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택랜드 본토, 섬 공략

스갤러(220.93) 2024.08.07 02:57:23
조회 17603 추천 19 댓글 3
														

컴퓨터로 보는 걸 추천합니다.

24.07.28 게임 시작했어요. 쓰다보니 너무 길어져서 두 편으로 나눠서 적겠습니다.



먼저 옵션에서 언어 선택, 컨트롤 키 설정을 한다.

일시 정지, 카드를 격자로 스냅(정렬), 카드 판매 등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단축키가 있다.


a15714ab062fb35892342549565ddce868b1f80c4396de8f635bee79560f8141bb643143

(스택랜드 옵션에 컨트롤)


본인은 카드 판매 키만 백스페이스에서 R로 변경했다. 한 손으로 일시 정지, 배속, 정렬, 판매가 가능하다.

한 달 주기는 길수록 난이도가 쉬워진다. 이유는 음식과 같이 한 달이 끝날 때마다 소모되는 것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옵션에 저장 항목 선택에 여러 슬롯이 있지만 어떤 기능인지 모른다. 초기화 될까 건들지 못했다.



본토



*이제 막 시작한 뉴비의 경우 아이디어가 뜬 카드들을 한 번씩 만들어보는 것도 좋다. 카드의 설명을 유심히 읽다 보면 어느 카드가 현 상황에서 유용한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요리의 경우 만들어야 백과사전에 뜨게 된다.



*여행 카트에선 토양, 장비, 고서, 음식, 보물 상자, 열쇠, 벽돌, 판자 등 다양한 카드가 나온다.



*자원 생성 시 주변에 있는 동일 자원에 붙게 된다.



*보물 상자 또한 음식이 주로 나온다.



*몹 사냥, 보물 상자에서 가끔 나오는 고서는 해독할 시 얻지 않은 아이디어가 나온다. 후에 모든 아이디어를 얻게 되면 지도가 나오는데 이걸 주민에게 쥐여주면 탐험가가 돼 위치 카드를 탐험하는 데 효율적이게 된다.


a15714ab062fb358923425495699afedb03b7022dedc568c51a853acec6cfa6229ee8113f725

(반짝이는 개구리 인간)


가끔 반짝이는 카드가 나올 때가 있는데 기존 가치 다섯 배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웬만하면 파는 것이 이득이다.



*팔 수 없는 카드로도 나올 때가 있다.


a66d28aa222f76b660b8f68b12d21a1d0d6a5851e09b

(반짝)


주의할 점으로 반짝이는 카드를 자원 상자에 넣었다가 뺄 경우 반짝임이 사라진다.


초반을 쉽게 넘기는 방법은 벌목장, 채석장을 빠르게 올리고 가지 판매, 부싯돌 파밍 후 못 박힌 판자, 철광산을 만드는 것이다.


viewimage.php?id=3ea9d125eede39a86aac87&no=24b0d769e1d32ca73de981fa1bd625312be8fceefc78018db5c464a7d594bc7ba0cb7a477182c54f37a50cb27d0f8aba2d39f8c75cc938a69f502d77924974fcabe9fd718d97a8

(여러 직업)


스택 랜드에 재밌는 요소 중 한 가지는 도구에 따른 주민의 변화이다. 주민에게 못 박힌 판자를 쥐여주게 되면 건축가로 변하게 된다. 초반엔 건축할 카드가 많기 때문에 일시 정지 컨트롤을 하며 한 달을 빡빡하게 쓰고 싶다면 필수 요소다.



스크린 샷에 대한 설명

순서대로 탐험가, 광부, 전사, 민병대, 검사, 궁수, 닌자, 벌목꾼, 건축가, 주술사, 마법사, 낚시꾼이다.



기타 작업 중인 카드들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두면 남은 작업 시간이 뜨게 된다. 우측 상단 한 달도 마찬가지로 남은 시간을 알 수 있다. 작업 시간과 남은 시간을 비교해 우선순위 높은 작업을 찾아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헛간, 창고다. 약간 여유가 생긴다 싶으면 카드 제한이 한 달마다 플레이어를 괴롭히게 되는데 헛간과 창고는 제한을 늘려주는 카드로 남은 카드 수가 많지 않다면 미리 제작하는 것이 좋다. 초반엔 120까지는 제한을 넓혀놓는 것이 편하다.



