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략] [ 정보 ] 초보가 알아두면 좋은 시스템과 팁 9가지

하덴(125.246) 2023.03.01 20:30:38
조회 11771 추천 26 댓글 0
														

안녕하세요 , 하덴입니다.


이번 글은 초보들에게 특히 좋은 정보글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시스템들은 2년을 넘게 플레이하면서 얼리엑세스 초기부터 게임을 장시간 켜두고 지켜보면서 연구한 결과입니다.

( 필자는 어떤 게임이든지 연구가 스타일로 게임을 플레이하며 ,
특히 생존크래프팅 게임은 시스템을 주로 연구하면서 플레이 합니다. )


1 . 곤충의 인식이 1차 인식과 2차 인식으로 나뉘는 곤충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해당 1차 인식과 2차 인식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곤충은 거미와 일개미입니다.

1차 인식의 경우 , 정말 말 그대로 인식만을 하는 것으로 바로 공격모드로 들어가지는 않는다.
일개미 ( 흰개미 , 불개미 , 창고 앞 검은 일개미 제외 )의 경우 ,
유저가 공격하기 전에는 오직 1차 인식만을 겁니다.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붉은 일개미로 예를 들 경우 ,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 붉은 일개미가 나에게 다가와서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끼룩끼룩 거린다.

이게 일개미의 1차 인식입니다.
단 , 붉은 일개미의 1차 인식은 붉은 개미 세트의 세트효과를 받게 되면 발동하지 않으며 ,
오직 유저가 선공격시에 바로 2차 인식 ( 공격 모드 )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 가장 잘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대형 거미류입니다. ( 물거미 , 새끼거미 , 무당거미 주니어 , 여왕거미 제외 )

거미의 1차 인식은 일정 거리내로 들어가면 발동하지만 , 해당 1차 인식거리가 거미 종류에 따라서 다릅니다.

필자가 테스트 한 결과
무당거미 < 늑대거미 < 과부거미 < 감염된 늑대거미로 거리차이가 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무당거미의 경우 거미줄 발사가 원거리 공격인데 , 그 거리가 짧기 때문에 1차 인식 거리가 짧아 , 바로 2차 인식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늑대거미와 과부거미는 원거리 공격이 없기 때문에 빠른 돌진으로 적을 잡기 위하여 인식 거리가 무당거미보다 긴 것으로 파악되며 ,
감염된 늑대거미는 원거리 공격 ( 감염된 포자 발사 )가 사정거리가 긴 편이기 때문에 원거리 공격을 위해서 가장 긴 것으로 파악됩니다.

거미의 1차 인식은
유저가 있는 방향을 바라보면서 앞다리를 들고 컹컹 거리고 , 앞다리들을 휘저으듯이 움직입니다.
이 때 눈은 본래의 검은색의 눈이며 , 해당 행동 후의 유저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동합니다.

그 후 , 다시 2차 인식 ( 공격 모드 )에 들어가면 눈이 빨개지며 바로 공격을 시작하게 됩니다.


2 . 곤충들의 이동 루트는 정해져 있습니다.

단 , 거미류의 경우 이동 루트는 정해져 있지만 어떤 거미가 해당 루트로 돌아다니게끔 정해져 있지는 않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 현실 시간 8시간 동안 한 곳에서 지켜보며 연구한 결과 , 떡갈나무 밑둥 , 떡갈나무 주변 나무 울타리 , BBQ 밑 늑대거미 , 등 )

예 :
떡갈나무 밑둥 늑대거미 스폰존에 늑대거미가 3마리 스폰을 하면 ( ABC로 칭합니다. ),
떡갈나무 밑둥 늑대거미 스폰존의 입구 4곳( DEFG )을 ABC의 늑대거미들이 한 루트를 잡고 움직이는게 아니라 돌아가면서 DEFG 입구로 나가 정해진 루트로 다니게 됩니다.
처음에 게임 접속시
A 늑대거미가 D 입구로 나가서 F 입구로 들어가는 루트
B 늑대거미가 E 입구로 나가서 G 입구로 들어가는 루트
C 늑대거미가 F 입구로 나가서 A 입구로 들어가는 루트로 한 번 진행을 하면

다시 A 늑대거미가 D 입구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E 입구로 나가서 G 입구로 들어가는 루트로 변경하여 움직입니다.
다른 B와 C의 늑대거미도 동일하게 한 번 나와서 들어간 후에는 다른 루트를 통해 나가게 됩니다.

