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피커] 서브우퍼 측정 및 리뷰 1편앱에서 작성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4.11 20:08:27
조회 4456 추천 38 댓글 19
														

7fe58875b4801d8523edf3e7419c701940779645c588c27d2730e41f2828d3aa548095006e46f53b734828b1871b397c8d738dfe

갤러들의 많은 지원과 참여로 이 프로젝트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고 이에 매우 큰 감사!!

이번 측정 리뷰글을 어떤 형식으로 올릴지 나름대로 엄청 고민하고 시도해보았으나...

제품별 리뷰를 포토샵으로 하나 하나 작성하다 갈아엎는 시점에서 아주 깊은 현타가 와서..
그냥 글을 연달아 쓰기로 맘 먹음.



시작!

7e9b8405b68660fe239984e2449c7068a034856d33b531d9c00bbcd599ca1567242515ccdefbf00ee7adad8415441196988bf948

특히 미리 간식까지 준비해준 참관 갤러...참 감동이었음.


7a988502c0f069f523e9f7ec329c701f0801bc5d9d8b644efb96b2bbe3bf857bae0072a437dd2d4d9d4f51fca6826de07fe677bb

이렇게 곧바로... 순조롭게 측정을 진행할 수 있으려나 싶었지만...

서브우퍼의 위력은 야외에서조차 어마무시했다.

이대로면 주변 민가에게 폐를 끼치게 되어 어쩔 수 없이 로케이션을 이동!



약 8km 정도를 달려와서 찾은 장소.

0b99897eb7831bf323e683e4309c70644c7639f6b680d461f46fba2ac0aaf80e27972635d6bab34e8643cda6da9e7a31cb5e863f

정말 마음에 쏙 든다... 주변에 민가따윈 없음!

7ae8f374b6f161ff239e84e0309c706e17e2d957e973f9c25478cdd9f6a284aadd2f3cae3e80c9766c3eb726205346e1e4b3630e

이렇게 선수들 입장!

왼쪽부터 차례대로

Arendal 1961 1V
Arendal 1961 1S
Neumann KH750
Bowers & Wilkins DB4S
SVS SB-3000
SVS SB-2000 pro
SVS SB-1000 pro
Polk audio PSW111
내 DIY 서브우퍼
SVS 3000 micro

되시겠다.





74ec8405b4f66f85239df0e5449c706ef674af199219d8d0387ab6a8d27f4bf68b3205fdb7be64d2c1ebb701dc592c46c949ab69

세팅하고 측정 시작!

7b988371b3861df023e68493479c7019d430070d1978fc163cee967fcaf211da705fae08188a54dc4e7e90fae589ad47c4af4182

0f988105c3826d8423e884e3439c701f410d335e04723c0db6ce738a0cf33e95f92e2fae1584220697556fecdf1e6cd16c3e07fc

여러 갤러들의 지원과 도움이 없었더라면 아예 진행 자체가 불가능했을 프로젝트...

CEA-2010B TBM 측정은 이번이 국내 최초이다보니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고 그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 충분한 부하가 걸리지 않은 제품은 이후 가혹 조건으로 2차 측정을 진행했다.





이제 진짜 리뷰 시작!

SVS SB-1000 pro

출력 세팅

78e98276bd846ff6239ef0e5419c70658256120bb64372522b847e54b25e7ee49d791c930a3947cf0d9ed2597ccbcd6a60a955

-21.2dBu 인입시 80dB SPL@2m(100Hz)의 출력이 나오는 상태.


85dB SPL

7be58003c3f71af223edf4ed469c701ffaa283ca1bff87cfe738dcf3f98364fe3dee0913329f5f7a27fff9cc05a1ebe6fe7983

0ee8887ebc8a60f323ed83e3419c706ab77606e9936e9bb31cb5ab7fb5ef26676613c0221574c39f1152e60de9e7e89f3a13fb

이미 롤오프 된 극저역까지 보는 것이 타당한진 모르겠으나
피크 약 20%



95dB SPL

79e58871c1f11bf6239a8e94429c701bccf8bde92a726665e17f088744e4f5509c04f3fa4d5ced3a1ca42d4170c321b2f22ad1

7bec8874b78161f023ec80ec359c701c1fe09d9472c1d1d85d65f1628f62a7e4d56256c83e7e6bb1d5b50376be59b255fd60b4


이 친구에겐 많이 버거워보이는 출력이다.