*맵 크기 제한이 있다. 초반에 무리해서 맵을 넓힐 필요 없다.



*무기를 쥐여주면 민병대, 전사, 마법사, 닌자, 궁수 등이 돼 전투에 특화된다.



*장비 중 ‘완드’를 쥐여주면 주술사가 된다.



다음으로 제작할 카드들은 곡괭이, 도끼, 제련소, 대장간, 수리검이다. 몹이 드랍한 장비들로 마녀, 악마까지 쉽게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스택 랜드에서 효율이 좋은 건 공격 속도, 타격 기회, 최대 체력 등이기 때문에 후반으로 가면 제작, 파밍 할 장비가 정해져 있다.



*제련소는 철광석, 금광석, 모래 + 목재 / 유리와 금괴로 돌아간다.



종결 장비는 해적 모자, 악마 검, 수리검, 마법의 빗자루, 불 망토이다.



*마녀는 한 번만 잡을 수 있지만 악마, 크라켄, 악마 군주는 계속 소환이 가능하다. 주로 악마 소환을 통한 장비 파밍이 일반적이다.



초반에 맞출 수 있다면 좋은 장비는 숲 부적, 수리검, 가죽 튜닉(or 황금갑옷)으로 어둠의 숲 마녀사냥 또는 초중반 악마를 잡을 때까지 사용한다. 해골 헬멧, 개구리 헬멧, 철 방패, 화살통 등도 좋다. 악마 검을 얻기 전 장비는 웬만하면 수리검 고정으로 대장간에서 철괴 3개로 만들면 된다.



*몹 중에 뱀은 주민에게 중독을 일으키는데 목재를 모닥불 또는 스토브에 올려 목탄으로 만들고 주민에게 주면 해독제 역할을 한다.



*중간중간에 백과사전을 확인하여 몹이 떨구는 장비를 다 먹었는지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시장은 초반 카드 팩을 살 코인이 부족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먹을 것에 대한 고민도 해봐야 하는데 초반을 무난히 넘기고 싶다면 약간의 노가다가 필요하다. 과일샐러드를 열심히 만들고 토양 파밍 후 당근 꿀꿀이죽으로 넘길 수도 있다. 토양 대신 가축우리 제작 후 닭 파밍, 모닥불 혹은 스토브에 오믈렛 꿀꿀이죽으로 넘기는 방법도 있다.



*토끼가 싸는 똥에 사과를 올려놓으면 사과 나무가 된다. 일회용 토양 정도로 쓸 수 있지만 느리다.



중요한 점은 과유불급으로 항상 너무 많은 카드가 맵을 덮어버리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주민이 많지도 않은데 굳이 요리를 많이 할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주민은 한 달에 두 개의 음식을 먹고 체력 6을 회복한다.



*개는 한 달에 한 개의 음식을 먹고 체력 3을 회복한다.



방목해서 키우는 것과 가축우리에서 키우는 것 중 어느 쪽의 생산 속도가 빠른지 알고 있는가? 초반 똥을 싸는 토끼를 생각하면 빠르게 알 수 있다. 비교할 수 없다가 정답이다. 생산은 중립 몹인 동물들이 하는 것이라 어디에 있는 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닭과 소 모두 90초마다 계란과 우유를 생산한다.



이는 완벽한 프리타타 자동화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으로 새 작물을 심어주는 온실에서 감자의 생산 속도는 60초로 닭들을 새로 뽑아 생산 속도를 동시로 맞춰도 작물과 맞추기란 쉽지 않다. 온실과 동물의 수를 늘려 얼추 자동화가 완성될 수 있지만 그 수 또한 조절해야 한다.



*당근은 온실에서 재배하는 데 90초가 걸린다.



