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이드] [직업훈련] 과정평가형 자격증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01.14 20:16:12
조회 4786 추천 3 댓글 1
														

[직업훈련] 과정평가형 자격증에 대해서


안녕, 오랜만에 글을 쓴다.

나도 이건 최근에 생긴 거라 정확히는 답변 못 하겠다.

시스템 체계는 비슷해서 왠지 알 수 있을 거 같아서.



1. 외부평가와 내부평가로 해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거야.


 교육·훈련과정을 마친 이수자에 대한 평가로 과정평가형자격의 공신력을 제고하기 위해 치러집니다.

 이수자란?
모든 능력단위별 교육·훈련과정에 75%이상 출석하여야 하며, 교육·훈련기관에서 시행하는 모든 내부평가에 참여할 경우 이수자로 결정됩니다.
 이수기준 미충족자

내부평가 결과 해당 능력단위별 평가점수가 100점 만점 기준 40점 미만인 교육·훈련생은 ‘이수기준 미충족자’ 가 되고 외부평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단, 이수기준 미충족자에 대해서는 교육·훈련기관에서 마련한 별도의 프로그램 수료 후 1회에 한해 재평가 기회 부여가 가능하나,
이 경우 교육·훈련기관에서 제출한 운영계획서에 반영되어 있어야 합니다.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577a16fb3dab004c86b6ffc304b0c17ba73401432ebbd08500ef13f4e1c9ff9dd413eb893aae9b1553eb4505acc8f27a7828ee851d97893



viewimage.php?id=27b2d232f7d331a867b1d1&no=29bcc427bd8577a16fb3dab004c86b6ffc304b0c17ba73401432ebbd08500ef13f4e1c9ff9dd046beafda9e1b45d39ba56e9aeff22f6395739e89eaa5a0437fd46


외부평가 평가방법

  • 지필평가 : 객관식 및 주관식(100점), 적용비율 40%
  • 객관식 : 4지택일, 선다형, 연결형, 진위형(🌕/×) / 주관식 : 단답형, 약술형, 계산형, 기타
외부평가 평가방법의 지필평가 안내
산업기사, 기능사 등급별로 평가방법, 출제 문제수 (배점), 시험시간으로 구성된 표
등급평가방법출제문제 수 (배점)시험시간
산업기사1교시
(객관식, 주관식 통합)
  • 총 40문제 (100점)
  • 객관식 30문제 (60점)
  • 주관식 10문제 (40점)
총 90분
기능사1교시
(객관식, 주관식 통합)
  • 총 25문제 (100점)
  • 객관식 20문제 (80점)
  • 주관식 5문제 (20점)
총 60분
  • 실무평가 : 작업형 실기(100점), 적용비율 60%
  • 문제수, 시험시간은 종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외부평가 평가방법의 실무평가 안내
산업기사, 기능사 등급별로 평가방법, 문제수, 시험시간, 배점으로 구성된 표
등급평가방법문제수시험시간배점
산업기사작업형 실무평가
(면접시험 포함 가능)
1과제 이상종목별 상이
(8~12시간)
100점
기능사작업형 실무평가
(면접시험 포함 가능)
1과제 이상종목별 상이
(6~12시간)
100점



2. 한국**인력**이 운영하는 자격증의 패러다임


초창기에는 직접 통솔로 다 했다고 봐야지.


[인력공단]

-> 초창기: 자격증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운영 (공단 직할)

-> 진화: 자격증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운영 (큐넷-공단 직할) = 실질적인 과도기는 2010년이 넘어서 시작되었다고 봐도 되.

    -> 기능사 자주 보는 시험들만 분리: 정보처리기능사, 제과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등 (T-큐넷)

        티 큐넷이 뭐냐하면, 분사한 거야 말 그대로.

        (한국**인력*단)에서 하도 시험을 많이 보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한국기술자격검정원이라는 곳을 설립했지.


-> 2015년 넘어서 대략 과정 평가형에 대해서 나오게 된 게 NCS가 생겨서 등장했다고 보면 될지도.

      자격증을 아예 필기시험을 기출문제 등으로 하도 암기하니, 교육 수업 중에 평가해서 자격증을 배부하는 그런 거라고 보는 게??


                               [공단]

    인력수출, 인력교류, 기능숙련장려사업, 자격증 등



크게 이런 사업들을 하는 곳인데 대략 조직 체계가 복잡해졌지.

