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특이점 입문 1편

미래가온다(175.223) 2020.03.01 01:18:14
조회 3140 추천 33 댓글 5
														

우리는 지금 격변의 변두리에 서있다. 이런 격변은 인류의 출현과 맞먹을 만큼 의미가 중대하다. — Vernor Vinge

당신이 여기 서있다면 무슨 느낌 이겠는가?

00

짜릿한 느낌이겠지? 하지만 기억해둬, 당신이 정말 시간 차트위에 서 있을 때 그래프의 오른편을 볼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당신은 미래를 볼 수 없으니까. 즉 당신의 진정한 느낌은 아마 이럴 것이다:

01

평범하고 시시하다.

요원한 미래는 바로 코앞에 있다.

타임머신 타고 1750 년의 지구로 돌아간다고 생각해봐라. 그 시대에는 전기도 없도 원거리 통신이란 외치는 것과 봉화를 태우는 것 밖에 없고, 교통수단이라 할만한 것은 짐승의 힘을 이용하여 끄는 것 뿐이었다. 당신이 그 시대에서 철수란 사람을 초대하여 2020 년으로 놀러 와서 “미래”구경 좀 시킨다고 가정하자. 우리는 아마도 1750 년에서 온 철수의 멘탈충격을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 금속뚜껑들이 넓은 도로에서 질주하고 태평양 건너편의 사람과 채팅을 하고, 수천킬로 밖에서 진행되고있는 체육경기를 감상하며 반세기 전에 열린 콘서트를 감상할 수 있으며 주머니에서 검은색 장방형 모양의 물건을 꺼내서 눈앞에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기록하고, 지도를 생성하여 하나의 파란 점이 당신이 있는 위치를 알려주고, 지구 반대편의 사람의 얼굴을 바라보며 채팅을 하고, … 기타등등 모든 과학기술의 흑마법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철수에게 인터넷이 무엇이고 국제 우주 정거장(ISS)이 무엇이며 대형 강입자 충돌기가 무엇이며 핵무기가 무엇이며 상대성이론이 무엇인지를 설명해주기 전에 말이다.

이때 철수는 무슨 느낌일까? 경악, 쇼크? 이런 단어들은 터무니없이 부족하다. 그는 아마도 놀라 쓰러질 것이다.

하지만 철수가 1750 년으로 돌아가서 놀라 쓰러지는게 부끄러운 일이어서 다른 사람도 당해봐라는 생각이 들어 다른 사람을 놀라게 하고 싶다고 하자. 이러면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하여 철수는 250 년 전의 1500 년으로 돌아가서 1500 년에 사는 바둑이를 초대해서 1750 년 투어를 시켜준다. 바둑이는 아마 250 년 후의 많은 사물들에 깜놀하겠지만 놀라서 쓰러지지는 않을 것이다. 같은 250 년이란 시간인데 1750 년과 2015 년의 차이는 1500 년과 1750 년의 차이보다 훨씬 훨씬 크다. 1500 년의 바둑이는 많은 물리학 지식을 배울 수 있고 유럽 제국주의 투어에 신기해할 수 있겠고 심지어 세계 지도에 대한 인지도 크게 바뀌겠지만 1750 년의 교통, 통신 등을 보고 놀라서 쓰러지지는 않을 것이다.

즉 1750 년의 철수에게 있어서 다른 사람을 놀라 쓰러지게 할려면 더욱 먼 고대로 돌아가야 한다 — 예를 들어서 기원전 1,2000 년, 제1차 농업혁명 전에. 그 시대에는 아직 도시도 없고 문명도 없었다. 수렵채집 시대의 인류이고 당시 많은 종들 중의 한 종일 뿐이였다. 그 시대에 사는 영희는 1750 년의 방대한 인류제국을 보고 바다에 떠있는 거대한 함선을 보고 “실내” 에 거주하는 것을 보고 수많은 소장품들을 보고 신기한 지식들과 발견들을 보면 — 영희는 아마도 놀라서 쓰러질 것이다.