*프리타타, 스튜, 해산물 스튜 요리를 먹으면 주민들은 좋은 영양 상태를 띄게 된다. 이는 한 달 동안 작업 속도가 오르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별로 중요하지 않아 꿀꿀이죽을 먹는 사람도 많다.


a04934ad231eb5458e323555565ddacdefebbb2a27f91e2f322be8e8aeda4983b55566eb44c4d0aeb4ecac0930e2

(프리타타 자동화)


주민이 꽤 많기 때문에 식당을 두 줄 놓은 모습이다. 크레인의 특성 때문에 한 줄이 꽉 차면 그 다음 줄로 넘어간다. 주민이 많이 없다면 식당 대신 쓰레기통을 둬 정리를 해주는 것이 좋다. 제일 중요한 것은 넘치지 않을 정도로 요리하는 것이다. 필자는 맵 꾸미는 것을 좋아해서 프리타타를 넣었지만 당근 꿀꿀이죽이 쉽고 공간도 적게 차지한다.



*섬을 오갈 때 한 달이 끝날 때와 같이 한 번 식사를 하게 된다. 때문에 많은 주민을 거느리고 있다면 섬을 오가는데 필요한 음식 여분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으로 오믈렛 자원 자석도 만들어야 한다.



중반엔 토양을 정원, 농장으로 업그레이드, 중후반(섬 이후)엔 온실로 당근 재배, 오믈렛은 프리타타 정도로 변경하면 좋다.



플레이하다 보면 몹을 잡아 마법의 가루를 얻게 되고 크레인을 통한 자동화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중후반에 시도하면 좋다. 크레인 하나로는 의미가 없고 자원 자석, 마법의 접착제를 함께 사용해야 되기 때문이다.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어둠의 숲을 통한 마법의 가루 파밍이 가능해진다.



*몹 중 늑대에게 뼈를 주게 되면 개로 변하게 된다.



*몹 역시 착용하고 있는 장비를 확인할 수 있다. 드랍 장비 역시 착용하고 있는 장비에 따라 다르다.



*어둠의 숲에서 전멸하지 않으면 죽은 주민들의 장비를 갖고 돌아올 수 있다. 전멸해도 본토에 주민이 남아있다면 장비를 잃고 돌아오게 된다. 포탈이 열렸을 때 인원 조절, 싸울 여건이 안 된다면 잉여 주민을 보내는 것도 전략이다.



자원 자동화는 몰라도 요리 자동화는 무척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 달에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줄어들게 되면 여유롭게 플레이 할 수 있다.



*가축우리에 마법의 가루 두 개를 더해 사육장을 만들고 동물 두 마리를 넣으면 한 마리를 낳게 된다. 소 사육하기 퀘스트를 깰 수 있다. 카드깡으로 원하는 동물이 많이 안 나온다면, 시도해 볼 만 하다.


a66e08ab0312782a904f5a4ee691a8c30cba8613c72d5a6fd43fd8072488956456c4dc8755af3766

(크레인 활용 방법)


*카드 정렬 단축키를 달고 사는 입장에서 가로 기준 마법의 접착제로 크레인의 위치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자원 자석에 한 가지 자원을 붙여놓으면 그 자원이 생성될 때마다 자석에 붙게 된다.



*자원 상자의 경우 한 가지 자원만 넣을 수 있다.



각 벌목장 아래 목재 자석이 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생성된 자원은 가까운 자석에 붙게 돼 동일한 자원 자석이라도 거리 조절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소원의 우물은 코인을 버리는 쓰레기통이다.


a14320aa1e22782a904f5a51eb91a8e078eef951fc04db585fde323d9b16fe9cc46e5dd2ff162ae0d96a8423

(자원 자석, 카드 판매 단축키 사용)


*코인을 자원 자석에 붙이고 카드를 팔면 코인이 붙게 만들고 상자로 옮기는 행위로 단축키 활용, 자원 자석 활용으로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



*자원 자석은 크레인이 끌어당기지 않아 옮기는 것을 원하는 자원을 자원 자석에 묻혀두면 자원만 옮길 수 있게 된다.



*크레인은 시장, 식당, 꿀꿀이죽, 쓰레기통, 스토브, 물고기 덫, 도살장, 자원 상자 등으로도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가끔 포탈이 열려 몹이 나오게 되는데 몹이 카드를 헤집는 것이 맘에 들지 않는다면 빠르게 성장해 마법의 접착제로 다 붙이고 포탈로 들어가 한 웨이브만 끝내고 나오면 된다.



