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염술사 스펙 인증


235 화법에서 345 화법으로 넘어왔으며, 각각 직접 연구해서 만든 사이클 및 오픈때부터 플레이한 화염술사 각종 팁들을 정리해보려 함
초자연룬이 있으나 영상 및 각 사이클들은 초자연을 뺀 상태로 검증한 것이니 없어도 사용 가능함
먼저 정보가 별로 없는 235 화법 사이클을 알아보자
235 화법 사이클은 버닝 3단계가 아닐 때 2스, 강화 3스를 이용해 버닝 3단계로 진입하는 것이 핵심이며, 열기 관리가 필수적이다.
- 235 사이클
조우 시 -> 4211315 12211315로 버닝 3단계 진입 (25초 만에 3단계 진입이 가능하다)
3단계 이후 1315 1315 14215 121 후 버닝 3단계 종료
3으로 바로 버닝 1단계 재진입, 15로 2단계 진입 후 121을 하면 궁 on
궁으로 2+3을 받는 동시에 스킬 쿨을 돌리는 것이었으나... 2+3이 막히면서 스킬 쿨 및 3단계 진입 효과만 남게 되었다.
해당 사이클 연구 후 일주일 간 어비스 및 레이드에서 무난한 활용 가능했음
이건 화력룬 열기 수급 버그가 터지기 전에 찍어놨던 사이클 영상, 2주전이라 지금과는 스펙의 차이가 있음.
235 화법 사이클의 핵심은 다음 두 가지이다.
1. 버닝 3단계 이전 강화 3스를 이용한 열기 100 크파 두 번으로 버닝 3단계에 빠르게 진입하는 것
2. 버닝 3단계 종료 직전 열기 50을 맞춰준 후 종료와 동시에 315를 통해서 바로 버닝 2단계에 재진입 해주는 것
위를 지키지 않으면 현자타임이 길게 찾아올 수 있다.(궁극기를 통해 한 번 회생가능)
235의 장점은 분출룬을 채용한 245나 345가 4스 지속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에 비해, 패턴을 피한 뒤에도 본인의 사이클을 계속해서 이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이 좀 많은데, 일단 위 영상에서는 허수아비라 치명 열기 수급에 의해 사이클이 잘 굴러가고 있는 것이다.
레이드 입문만 가더라도 단일몹이라 치명이 터지지 않을 경우 열기 한 틱이 부족하여 평타를 섞어줘야 하는 일이 잦다.
치명 보정이 없는 어비스 지옥의 보스전이나 레이드 어려움 같은 경우에는 치명이 터지지 않을 경우 평타 1~2대를 섞는 일이 태반이라고 봐도 될 정도이다.
또한 사이클의 난이도가 너무 높다. 열기를 계속해서 신경 써주어야 하는데 간혹 화력 룬에 의해 강화된 3스 사용 시에 열기 표시가 5가 올라가는 것이 아닌 현재 보유한 열기만큼 올라가는 버그가 존재한다.
표시만 올라가고 실제로는 5가 올라간 판정이라 100, 200이 넘었는데도 실제론 버닝 1단계, 버닝 2단계인 경우가 잦다.
이와 같은 버그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패턴을 피하며 열기 100을 딱 채워서 버닝 단계를 올리고, 버닝 3단계 종료 시점에 맞춰 스킬을 쓴다?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궁극기 없이 무한 사이클 유지가 어렵다. 프리딜 상황에서는 궁 없이는 스킬 쿨이 다 돌아오지 않는다.
위 단점들에 비해 대미지 자체는 245나 345에 비해 월등하다 보기 힘들어 한 마디로 하이리스크 로우리턴인 셈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강화 3스 열기 수급이 안되는 버그가 존재하는 시점에서 235는 사용 불가 판정을 받았다.
6/14 기준 열기는 원래 차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으며, 위 사이클 영상에서도 원래 열기가 차지 않던 것이 확인 가능하다.