영희도 놀라 쓰러진 후 같은 짓을 하고 싶다면은? 그는 아마도 기원전 24,000 년으로 돌아가서 그 시대의 짱구에게 기원전 1,2000 년의 삶의 모습을 구경시켜줄 것이다. 그러면 짱구는 이건 밥먹고 할일 없는 짓 아닌가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 “이건 내가 사는 시대랑 거기서 거기 아니냐, ㅇㅇ”. 영희가 다른 사람을 놀라서 쓰러지게 할려면 십만년 전이나 더 멀게 가야 할 것이다. 거기로 가서 인류의 불과 언어에 대한 장악으로 상대방을 놀라서 쓰러지게 해야 할 것이다.

즉 어떤 사람이 미래로 가서 “놀라 쓰러지게” 할려면 하나의 “놀라 쓰러지는 단위” (Die Progress Unit, DPU) 가 필요하다. 이하 “놀쓰단”이라고 약칭하겠다. “놀쓰단”의 시간 간격은 일치하지 않다. 수렵채집 시대에 하나의 놀쓰단은 십만년을 넘는다. 하지만 산업혁명이후 하나의 놀쓰단은 200 여년이면 충분하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Ray Kurzweil) 은 인류의 이런 가속발전을 수확 가속의 법칙 (Law of Accelerating Returns) 이라고 부른다. 이런 법칙이 발생하게 된데는 보다 발달된 사회는 지속 발전의 능력이 더욱 강하기에 더욱 빠르게 발전한다는 것이다 — 발전능력이 강하다는 것 자체가 사실 더욱 “발달되었다” 의 한가지 지표요구중 하나이기도 하다. 19 세기 사람들은 15 세기 사람들보다 아는게 훨씬 훨씬 많으니까 19 세기 사람들은 15 세기 사람들보다 발전이 빠를 수 밖에 없다.

보다 짧은 시간 단위를 놓고 보더라도 이 법칙은 여전히 성립된다. 유명한 영화 <빽 투 더 퓨쳐> (Back To The Future, 1985) 에서 1985 년에 사는 주인공이 1955 년으로 돌아갔는데 그는 TV 가 출현했을 때 사람들의 신기함, 탄산음료의 싼 가격, 전기기타를 좋아하는 사람이 적은 사실과 속어(俗語, slang)들의 차이들로 놀람을 금치 못한다.

하지만 만약 이 영화가 2015 년에 일어났다면 30 년 전으로 돌아간다면 주인공이 느낄 놀람은 이것보다 훨씬 클 것이다. 2000 년 전후에 태어난 사람이 PC 도 없고 인터넷도 없고 휴대폰도 없는 1985 년으로 돌아간다면 1985 년에서 1955 년으로 돌아간 주인공보다 더욱 많은 차이에 더욱 많이 놀랄 것이다.

이것 역시 수확 가속의 법칙 때문이다. 1985 년 – 2015 년의 평균 발전 속도는 1955 년 – 1985 년의 평균 발전 속도보다 빨랐다. 왜냐하면 1985 년의 세계는 1955 년보다 더욱 선진적이였고 출발점이 더 높았기 때문에 지난 30 년의 발전은 30년 전의 지난 30년보다 발전이 빨랐던 것이다.

진보가 지속적으로 빨라지고 있다면 우리의 미래가 아주 기대해볼만 한 것 아니겠는가?

미래학자 커즈와일은 지난 20 세기의 100 년 발전은 2000 년 시각의 발전속도로는 20년이면 다 발전해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 2000 년의 발전 속도는 20 세기 평균 발전 속도의 5 배이다. 그는 또 2000 년부터 시작하여 14 년이면 지난 20 세기 백년동안의 발전한 만큼을 달성할 수 있고 2014 년 후에는 7년이면 (2021년) 20 세기 100 년 발전량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한다. 수십년 후이면 우리는 해마다 “20세기 전체 발전”만큼의 몇배를 발전할 수 있다고 한다. 계속 뒤로는 아마 몇개월이면 한번 달성할 수 있을지 모른다. 수확 가속의 법칙에 의하여 커즈와일 은 인류의 21 세기의 발전은 20 세기의 1000 배가 될 것이라고 한다.

만약 커즈와일 등 학자들의 생각이 맞다면 2030 년의 세계는 아마도 우리를 놀라 쓰러지게 할 것이다 — 다음 “놀쓰단”은 아마 십여년정도밖에 안될 것이다. 그럴뿐만 아니라 2050 년의 세계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달라질 것이다.