*다른 카드들은 서른 장이 쌓이면 더 올릴 수 없지만 코인 상자의 경우 서른 장을 초과해 쌓을 수 있다.



위치 카드(보라색 카드)의 경우 주민을 올려두면 탐험을 돌 수 있는 카드이다. 악마, 악마 군주의 소환은 모두 탐험을 통해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지하 묘지이다. 지하 묘지에선 악마 소환에 필요한 황금 술잔이 나온다.


a15714ab062fb35892342549565cddf44fd8f9160a535d65c2e729e946abda8cd6bc6244c05409292f8e

(황금 술잔 파밍)


먼저 산 또는 기타 위치 카드 탐험으로 지하 묘지를 얻는다. 다음은 지하 묘지 탐험으로 황금 술잔 파밍을 한다. 사원에 황금 술잔을 올려 의식을 치루면 악마가 소환된다.



*지하 묘지에선 네 번째에 확정으로 황금 술잔이 나온다.



악마 군주의 경우 악마를 잡은 뒤 노를 젓는 배 아이디어를 얻게 되고 섬에 가 탐험을 해야 한다.



*위치 카드별로 얻을 수 있는 카드들이 정해져 있다. 때문에 확인을 충분히 한 뒤 탐험을 돌리는 것이 옳다.



*개는 주민보다 체력이 낮지만 공격 속도가 빠르고 아군 해적은 기절 패시브를 갖고 있는 등 전투에 특화된 특성이 있다. 하지만 개는 작업 속도가 느리고 아군 해적의 경우 도구를 통한 직업 변화가 불가하다. 장단점을 비교한 뒤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a15714ab062fb35892342549565dd1d8cab740989a9df0329f05841eb2e32a21e5537c16ad66eaee750a

(장비를 얻기 위한 사냥)



*악마 드랍 장비: 악마 검, 불 망토



*악마 군주 드랍 장비: 뿔 달린 헬멧, 불 망토



*원하는 카드를 얻자마자 위치 카드는 팔아주면 된다.



*뿔 달린 헬멧에 붙은 출혈 옵션보다 해적 모자의 기절 옵션 또는 해골 헬멧의 피흡 옵션이 좋다는 게 정설이기 때문에 대부분 하나만 얻고 악마로 장비 파밍을 하게 된다.







노로 젓는 배 제작 이후 섬을 방문하게 되면 처음부터 시작이라는 막막함이 있을 수 있지만 이미 노하우가 생긴 플레이어들은 별생각 없이 카드깡을 시작할 수 있다. 원숭이는 바나나로 한 달 동안 부려 먹을 수 있다. 초반 카드깡으로 주민을 얻어 집으로 인원을 늘리기 전까지 유용한 일꾼으로 사용한다.



*노로 젓는 배를 판매 후 카드깡으로 빠른 성장을 하고 범선, 호위함 등 상위 기술로 넘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게다. 잡으면 엄마 게가 스폰될 수 있는데 초반에 템을 갖추지 않고 잡기 힘들기 때문에 도살장을 통해 게를 없애는 것 또한 방법이다.



*퀘스트 중 게딱지 방어구 입히기가 있는데 엄마 게의 드랍 장비이다.



*사암의 경우 석재의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다. 카드 설명을 잘 읽어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a1591c666e26e02cb66f963fc931aee2c62416d4cdb5a983111a3c45856bd637e0190db28c79b946f6a09aaed204351cb9b0

(딸기 꿀꿀이죽 자동화)


좌측 앵무새 뒤에 있는 것은 쓰레기통이다. 아군 해적이 죽었을 때 새로 만들기 위해 여분의 앵무새를 키운다.



크레인 특성 간단 정리 (클릭을 통한 몇 가지 방향 설정 가능)

1. 자원 자석은 붙어있는 자원만 당겨서 내보낸다.

2. 자원을 내보내다가 거리가 닿지 않으면 기존에 정해진 방향 또는 가까이 있는 카드로 자원을 내보낸다.