235는 레이드 입문에서 찍어뒀던 실전 영상이 있으나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 세팅이라 굳이 올리진 않겠다.
다음으로 요즘 떠오르고 있는 345 화법에 대해 알아보자
345 화법은 분출룬의 빠른 열기 수급과 화력룬의 3스 쿨감을 이용하는 사이클이다.
쉽게 생각하면 많이 사용하는 245의 불기둥 역할을 캐논이 맡아준다고 볼 수 있다.
- 345 사이클
조우 시 -> 234115(231415로 대체 가능) 315 135 (22초에 버닝 3단계 진입 가능)
3단계 버닝 상태 사이클 -> 215 115 1315 13415
3단계 버닝 종료 후 재진입 사이클 -> 215 115 315
념글에 올라온 조우 사이클은 231145 135 215 115 였는데 두 사이클 모두 22초 경에 버닝 3단계 진입이 이루어지지만, 위 사이클대로 할 경우 3단계 종료 시점에 2스 쿨이 딱 돌면서 기다리는 구간 없이 빠른 버닝 3단계 진입도 가능해 개인적으론 위 사이클을 추천하는 편
해당 사이클 또한 345로 넘어온 후 연구하여 2주간 지옥 2, 레이드 어려움까지 무난하게 사용하였음.
이건 345 사이클 허수 영상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binogimobile&no=1114194&search_head=200&page=1
345 사이클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무빙이 오래 강제되는 패턴 전에는 분출 사용을 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빗발치는 화염 같이 똥빼야 하는 패턴)
2. 버닝 3단계가 아닐 때 화력룬에 의한 강화 3스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일반 3스로 빠른 3단계 진입을 목표로 한다.
두 가지만 지켜준다면 웬만해선 무한 사이클이 유지 가능하다.(마찬가지로 사이클이 위기 일때 궁극기로 회생이 가능하다)
345의 장점은 분출룬의 장점인 잦은 크파 사용과 더불어 불기둥 룬은 사용이 불가능한 521 5115라는 독보적인 콤보이다.
버닝 3단계 종료 시점에 521 5115 315를 활용하면 10초 정도의 시간 만에 버닝 3단계로 재진입이 가능하다.
이에 따른 높은 쿨감 상태 유지+공증을 받으며, 화력룬에 의한 3스 쿨감으로 낙인이 거의 상시 유지된다. 자연스럽게 높은 dps가 따라붙는다.
또, 숙련된 화법 유저라면 235에 비해 사이클 난이도가 훨씬 낮고 및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적어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4스 활용을 잘못 할 경우, 2스 또한 없다면 현자 타임이 꽤 길게 찾아올 수 있다.
궁을 통해 한 번은 파훼가 가능하지만 궁극기가 항상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사이클 실수가 잦을 경우 평타만 치게 된다.
그러나 사이클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상태라면 현자 타임이 올 일이 없고, 스킬 사이클이 꼬였을 경우 현자 타임 발생은 화법의 모든 세팅이 공유하는 단점이므로 큰 단점은 되지 않는다고 본다.
다른 단점으로는 분출룬으로 1, 5스도 자주 쓰는데 화력룬으로 캐스팅인 3스까지 자주 쓰기 때문에 선후딜이 심한 화법의 특성상 패턴을 피하기 힘들 수 있다. 그나마 3스는 캔슬 후 이동이 가능하나, 5스 같은 경우 후딜레이가 길어 움직이지 못하니 패턴이 예상될 때는 미리 움직인 후 사용하자.
아래는 345 레이드 어려움 보스방 실전 영상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binogimobile&no=1117503&search_head=200&page=1
어느 정도 숙련된 사람의 경우 패턴을 피하거나 글라리가 뛰어 분출 시간이 낭비되더라도 충분히 무한 사이클이 유지되며, dps 고점이 확실한 세팅이기 때문에 추천하는 세팅이다. 비숙련자의 경우엔 평타만 치게 될 수 있으므로 화염술사의 기본 딜 사이클 정도는 숙지하고 사용하도록 하자.
