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12.23 16:10:34
조회 4666 추천 8 댓글 1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1)


이번에는 직업훈련의 종류를 소개해볼게.



1. 요식 분야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f2ebc4e2969766ae5c930cb3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a2b993e3909063fa5c930cb3

 제과제빵의 예
 
- 권장 종목은 아니긴 한데. 불가능하진 않고.
   (단, 학원 계열에 많음.)


 빵집 창업해도 되고. (이 직종은 알아서.)

 (생계형 직종 중 하나)

 - 특성화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있다. (기능사 필기 면제)
 제과제빵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한식의 예

 - 권장 종목은 아니긴 함.

 쉐프라는 게 경쟁률이 상상초월로 높을 뿐더러.

 식당 창업, 식당 취업이 전망임. 무척 어려움.

 (생계형 직종 중 하나)

 - 특성화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있다. (기능사 필기 면제)

 한식조리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98403ce33cb46608485d953f373caf3efbd672e1a726e5905a9c07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98403ce33cb46608485d953f373caf38fbd074eea22cb0905a9cee


 중식 기능사 훈련

 - 짜장면, 짬뽕 등의 제조기술을 배운다고 보면 된다.


 많이 설치되어 있진 않고, 어렵다 보니 몇 개 곳의 지역에 전문학원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Hrd에서 찾아보기 바란다.

 

 취득 자격증은 중식조리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부산(3~5개 이상), 인천(3~5개 이상), 광주 1개,

 전북에 현재 관련 교육기관이 있다고 보면 된다.)

 
 (생계형 직종 중 하나 / 전문직 계열이라고 봐도.)


 - 특성화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없는 것으로.

 일식 기능사 훈련

 - 짜장면, 짬뽕 등의 제조기술을 배운다고 보면 된다.


 많이 설치되어 있진 않고, 어렵다 보니 몇 개 곳의 지역에 전문학원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Hrd에서 찾아보기 바란다.

 


 취득 자격증은 일식조리기능사를 취득할 수 있다.

 (생계형 직종 중 하나 / 전문직 계열이라고 봐도.)

 - 특성화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없는 것으로.




2. 분야 - IT정보통신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f1bfc7e29ec133fe5c930cb3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faba90b097c436ac5c930cb3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a2b795b0c4c460ff5c8912b3

 컴퓨터 프로그래밍(낮음 - 고졸도 가능. 상업계, 정보계도 있으니)
 - 현업자들 반발이 있긴 하나, 불가능한 건 아니라고 보고.
 비전공자도 하는 분들이 있으니.

 <흔히 자바프로그래머, SI계열(차세대 시스템 구축 이런 거),
   SM계열(유지보수)
 모바일 앱 개발(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앱 인벤터)

 과거 몇 년 전만 해도 안드로이드로 애플리케이션(앱) 개발하려면
 오래 걸렸는데, 앱 인벤터(MIT 제작)가 등장함으로써 초보자도
 개발 가능해짐.

 임베디드 또는 전자(여전히 진입장벽이 높지만.
 무너질 거임. 외국 형들이 쉽게 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를
 계속 연구하는 중.)
 - 키트가 발달되어서 쉬어졌다고는 하지만......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라는 과정을 찾아보면 될 거고.>


 - 이쪽은 구체적으로 어렵긴 한데

 - IoT 비전문가 응용소프트웨어 과정으로 들으면(라즈베리, 아두이노를 말함)
    진입장벽은 낮으나 ...(고졸도 가능하다는 이야기, 경쟁률이 있다는)

   (랩뷰<해석도 하고 측정도 하고. 등> 하고 아두이노 이런 건 원천 다름.)


경력 5년이 좀 되면, IT순수개발자는 그나마 할만하다고 하는 데. 그렇지 않을 듯.

학력되고 경력되면 강사하거나.


일의 패턴이라는 게 프리렌서로 전향해서 프로젝트 8개월 하고 일 없으면
백수되었다가 이런 생활을 반복해야한다는. (불규칙하다는 게 평이 많음.)

현실적으로는 소프트웨어만 가지고 순수하게 먹고 살 수는 없음.
{쇼핑몰을 하던지, 앱 만들어서 대박 나던지.(가능성 적고 뛰어든 사람이 많다는)}

솔루션 업체가 좋다는 이야기도 있을 수 있다.

솔루션이라는 게 "한컴오피스" 마냥 자체적으로 팔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야근도 적고 자기계발 가능하다고.


제품 사이클이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당장 야근 적다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오픈소스"라는 것과 싸워야 한다.