3. 당기고 내보내는 기준은 상당히 유동적이다.

4. 자원은 하나, 크레인은 두 개 이상일 때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크레인의 라인으로 당겨진다.



위 스크린 샷을 보면 튕겨져 나온 딸기를 크레인이 당기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꿀꿀이죽이 다 차서 딸기를 뱉으면 밑에 있는 크레인이 그 딸기를 당긴다. 후에 좌측 앵무새 뒤에 가려진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



*가축우리와 앵무새를 온실과 당근으로 변경한다면 당근 꿀꿀이죽이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식이 상하기 때문에 억지로 여유분을 만들 필요는 없다. 바나나, 라임, 앵무새가 떨구는 딸기 또는 물고기를 잡아 생물고기를 구워 먹어 초반을 넘기게 되면 온실을 통한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하다.



*가끔 몹을 잡으면 주는 끈적거리는 덩어리는 음식이 상하게 되면 또 볼 수 있다.



*꿀꿀이죽에 상하기 직전의 음식을 넣어도 주민은 아무것도 모르고 먹는다.



*물고기 덫에 생고기를 넣으면 상어가 나온다. 운 안 좋게 출혈 걸리면 피 관리가 힘들 수 있다.



*등대 역시 맵을 넓히는 데 한계가 있다. 무리해서 넓힐 필요는 없다.



일정 수준에 오른다면 본토와 섬을 오가며 모래 채석장, 금 광산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섬에선 해적 모자 파밍, 위에서 말한 동굴 탐험을 주로 하게 되기 때문에 본토와 비슷한 수준의 요리 자동화해 놓는 것이 정석이다.



정원: 식량 재배를 위한 단순한 건물

농장: 식량 재배를 위한 고급 건물



정원의 감자 재배 시간은 90초, 농장과 온실의 감자 재배 시간은 60초로 30초의 차이가 난다. 물론 초기 비용은 농장과 온실이 더 많이 들지만 한 달만 살고 끝낼 것은 아니기 때문에 되도록 상위 기술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온실은 자동으로 새 작물을 심어줘서 편하다.



*쉬프트 키를 누르면 쌓인 카드 중간을 눌러도 전체가 잡힌다. 또한 자원 상자도 쉬프트 키를 누른 채 클릭하면 자원이 다섯 개씩 나온다.



*참치를 때려잡으면 생물고기 세 개를 주지만 도살장에 넣으면 생물고기가 하나밖에 나오지 않는다. 도살장은 리스크 없이 동물을 잡을 수 있는 데만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a04804aa2533b442aeff5a68e25dd9e56617bd7bae1f34da7b37fac068f8c008

(해적선의 코인 요구)


해적선은 조개껍데기가 아닌 코인을 주면 돌려보낼 수 있다. 코인을 주지 않으면 해적이 나온다. 해적 모자를 파밍하는 입장에서 이득이다.



*몹 중 해적에게 앵무새를 주면 아군 해적으로 변하게 된다.



*감자 당을 심어 기르게 되면 사탕수수가 나온다. 가지, 솜과 해초 또한 재배가 가능하다.



이어서 악마 군주의 소환 방법은 섬 상위 카드 팩에서 동굴 위치 카드를 뽑는다. 동굴 탐험을 통해 비밀 지도 획득하고 주민을 통해 해독하면 성스러운 상자를 얻게 된다.



*동굴도 네 번째 탐험에 보물 지도가 확정적으로 나온다. 보물을 찾는 과정은 탐험가보다 건축가가 훨씬 빠르다.



제련소에 유리 세 개와 금괴 세 개를 넣어 성스러운 열쇠를 제작 후 상자를 열면 섬의 유물이 나온다. 또한 촉수가 등장하게 되는데 섬의 유물을 빼앗긴 크라켄의 촉수이다.



*마법의 접착제를 통해 카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다.



만약 악마 군주를 통한 장비 파밍을 하고 싶다면 성스러운 상자와 열쇠를 여러개 준비해서 한 번에 여는 것이 좋다. 촉수를 다 잡지 않으면 크라켄 소환이 되지 않는다. 이는 한 번에 여러 상자를 열어 촉수를 소환하면 크라켄은 한 번만 잡아도 된다는 것이다.