이처럼 거미류의 경우 ,
특정 루트를 번갈아 가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는 동일한 스폰지역으로 동일한 개체가 여러 마리 스폰되는 위치
그리고 주변에 돌아다니는 루트가 다양한 위치에서 해당 시스템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3 . 곤충 회귀 본능 시스템

( 풍뎅이 , 거미 , 모기 등으로 현실시간 6시간 동안 연구 )

곤충들은 모두 스폰 지점으로의 회귀 본능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각 곤충들에게 정해져 있는 루트에서 벗어나면 회귀 본능 시스템이 발동하여 본인의 스폰 지점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심지어 풍뎅이도 회귀 본능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풍뎅이가 다른 곤충 또는 유저와 마주쳐서 땅속으로 도망가지 않고 본인의 정해진 루트에서 이탈하게 되면 랜덤한 루트를 통해 다시 본인의 본래 이동 루트 또는 스폰 지점으로 회귀를 합니다.


4 . 곤충들 중에 타점 부위와 타격 방식에 따라 바보가 되는 곤충이 존재합니다.

무당벌레 , 무당딱정벌레 , 공벌레
해당 곤충들은 옆면을 이용하면 단 한대도 안 맞고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단 , 무당벌레와 무당딱정벌레는 해당 시스템을 이용 하려면 컨트롤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무당벌레 돌진 공격시 패링 후에 빠른 속도로 옆에 붙어 한 방향으로 돌면서 때리시면 한 대도 안 맞습니다.


해당 영상은 얼리엑세스 플레이 때 , 공유한 방법으로
많은 사람들이 공벌레 스폰지점에 벽을 설치해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활로 잡는 방법을 사용 할 때 ,
근접으로도 한 대도 안 맞고 쉽게 잡는 법이 있다고 공략을 공유한 것입니다.

현재는 해당 방법으로 쉽게 잡는 법을 공유함으로써 너무도 사람들이 쉽게 잡는다는 이유로 공벌레가 옆으로 회전하는 속도를 상승시킨 패치가 진행된지 시간이 좀 지났습니다.
그래도 동일한 방법으로 한 대도 안 맞고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 주변에 잔디 등 물리엔진으로 걸리는 장애물들이 많을 경우에는 해당 방법이 위험 할 수 있습니다. )


5 . 점프를 뛰어 올라가는 곤충들은

모두 자신의 크기( 덩치 )에 맞는 발판이 존재하는 곳만 점프가 가능합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0dac352d1d7212d447bb08f5de68bde3d116ce54dea


이렇게 늑대거미 위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
이 위에서 사격시 늑대거미는 장애물 위로 점프를 뛰지 못하고 아래에서 유저를 인식만 한 채로 바보가 되기도 하지만 ,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0dac25ed0d72167c5b1ba21eebf04402ad2f9ef0b1e


또는 이렇게 유저는 올라갈 수 있지만 ,
곤충들은 부피가 커서 올라오지 못하는 나뭇가지 또는 나뭇잎 등을 이용하시면
슈퍼 점프 버그가 있는 곤충들마저도 올라 올 수 없게 됩니다.


6 . 스무디와 음식 버프에 대하여

스무디의 경우 ,
프리스타일 모드로 만드는 슬롭류는 버프가 없는 오직 체력 회복용 아이템입니다.

하지만 , 레시피대로 제작을 할 시에는 레시피마다 스무디에 버프 효과가 추가됩니다. ( 유충 슬러지 스무디 버프는 2분 )

그렇다면 음식은?
음식의 버프는 음식 종류에 따라서 버프가 다르며 ,
한 음식에 2개의 버프( 메인과 서브 버프 2개가 동시 적용 )가 함께 존재하기도 합니다. ( 음식의 버프 시간은 20분 )

여기서 한 가지 문제 ,
오래 전 얼리엑세스 당시를 기억하는 분 중에는
음식과 스무디의 버프가 같은 종류의 버프인 경우 중첩 되지 않다고 기억하는 분이 아직 계십니다.
과거에는 예로 피해저항 버프가 들어간 ' 검은 풍뎅이 버거 '와 동일하게 피해저항 버프가 있는 ' 사람이 먹는 음식 ' 스무디 함께 섭취시에 마지막으로 먹은 음식 또는 스무디의 버프만 남았었습니다.