비용절감이 아무래도 큰 이유일 거야. 전문성이라는 이유랑.


                               [공단]

    인력수출, 인력교류, 기능숙련장려사업, 자격증 등

                                                            -> 직영(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 분사: 한국기술자격검정원(기능사 일부 종목)

                                                                   -> 이전: 무선 관련 자격증 외 몇 개

              



3. 과정평가형 교육과정을 무조건 이수할 수 있느냐?


그렇진 않지.

이게 인가된 교육기관이 있어.


뽕리텍(일부 학과), 전문대(일부 학과), 전문계고교(일부 학과) - 의미가 없지만 기능사 필기 면제 과정이 있으니, 직업훈련학교(직업훈련원), 마이스터고(산업기사 과정) / 몇 개 안 됨. 3~5개,

4년제 대학(5개 학과 정도)

-> 개설된 캠퍼스가 있음.

* (큐넷에서 대략 개설학과 또는 개설 훈련원을 검색해봐야 함.)


이거 이수하면 좋은 거냐?


자격증을 쉽게 간단히 이야기 하면, 교육 훈련 성실히 받고, 내부 평가를 받고, 외부 평가를 끝내면 대략 자격증이 배부가 되는 거야.

기출문제라고 보긴 그렇고. 필기 시험을 자체적으로 보고(내부 평가), 외부 평가 때 실기 또는 검정을 마치면 자격증을 주는 개념인데.


     [기계장비설비.설치]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목재.가구.공예]귀금속가공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제원형
[금속.재료]금속재료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제작]기계가공조립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제작]기계설계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장비설비.설치]기계정비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장비설비.설치]농업기계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금형.공작기계]사출금형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장비설비.설치]생산자동화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장비설비.설치]승강기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디자인]시각디자인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건축]실내건축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용접]용접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위험물]위험물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전자]전자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기계제작]정밀측정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정보기술]정보처리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조경]조경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조리]조리산업기사(양식)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문제원형

[단조.주조]주조산업기사
  • 1차평가(지필)객관식 및 주관식 (90분)
  • 2차평가(실무)평가방법 미정

 비공식적으로 전자산업기사, 용접 산업기사 과정을 마이스터고 몇 곳에서 운영을 하는 중. (일명: 시범 사업 같은 개념)


자격증을 교육 훈련하고 나서 응시하는 시스템으로 바꿔보겠다는 의도이지.

점차 이렇게 바뀔 거라고 보여.


이게 참 무의미하다고 볼 수도 있고. 아무튼.


그런데 잘 보면, 전기 산업기사나 이런 건 없잖아.


모순점이 참 많은 과정평가형이지.

전국에 훈련기관이 가장 많은 분야이기도 해. IT 다음으로 전기훈련 분야도 상당히 많거든.


이해관계자가 많다고 밖에 뭐라 할 말은 없지만.
(일명 기술자 협회도 있을 거고. / 인가 면허인가 해서 또 돈을 내야 하는 곳이 있음. 근무하게 되면 자격증 딴 거 위에 하나 면허증같이 돈을 또 내야 함.)


물론 전기에 수식이 많이 들어간다 등은 이해하겠지만.


이미 이 시스템을 하는 게, 공업계고교(특성화고교)에서 기능사 필기 면제로 시험 보는 게 있거든.

2년 필기 공부를 했으니 필기시험은 면제받고, 실기만 시험 보는 게 있어.



4. 응시 자격 요건은 어떻게 되는가?


논란이 많다는 이야기가 응시 자격 요건을 꼽을 수가 있지.


예를 들어서, 고등학교를 졸업했어.

A군이 98년생이야. 올해 고등학교를 졸업했어.


예를 들어서, 중학교를 졸업했어.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B군이 2001년생이야.


그런데, 직업훈련원에 있는 과정평가형 산업기사 자격 과정에 훈련 이수를 하겠다고 등록했단 말이지.

응시가 가능하냐는 거지.


논란이 되는 건, 교육과정 수강 요건에 15살 이상 국민이면 된다는 거야.


실제로 이렇게 모집요강을 내놓고 있고.