건축물 카드를 제외한 카드들을 호위함으로 옮겨가며 섬도 자원, 요리 자동화하게 되는데 보통 당근 꿀꿀이죽을 애용한다.


a1400caa2527b55392ff5a5dee5de0dd21e0b3f44b1ded76418e68ecaeb099ad86568c35dd99c29fecb7c5

(일정 수준)


본토든 섬이든 요리 자동화를 대충 끝냈다면 장비 파밍에 신경 쓰면 되는데 말한 일정 수준은 안정적인 포탈로 어둠의 숲에 갈 수 있는 일곱 주민의 장비를 맞추는 것이다.



*물론 자원의 경우 완벽한 자동화는 없다. 카드가 무한정으로 쌓여선 안 되기 때문에 주민들을 수동으로 넣고 빼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최소한의 움직임을 위해 장비를 쥐어준 주민이 아닌 개나 아군 해적, 고양이로 자원 생산 속도를 조정하는 사람도 있다.



개와 아군 해적으로 여섯 명, 힐러 한 명 이런 식으로 파티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의 장비는 해적 모자, 악마 검, 불 망토로 고정하고 아군 해적의 장비는 해적 모자, 수리검, 불 망토로 고정한다. 힐러의 경우 개나 아군 해적에 해골 헬멧, 마법의 빗자루, 불 망토를 끼게 된다.



본인은 악마 검 개 여섯 마리와 마법의 빗자루를 든 아군 해적 하나로 어둠의 숲 파밍을 한다. 위 스크린 샷에 있는 아군 해적들은 모두 수리검을 착용하고 있고 보스전 때 기절을 걸기 위해 기용한다.



*보스전의 경우 수리검을 착용한 아군 해적을 기용해 기절시켜 잡는 게 일반적이다.



*근접<원거리<마법<근접 순으로 상성이 이어진다. 몹 역시 상단에 근접, 원거리, 마법 그림으로 특성을 알 수 있다.



마법의 가루 파밍이 안정적으로 되면 필요한 카드들에 마법의 접착제를 붙이는 등의 작업을 한다.



*현 물고기 덫은 마법의 접착제를 붙이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버그가 있다. 본인은 그냥 마법의 접착제 없이 사용 중이다.



*카드 정렬 시 자리가 부족한 경우 카드가 겹쳐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a1591c666902e02ab747963fc931aee291d6414ff206638053797e92be1c3c6e95a9979ee19c59c4ef4fe3ae285d7adbf7e2

(참치 꿀꿀이죽 자동화)



곧 폐기할 예정인 참치 도살장이다. 도살장 자체가 효율적이지 못하고 사양이 낮은 노트북으로 플레이 하다보면 자원이 동시에 넘어가지 않고 한 라인으로만 넘어가기 때문에 자주 손 봐줘야 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요리 자동화가 망가졌을 땐 온실, 물고기 덫 등의 건축물 카드에서 자원 자석으로 동시에 넘어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자원 자석에 여러 장의 카드가 있어야만 크레인은 다른 라인에도 자원을 뿌리기 때문이다.


a66e08ab0312782abb435a5ed65cddc9a81f444e30e3ea9b7a01b8ba04549b433ce6ef

(24.08.10 본토)


a15714ab062fb35892342549565dc0f1e33e2800118cec8c3f3882d922283475ee

(24.08.08 섬)


스택랜드를 하며 주의할 점은 현타가 오지 않게 하는 것이다. 마녀, 악마, 악마군주를 잡는 과정은 그리 길지 않다. 물론 벌목장, 채석장, 철광산과 같은 아이디어가 나왔을 때 제대로 읽어보지 않은 뉴비는 한참 같은 과정만 반복할 수 있겠지만 그 뒤로 나아가며 지루한 부분을 덜 느끼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자동화는 필수이다.