3. 분류 - 기계, 전기 공과


1. 기계공과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a0b895b2959236ff5c930cb3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a7ea93e4949763f85c930cb3

 MCT 머신 실습의 예(순수 기계 공과)
 - 기계 CAD/CAM, 최근에는 CAD/CAM 3D프린터 과정으로 찾아보면 되.
 어디에 쓰이는 거냐면, 금형, 금속 부품 만들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되.
 
 CAM 프로그램 (NX, PowerMill) 이런 거랑, CAD(AutoCAD) 배운다고
 생각하면 되.

 최근 벽걸이 TV만 봐도 엄청 얇잖아. 초소형 정밀 금형 부문에는 가능성이
 있을 거라고 본다. (어렵긴 한데 초소형 정밀 등으로 한다면, 비전은 있을 것으로.)

 취급할 수 있는 교육훈련소가 적은 편이지.
 {연세가 지긋한 기술사, 명장을 모셔놓고 해야 하니. 초소형의 경우는}

 (CAD/CAM 분야)

 가공분야라고 생각하면 되.

 국내 대학에서 설계 분야도 있는데, 실기를 구체적으로 제대로 다루는 대학은
 없다고 보면 되거든. (NX, UG-CAM 등 다룰 줄 아는 사람이 저조하다는.)
 - UG-CAM이 최근에 수요가 필요한 듯.

 대체적으로 프레스 금형 쪽이라고 생각하는 게 맞을 거야.
 (과정 명칭만 다를 뿐.)


 학력보다는 기술로 입증해야 한다고 보임.
 (고졸이라도 기술있고 경력되면 인정 받음. 연봉도 높아지고.)
 
 3D는 3D인데, 순수하게 현장가보면 머시닝센터만 하진 않고, 크레인 이동도 하고.
 복합적인데 기름도 만지게 되고.


밀링머신 이런 거 걸리면 출장은 없다고 보면 되고. 단순하게 머신 장비 잘 다루면 되고.

순수 CAD/CAM 장비 사용하는 업체(통상 2차 벤더) 걸리면 설계할 일은 크게 없어.
도면 나오는 거 그대로 만들어주면 됨. 설계/해석에서 나온 데이터만 의존하냐. 그렇지 않지. 못 만들 수도 있어.
자체 설계 등 조율도 하겠지. 등.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a2b8c3b6c49730f85c840bb2


 금형 분야 

 이쪽으로 갈 거면 프레스 금형하고, 사출 금형 분야가 있다.

 금형이 다 같은 게 아니다.


 사출은 플라스틱 성형을 다루는 건데 사상 작업자는 아니고, 금형을 만드는 걸 하겠지.

 프레스 금형은 철판을 다루는 건데 철판을 찍는 금형을 만드는 걸 하겠지.

 NX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이게 컴퓨터를 만진다. MCT 기계를 조작해야 하니깐. (프레스의 경우)
 지그 제작 등도 있고 아무튼 이쪽도 머리를 쓴다. 야근은 많지만.
 3D는 3D인데, 순수하게 현장가보면 머시닝센터만 하진 않고, 크레인 이동도 하고.
 복합적인데 기름도 만지게 되고.

 무거운 걸 들거나 나르진 않는다. "기술자"라고 부름. 배우면 배울수록 몸값이 높아진다. 
 중국 등 신흥국 들이 낮은 단가로 밀려오는 것도 무시할 수가 없음.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dd156e8d3fbc63004f53fb8c442254d59245b1f625dc55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98403ce33cb46608485d953f373caf68a78177eaf27ee1905a9ce6



 기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예

 이러한 프로그램으로 코드 변환과정을 통해서 MCT 기계에 넣는다. 

 X, Y, Z 계열의 좌표 형태로 도면을 프로그래밍화된 코드로 변환해주는 도구를 이용하여 넣어준다.
 "G코드"라는 용어도 등장하니.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e3dbf8e33afb6c862d5b41a0b895b2959236ff5c930cb3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cdb3a2b6817c733be476bc132df72592a5486d0354157e4da7224757f242c2827490467ef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cdb3a2b6817c733be476bc132df72592a5486d0354157e4da747725282f757576491e79ef





도면 등에 넣었으면, 조립을 하게 될 것이다.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dd156e8d3fbc63004f53fb8b127308dfc114e7f63fc255 

 업무의 예 - 컴퓨터, 기계 가공 등. 도면등도 보게 됨. CAD 파일 열기도 하고. 등 3D도면 등.

 RS232C로 변환해서 대략 좌표 프로그래밍 코드를 머신에 전달하여 부품 제작 등......


붕어빵 틀을 만들기 위한 부품을 하나 하나 만드는 것이다.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dd156e8d3fbc63004f53fb8819740087c41ab2f63fc255


 머신 기계로 만든 부품들을 한땀 한땀 조립의 예
 업무의 예 - 3D CAD 도면은 2D 도면(CAD파일)으로 전환 가능하다.

