식 노출계





그럼 같은 회사의 동일 렌즈를 여러 대, 각기 다른 바디에서 사용하면 노출이 동일할까요?


역광과 같이 밝고 어두운 차이가 많은 상황에서 앵글따라 노출이 크게 바뀌는 것을 경험했을 수있을 겁니다.


두가지 문제가 발생하는데, 먼저 역광과 같은 상황에선 "카메라에 내장된 반사식 노출계"(TTL노출계)의 측광범위로 인해 발생합니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c648ecf2a4936eddc954cf91a539fba89f87954c3a0c384e


TTL 노출계의 위치. Nikon D4





1. 카메라마다 밝기를 재는 범위가 다릅니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FM2와 F3를 비교해 봅시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c648ecf2a4936eddc954cf91af6daba499d29fb203dc54fb


FM2는 중앙의 가장 큰 원을 60%로, 나머지 주변부를 40%로 측정합니다.


역광인 사람보다 밝은 잔디가 원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지시한 노출대로 촬영하면 사람은 어두워지므로 (Figure 1)


빨간색 점선처럼 사람의 얼굴이 원에 들어가게 앵글을 바꿔 측정 후의 노출값으로 원래대로 돌아와 촬영했을때의 결과입니다 (Figure 2)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c648ecf2a4936eddc954cf91f269a8f5cf85c1bde1b82d84


F3는 중앙의 가장 큰 원을 80%로, 나머지 주변부를 20%로 측정합니다.



이러한 측광모드를 중앙중점 측광 혹은 중앙부중점이라 합니다. 때문에 역광에서 앵글변화시 노출값이 널뛰는 예시처럼 중앙에 위치한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납니다.


후기에 나오는 SLR과 DSLR들을 측광모드를 늘려 현재는 평가(다분할), 중앙중점, 부분, 스팟측광을 사용가능합니다.


측광영역에 따라 유리한 조건이 있을 뿐이지, 측광모드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정확한 노출은 불가능합니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ab25e762912a29b902dfe90926c6a0008af602f76bcbbe9b3c


1dx mark3의 측광모드. TTL노출계로는 드물게 1%대의 스팟측광 가능







2. 그렇다면 화면전체에 단색의 면을 채운다면 문제가 없을까요?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7a898c9e5b871cd5a716c7b1846f0f5ab25e762912a29b902dfe9092693ac0989a307d03d053843a8


검은색 카드와 흰색카드를 각각 화면가득 채워 노출값0으로 촬영해 봅시다.


두 사진의 밝기는 어떻게 나올까요?




클릭시 확대됩니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6a8983561f4f96735f30201fa34b89996eebbde22111db23ac5753534bedd55e0ddbe2bb5caac96


실물카드로 하는 테스트가 정확하지만, 원리는 동일하니 보고있는 디스플레이를 휴대폰으로 한 번 찍어보세요.


밝기가 다른가요? 포토샵이나 라이트룸이 있다면, 혹은 히스토그램을 볼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이 있다면 히스토그램도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다른가요?-다를까요?




반사식노출계, TTL노출계(내장형 반사식노출계)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잽니다.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중요합니다. 이 반사는 같은 조명하에서도


피사체의 색, 밝기, 광택과 질감에 따라 다릅니다. 애초에 인간의 눈이 사물의 밝기나 색을 다르게 보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사각형, 같은 크기의 조명과 흰색 카드가 있다고 해봅시다. 사람은 이를 조명과 카드로 인지할 수 있죠. 노출계는 가능할까요?




반사식 노출계(TTL노출계)는 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조명 자체의 밝기가 아닌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들로 재야 되고, 이는 어떤 물체에서 반사하냐 따라


반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애매-하게 흰색과 검은색의 중간인 회색. 회색의 반사율인 18%이 될 수 있도록 노출을 지시합니다. 위의 흰색카드와 검은색 카드의


예시뿐만 아니라, 풍경사진을 찍더라도 하늘의 영역이 많다면 노출을 맞췄는데도 어둡게 나오는 이유도 어두운 영역이 많은 환경에서 촬영했을때 눈으 봤을때


밝게 나오는 이유 모두 이에 해당됩니다. 추가로 1의 측광모드별 영역차이까지 같이 발생하겠죠.