또한 정리를 해야 한다. 보드에 온갖 카드가 쌓여 한 달마다 처리하는 상황은 꽤나 자주 겪을 수 있다. 보드의 크기는 제한 돼 있기 때문에 무작정 창고를 만드는 것보다 쓸모 없는 카드는 파는 것이 상책이다. 또 찾아야 할 카드가 어디 있는지 모르는 상황에 빠진다면 화가 나는 상황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탐험, 보스, 포탈 등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여유 공간은 필수이다. 포탈에 한 번 들어갔다 나오면 드랍된 카드만 정리하는 데도 공간이 필요하다. 보드가 어지럽다면 치워야 한다는 압박에 질려버릴 수 있다.



스택랜드를 즐기려면 자동화를 구축하는 동시에 쓸모 없는 카드를 처분하는 판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둠의 숲




마녀가 등장하는 어둠의 숲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볼 예정이다.

위에서 설명한대로 상성은 근접<원거리<마법<근접 순으로 이어지게 된다.



*공격속도 상승으로 공격주기가 짧아진다. 최대 4까지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버프 중 광란 효과는 공격속도를 1 올려주는데 4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않는다.



*타격기회 상승으로 명중률이 올라간다. 최대 3까지 올릴 수 있다.



*스택랜드 대부분의 보스는 근접으로 원거리 장비인 수리검을 통해 잡는 것이 좋다.



상성이 우위인 경우 데미지가 1.5배 더 들어가게 된다. 맞는 건 똑같이 맞는다.



*몹도 상성이 있다.


a67709666838e12a8a6e963ec625afdd34d7fb38345579456a1570069f8e7be4f041

(장비에 따른 변화)


주민은 장비에 따라 특성이 바뀌게 된다. 몹 역시 마찬가지다.

우측에 있는 오우거 두 마리를 보면 근접, 원거리가 보인다. 한 마리는 철퇴, 다른 한 마리는 부메랑을 착용하고 있다.



어둠의 숲의 경우 위와 같이 일시 정지를 이용해 시작하기 전 배치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화살표 위에 '아주 효과적임'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별로 의미는 없다. 이유는 어차피 몹에게 맞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위의 스크린 샷의 경우 운이 좋은 것이고 몹의 특성이 굉장히 다양하게 나온다. 조합을 어떻게 들고 가도 항상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도 없다. 몹도 근접한 주민들을 때리고 스턴을 걸고 모두에게 치명타를 때려 피관리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체력이 낮은 주민들은 끝으로 빼도 몹이 죽으며 배치가 바뀌고 상성 역시 매번 맞출 수 없다.



결과적으로 맞기 전에 죽여야 오래 살 수 있는 구조이다. 운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운이 좋다면 몇 십 웨이브를 갈 수 있다. 조합을 어떻게 들고 가든 모두에게 치명타, 피흡이 얼마나 잘 뜨는지가 중요하다.


a14b04ad1412b45b96ff5a5dc491a9d1a6c5c468bf500790965073a749d40ade05a9f13cc2

(어둠의 숲 파밍)


해적 모자, 악마 검, 불 망토를 착용한 개 일곱 마리로 돌려 얻은 카드이다. 다 팔아서 500코인 정도가 나왔다. 힐러 없이도 꽤 오래 버틸 수 있어 무조건 힐러를 넣을 필요는 없다.