 치수 등 버니어켈리퍼스 등과 같은 자를 맞춰가면서 가공품을 조립한다.




2. 기계공과(메카)

* 기계계열로 관주(메카트로닉스)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9db3a2b6817c7332deba2149649a68eaa8d39f3698e2a55693287a71e27cfbf3b04c88ab908af4f05


 최근에 지원자가 상당히 높은 분야 - 자동화시스템(구 - 메카트로닉스)

2022년인가까지 자동화 설비를 도입한다고.

현재 산업단지 내에 있는 공장이 자동화가 되어 있는 줄 알 탠데, 여전히 수작업 공장이 많아. (단순 반복도 많다는 이야기)
그거 유지보수하는 기술을 배운다고 생각하면 돼. 유압이 핵심일 거야.  PLC는 전기과에서도 배우는 데 이 과에서도 배워.
특이한 게 PC제어를 하려면 C언어를 배우게 돼. 기계 조작도 해야 할 거고.

기계도 아니고, 전자도 아니고, 컴퓨터 분야도 아니고.  융합 분야야. (3가지를 융합한 것)

출장이 잦다는 소문도 있긴 한데, 해외 갈 수도 있는 기회도 있을 수 있고. (공장들이 해외 이전을 많이 하니깐.)
자기 회사에서 근무하는 시간보다는 파견지(고객사)에서 근무하는 일이 많을 거야. {찾아본 바로는 그러나 취업 수요가 있어서 잘 된다고 하니}
메카좆이라는 단어를 찾아보기 바람. / 배워두면 로봇 만들 때 사용함.  {이런 분야가 있음.}
{학력 비중은 낮음. 현업가서도 새로 배워야 하고.}

자격증: 전기기능사, 공유압기능사, 기계정비산업기사(최근에 수요가 있고.), 생산자동화산업기사(최근에 수요가 있고. 대기업 영향으로.)

"메카좆"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갈 수 있는 데가 한정된다는 점(업체 수가 적거나 영세할 수 있음)이야. 수요가 많은 곳은 대기업일 것이고.


 이 분야가 최근 신설된 건 아니고 오래 전에도 있었어.
 다만 지금은 인건비 절감으로 자동화 라인을 설치 많이 한다고 하잖아. 로봇 팔 도입하고.
 몇 년전까지만 해도 자동화라는 개념이 컨베이어 라인에서 제품 구분하고 식별하는 정도였단 말이지.
 출장이 잦다는 이야기는 모텔방에서 생활하거나 떠돌이 생활을 좀 해야한다는 거지.(유지보수나 출장 이런 분야라고 하면)

 {지방에는 아직까진 자동화 제어 업체가 적을 것으로 보임.} {기술이 발달된 수도권역(일명 윗쪽)에 발달되어 있을 거고.}


 여기는 업체는 도심지역에 있을 수도 있으나, 자기 근무지가 산업체에 장기 파견 또는 출장을 나갈 가능성이 큼.


 전망은 취업을 해서, 
 일명 전문성(커리어) 쌓겠다.
 -> 주경야독을 하겠다고 하면, 한국방송*****교 메카트로닉스 공학과(최근)가 개설 되어 있으니 그쪽하고 연계해서 학업할려면 하고.


3. 전기

아마 흔히 전기라고 하면, 이런 걸 연상하게 될 것이다.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dd156e8d3fbc63004f53fb8b102200d6c541e2f63fc255


 전기공사의 예


이것 말고도 훈련 분야가 많다.

PLC와 같은 분야도 있으니.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dd156e8d3fbc63004f53fbd9157254d39215b7f63fc255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edb3a2b6817c7333364f2166b60dd156e8d3fbc63004f53fbdd172354d09345e0f625dc55


 PLC의 예

 - 전기도 제어가 가능해서 전기시스템 분야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졌다고.