하지만 , 패치를 통하여
해당 버프들이 중첩이 되게끔 변경되었습니다.
( 정확히는 버프들에 변경이 생기면서 중첩이 가능해졌습니다. )

검은 풍뎅이 버거의 경우 ,
메인 버프 / 최대 생명력 ( 15 증가 ) + 서브 버프 / 피해 저항 ( 받는 피해 2% 감소 )
사람이 먹는 음식 스무디의 경우 ,
피해 저항 ( 받는 피해 10% 감소 ) 효과들이 붙어있습니다.

이 둘을 함께 섭취시 최대 생명력 15 증가 + 피해저항 받는 피해 2% 감소 + 스무디의 받는 피해 10% 감소까지 받게 됩니다.
( 해당 버프 중첩시에는 합연산 적용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음식의 버프는 다른 음식의 버프와 중첩되지 않습니다.
음식 + 스무디 + 스무디 형태로는 버프가 적용이 되지만

음식 + 음식은 버프가 모두 중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검은 풍뎅이버거를 먹은 후에 , 개미귀신 캐사디야를 먹게 되면
검은 풍뎅이버거의 피해저항 버프만 사라지고 최대 생명력 버프는 그대로 유지되고 개미귀신 캐사디야의 버프 효과를 받습니다.

그 후 다시 완전 다른 버프 계열의 음식을 섭취시에
검은 풍뎅이 버거와 개미귀신 케샤디야를 먹고 남은
최대 생명력 + 가시피해 + 지글지글 보호 버프가 남은 상태에서 또 거미 미니버거를 먹게되면

이번에는 최대 생명력 + 가시피해 효과는 사라지고 ,
지글지글 보호 + 거미 미니버거의 치명타 확률 버프 증가만 남게 됩니다.

그렇다면 회복과 버프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

방법은 4가지로 나뉩니다.

1 . 슬롭 + 음식 버프
2 . 고기 구이 + 스무디
3 . 고기 구이 + 음식 버프 ( 이 경우 아이템창 문제로 대게 음식 버프가 버프 시간이 길다는 점에 한해 , 파밍 시작전 한 개 섭취 후 음식 한 개를 비상용 버프 아이템으로 들고 체력 회복은 고기 구이로 하는 운용 방식 )
4 . 슬롭 + 스무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음식 버프는 종류에 따라서 효과가 스무디보다 떨어지는 효과가 존재합니다.

검은 풍뎅이 버거를 예로 들 경우 ,
최대 생명력 증가는 15 , 피해 저항은 받는 피해 2% 감소
하지만 , 스무디들 중 최대 생명력을 올려주는 솜털 온더록스는 최대 생명력 20증가
피해 저항 증가 효과인 사람이 먹는 음식은 받는 피해 10% 감소
스무디의 효과가 음식들의 효과보다 더 높은 수치로 버프를 주는 스무디들이 많다는 점을 알아두시는게 좋고 ,

음식은 아이템 중첩이 불가능하고 , 스무디는 아이템 중첩이 가능하여 다수의 아이템을 들고 다닐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시면 회복과 버프 어떻게 운용하실지의 선택에 큰 문제가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 필자는 버프가 필요 할 때는 고기 구이 + 스무디 위주로 플레이 합니다. )


7 . 달개 VS 침대 그냥 외형만 다른거 아닌가요??

달개와 침대는 일단 잠을 자는 것과 부활지점 설정을 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 효과가 다릅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358d2d0212c37ebad64cb9bd6fd29ffb00c72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358d4d021b4ac1feaa7be9a982b1775bea378


달개에서 취침시에는 버프가 없지만 ,
침대에서 취침시에는 깨어났을 때 버프를 받게됩니다.