3.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가성비좋은 방법은 지표로 사용할 그레이카드를 들고 다니는 겁니다.


흰색카드를 재면 반사식 노출계는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18%반사율의 농도로 나오도록 노출을 지시합니다.


흰색카드 앞에 그레이카드를 놓고 재고, 그레이카드의 노출값으로 흰색카드를 촬영하면 흰색으로 나옵니다.


검은색 카드 앞에서 재고 검은색 카드를 촬영해도 검은색으로 나옵니다. 반사식 노출계가 모든 반사율을 18%의 반사율로 계산해서 생기는 오류이니


18% 반사율을 갖는 그레이카드를 들고다니며 피사체대신 재면 해결되는 간단한 문제죠.


A4크기에 8천원~3.5만까지 다양합니다. 스팟측광이 지원된다면 A5정도의 크기도 괜찮습니다.



가성비는 떨어지지만 편한 방법은, 빛 자체를 재는 입사식 노출계를 들고다니는 겁니다.



돈도 안들면서 결과도 좋은 방법은, 경험치가 많으면 됩니다. 밝은 피사체 혹은 하늘이 많은 상황이라면 어느정도 노출오버를 해야 할지,


어두운 피사체 혹은 진한 그림자가 많은 상황이라면 어느정도 노출언더를 해야 정확하게 나올지는 카메라의 측광+찍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필름유저라면 스캔하며 자동으로 노출보정이 들어가고, 필름을 보더라도 원본농도를 측정하기 힘드므로 연습시엔 디지털카메라를 추천드립니다.





4. 그레이카드를 쓰거나 입사식 노출계를 사용하면 적정노출인가?


이 얘기를 하려고 길게 썼네요.



-적정노출 Correct Exposure

촬영시에 감광재료의 감도에 맞는 가장 적절한 광량을 노출하는 것을 말한다. 인화시의 적정광량을 조절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적정노광이라 구분한다. 촬영시에는 노출계의 지시 광량을 기준하여 사진가의 감성적 조절로 조리개와

셔터의 조합을 선택하며, 인화시에는 노광시간을 몇 번 바꾼 시험인화에 의해 적정노광량을 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장시간 노출의 경우에는 상반칙불궤라는 감광재료 특성에 의해 노출계가 지시하는 적정노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약간의 과부족은 관용도라는 감광재료의 특성에 의해 구제받을 수가 있다.


-사진용어사전. 강종진(광고사진,조명) 박재건(미학, 예술학, 기타)

박주석(사진사, 순수, 인명) 박용한(광학, 첨단기기)

양종훈(보도사진, 매스컴) 윤건혁(컬러 사진, 암실)

이동준(사진재료, 암실) 이종옥(기계학, 촬영)

최군성(촬영 기술, 조명) 유경선(책임감수, 기타) 공동집필



그레이카드나 입사식 노출계를 사용하면 기계적으로 정확한 노출은 얻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노출"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필름과 현상시의 특성을 이용한다면, 그레이카드와 입사식 노출계를 통해 얻은 노출지시를 기준으로 노출오버와 현상시간을 줄여


아래와 같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6a8983561f4f96735f30201fa34b89996eebbde22111db23ac575356ae2d00eb3deef77ea311ed5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6a8983561f4f96735f30201fa34b89996eebbde22111db23ac5753533e28659e6deef0182173dd8


(가능하면 모니터에서, 클릭하여 큰 화면을 보세요)


위의 사진은 약 100년전 촬영된 사진으로, 존시스템을 정립한 사람 중 한명인 안셀 아담스의 작품입니다.




