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경험담] [직업훈련] 직훈에서 얻어가야할 산업기사, 기능사 자격증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12.27 21:40:03
조회 1808 추천 5 댓글 0
														

[직업훈련] 직훈에서 얻어가야할 산업기사, 기능사 자격증


* 학력도 마땅히 안 되고, 할 수 있는 노오력이라는 게 자격증이다.

  그렇다고 무시하면 안 된다.

  물론 타 갤에서 자격증 관련해서 매우 심도적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라고.

직업훈련에서의 자격증은 무척 중요한 이유가 
  
"학점은행제(전문학사)", "0.003% 미세한 확률이지만 대기업, 중견기업을 노리는 분들(추천서라는 게 운빨이라고)"

  두 가지 때문이다. 또는 4년제나 2년제를 다녔는데 이론은 배웠으나 실기 등은 ***같이 배운 분들.



자격증이 산업기사를 운이 좋아서(당해 문제풀이가 평타는 되어서 합격한 경우) 취득한 경우.

기능사를 취득한 경우가 있고.

[뒷담화를 하나 하면, 한국은 자격증이 너무 많다.]

참고로 기사 자격증을 가지고 미국, 캐나다 등에 가면 인정 받을 수 있는가?

= 없다. 기술 이민을 경력 쌓아서 생각한다면 꿈꾸기 힘들다. 경력은 인정받을 수 있겠으나.

  학력은 인정 받을 수 있다.

일본, 대만 등처럼 몇 군데 국가들하고는 협약되어 있어서 인정 받을 수 있다.


자격증을 딸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 산업기사, 기사 응시 불가: 고졸, 중졸.
  * 자격제한 종목이 있다는 이야기이다.

- 기능사: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면 응시가능.
             (언론 메스컴에 하도 도배되어서 정보나 실태가 없겠으나 무학력자도 있을 수가 있음.)


* 직업훈련에서 나열된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는 연 3회 정도 시험을 볼 수 있다.
   과정에 있어서 기능사 필기 시험이 면제가 가능한 지 물어보기 바란다.


   전기 과정을 들었을 때, 기능사 필기 시험이 면제되는지.
   (폴리텍 기능사 과정은 교육과정의 70% 이수시 필기시험이 면제가 된다.)

기사는 대학교 4년제 기준으로 3학년 과정 수료를 해야 응시자격이 생긴다.

(108학점 정도 되어야 응시 자격이 생긴다고 알고 있음.)

또는 현업에 근무하여 자격증(산업기사, 기능사)을 보유한 상태로 동일 직종으로

기능사는 3년 경력

산업기사는 1년 경력


기사 응시자격이 생긴다.



*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생겨서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이 신설되었다고 한다.


접수는 q-net.or.kr으로 해야 할 것이다.

https://c.q-net.or.kr/cbq/introduce/examMethInfoList.do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ddb3a2b6817c7334d6b510459caaa8e808c066a9e8e12dbd3cce528f77e02bf030359aa6d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477a16fb3dab004c86b6f858e30ebd71dc5072ddb3a2b6817c7334d6b510459caefdbd2e205629b8615d505eefd0598325ce778163e7dc194e21701


필기 공부를 아예 안 한다는 게 아니다.

교육훈련기관에서 지필고사 등 시험을 치고 내부평가라고 해서.

외부 평가를 실기 등을 해야 자격증이 나온다고.



재미있는 이야기는 자격증 취득했어도 취업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자격증 관련해서는 더 자세한 것은 타 갤에서 운영하고 있으니 물어보고.

아마 듣지도 보지도 못한 자격증이 있는데, 고가의 실기 장비를 사용할 줄 알아야 따는 자격 등이 있다.


* 자격증이라는 것은 그나마 효력이 있는 곳 국가수준의 검증이 된 곳이 아니면 의미가 없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컴퓨터활용능력 1급(공통 전공 18학점 내외), 전산회계1급, 2급(경영학 전공학점) 등은 학점은행제로서 인정받는다.