* 2탄도 있으니 참고하기 바람.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83 일반 [직업훈련]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통합되었음. (2020년)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0 1432 0
82 질문 내일배움 훈련장려금 다시 도입된다는 소식 없음?? [2] ㅇㅇ(115.161) 20.01.08 417 0
81 일반 오늘 구직자카드 발급함 [1] 지니어스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24 209 0
80 일반 [직업훈련] 생계비 대출에 대해서(2019-12-03)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3 934 0
79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 교사가 되는 방법은?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1 1166 1
78 질문 [직업훈련] 한달에 네번 결석해도 훈련장려금 다 나오나요??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1 849 2
73 일반 학교 너무 멀다 ㅋㅋㅋㅋ [1] ㄴㄴㄴ(123.248) 19.07.01 243 0
70 경험담 교육받으면서 선생한테 들은얘긴데 전공무관 추천은 꼴통한테 한다함 캠터스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1 547 0
69 일반 공부 열심히 해라 ㅇㄷㄷ(121.152) 19.03.31 382 4
65 일반 직훈 교사가 되기위해선 뭘 해야함 [2] ㅇㅇ(121.64) 19.01.26 460 0
64 일반 이거 실화임? 아들레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23 389 3
63 일반 수료 1달전에 관두면 멍청한짓이냐? ㅇㅇ(59.31) 19.01.07 261 3
62 일반 나 구직자 카드 2번 발급받아서 2019년 7월에 발급한다. [1] 머윤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30 270 0
60 일반 순회열차 유동이라 코드있는마갤로 보내야됨 ㅇㅇ(39.7) 18.11.11 115 0
56 일반 직훈과정 추천드리는거 있나요?? [3] ㅇㅇ(121.144) 18.06.30 1202 0
52 일반 직업전문학교 관둔다고 취업에 불이익있음? [3] ㅇㅇ(223.38) 18.06.01 1135 1
51 질문 솔직히 노가다 업종들 젊은사람이 제대로배울수 없는 구조아니냐 [2] ㅇㅇ(220.89) 18.05.30 1119 13
50 일반 진짜 좀 괜찮은 직업없나 [2] ㅇㅇ(220.89) 18.05.30 817 0
48 경험담 금형디자인 때려쳤다 [10] 때려쳤다(116.41) 18.05.15 1403 5
46 경험담 고졸 인력개발원 수료해도 생산직이겟조 [8] 홋포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29 1820 8
45 일반 [직업훈련] 시대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14 602 1
44 일반 [직업훈련] 일명 철깍 - 기계(제작) 분야에서 접할 수 있는 것 [2]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14 1976 4
43 일반 철깍은 직훈 쓸모가 없더라 [6] ㅇㅇ(124.61) 18.04.08 888 0
42 질문 [직업훈련] 공작기계 가격은 얼마나 될까?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01 570 0
41 가이드 [직업훈련] 병역특례 업체, 일반 취업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01 335 0
40 일반 인력개발원 다니는데 [4] dd(61.108) 18.03.26 1312 0
39 일반 지잡졸에 시설이나 보일러수리하면 [1] ㅇㅊ(218.53) 18.03.20 551 1
38 가이드 [직업훈련] 자격증 관련 대해서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3.13 1003 4
37 질문 형님들 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에서 건축배우려고 하는데 [1] (115.139) 18.03.07 670 0
33 일반 직훈갤 화이팅!!!!!! [1] ㅇㅇ(180.65) 18.02.20 300 0
32 일반 정전갤!! 터지지마욧!! [1] ㅇㅇ(125.143) 18.02.09 207 0
30 경험담 그나마 직훈담임 썰듣기로 좋았던 곳 간 게 [4]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20 920 0
29 가이드 직장 찾을 때 어지간하면 알선 말고 직접 찾으셈 [6]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20 1369 2
28 일반 갤주 열일하는거 보소 [1] ㅇㅇ(125.143) 18.01.15 424 0
27 가이드 [직업훈련] 기업 직업훈련 VS 협회 직업훈련 VS 국가 직업훈련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5 701 0
26 가이드 [직업훈련] 과정평가형 자격증에 대해서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4 4786 3
24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전망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30 1129 4
22 가이드 [직업훈련] 수강평은 꼭 남기자.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1367 3
21 경험담 [직업훈련] 직훈에서 얻어가야할 산업기사, 기능사 자격증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1808 5
20 경험담 직업훈련 갔더니 고삼친구들 분위기에 휘말렸다 [1] ㅇㅇ(112.168) 17.12.27 953 0
19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 분야에서 용어로 조심해야 하는 분야(기계)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542 4
18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2)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6 2025 8
17 경험담 가서 주변분위기 휘둘리지 마셈 [4]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5 1299 1
14 가이드 [직업훈련] 직훈 받고 난 후, 조심해야 할 업체, 선별하기 등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492 8
13 일반 개꿀정보 ㄱㅅ [1] 0983(39.120) 17.12.24 423 1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1)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3 4666 8
11 가이드 [직업훈련] 위탁교육(일반계고)은 언제가능할까?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3 410 1
10 경험담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문제점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1328 4
9 일반 [직업훈련] 취업을 하였을 때 알아둬야 할 것 - 노동법 상식(4)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252 0
8 일반 [직업훈련] 취업을 하였을 때 알아둬야 할 것 - 노동법 상식(3)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246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