viewimage.php?id=2bb4dc2be6d335a37cbe&no=24b0d769e1d32ca73fed8ffa11d028317805b44c4c832ef9bd9f21ca3f36a8983561f4f96735f30201fa34b89996eebbde22111db23ac5753565b48154ba8abf30fb222516


3nm공정을 앞둔 시기임에도 이미지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아직 15~16EV에 그쳐서, 밝기차이가 많이나는-역광시


HDR을 활용하지 않으면 인간의 눈에서 보이는 디테일이 이미지에서 재현되지 않습니다. 필름은 문제가 더 심각해지죠.


필름의 관용도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다면 존시스템을 활용해야 됩니다. 존0은 완벽한 검은색, 존10은 완벽한 흰색을


나타내고 존5는 그레이카드의 농도를 말합니다. 흑백필름에서 디테일이 표현가능한 범위는 촬영노출 기준 +2~-2으로


존시스템상 Z3부터 Z7이 이에 해당합니다. 스팟측광으로 디테일을 보여줄 어두운 부분을 정해 재고(F4 1/125라 가정)


해당 노출보다 -2로 촬영합니다 (F8 1/125) 촬영노출보다 -2된 상황이므로 디테일을 보여줄 어두운 부분은 Z3이 되었습니다.


밝은 부분은 어떻게 하냐구요? 현상으로 처리해야됩니다. 촬영 전 정리한 노출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상시간을 줄이거나,


늘려서 농도를 만듭니다.


(예전에 썼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filmcamera&no=86680의 확장현상과 단축현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5. 정리


정확한 노출은 뷰파인더의 노출지시 0이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서 +2일수도, -2일수도 있습니다. 그레이카드나 입사식 노출계를 쓴다면


정확한 노출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노출이 곧 정답은 아닙니다.


역광시 인물의 실루엣을 원한다면 그레이카드/입사식노출의 지시노출보다 -2~-4로 촬영해야 할 것이고, 상업용으로 사용 될 사진을 정확한 노출로


촬영하면 클라이언트에게 샤-하게 해달라고 빠꾸먹습니다. 괜히 final_final_진짜마지막_9.psd까지 가는게 아니에요.


처음 카메라 샀을 때 패기롭게 벨비아50을 첫필름으로 썼었고, 실물필름이 눈으로 봤던 상황의 밝기와 많이 달라 실망해 몇개월 카메라를 만지지 않았던


기억이 나 도움이 될까 적어봤습니다. 필름값이 날뛰고 있는데 한 장 한 장 아끼길 바라며 정리하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49