- 최근 컴퓨터활용능력 1급은 난이도가 헬이다.
   상시 시험도 10~12회 떨어지는 경우도 허다하다고.


생계가 불가피하게 안 좋아져서 기술도 배우고, 뒤늦게라도 학점은행제라도 해서 전문학사를 목표로 하시는 경우도 있으니.
(하려면 조금 더 걸릴 것이다. 1년과정 가지고는 불가능하다고. 냉정하게 보면)


메카트로닉스 전문학사(자동화설비 전공(Automatic Equipment))를 예를 들면,

전공: 생산자동화산업기사(18학점 내외) + 컴퓨터활용능력1급(18학점) +

        학점은행교과(1학기 18학점 내외) + 2학기(18학점) + 여유폭(재수강 있는 경우 + 12~18학점 내외)


사실상 하기가 빡빡하다. 적어도 약 1년 6개월 정도는 소요될 거라고 보인다.


구분

학사학위

전문학사학위

2년제

3년제

총 학점

140학점 이상

80학점 이상

120학점 이상

전공

60학점 이상

45학점 이상

54학점 이상

교양

30학점 이상

15학점 이상

21학점 이상

의무 18학점 이상

이수학점 중 평가인정학습과정 또는 시간제등록을 통해 이수한 학점이 반드시 18학점 이상 포함되어야 함.

전공필수 전공필수는 희망하는 표준교육과정 전공에 따라 학점 수 또는 과목 수로 반드시 충족해야함. 전공별 필요한 학점 수 또는 과목 수는 표준교육과정에서 확인.
[표준교육과정바로가기]


전적대학(자퇴한 곳 등) 학점이 있다면 취득은 할 수 있다.


공짜는 절대 아니다. 돈이 조금 있어야 한다. (수업료를 1학기 예상하면, 30만원~40만원은 적어도 있어야 한다.)

학점은행제로 무학점 상태로 졸업 하는 데 대략 120~160만 원 정도는 필요하다.





* 잘 생각해보기 바란다.


시험에는 크게 보면, 전기기사와 같은 헬 기사들이 있다.
(헬 기사인데 과거와는 달리 헬 기사 자격증 보유자도 많아졌다고)

필기시험만 보면 정상적으로는 고시 수준하고 비슷한 자격증들이 있다.


과연 직업훈련만 순수하게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는 것들인가를 생각해보기 바란다.