[기존 자격제도와 차이점]

* 기존 자격제도와 차이점 안내

검정형, 과정형의 응시자격, 평가방법, 합격기준, 자격증으로 구성된 표
구 분검정형과정형
응시자격학력,경력요건 등 응시요건 충족자해당 과정을 이수한 누구나
평가방법지필평가 · 실무평가내부평가 · 외부평가
합격기준필기 :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60점 이상내부평가와 외부평가 결과를 1:1로 반영하여 평균 80점 이상
자격증기재내용 : 자격종목, 인적사항검정형 기재내용 + 교육·훈련기관명, 교육·훈련기간 및 이수시간, NCS 능력단위명


가능하다는 이야기야.

응시할 수 있다는 이야기지.


중, 고등학교(중학교 졸업 이상) 갓 졸업한 학생이 1년 정도 과정을 이수해서 과정형으로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는 이야기지.


 제도의 장점 

   자격취득희망자
누구나 참여 해당 교육·훈련을 성실히 이수할 수 있는 사람
별도 응시자격 없이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응시 가능

과정 참여 혜택 계좌제 훈련의 경우 400만원 한도에서 자비부담 면제
별도의 상담기간 없이 참여가능

교육·훈련과 자격을 동시에 1차 평가(지필)은 한국산업인력공단 지정장소, 2차 평가(실무)는 교육·훈련기관에서 평가 시행
교육·훈련을 받은 모든 능력단위가 기재된 과정평가형 자격증 발급

현장 중심 교육·훈련 산업 현장 중심의 지식, 기술 습득
NCS 기반의 체계적 교육 · 훈련으로 경력개발 유리

 교육&훈련기관

 NCS 기반 과정 운영 컨설팅 지원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기관으로서 범국민적 홍보 가능
 민간직업훈련기관의 경우 훈련생 모집에 유리

 기업

 실무 중심의 자격 취득자 채용용이
 채용 및 교육·훈련비용 절감 가능
 근로자 경력 개발 체계 구축용이




5. 자격증이 많으면 좋은 건가?

가고자 하는 직무랑 무관하면, 많이 있어도 의미가 없어짐.

NCS의 취지가 불필요한 스팩을 줄이자는 데 있음. (예를 들면, 토익 같은 거, 한국사 등)


직무능력만으로 이게 키포인트이긴 한데, 과연 현실은...... 


평생 직장이 많이 없어지는 추세잖아.


근로자 입장에서는 한 직장의 직업군에 들어가서 30년 이상 근속하면 좋은데 그런 직장이 있냐는 거지.

공무원 말고는 크게 없지.


또 가고자 하는 직무군이 전자인데 전자회사에 과연 전자만 있느냐 그건 아니지. 신소재가 있을 수도 있고.

기계가 있을 수도 있고. 컴퓨터가 있을 수도 있고.


또 어떤 자격증을 선호해주는 지도 모르잖어.

필수 요건만 맞추면 되는 건지.

꼭 있어야 하는 건지.


자격증 개수가 성실성을 표현한다고 하지만, 주경야독으로 공부한다는 게 보통 쉬운 일이 아니거든.



6. NCS 과정평가형이 다 적용되는 건 아니니 잘 알아보기 바람.

공단에서 과정평가형을 인허가를 해줘야 할 수 있는 것이니.