현재 번역 문제와 시간이 이상하게 표기되는 버그가 있지만 ,
침대에서 자고나면 게임 상 하루 동안은
허기와 갈증이 줄어드는 속도가 10% 감소됩니다.


8 . 벽장식 버프

벽장식 버프는 벽장식 설치 시점부터 자동으로 얻는 지속 패시브 버프가 아닙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352d4d621e052f64460e9439e21753296110237


위 이미지처럼 벽장식에서 ' E 키 적 표시 ' 상호작용을 해서 본인이 원하는 곤충에 대한 주는 피해 증가 효과를 15분 동안 받을 수 있습니다.
( E 키 적 표시를 누르시면 해당 곤충의 소리가 울리면서 버프를 받게됩니다. )


9 . 유인용 미끼

유인용 미끼는 많은 사람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또는 사용해 본 적 없는 아이템일 것입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158d3df2120cc248541c55fbbedbd23d484ef5f

유인용 미끼의 설명은
더 큰 포식자의 시선을 돌릴 때 사용합니다. 라고 적혀있어서 많은 분들이 만드시게 되면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159d1d1219a9f3c96b01056e24b4bdd61e9cebc57


이렇게 거미들 밥 주는 용으로 사용하시겠지만 , ( 실제로 먹는 듯한 모습이 연출됩니다. )
유인용 미끼의 최고 효율은 바로바로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252d1de21a4cbb502f06136ad89004a1377b3540f


잉어입니다.
잉어에게 무기를 투척을 해도 타격감도 , 타격음도 없습니다.

하지만 유인용 미끼를 물속에서 잉어에게 던질 시에는 타격음이 들리고 ,
위와 같은 상황까지도 볼 수 있으며 ,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8f1ecd0acc5c9bf13d3c252d5d42162a9448e45f42ba3f60a01a05c2dc928


또한 물속에서 유인용 미끼를 던져 잉어를 유인하시면 이렇게 물거미들을 척살해주는 든든한 아군으로 이용가능하기도 합니다.

또한 유인용 미끼는 단시간에 사라지거나 , 곤충들이 먹는 모션을 취한다고 해서 바로 사라지지 않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초보분들이 거미는 잡기 싫은데 , 거미줄은 필요하다 싶으시면 해당 방법을 사용해 보셔도 좋습니다.