02

당신은 아마도 2050 년의 세계가 상상도 못할 만큼 달라질 수 있다는 말이 아주 우스울지 모른다. 하지만 이건 SF 가 아니라 당신이나 필자보다 훨씬 똑똑한 과학자들이 믿고 있는 바이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봤을 때와 논리적으로 봤을 때 예상 가능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왜 “2050 년의 세계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달라질 것이다” 라는 말이 이렇게 우습게 느껴지는 것일까? 여기에는 세가지 원인이 당신의 미래에 대한 예측을 빗나가게 하고 있는 것이다:

1. 우리의 역사에 대한 사고방식은 선형적이다.

우리가 앞으로의 35 년의 변화를 사고할 때 우리가 참조하는것은 과거 35 년동안 발생한 일이다. 마치 우리가 21 세기에 일어날 변화들을 예상할 때 20 세기의 변화를 참조하는 것처럼. 마치 1750 년의 철수가 1500 년의 바둑이가 1750 년으로 구경오면 놀라 쓰러질 것이라고 착각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선형적인 사고는 본능적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미래를 생각할 때는 지수적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총명한 사람은 과거 35 년의 발전으로 앞으로의 35년을 예측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현재의 발전 속도를 기반으로 예측할 것인데 이것이 보다 정확할 것이 뻔하다. 물론 이렇게 예측하는 것도 정확하지가 않다. 보다 정확할려면 당신은 발전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는 점까지 고려해야 한다.

03

2. 최근의 역사는 사람을 잘못 인도하기 쉽다.

우선 아무리 가파른 지수함수 그래프라도 당신이 충분히 짧은 구간을 절취한다면 아마 보기에 선형적으로 보일 것이다. 마치 원의 아주 작은 구간을 절취한다면 직선처럼 보이는 것과 같은 도리이다. 뿐만 아니라 지수적 발전은 매끈하지가 않으며 늘 S 형 그래프를 보이기 때문이다.

04

S 형 그래프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세계에 퍼질 때 일어난다. S 형 그래프는 세 부분으로 나뉘다.

  • 느린 성장 (지수적 성장의 초기)
  • 빠른 성장 (지수적 성장 폭발시기)
  • 새로운 패러다임의 성숙과 정착으로 인한 평온 발전기

당신이 최근 역사만 회고한다면 아마도 S 형 그래프의 어느 구간만 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 부분은 우리의 발전이 얼마나 빠른가를 보여줄 수 없기 마련이다. 1995 – 2007 년 사이는 인터넷이 폭발적 성장을 한 시기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이 대중의 시야에 들어왔고 수반된 것은 SNS, 휴대폰의 출현과 보급, 스마트폰의 출현과 보급이였는데 이 구간이 바로 S 형 그래프의 빠른 성상시기이다. 2008 – 2015 년 사이의 발전은 그다지 빠르지 않았다. 적어도 기술영역에서는 그러했다. 만약 지난 몇년동안의 발전속도를 두고 현재의 발전 속도를 가늠한다면 매우 그릇될 수 있다. 다음의 폭발적 성장시기가 싹을 틔우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3. 개인 경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우리는 미래에 대해 틀에 박힌 예측을 하기 마련이다.

우리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세계관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경험은 발전의 속도를 우리의 머리속에 낙인시켜놓았다 — “발전은 원래 이런 속도인거야.” 뿐만 아니라 우리는 자신의 상상력에 제한을 받는다. 상상력은 과거의 경험에 의하여 미래에 대한 예측을 하기 때문이다 —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은 미래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기엔 역부족이다. 우리가 우리의 경험에 위배되는 미래 예측을 들었을 때 우리는 이 예측이 빗나갓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만약 내가 당신에게 150살, 250 살 심지어 장생불로할 수 있다고 하면 내가 뻥까고 있을 것이라고 하겠지 — “자고로 모든 사람은 죽게 되여있다. ” 물론이다. 하지만 비행기가 발명되기 전에는 비행기를 타본 사람도 없지 않았나?