잘 알아보기 바람.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83 일반 [직업훈련]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통합되었음. (2020년)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0 1432 0
82 질문 내일배움 훈련장려금 다시 도입된다는 소식 없음?? [2] ㅇㅇ(115.161) 20.01.08 417 0
81 일반 오늘 구직자카드 발급함 [1] 지니어스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24 209 0
80 일반 [직업훈련] 생계비 대출에 대해서(2019-12-03)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3 934 0
79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 교사가 되는 방법은?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1 1166 1
78 질문 [직업훈련] 한달에 네번 결석해도 훈련장려금 다 나오나요??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01 849 2
73 일반 학교 너무 멀다 ㅋㅋㅋㅋ [1] ㄴㄴㄴ(123.248) 19.07.01 245 0
70 경험담 교육받으면서 선생한테 들은얘긴데 전공무관 추천은 꼴통한테 한다함 캠터스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1 547 0
69 일반 공부 열심히 해라 ㅇㄷㄷ(121.152) 19.03.31 383 4
65 일반 직훈 교사가 되기위해선 뭘 해야함 [2] ㅇㅇ(121.64) 19.01.26 460 0
64 일반 이거 실화임? 아들레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23 389 3
63 일반 수료 1달전에 관두면 멍청한짓이냐? ㅇㅇ(59.31) 19.01.07 262 3
62 일반 나 구직자 카드 2번 발급받아서 2019년 7월에 발급한다. [1] 머윤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2.30 271 0
60 일반 순회열차 유동이라 코드있는마갤로 보내야됨 ㅇㅇ(39.7) 18.11.11 115 0
56 일반 직훈과정 추천드리는거 있나요?? [3] ㅇㅇ(121.144) 18.06.30 1204 0
52 일반 직업전문학교 관둔다고 취업에 불이익있음? [3] ㅇㅇ(223.38) 18.06.01 1137 1
51 질문 솔직히 노가다 업종들 젊은사람이 제대로배울수 없는 구조아니냐 [2] ㅇㅇ(220.89) 18.05.30 1120 13
50 일반 진짜 좀 괜찮은 직업없나 [2] ㅇㅇ(220.89) 18.05.30 817 0
48 경험담 금형디자인 때려쳤다 [10] 때려쳤다(116.41) 18.05.15 1404 5
46 경험담 고졸 인력개발원 수료해도 생산직이겟조 [8] 홋포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29 1821 8
45 일반 [직업훈련] 시대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14 603 1
44 일반 [직업훈련] 일명 철깍 - 기계(제작) 분야에서 접할 수 있는 것 [2]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14 1977 4
43 일반 철깍은 직훈 쓸모가 없더라 [6] ㅇㅇ(124.61) 18.04.08 889 0
42 질문 [직업훈련] 공작기계 가격은 얼마나 될까?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01 571 0
41 가이드 [직업훈련] 병역특례 업체, 일반 취업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01 336 0
40 일반 인력개발원 다니는데 [4] dd(61.108) 18.03.26 1312 0
39 일반 지잡졸에 시설이나 보일러수리하면 [1] ㅇㅊ(218.53) 18.03.20 551 1
38 가이드 [직업훈련] 자격증 관련 대해서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3.13 1005 4
37 질문 형님들 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에서 건축배우려고 하는데 [1] (115.139) 18.03.07 672 0
33 일반 직훈갤 화이팅!!!!!! [1] ㅇㅇ(180.65) 18.02.20 301 0
32 일반 정전갤!! 터지지마욧!! [1] ㅇㅇ(125.143) 18.02.09 208 0
30 경험담 그나마 직훈담임 썰듣기로 좋았던 곳 간 게 [4]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20 921 0
29 가이드 직장 찾을 때 어지간하면 알선 말고 직접 찾으셈 [6]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20 1372 2
28 일반 갤주 열일하는거 보소 [1] ㅇㅇ(125.143) 18.01.15 424 0
27 가이드 [직업훈련] 기업 직업훈련 VS 협회 직업훈련 VS 국가 직업훈련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5 701 0
가이드 [직업훈련] 과정평가형 자격증에 대해서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4 4786 3
24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전망에 대해서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30 1130 4
22 가이드 [직업훈련] 수강평은 꼭 남기자.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1367 3
21 경험담 [직업훈련] 직훈에서 얻어가야할 산업기사, 기능사 자격증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1809 5
20 경험담 직업훈련 갔더니 고삼친구들 분위기에 휘말렸다 [1] ㅇㅇ(112.168) 17.12.27 955 0
19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 분야에서 용어로 조심해야 하는 분야(기계)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7 542 4
18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2)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6 2025 8
17 경험담 가서 주변분위기 휘둘리지 마셈 [4] 별똥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5 1300 1
14 가이드 [직업훈련] 직훈 받고 난 후, 조심해야 할 업체, 선별하기 등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493 8
13 일반 개꿀정보 ㄱㅅ [1] 0983(39.120) 17.12.24 425 1
12 가이드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종류(1) [1]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3 4667 8
11 가이드 [직업훈련] 위탁교육(일반계고)은 언제가능할까?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3 410 1
10 경험담 [직업훈련] 직업훈련의 문제점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1329 4
9 일반 [직업훈련] 취업을 하였을 때 알아둬야 할 것 - 노동법 상식(4)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252 0
8 일반 [직업훈련] 취업을 하였을 때 알아둬야 할 것 - 노동법 상식(3) James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2 247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