마지막으로 화법 스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생각보다 모르는 사람들이 있어 보여 작성하는 것이니 자신이 이미 화법에 대해 어느 정도 안다 싶으면 넘어가면 되겠다.)
- 1스 초기화 조건
다른 스킬로 폭발을 일으켰을 때 발동하며, 2스, 강화 3스, 5스로 발동 시킬 수 있다. 궁에도 시전 종료 시 폭발이 명시되어 있으나, 무슨 이유에선지 발동되지 않고 있다.
초기화 시 3~5발인 1스가 5발 고정 및 즉발로 발동되며, 열기 수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초기화 1스를 잘 활용하자.
- 불기둥 룬 2스
불기둥 룬이 적용된 2스는 약간의 딜레이 후 폭발이 발생한다. 이를 이용해 211이나 2211과 같은 콤보가 가능하다.
- 불기둥을 안 낀 2스
몹을 해당 스킬 위치로 모아주며, 약 4초 후에 폭발이 일어나 1스가 초기화된다. 시간차로 폭발이 발생하므로 최대 활용을 위해서는 신경을 써주어야 한다.
- 3스(플레임 캐논)
일반 쫄몹들은 근처에서 시전 시 뒤로 밀려나게 할 수 있다. 화법은 광역딜에 특화되어 있으니 이 스킬로 몹을 모아 5스로 한 번에 정리 가능하다.
- 강화 3스(버스트 캐논)
강화 3스는 끝까지 날아간 후 폭발 대미지가 추가로 존재한다.
이 때문에 덩치가 큰 보스인 경우 어느 정도 붙어도 괜찮으나 덩치가 작은 몹의 경우 약간의 거리를 유지해주는 것이 대미지를 최대로 넣을 수 있다.
추가로 벽 쪽으로 쏠 경우 벽에서 바로 폭발하기 때문에 레이드 어려움 등에서 보스가 벽 근처일 때 벽 쪽으로 쏘면 바로 앞에서도 폭발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 잿더미 5스
바닥의 불길이나 작열 효과가 부여된 적(화법의 스킬에 맞은 적)이 있을 경우에만 발동이 가능하다. 열기가 50이 넘더라도 해당하는 적이 없는 경우 발동이 불가능하다.
일반 5스가 제자리에서 폭발만 하는 반면 불똥이 모두 모여 대상에게 날아가기 때문에 쫄몹전 및 보스전 모두에서 핵심 딜링 역할을 해준다. 화법 댐지의 50%에 가까운 지분을 차지한다.
시전 후 손가락 튕기는 소리가 나기 전에 시전 대상이 죽으면 현재 열기는 전부 사라지지만 스킬은 발동되자 않는다. 1스 또한 초기화 되지 않으므로 유의해야 한다.(사용 전 체력이 많은 대상을 타겟팅하자)
- 6스
발동 시 즉시 버닝 3단계에 진입한다. 채널링 시간에 비해 딜량이 높은 편은 아니므로 바로 캔슬해주도록 하자.
- 버닝 소울
열기 소모 시 소모한 것에 비례하여 단게가 상승한다. ~100까지 1단계, ~200까지 2단계 이후 3단계에 진입하며 3스가 강화된다.
3단계는 25초만 유지되므로 해당 시간을 활용해야 하며, 궁극기로 지속 시간 갱신이 가능하다.
- 블레이즈
화법의 스킬들은 불길을 생성하며, 불길 또한 열기를 소소하게나마 생성해준다. 이 불길은 잿더미 5스 폭발 대미지를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오버히트
버닝 단계에 따른 쿨감을 제공해준다. 3단계에는 무려 20%의 쿨감을 제공해주며, 쿨타임이 긴 4스 같은 스킬은 버닝 1,2 단계보다 3단계에 사용해주는 것이 쿨타임이 훨씬 짧아 사이클에 도움이 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