아래 내용들을 읽으면서 당신은 아마도 맘속으로 “뻥까지 마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내용들이 정말 틀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정말 역사의 패턴으로부터 논리적인 판단을 하게 된다면 결론은 다가올 수십년내에 우리가 예상했던것 보다 훨씬 훨씬 훨씬 훨씬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같은 논리로 도달할 수 있는 내용은 인간이라는 이 지구상에서 가장 발달한 종이 점점 더 빠르게 나아간다면, 어느순간, 지금까지의 인류의 삶을 송두리채 바꾸고“인류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조차 완전히 달라지게 될 것이다. 마치 자연의 진화를 통해 지능을 향해 한발작 한발작 발전하다가 드디어 중요한 발을 내디뎌 인간이 탄생한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당신이 최근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피는데 조금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삶이 앞으로 다가올 도약을 막을 수 없다는 수많은 징조를 보게 될 것이다.

초지능으로 가는 길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만약 당신이 지금까지 인공지능(AI) 를 SF (과학환상) 으로 여겨왔는데 최근에는 많은 멀쩡한 사람들이 이 문제를 진지하게 토론하는걸 보았다면 아마 당황스러웠을 것이다. 이러한 당황스러움은 아래와 같은 원인에서 비롯된다.

1. 우리는 늘 인공지능을 영화에 연상시킨다.

<스타 워즈>, <터미네이터>, (1968) 등. 영화는 허구였고 영화 캐릭터들도 허구였다. 그래서 우리는 늘 인공지능에서 현실감을 느끼지 못했다.

2. 인공지능은 광범위한 문제이다.

휴대폰에 있는 계산기로부터 자동주행 차량 뿐 아니라, 미래에 세계를 크게 바꿔놓을 중대한 변혁까지. 인공지능은 수없이 많은 것들에서 언급되기에 혼란스럽다.

3. 우리 일상에서는 이미 매일 인공지능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는 그저 인식하지 못했을 뿐이다. John McCarthy 가 1956 년에 최초로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란 단어를 사용했다. 그는 늘 이런 불평을 했었다. “어떤 것이 인공지능으로 구현되기만 하면 사람들은 그누구도 더이상 그것을 인공지능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이런 효과 때문에 사람들은 인공지능이란 말을 듣기만 하면 우리 주변에 이미 존재하는 현실이 아니라 항상 미래의 어떤 신비한 존재로만 생각해왔다. 동시에 이런 효과는 우리들로 하여금 인공지능은 아직 실현되지 못한 예전부터 유행해왔던 개념이라고만 생각하게 한다. 커즈와일이 말하기를 사람들은 늘 인공지능이 80 년대때 이미 버림을 받았다고 말하는데 이는 마치 “인터넷은 21세기 닷컴버블 파멸때 같이 죽어버렸다” 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황당하다.

그래서, 우리는 처음부터 다시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인공지능이란 소리만 나오면 로봇을 떠올리지 말라. 로봇은 인공지능의 용기일 뿐이다. 로봇은 가끔은 사람모양이고 가끔은 아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그저 로봇안에 있는 컴퓨터일 뿐이다. 인공지능이 두뇌라면 로봇은 신체인 셈이다 — 그리고 이 신체는 꼭 필요한게 아니다. 예를 들어 Siri 뒷단에 있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가 인공지능이지 Siri 가 말을 할 때의 소리는 그저 이 인공지능의 인격화 구현일 뿐이다. 하지만 Siri 자체는 로봇이라는 구성부분이 없는 것이다.

둘째로, 당신은 “특이점” 또는 “기술적 특이점” 이란 개념을 들어봤을 수도 있다. 이 용어는 수학에서 점근선과 유사한 개념을 나타내는데 이런 경우에 일반 규칙들은 적용되지 않는다. 이 용어는 물리학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되는데 무한으로 작은 높은 밀도의 블랙홀을 나타내는데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규칙은 더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커즈와일은 특이점을 아래처럼 정의한다: 수확 가속의 법칙이 극에 달해 기술 발전이 무한대의 속도로 발전하며 특이점 이후로 우리는 완전 다른 세상에 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최근 인공지능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들은 더이상 “특이점”이란 용어를 잘 안쓴다. 그리고 이 용어는 많은 사람을 헷갈릴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최대한 사용을 자제하겠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은 광범위한 개념이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는 인공지능의 능력에 따라 세가지로 나누겠다:

  1. 약인공지능 (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 약인공지능이란 어느 특정 방면에서만 잘하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는 인공지능. 하지만 그것은 그냥 체스만 잘할 뿐이다. 만약 당신이 그 인공지능한테 어떻게 해야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더 잘 보존할 수 있을 것인가를 붇는다면 걔는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모를 것이다.
  2. 강인공지능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간급의 인공지능. 강인공지능은 여러 방면에서 모두 인간과 겨룰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지능적인 일은 그들도 모두 할 수 있다. 강인공지능을 만들기는 약인공지능을 만들기보다 훨씬 어렵다. 그래서 우리는 아직도 만들어내지 못하고있다. Linda Gottfredson 교수는 지능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일종의 광범위한 심리적 능력, 사고할 수 있고 계획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추상적인 생각을 할 수 있으며 복잡한 이념을 이해하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으며 경험속에서 학습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강인공지능은 이런 활동들을 함에 있어서 사람과 동등하게 능숙해야 한다.
  3. 초인공지능 (ASI, Artificial Super Intelligence): 옥스포드 철학가, 유명한 인공지능 사상가인 Nick Bostrom 은 초지능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과학기술 창조, 일반적인 지식, 사회적 능력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모두 제일 총명한 인류의 두뇌보다 훨씬 총명한 지능이다. 초인공지능은 여러 방면에서 모두 인류보다 조금 강할 수도 있고 모든 방면에서 인류보다 만억배 강할 수도 있다. 초인공지능이란 개념이 바로 왜 인공지능이란 화제가 이처럼 핫해질 수 있는가 하는 원인이며 영생불로와 멸종이란 두 단어가 이 글에서 여러번 등장하는 원인이다.

현재 인류는 이미 약인공지능을 장악했다. 사실 약인공지능은 없는 곳이 없다. 인공지능 혁명은 약인공지능으로부터 시작해 강인공지능을 거쳐 최종 초인공지능에 도달하는 여정이다. 이 여정에서 인류는 살아남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쨌든 세계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다.

자, 이 영역의 사상가들이 이 여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있는가를 봐보도록 하자. 그리고 왜 인공지능혁명이 당신이 생각한 것보다 훨씬 빠르게 들이닥칠 수 있는지 봐보도록 하자.

우리 현재의 위치 — 약인공지능으로 둘러싸인 세상

약인공지능이란 특정 영역에서 사람과 비슷하거나 사람의 지능이나 효율을 초과하는 기계 지능을 말한다. 흔한 예들로:

  1. 자동차상에는 많은 약인공지능들이 있다. 잠금 방지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부터 기름의 주입 파라미터를 컨트롤하는 컴퓨터까지. 구글이 지금 테스트하고있는 무인 자동주행 자동차를 예로 들어도 많은 약인공지능들이 포함되여있다. 이런 약인공지능들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그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2. 당신의 휴대폰에도 많은 약인공지능이 있다. 당신이 지도를 꺼내 내비게이팅 할 때나 음악어플의 추천을 받아들일 때나 내일의 날씨를 찾아볼 때나 Siri 와 대화할 때나 기타 많은 어플들에는 사실 다 약인공지능이 존재한다.
  3. 스팸 메일 필터가 사실 전형적인 약인공지능이다 — 그것은 처음부터 여러가지 스팸 메일을 식별할 수 있는 지능을 가졌으며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당신의 사용 습관에 의해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스마트 온도 컨트롤 장치도 마찬가지이다. 당신의 일상 습관에 맞추어 스마트하게 조절할 수 있다.
  4. 당신이 웹서핑을 할 때 나타나는 여러가지 인터넷 쇼핑몰 상품의 추천들, 그리고 SNS 의 친구추천, 이 모든 것들이 모두 약인공지능으로 구현된 것이다. 약인공지능은 인터넷에 연결하여 당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을 한다. 웹서핑할 때 “이 물건을 산 고객들은 저 상품들도 샀어요” 하고 추천하는 것, 사실은 수백만 유저의 행위를 수집하여 생긴 데이터들로 당신에게 물건을 팔아먹는 약인공지능인 것이다.
  5. 구글 번역기도 사실 전형적인 약인공지능이다 — 얘는 이 영역은 꽤 잘한다. 음성인식도 한가지이다. 많은 어플들에서는 이 두가지 지능의 조합을 통하여 당신이 스마트폰에 대고 한국말을 하면 스마트폰이 직접 영어로 번역해준다.
  6. 비행기가 착륙할 때 비행기가 어느 게이트에 가서 독킹을 해야 하는가를 인간이 결정하는게 아니다. 마치 당신이 인터넷이서 물건을 살 때 영수증이 인간이 타이핑하는 것이 아닌 것처럼.
  7. 다이아몬드 게임, 체스, 틱택토, 백개먼, 오델로 등 게임의 세계 챔피언은 모두 약인공지능이다.
  8. 구글 검색은 거대한 약인공지능이다. 그 뒤에는 매우 복잡한 정렬과 내용 검색 알고리즘이 있다. SNS 의 핫이슈 기능도 마찬가지이다.
  9. 위에 이 모든 것들은 모두 소비자 제품의 예들이였다. 군사, 제조업, 금융업 (극초단타매매 (high frequency trading) 은 미국 주식 거래의 절반을 차지한다) 등 영역에서는 모두 여러가지 복잡한 약인공지능이 활용되고있다. 전용 시스템도 있다. 예를 들어 의사를 도와 병을 진단하는 시스템도 있다. 그리고 IBM 의 그 유명한 왓슨(Watson), 저장된 대량 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퀴즈 프로그램에서 제일 강한 인간 선수를 이길 수 있다.