그룹딜레이

08e4817ebd836b8723ec8eec359c706d29cfd82a548cd99a170d2211f3c71eb1da742bffee4d2e7a2849c74c6b518730540cdd

pro 이전 모델인 논DSP 모델이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스텝 리스폰스

7ceb8804b1f06ff62399f290419c7019779b457fec5a67c89cbc6e86e0629233b9be70b7f7614ec50216ceadbbc958532243da

신호 입력 후 얼마나 빠르게, 어떻게 안정화되는지 볼 수 있는 데이터.
출렁임이 덜하며 빠르게 멈출수록 이상적이다.

피크 후 약 130ms 부근에서 안정되는 모습.




ETC

75998200b0801e84239d81e0379c706e35b606aaab501110d41d9d31801913ff82277a99f2d8ef740fb72cb2ae81d05b7ed895

피크(0dBFS)이후 100ms 동안의 감쇄 레벨을 측정.
감쇄량이 높을수록 이상적이라고 볼 수 있다.

-30.8dB





IMD

7e9ef202bdf661f0239cf2ed379c7018faaaede5ddfdb0223059e7f2678d3c89fde9bbe1a31bd347e85c3759395f5e222c2b77

20Hz의 베이스톤을 쭉 재생함과 동시에 그 윗대역을 하나씩 하나씩 재생해가며 얻어낸 왜곡 측정 데이터.


전대역에서 약 10% 수준.

IMD 측정은 측정 방식 특성상 베이스톤의 배수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튀는 경향이 있고 이건 어쩔 수 없다.






이제 드디어 TBM 모듈 측정.

우선 TBM 모듈이 동작하는 방식을 잠시 소개하겠다.


TBM 모듈은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각 전압별로 한 사이클씩 측정하며 점점 전압을 올려나간다.

이때 측정된 신호의 THD값이 기준을 초과하면 다음 주파수에 대한 측정으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즉 20Hz를 측정하다 THD가 임계값을 건드리면 25Hz 측정으로 넘어가는 방식.

이때 시작 전압과 최대 전압의 설정이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측정을 가혹하게 하면 특정 제품들은 손상의 위험이 있었으며 그렇다고 약하게 하면 제품간 비교시 분별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래도 제품 보호가 1순위이니 후자를 선택하기로 했다.


다음은 이 모듈의 각 주파수별 THD 임계값을 소개.

0b988400bd8119f623ecf390429c7069d0048831da34883e376b89306eabe3aa4f867bfb04900f254a0eeb5dda4d483ae265fe

CEA-2010B 기준에 따라 각 주파수별 THD 임계값이 상이하다.

위 두 개의 임계값은 그것을 나타내주는데,
무슨 의미인지 이해하기 어렵다면 각 측정 주파수별로 Y축의 값이 다르구나! 하고 이해하면 되겠다.

즉 낮은 주파수 측정에선 다소 관용적이지만, 높은 주파수로 갈수록 THD에 대한 기준이 엄격해지는 것.


그리고 아래와 같이

74ea827eb1861bf0239980e5349c701eb4b225d17e3edc1f27efc10e152c0866b507f0eaeb5242ff219795d0bc88d68a2785b5

측정된 신호의 THD가 모두 임계값 아래에 위치하면 해당 측정은 통과!

0fe58572b1836cf7239d84ed459c7018dc38a5f10262acf2b9cf80837b9e2b328af8f8bf6215c6cee1569bae01daaa0b7a5881

어느 하나라도 임계값을 건드리면 해당 측정은 탈락! 이 되어버린다.