추천 비추천

19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새로운 워터밤 여신으로 자리잡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5/19 - -
415 dlc 2000 질문 스갤러(112.155) 05.20 10 0
414 뉴비 질문이 있습니다 [2] 스갤러(124.59) 05.13 65 0
413 왜 막사 10개씩 만들어도 집이 없다고 하냐 공격헬기헬기야 [2] 영등포구만두킬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3 60 0
412 이거맞나요? [1] 스갤러(14.52) 05.13 40 0
411 DLC 다 깬 기념으로 내가 쓰던 자동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176 0
410 이거 뉴비때 너무 힘든데 [1] 스갤러(116.37) 05.10 110 0
409 그린 에너지는 뭐임 [2] 스갤러(58.123) 05.03 76 0
408 스택랜드 질문 스갤러(1.251) 04.30 56 0
407 자원상자 <- 이거 어디서 먹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89 0
406 이거 상자 꽉차면 판매하거나 해주는 모드있음 ?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64 0
405 이거 2000 맵이동 조건이 뭐임 ? [2] 스갤러(39.126) 04.25 131 0
404 이상한 포탈 위치 고정 못시킴 ?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05 1
402 뉴빈데 대성당열면 뭐 나오나요 [2] 스갤러(14.41) 04.23 82 0
401 DLC 2000 병사들 집은 뭐로 만들어 줘야해? [1] 스갤러(211.203) 04.22 109 0
400 스택랜드2000에서 복귀할때 뭐뭐가져가면 됨? [2] ㅇㅇ(58.141) 04.06 187 0
399 우라늄 +우라늄 = 양자 물질? [1] 스갤러(39.116) 04.05 128 0
398 뉴비 조언좀 [4] 초면입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31 0
397 정리 개편한 모드 추천 [1] 스갤러(112.148) 04.03 215 0
396 뉴비 음식 질문 [1] 스갤러(14.52) 04.03 67 0
395 공상 부품 조립 중 이거 어캐 깨냐 [1] 스갤러(59.0) 03.31 98 0
394 2000 하다가 갑자기 집 없다면서 순식간에 망했다.... [2] 게랄디(203.56) 03.30 203 0
393 다들 밥 어떻게 해결하나요? [2] 스갤러(112.150) 03.29 195 0
391 본토 금괴까지 자동화 했다. DD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168 0
390 뉴비 2회차인데 [1] 스갤러(122.202) 03.22 176 0
389 세일하길래 살까 하는데 [1] 스갤러(211.46) 03.21 101 0
387 스틱랜드 2000에서 헛간역할하는게 뭔가요 [2] 스갤러(220.75) 03.18 200 0
386 자동화 성공하고 나니까 한가해져서 보스 다잡음 [1] 00(1.230) 03.10 194 1
385 dlc 2000 소문 하나 비는데 어떻게 찾음? [1] 스갤러(112.155) 03.09 186 0
384 본토 84달된 뉴비인데 리트마려움. [3] 00(1.230) 03.09 205 0
383 본편보다 산업혁명이 더 재밌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251 0
382 스포주의) 2000깼는데 질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252 0
381 ㅈㄴ 피폐해지는 게임이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314 1
380 빈 공간 뭘로 채울까 추천받음 스갤러(115.22) 03.01 128 0
379 섬에서 물고기 덫보다 온실이 좋은 것 같은데 [2] 스갤러(211.234) 02.26 143 0
378 어제사서 막 해봤는데 개재밌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5 128 0
377 ??개도 학교 보내졌었네? [2] 스갤러(121.188) 02.14 382 0
376 스팀에서 dlc 번들 할인하던데 dlc 어떰? [3] 스갤러(211.108) 01.31 282 0
374 땅 최대로 넓히는 등대 갯수 아시는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260 0
373 dlc 2000쪽에 장난감 어떻게 얻음? [4] 스갤러(175.113) 01.27 185 0
372 아니 뉴비 큰일낫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269 0
371 금 어디서 구하나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155 0
370 이거 사서 하면되는거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314 0
369 사원 까면 왜 최종보스가 나ㅗㅇ는거냐 [2] 스갤러(125.139) 01.19 268 0
367 삭제했다 스갤러(121.169) 01.10 213 0
366 자동화 끝나간다 [2] 스갤러(183.99) 01.10 534 0
365 언제나 꿀잼랜드 스갤러(183.99) 01.09 145 0
364 이거 모바일판은 없나요.. 스갤러(211.234) 01.08 112 0
362 2000 백과사전 제작 두개 알려주실 현자님을 찾습니다... [6] 스갤러(14.51) 24.12.30 357 0
361 새팩/팩토리오 공장겜유저인데... 이게임 너무 하고하지않아졌어... [4] 스갤러(118.220) 24.12.30 391 0
360 2000 엔딩 어케함 [1] 스갤러(58.233) 24.12.30 287 0
뉴스 쇼피코리아 ‘2025 K뷰티 써밋’ 개최… K뷰티 동남아 진출 전략 제시 디시트렌드 05.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