현재의 약인공지능은 아마 그렇게 무섭지 않을 수도 있다. 최악상 상황이라 해봤자 고작해야 코드에 버그가 있어서 프로그램이 고장나서 단독적인 재난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정전, 원자력발전소 고장, 금융시장 붕괴 등이다.

비록 현재의 약인공지능은 우리의 생존을 위협할 능력이 없지만 우리는 여전히 점점 경계한 눈길로 점점 더 커지고 더욱 복잡해지고있는 약인공지능의 생태계를 바라보고있다. 약인공지능의 하나하나의 작은 혁신들은 모두 강인공지능으로 통하는 길에 조용히 벽돌을 보태고 있는 셈이다. Aaron Saenz 의 관점에 의하면 현재의 약인공지능들은 지구 초기의 진흙속에 있는 아미노산들과 마찬가지다 — 기척이 없던 물질들이 갑자기 생명으로 조합되려고 하고 있다.


계속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33

고정닉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571617 공지 뉴비 가이드)gpt 뭐 써야 해요? 특이점이 뭐에요? (2504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3 33622 45
609935 공지 특갤 통합 공지 / 댓글 신고,문의 / 차단 해제 요청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18 19299 30
571620 공지 본 갤러리는 타 갤러리 분탕과 관계 없음을 밝힙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3 5632 15
572292 공지 직업 비하, 조롱 글 30일 차단됩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4 4999 6
717500 일반 역노화 기원 316일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2 3 0
717499 일반 마소계정 계속 해킹시도 오는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49 0
717498 일반 요즘 느끼는건데 특이점은 무조건 와야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7 59 0
717497 일반 검열 안먹는 그록 야한 소살상황극 프롬 추천좀 MCmh860p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7 14 0
717496 일반 로건 이미지 업데이트 한데 ㅇㅇ(121.66) 11:53 51 0
717495 일반 나는 머스크말을 100%믿는 사람으로써 이번주에 AGI가 나오는거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124 1
717494 일반 진짜 전기 낭비네 이건 [4] 4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9 182 4
717493 일반 제미나이는 0506이 아니라 코딩 전용으로 했어야할듯... [2] 갉달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8 107 0
717492 일반 치타쉑 다시 우리 안으로 들어간 거임? ㅇㅇ(49.246) 11:48 31 0
717491 일반 구글은 걍 가장 돈을 잘 버는 기업중 하나고 2.5 프로가 그렇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8 90 0
717490 일반 Aider 벤치마크 비용 정상화 이후 비교 [3] ㅇㅇ(220.79) 11:47 81 1
717489 일반 근데 gpt4o 요즘 또 더 좋아진것 같은데 나만 그렇게 느낌? [1] ㅇㅇ(126.254) 11:46 63 0
717488 정보/ 속보) Aider 벤치마크 제작자 : 제미니 돈 더들어간다 [2] ㅇㅇ(220.79) 11:44 179 4
717487 일반 근데 왜 보이스,tts 쪽은 발전이 별로 없음? [2] ㅇㅇ(126.254) 11:44 48 0
717486 정보/ IBM,ㅡ AI로 인력 재편... 전체 고용은 오히려 증가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3 107 3
717485 일반 트럼프 중대발표 테크쪽 얘기가 아니네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9 259 0
717484 일반 제미니 2.0에서 이미지 뽑는데 [8] ㅇㅇ(116.42) 11:39 112 0
717483 일반 아이큐 떡락이유는 이거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8 72 0
717482 일반 이자 원금 계산도 못하는 구글 AI [1] 무한탐구(218.234) 11:35 164 0
717481 일반 5월 잼황 아이큐 하락?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1 167 2