(그리고 이때 다음 주파수 측정으로 넘어갈지,
그래도 전압을 올려 측정을 재개해볼지 판단하게 되는 기준 설정을 Neglect Threshold Below 라고 하는데.
현 측정에서는 대부분 이 값을 최대 전압과 동일하게 주었기 때문에 의미 없으므로 그냥 넘어가자)






Peak value

7eea877eb2841b83239ef7e6309c701e62d7d08b67b92478f3204990dc725644237abf1c446c6309c204334dcfc5a4a003733c

처음 보는 플롯이라 당황할 수도 있겠다.
기본적으로 각 주파수들의 간격이 좁을수록 실효 대역폭이 준수하며, 직선이 휘지 않고 쭉 뻗을수록 출력이 좋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각 서브우퍼별로 제조사로부터 사전에 세팅된 출력값이 상이하므로 완전한 맞비교는 어렵다.


0e988500c6831df0239987e2339c7068533f3d7020c42eceb89ab8bfa7de751944717ae722acf5619654a60ce5504f3c3a04ac

각 주파수별 최대 음압.


7b9cf107bc856bf423e6f391329c706e6f48fb0ac5361f141070ea71fd5c133b09fc959124a44c9d0a9c3f05cfe4843daba4bb57

이 데이터를 보면 앞서 설명했던 통과와 탈락이 어느정도 보일 것이다.

비교적 낮은 전압에서 주황색이 나타난 놈들은 주변의 배경소음이 THD 임계값을 건드려버린 케이스이므로, 그보다 높은 출력에서 초록값이 존재한다면 그 아래는 무시해도 되겠다.
(사실 이 때문에 정교한 Neglect Threshold below 세팅이 필요하다.)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것은 역시 각 주파수별 초록색 최상단 값일 것이다.
이것이 적어도 현 측정에서의 해당 서브우퍼 최대 출력을 의미하니까.

하지만 저것이 전부는 아니다.

각 측정 신호는 정확히 1dB씩 증가하는데,
합격점을 받은 주파수들에서도 실제 측정된 SPL값의 차가 1dB가 되지 않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결국 THD야 2010B 표준상의 임계값을 건드리지 않았지만 그 이하 구간에서 이미 컴프레션을 먹고 있었다는 의미.

이 부분은 각 제품에 대해 개인의 능동적인 해석이 필요하겠다.


08e5877ec4821df023e687ec329c706ebd7c51848d9e62ce877620280560f50074bab81ea0266dd9e1cd01065c9536ef222bf4

앞선 측정을 통한 최대 음압 표기 차트.
12.5Hz는 표준에 존재하지 않는 값으로, 생략되었다.




08ef8907b2f41aff23eff5e1429c70198edd5a245526c9f3f3000a22ae3525424a9aa84cc65a535d3f165a64c363a778b182d8

현 측정 셋업에서 해당 제품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 전압.
(정확히는, 정상적인 출력을 낼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받을 수 있는 전압)


75eff400c0811c8723edf297439c70691581d241153358e53e4e847d60011eaa264606e1fe19967a5a8da0914855286ed6fda2

주파수별 통과된 시점에서의 THD%



09ee887fbd801df423e7f294419c706fd09c898e69f73ffc5bb006b4c8e244e3427543fa19c34c74154049d5842f2d0fc28375

출력별 THD%.
각 주파수들은 색상으로 구분.








SVS SB-2000pro


7beb827eb7f66085239af7e7329c706576ff4f928615cd63da2cee50e27e89db29c86c32bf750a835c59abf40b7d840f3126f3

79e48371b48b6df323e8f594329c7068239b235807227eac254786e5486a04ef30915a11abe7f2418a8d5dc350414a256ddcf0

789b8870c0826b8223ed80ed429c706aa540e150d85a8d576e87f3f7d21c1d3288e017df56bd3197556e25fcdabf94d54515e7

 동일 체급임에도 자사 하위라인인 sb1000 pro 보다 확실히 나아 보이는 퍼포먼스.


