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순위 . 출금용 카드(로그,월렛,토스 등)
갤은 대부분 이걸로 다닐듯
카드 안 쓰고 현금위주로 쓰겠다, 신용카드 쓰겠다 하는 경우에도 비상용&출금용으로 아무거나 한 두개 만들어두면 좋음.
대개 선불카드형식이다보니 연회비도 없고 관리도 쉬워서 가끔 가는 단기 소액 여행이면 그냥 이걸로 끝내도 괜찮음.
아래 나올 체크, 신용카드는 약관에 적혀있지 않은 환전수수료 1%가 추가되는데 선불카드는 그런게 없는것도 메리트.
1순위. 이벤트중인 카드

* 현재 진행중인 예 : 국민 유니온페이 해외이용 10%캐시백, 신한 JCB 캐시백-5만엔이상 5만원, 10만엔이상 10만원, 20만엔이상 20만원....)
일회성이라 문제지만 10%씩 캐시백 해주는 경우는 매우 자주 있으니 가기 전에 준비해두면 꽤 좋음
캐시백10%(수수료 제하면 7~8퍼) + 면세10%까지 박으면 뭘 사도 메리트있는 수준이고
빅카메라처럼 자체 할인까지 있으면 거의 25~30%할인받을 수 있어서 좋음
주의사항은 유니온페이는 가맹점 아닌 경우가 꽤 많고, 가맹점인경우도 직원이 결제할 줄 모르는 경우가 종종 있음.
2순위. 혜택좋은 카드
1. 네이버페이머니카드 - 체크카드임 무실적 3%적립, 수수료(국제브랜드1.1%+건당0.5달러)(6월까지 면제)
주의사항 - 포인트로 결제시 혜택 제외,
수수료가 1.1%+건당 0.5달러라 소액결제엔 불리함, 다만 6월까진 수수료 캐시백 이벤트중이라 무지성 사용 가능
2. 빠니보1틀카드 - 2%할인 (이벤트로 11월까진 무실적 5% 할인), 수수료(국제브랜드1.4%+0.2%) 연회비 2만
주의사항 - 기존 3월31일까지던 이벤트가 11월로 연장됐음. 해외할인은 이벤트기간동안은 무실적
3. 클래식Y - 5%적립, 수수료 비자(국제브랜드1.1%+0.2%), 마스터(국제브랜드1%+0.2%), 유니온페이(국제브랜드0%+0.2%), 연회비 10만
- 카드마다 조금 다른 경우가 있으니 참고만
주의사항 - 연회비가 10만임, 대신 7~8만 돌려받을 수 있는 바우쳐를 매년 줌.
대신 차년도 바우쳐 발급 조건이 연간 300 이상 사용이라 사실상 연 해외소비 300필요
진에어 15% 결제할인도 있지만 전월실적 30만이 필요하고, VISA로 발급받았을때만 적용 가능.
수수료측면에선 UPI가 유리, 대신 UPI는 미가맹점이 많고 사용이 불편하니 주의
3순위. 나쁜건 아닌데 좋은척 하는 함정카드
트래블로그 신용카드 - 좋은 구간이 없음. 연회비 생각 하면 체크보다 못함
하이포인트 - 전월 150이상 이용자만, 매월 150 쓸 사람이면 이미 이번달도 쓸 곳이 정해져있을테니 해외가서 이걸 쓸 이유가 없음.
우리에브리마일 - 작정하고 마일리지 모을 정도면 카드 나보다 더 잘 알듯.
디어시리즈 - 월 100만원 라인에서 좋다곤 하는데 2순위 카드들이 대체로 더 좋음.
여담
Visa,Master - 써먹기엔 편한데 이벤트가 적고 부정기 이벤트로 호텔예매할인 외엔 좋은 이벤트가 별로 없음(수수료 1%, 1.1%)
AMEX - 기본 수수료가 미묘하게 비쌈(수수료 1.4%)
JCB - 기본적으론 별로지만 일본 한정으론 비자, 마스터급으로 사용가능, 이벤트도 종종 나오고 혜자.
수수료도 낮은편이지만(0%) 특이하게 가끔 자체브랜드가 있어서(예:건담신한카드JCB)일부 카드들은 수수료를 많이 받아감(수수료 1%)
유니온페이 - 써먹기 힘든데 이벤트가 엄청 자주나오고 혜자인편,
유니온페이 내에서도 UPI, CUP 등등 나뉘어서 좀 복잡하고 카드사&상품마다 수수료가 각각 다르지만 기본적으론 없거나 낮은편(수수료 0%, 0.6%, 0.8%)
추가로 국내카드사에 따라 브랜드 수수료 0.18~0.35%정도가 붙음
+ 더모아, 삼아맥 현아맥 같이 좋더라도 지금 못받는 애들은 의미없어서 뺐음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