고정닉 1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360103 공지 뉴비를 위한 MF SLR 차트 [29] 미놀타x3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5.04 631 12
357150 공지 사진 아래에 글자 넣으려면 어떻게 해요? [13] 문학톺아보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5 700 5
356602 공지 필갤 뉴비를 위한 입문 질문글 양식 [7] 문학톺아보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3 925 3
102747 공지 사진으로 보는 필름카메라 추천 [20] 자주찾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8 87102 176
328656 공지 필갤 신문고 [2] 주딱(106.101) 25.02.02 3724 6
335629 공지 유동, 깡고닉 거래글 작성 금지 및 직거래 장려 [6] 페트리3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25 3034 6
115431 공지 셔터음 작례 타래 만들면 재미있을 것 같아서.. [205/147] 유스더유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03 15629 37
118934 공지 필카갤 유용한 글 모음.ver 4.0 [13] .안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4 59658 26
231499 공지 필름카메라 갤러리 통합공지 [1] 생상스를사랑하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5 14003 11
231230 공지 국내 현상소 리스트 [18] aranzebi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4 16273 16
361317 일반 이베이에 물건 팔아본 사람있음? [6] LT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 60 0
361316 일반 렌즈 후옥 유격이 있는데 필린이(112.154) 12:57 33 0
361315 일반 오카 [3] R-D1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2 51 0
361314 ❓질문 필카 테스트롤로 흑백필름은 많이 안 써? [7] 알파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4 71 0
361313 일반 필름값머리깨져서 디카삼 [8] 필린이(106.101) 12:35 127 4
361312 일반 오~~ 직구한 렌즈 왔다 [5] 샤이닝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93 1
361311 일반 으가으가으가으아가그ㅏ가아가아가 [3] 풉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0 70 1
361310 🎞️사 미쓰비시 MX100(2008 만료) [4] E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9 74 1
361309 ❓질문 F3 노출 보는 법(?) 질문 [4] 프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3 100 0
361308 📦기추 M렌즈 기추 [5] 디에스d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3 133 0
361307 🎞️사 쪼르끼와 수석 에어로컬러 4장 [2] SDF-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2 81 3
361306 일반 홍콩 또 가고싶다 [5] 목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4 71 0
361305 일반 tri x 필름 나눔인증 [3] 흔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9 85 2
361304 🎞️사 홍콩 야간 -500T +2증감 [12] 11h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9 116 5
361303 일반 이건 또 뭔 스팸이냐.. [4] 찬스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4 127 1
361302 🎞️사 필카 테스트용 [4] 경박단소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7 99 3
361301 일반 싸고 밝은 똑딱이 없겠지? [16] LT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6 188 0
361300 🎞️사 오사카 이코마산조 유원지 [2] 통율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1 62 4
361299 일반 마미야프레스 645마스크 테스트 간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69 0
361298 일반 렌즈 택배로 팔았는데 10일쯤 지나서 못받았다고 연락옴 [19] ND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3 307 0
361297 일반 포마 조금 밀린다고 하네 ㅜ [1] 시계바늘아달려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 111 0
361296 ❓질문 자가현상 후 현상액의 처리에 대한 의문 ゴ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2 107 0
361295 일반 필린이 똑딱이 기추 하려고 합니더 [15] 필린이(118.235) 10:57 116 0
361294 🤝거래 끌올+인하) 니콘 f80s, 50.8d, 후지 슈퍼메모리 안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123 0
361293 일반 미니99 남자친구 선물로 새제품 사려합니다 구매방법 도와주세요? [9] 필린이(106.101) 10:41 142 0
361291 일반 짭터) 코니카필름 15롤 4.5 [3] 알파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115 0
358231 일반 이상한 카톡아이디랑 링크유도 들어가지마셈 [8] 문학톺아보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538 11
335626 📣알림 유동, 깡고닉 거래글 작성 막겠음 [44] 페트리3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5 1497 35
361290 🤝거래 끌올)EOS 5 + 28105 13만원 Rapha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3 101 0
361288 🎞️사 2000년 8월 만료 TMX (현상 by diafine) [2] 좀비스트레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66 3
361287 일반 사작쿄 작가님 스트릿하다가 칼맞으신듯 [23] ND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3 459 6
361286 🎞️사 Film을 보러 가며, 보고 나서 찍은 Film 상어먹은참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3 118 3
361285 일반 cle ㄷㅋㅁㄹ 예약됐대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3 191 2
361284 일반 현상액 추 [8] 11h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2 154 2
361283 일반 OM-1 구하고싶습니다.. [6] 필린이(202.150) 09:45 127 0
361282 일반 필카로 이거됨? [6] 미나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6 224 0
361281 일반 10년 차 필린이 첫경험 [1] ㅇㅇ(118.235) 09:34 110 2
361280 일반 개추줌?!! [5] 그까이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8 214 13
361279 일반 FTB-QL 질문 있습니다 [2] 필린이(106.101) 09:27 68 0
361278 일반 아니 킹갓등기였네 [8] 찬스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183 0
뉴스 김수현 측 “故김새론 녹취록은 조작… 피습 사진도 인터넷에 있어” [전문]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