759ff305c08a60fe239e8ee2379c7065d5efd5478fb280426c318ed448128d8b0f9ded5562c41f2a6490414b42597d9f15fa79

7ce58777b3831cfe23e78fe5459c706484d61e21ddf3bd51a5c2b202c5a3e752547201ef6d5283fceb126a3cdabb280956f324

95dB SPL에서도 20Hz까지 마구 당기는 것만 아니면 괜찮겠다.





그룹딜레이

7bec8270c7801a8023ea8fe14f9c70187cbca35d494726b7f85b2f285c9c6b855b53e0bc94e1fe1fdc93264736b1c7aed7d270

DSP 내장 모델들은 어쩔 수 없나보다




스텝 리스폰스

759e8970b4801ef3239e8494459c701e9c086a7f455ac32bf6d5d9f57661dd2d7b6f4a9ceb7e2817229e3d3505290d0c9225b3

움직임이 안정화되는 시점이 피크 후 약 140ms로 1000pro 보다 미세하게 느려보이긴 한다.

두 제품간의 미세한 용적 차이도 한 몫 하려나.





ETC

7ee58300c18b6df523998697419c70199d897e34e46ba0114852cc94cd9f41279fcb416af6cc5c5804196535015883659109e5

-25.1dB로 제어가 상당히 느린 편.




IMD

7feaf407b2846af223e68f90469c701818666039c1ac846f7d9ead86493f6633e7e1232e89a6eee8cb02e6f1a420899d23f479





Peak value

7aecf300b1826af623e98ee5349c706926742b4dee9f3f5a6e4f2edbafc88cb2fe637e0b7abd454a16566aba6396066b3c6eef

7cebf202b7831cf223e882e3469c706f0c7e219520d82e550912fc46c8ec3568e06717559de4a93b3a2eadce5bb7bb2d0991cc

역시 SVS는 출력 하나는 짱짱한 편.
32Hz부터는 100dB 까지도 눈에 띄는 컴프레션 없이 쫙 쫙 올라간다.



759e8200bd816df7239984e7479c706986760a68d4a38fc7e6f0cb152b1f444769a1d853b650d1bb52466494ccb97b06f8edd016

78eaf674bd801afe239c80e1309c701cc5c11c82d30fc256d274e3cd2ab93226c0886e08dee28f928c522539c3fbbe047c5200

7aed8872c0861df323eb85e2359c706db12d0232d6fcdfa87bde0b44b1f9c2f5689dfce1bd762db8d256c3578fda2a8149a651

0c9c8702bcf76df023e7f2e1309c701e9f24bbcc7933734455faade167ad92e2e7302c93e36824057a655c49460172a8d4022f

7ee88777c3f01af223ee82e64e9c7018636b22e3f6efbd6486d40305121737323b7b346b4e405a7b9f6c771fa428512b047880









사진 최대 개수로 인하 2편에서 봅시다!

