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
청년 도약 계좌는 자기의 소득 수준에 맞춰서 특정 금액을 넣어야지만 최대 효율, 그거 이상 넣을거면 그때부터 고민해봐
청년 도약 계좌는 "기여금" 이라는 특이한 개념이 들어간 적금임
이게 기본적으로 4.5 ~ 6.0 이율의 적금 + 기여금 구조여서 이 둘다 고려해야됨
뭐... 나는 한국에서 원 들고 있을 빠엔 무위험 수익이 4.5~6.0%이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함
국장이 ㅋ 슈퍼 하이퍼리스크(보니까 imf, 닷컴 이후죠?) 인데 6.6%이니까

근데 슨피는 약 10퍼니까 4.5~6 그 자체는 좀 매력이 없지

근데 중요한건 "무위험 수익율"과 "위험 수익율"은 매우 다르다 이것임
극단적으로 말하면 저번 월요일에 코스피 나락갈때 풋옵션 15만퍼 터졌었다고 하던데. 어째튼 풋옵션 매수는 최대 손실이 -100%고 최대 이득은 150,000% 이거면 풋옵션이 제일 안전 훌륭한 투자 수단인가? 절대 아니잖아.

4~2주전에 이 새끼 이긴놈들 별로 없었을껄?
그냥 상시 돌맹이쉐끼 ㅈ밥이네 할수 있는 건 특히 지금같이 주가가 얼로 튈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매우 좋은 선택이라고 봄
------
어째튼 그럼 청년도약계좌의 무위험 수익율을 보면
4.5~6.0 + @임
애초에 보면 이건 돈 많은 사람들 유리한게 아니라 근로/총 소득 없는 사람(2400만 이하) 용임.
즉 1) 내가 진짜 종합소득이 낮거나 2) 금수저라서 일을 안해서 소득이 안찍힌다? 그러면 하는게 매우 유리함.

여기서 봐야 하는 것이 "월 기여금 지금한도" 랑 "기여금 매칭 비율"임
보면 1) 소득이 올라갈수록, 기여금 지급 한도는 늘어나고, 지여금 매칭 비율은 줄어들고 있음
즉 정부는 근로소득이 2400만원 이하의 사람들은 40만원만 넣으면 2.4만원 주겠다고 하는건데
근로소득이 6000만원 이하인 사람은 70만원 넣어도 2.1만원 주겠다고 어쩔 하는거임
애초에 이놈은 소득이 낮은 사람을 위한 것이니 그려러니 하면 됨
자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금수전데 일 대충해서 소득 낮은 사람들도 껴들어가긴 하지만...
어째튼 이걸 계산하면 그냥 다음 구간에 있는 사람들은 자기 구간에 맞게 특정 금액만 넣는게 좋다
특히 만약에 알바하는 초년생은 2400안되잖아. 무조건 들어. 무위험 수익율 10.19퍼 존나 큰거임
2400만원 이하다 -> 월 40만 넣고 나머지 고민해보기
3600만원 이하다 -> 월 50만 넣고 나머지 고민해보기
이 둘은 솔찍히 그냥 청년 도약계좌 넣자. 고민할 필요도 없어.
+ 수정
저 왜 3600기준이나면.. 저게 세후가 아니라 세전이니까 대충 180~250이 월 순 수익이란거잖아
1인기준으로 가정해서 고정비를 빼면 40, 50 넣기도 힘들지... 애초에 저 수익대라면, 리스크를 올려서 수익률을 올리는게 아니라 투자금을 늘리는게 우선임. 그리고 적금은 나라가 망하지 않는이상(5000만원 이하 보호법)으로는 진짜 순수 무위험이니까

-----
급여가 약 5000만 이상이고
60~70만원 이상 넣을 수 있다... 흠... 이때부터는 고민할 필요성이 있거든...?
이건 뭐... 애초에 개인이 연 급여가 5000 이상이면 나같이 뉴비가 일해라 절해라 투자해라 할 것 은 아닌듯
아 참고로 저거 통장 가입 기준이여서, 만약에 내가 3600만 이하인데 나중에 소득이 늘어날거 같다? 그러면 일단 가입은 해두셈
--------
결론
1) 소득 기준에 맞춰서 딱 그정도만 넣으면 청년 도약계좌 쌉 혜자다. 무위험으로 10% 존나 쌘거다. 은행에서 예금 금리 물어보셈 4퍼 주는데도 없음.
2400이하 -> 월 40, 3600이하 -> 월 40, 그 이상? 몰?루
2) 수익이 오를거 같다. 내가 작년 기준 쥐좆 급여다 -> 일단 통장 가입하고 생각하셈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