미리 필기를 준비해놓고 가는 경우도 있을 수가 있다. {관련 과 나오거나, 미친 척 하고 공부해서 준비한 경우}


기능사 자격증인데 필기시험이 산업기사, 기사보다 어려운 경우도 재수 더러우면 있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83 일반 [직업훈련]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통합되었음. (2020년)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0 1432 0
82 질문 내일배움 훈련장려금 다시 도입된다는 소식 없음?? [2] ㅇㅇ(115.161) 20.01.08 417 0
81 일반 오늘 구직자카드 발급함 [1] 지니어스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24 209 0
80 일반 [직업훈련] 생계비 대출에 대해서(2019-12-03)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3 934 0
79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 교사가 되는 방법은?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1 1166 1
78 질문 [직업훈련] 한달에 네번 결석해도 훈련장려금 다 나오나요??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1 849 2
73 일반 학교 너무 멀다 ㅋㅋㅋㅋ [1] ㄴㄴㄴ(123.248) 19.07.01 244 0
70 경험담 교육받으면서 선생한테 들은얘긴데 전공무관 추천은 꼴통한테 한다함 캠터스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1 547 0
69 일반 공부 열심히 해라 ㅇㄷㄷ(121.152) 19.03.31 382 4
65 일반 직훈 교사가 되기위해선 뭘 해야함 [2] ㅇㅇ(121.64) 19.01.26 460 0
64 일반 이거 실화임? 아들레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23 389 3
63 일반 수료 1달전에 관두면 멍청한짓이냐? ㅇㅇ(59.31) 19.01.07 261 3
62 일반 나 구직자 카드 2번 발급받아서 2019년 7월에 발급한다. [1] 머윤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30 271 0
60 일반 순회열차 유동이라 코드있는마갤로 보내야됨 ㅇㅇ(39.7) 18.11.11 115 0
56 일반 직훈과정 추천드리는거 있나요?? [3] ㅇㅇ(121.144) 18.06.30 1203 0
52 일반 직업전문학교 관둔다고 취업에 불이익있음? [3] ㅇㅇ(223.38) 18.06.01 1137 1
51 질문 솔직히 노가다 업종들 젊은사람이 제대로배울수 없는 구조아니냐 [2] ㅇㅇ(220.89) 18.05.30 1120 13
50 일반 진짜 좀 괜찮은 직업없나 [2] ㅇㅇ(220.89) 18.05.30 817 0
48 경험담 금형디자인 때려쳤다 [10] 때려쳤다(116.41) 18.05.15 1404 5
46 경험담 고졸 인력개발원 수료해도 생산직이겟조 [8] 홋포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29 1820 8
45 일반 [직업훈련] 시대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14 603 1
44 일반 [직업훈련] 일명 철깍 - 기계(제작) 분야에서 접할 수 있는 것 [2]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14 1976 4
43 일반 철깍은 직훈 쓸모가 없더라 [6] ㅇㅇ(124.61) 18.04.08 888 0
42 질문 [직업훈련] 공작기계 가격은 얼마나 될까?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01 571 0
41 가이드 [직업훈련] 병역특례 업체, 일반 취업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01 335 0
40 일반 인력개발원 다니는데 [4] dd(61.108) 18.03.26 1312 0
39 일반 지잡졸에 시설이나 보일러수리하면 [1] ㅇㅊ(218.53) 18.03.20 551 1
38 가이드 [직업훈련] 자격증 관련 대해서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3.13 1003 4
37 질문 형님들 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에서 건축배우려고 하는데 [1] (115.139) 18.03.07 670 0
33 일반 직훈갤 화이팅!!!!!! [1] ㅇㅇ(180.65) 18.02.20 300 0
32 일반 정전갤!! 터지지마욧!! [1] ㅇㅇ(125.143) 18.02.09 207 0
30 경험담 그나마 직훈담임 썰듣기로 좋았던 곳 간 게 [4]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20 921 0
29 가이드 직장 찾을 때 어지간하면 알선 말고 직접 찾으셈 [6]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20 1371 2
28 일반 갤주 열일하는거 보소 [1] ㅇㅇ(125.143) 18.01.15 424 0
27 가이드 [직업훈련] 기업 직업훈련 VS 협회 직업훈련 VS 국가 직업훈련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5 701 0
26 가이드 [직업훈련] 과정평가형 자격증에 대해서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4 4786 3
24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전망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30 1129 4
22 가이드 [직업훈련] 수강평은 꼭 남기자.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1367 3
경험담 [직업훈련] 직훈에서 얻어가야할 산업기사, 기능사 자격증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1808 5
20 경험담 직업훈련 갔더니 고삼친구들 분위기에 휘말렸다 [1] ㅇㅇ(112.168) 17.12.27 953 0
19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 분야에서 용어로 조심해야 하는 분야(기계)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542 4
18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2)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6 2025 8
17 경험담 가서 주변분위기 휘둘리지 마셈 [4]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5 1300 1
14 가이드 [직업훈련] 직훈 받고 난 후, 조심해야 할 업체, 선별하기 등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493 8
13 일반 개꿀정보 ㄱㅅ [1] 0983(39.120) 17.12.24 425 1
12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1)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3 4667 8
11 가이드 [직업훈련] 위탁교육(일반계고)은 언제가능할까?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3 410 1
10 경험담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문제점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1329 4
9 일반 [직업훈련] 취업을 하였을 때 알아둬야 할 것 - 노동법 상식(4)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252 0
8 일반 [직업훈련] 취업을 하였을 때 알아둬야 할 것 - 노동법 상식(3)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246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