추천 비추천

38

고정닉 18

원본 첨부파일 43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337095 📈스피 느미 실크4 떴다 [3] ㅇㅇ(112.169) 23.10.29 245 3
337085 📈스피 정답은 ggntkt m3 [15] 306x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9 335 0
336901 📈스피 NEUMI Silk 4 (가격 중요) [14]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8 332 1
336867 📈스피 ATC SCM20SL MK2 측정 데이터 [25]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7 858 14
336190 📈스피 TRUTHEAR SHIO USB DAC 리뷰가 되다 만 것(을 되살림) [36] 신입(119.149) 23.10.23 931 12
335807 📈스피 모니터오디오 플래티넘 300 3G [7]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0 326 0
335627 📈스피 클립쉬 R-121SW [7] ㅇㅇ(118.217) 23.10.19 673 6
333998 📈스피 칼리 소형 서브우퍼 ws6.2 [10]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6 622 2
332177 📈스피 SB 어쿠스틱 사토리 TW29BNWG 테스트 [7]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306 0
332082 📈스피 Kc62 kf92 에린앞마당 측정 [12]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355 3
331481 📈스피 B&W 800 D3 [12]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4 507 0
330032 📈스피 MA813 측정 데이터 [34]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3 1180 16
329995 📈스피 EPOS ES14N [2]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2 196 1
327540 📈스피 Neumann KH120 II 측정 데이터 [62]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5 2373 25
325952 📈스피 Neumann KH120 A 측정 및 리뷰 [39]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4 1843 24
325793 📈스피 Drop BMR1 측정 및 리뷰 [11]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3 1012 16
325781 📈스피 BUCKEYEAMPS Hypex NCx500 2채널 앰프튀김을 알아보자 [19] 신입(119.149) 23.08.02 658 13
323546 📈스피 제네렉 8030C 편차 이야기 2 [13]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9 1304 12
323448 📈스피 제네렉 8030C 4대 편차 측정 [41]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8 1501 14
323035 📈스피 KEF Reference 2 meta 측정 및 리뷰 [30]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6 1662 26
321841 📈스피 오옹 마틴로건 측정이다!!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0 138 0
321738 📈스피 M-audio BX5 D3 측정 및 리뷰 [31]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9 2549 19
321391 📈스피 PSB Imagine X2T 측정 및 리뷰 [36]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1512 21
320625 📈스피 FiiO SP3 측정 및 리뷰 [39]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2 1484 15
318846 📈스피 b&w 705 s3 Stereophile [10]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1 601 0
318616 📈스피 Presonis Eris E3.5 측정 및 리뷰 [63]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19 6837 30
316784 📈스피 PSB Imagine C3 측정 및 리뷰 [13]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08 1034 14
313577 📈스피 Edifier MR4 재재측정 [36]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22 8096 40
313309 📈스피 JBL 305P MK2 측정 및 리뷰 [39]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20 3799 24
311407 📈스피 Cambridge audio Minx min12 측정 및 리뷰 [28]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11 1987 13
311064 📈스피 Infinity R162 측정 및 리뷰 [52]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9 1792 15
309769 📈스피 Cambridge audio Minx XL 측정 및 리뷰 [21]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3 2088 13
309629 📈스피 Genelec 8330A 측정 및 리뷰 [55]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2 2719 28
309164 📈스피 쏸칭 스파이크 측정 데이터 발표 [16] 김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30 832 13
308175 📈스피 Yamaha MX-A5000 멀티채널 파워앰프 측정리뷰 Ch3 to 6 [14] 신입(119.149) 23.04.24 207 6
308060 📈스피 Yamaha MX-A5000 멀티채널 파워앰프 측정리뷰 LCR편 [24] 신입(119.149) 23.04.24 732 17
307889 📈스피 A07 샘플 C 24 V 6.3 A 측정 [18] 신입(119.149) 23.04.23 245 6
307883 📈스피 A07 샘플 D 24 V 6.3 A 측정 [8] 신입(119.149) 23.04.23 166 2
306981 📈스피 M-Audio BX8 D3 측정 및 리뷰 [39]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8 2718 23
305382 📈스피 서브우퍼 측정 및 리뷰 5편 (완) [44]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2003 42
305381 📈스피 서브우퍼 측정 및 리뷰 4편 [15]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2244 19
305380 📈스피 서브우퍼 측정 및 리뷰 3편 [20]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2744 24
305379 📈스피 서브우퍼 측정 및 리뷰 2편 [6]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1402 24
📈스피 서브우퍼 측정 및 리뷰 1편 [19]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4456 38
304631 📈스피 저가 앰프 AIYIMA A07 샘플 D, C 측정 리뷰 [28] 신입(119.149) 23.04.08 1218 12
304473 📈스피 DIY 서브우퍼 측정 데이터 [16]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7 879 8
304232 📈스피 KEF R6 meta 측정 및 리뷰 [48]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3180 23
304017 📈스피 Elac AC-61 측정 및 리뷰 [33] Nuy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5 1145 29
301706 📈스피 저가형 앰프 3좀 비교 리뷰 [84] 신입(119.149) 23.03.29 2871 27
301155 📈스피 100dB?에서 고장난 트위터와 그냥 트위터의 차이 [9] ㅇㅇ(121.134) 23.03.26 23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