717480 일반 구글 ai스튜디오 원래 좀 끊기나 [2] ㅇㅇ(121.142) 11:30 64 0
717479 일반 모솔인데 gpt한테 전반적인 헤어,패션, 화장품 같은 질문해도 되나? [3] ㅇㅇ(211.203) 11:30 57 0
717477 일반 갑자기 모든 중국인과 이슬람이 사라진 세상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6 85 0
717475 일반 요즘 라이브벤치는 그냥 쓰레기 된거 같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5 83 0
717474 일반 ais가 뭐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5 87 0
717473 정보/ 미국, 국가별 등급에 따른 AI반도체 수출통제 계획 폐기 방침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7 0
717472 일반 삼성전자, ‘AI 생산성 혁신 그룹’ 신설 [4] ㅇㅇ(112.185) 11:23 119 0
717471 일반 지피티 무료쓰는데 한도 얼마나 줄은거임? [2] 불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2 71 0
717470 일반 제미나이 프로 0506 reddit 반응 모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187 3
717469 일반 2.5 잼황 5월달 코딩 벤치 궁금한데 왜 안돌리지 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36 0
717468 일반 확률 계산하는거해봤는데 ㅇㅇ(14.42) 11:16 43 0
717467 일반 4o는 비추론모델 아니었나?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3 160 1
717466 일반 지브리풍 그림 딸깍 미쳤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9 152 0
717465 일반 계속 소설 성능 개판됐다길래 써봤는데 진짜 개판됐네ㅋㅋㅋㅋ [2] ㅇㅇ(121.144) 11:02 238 0
717464 일반 다음 중 가장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기술은? [5] ㅇㅇ(125.190) 11:02 131 0
717463 일반 ais 0506 작문 능력 떨어졌음? [1] ㅇㅇ(126.158) 11:01 110 0
717462 일반 그래도 나중에 몸이 아프지 않는 시대가 온다면 [1] ㅇㅇ(211.189) 10:55 100 0
717461 일반 지금 코딩 기준 제미니 vs 클로드 누가 우위임? [3] ㅇㅇ(121.142) 10:54 120 0
717460 일반 커스텀 gpt 다들 쓰냐? [2] ㅇㅇ(183.96) 10:53 76 0
717459 일반 ais 딸숭이 질문좀 [6] ㅇㅇ(115.95) 10:51 141 0
717458 일반 카카오, AI 메이트 '카나나' 일부 이용자 대상 시범 서비스 [2] ㅇㅇ(112.185) 10:50 182 2
717457 일반 챗gpt 유료 구독이후 체중감소했음 [2] Rok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198 0
717456 일반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생활은 바뀌지 않아 [3] ㅇㅇ(183.101) 10:43 146 1
717455 일반 겨울이네ㅋㅋ [1] 먼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2 67 0
717454 일반 그록은 유료 1개월 사용결과 구토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1 104 0
717453 일반 월 세전 500버는데 챗gpt 구독할돈 없다 [7] Rok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270 0
717452 일반 코딩안할꺼면 잼민이 구독하는게 나음? [5] ㅇㅇ(210.178) 10:37 106 0
717451 일반 아 지피티 왤케 시발 멍청하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71 0
717450 일반 한국 시차로 그록 오늘은 나올일 없겠네 [1] MCmh860p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9 115 0
717449 일반 지피티 한 8개월썼는데 구취했다.. [2] 세종대가고싶어서울었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237 1
뉴스 조세호♥174.8cm 아내 정체…“배지현과 슈퍼모델 동기” 디시트렌드 05.0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