추천 비추천

26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3002 AD 작혼X페스나 헤븐즈필 콜라보 개시! 운영자 25/04/22 - -
4621 공지 그라운디드 갤러리 규칙 [1] Andrewpark497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2 2660 24
8579 일반 감염 거미 잡으려하는데 장비 [3] ㅇㅇ(110.10) 00:25 38 0
8578 일반 뉴비 몇일해보고 느낀점 [5] 그갤러(210.217) 04.24 84 0
8577 일반 그 습격 와서 짚라인 부서지면 거미줄 다 없어져?? 그갤러(210.217) 04.24 27 0
8576 일반 그 몹을 많이 잡으면 개내가 보복하러 오는건가요 ?? [2] 그갤러(210.217) 04.24 36 0
8575 일반 감염된 여왕벌레 이 미친년 [2] 그갤러(112.168) 04.24 70 0
8574 일반 연잎 왁스 많이 모아둔 의미가 없어졌네 그갤러(14.56) 04.24 43 0
8573 일반 감염 거미여왕 막힘 [3] ㅇㅇ(110.10) 04.24 73 0
8572 일반 떡갈나무 집지었는데 각다귀 2마리찍 밖에 안날라옴... [3] 그갤러(210.217) 04.23 60 0
8571 일반 수풀이 계속 시야를막고있으니 미로게임하는거같네 그갤러(115.41) 04.23 34 0
8570 일반 구간별로 무기 어떻게 써야되나요? 져지메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39 0
8569 일반 뉴비친구가 여태모은 광물 다 없앰 [2] ㅇㅇ(110.10) 04.22 94 0
8567 일반 주입된 무기 얻기 전까지 어떤 무기 쓰는게 좋나요? [1] 그갤러(49.165) 04.22 59 0
8566 일반 보스 순서 [1] ㅇㅇ(110.10) 04.22 68 0
8565 일반 엔딩 후 뭐해야함 [7] ㅇㅇ(110.10) 04.21 183 0
8564 일반 이 게임에 가장 큰 의문 중 하나 그갤러(211.224) 04.21 116 0
8563 일반 방어전에 벽 치는게 진짜 쓸모있구나 그갤러(211.224) 04.21 108 0
8561 일반 장신구 리롤 막혔나요 [1] 그갤러(223.38) 04.21 88 0
8560 일반 혼자 하기 심심한데 [2] 그갤러(112.147) 04.21 74 0
8559 일반 불 개미 보호구 매끄러움 거추장 [2] ㅇㅇ(110.10) 04.21 100 0
8557 일반 믹스 알 수리도구가 뭐임? [3] ㅇㅇ(110.10) 04.21 101 0
8556 일반 뉴비 위치 및 불가사의 두 개 도움!! [2] 그갤러(112.168) 04.20 86 0
8555 일반 최고의 대리석 규암 언제쓰나요 + 스토리 질문 [3] ㅇㅇ(110.10) 04.20 79 0
8554 일반 에라이 이게 뭐냐... [1] 그갤러(211.224) 04.20 120 0
8553 일반 부표 토대가 생각보다 무쓸모네 [2] 그갤러(211.224) 04.20 93 0
8552 일반 짚라인: 나 왜 안써...? [1] ㅇㅇ(110.10) 04.20 163 0
8551 일반 붉은 개미여왕한테 독 주는게 좋음 촉촉한 주는게좋음? [2] ㅇㅇ(110.10) 04.20 123 0
8549 일반 여기 업뎃 또함? [1] 그갤러(175.198) 04.19 130 0
8548 일반 딴거보다 날탈좀 나왔으면 좋겠다 [2] 그갤러(221.157) 04.19 111 0
8547 일반 콜타나 개미귀신 대검 [2] ㅇㅇ(110.10) 04.19 111 0
8546 일반 창고 아래 도움 [1] ㅇㅇ(110.10) 04.19 80 0
8545 일반 개미귀신 대검 야만인 [2] ㅇㅇ(110.10) 04.18 117 0
8544 일반 패치후 개꿀 변이 버그 [1] 그갤러(61.77) 04.18 259 0
8543 일반 짚라인 속도 [2] 그갤러(14.56) 04.18 248 0
8542 일반 패치하고 들어갔더니 그갤러(14.56) 04.18 282 0
8541 일반 패치하넹 그갤러(14.56) 04.18 176 1
8540 일반 3티어 구간 질문 [6] ㅇㅇ(8.3) 04.16 190 0
8539 일반 가구 중에 세부조정 기능이 있는게 있네 그갤러(118.235) 04.16 82 0
8538 일반 추억이 새록새록하네 ㅇㅇ 그갤러(117.111) 04.16 84 0
8535 일반 매운 콜타나 만들고싶은데 [1] 그갤러(1.237) 04.16 109 0
8534 일반 뉴게임에서 만들 수 있는 무기는 별론가 잠죽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70 0
8533 일반 맛 인챈트 추천 [3] 그갤러(110.10) 04.14 154 0
8532 일반 그라운디드 서버주인 군대감 세이브파일 [2] ㅇㅇ(110.10) 04.13 158 0
8531 일반 행운의 모자 어떻게 얻는건가여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51 0
8530 일반 작년에 ng+4 까지하다가 접엇는데 건축도열심히햇엇는데 [2] 그갤러(58.124) 04.12 233 1
8529 일반 원래 사무라이 효과가 다른무기로 바꿔도 유지됐나요? [2] 카오스펙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147 0
8528 공략 그라운디드 뉴게임 플러스 팁 [2] 카오스펙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729 5
8527 일반 dlc소식 없지 [4] 엘제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39 0
8526 공략 그라운디드 감염된 여왕거미 공략 카오스펙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46 4
8525 일반 안개연구소 질문 ㅇㅇ(210.218) 04.09 52 0
뉴스 윤상, 갱년기 고백…“子라이즈 앤톤과 기싸움 해” (불후)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