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WP)는 연방정부 내 권고사직 신청자 수가 첫 번째 권고사직 시행 당시를 크게 웃도는 수십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1월 7만5000여 명이 동의했던 첫 권고사직보다 훨씬 많은 수치다.
현재 연방정부 각 기관은 고위직과 핵심 인력을 포함한 조직 전반의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립보건원(NIH)에서는 감염병, 유전학, 아동 건강 분야를 이끌던 연구소장 6명이 해임되거나 자진 사임했으며 연방항공청(FAA)에서는 최고 항공교통 책임자를 포함한 10여 명의 고위 간부가 조기 은퇴를 택했다. 재무부 역시 200명이 넘는 관리자급 인력이 연초에 퇴직을 수용했다.
사진=KBS뉴스
이러한 흐름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정부 출범 이후 본격화됐다. 특히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주도 아래, 연방정부 전반에 걸쳐 숙련된 베테랑 공무원들이 퇴직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WP는 수십 년간 재직해 온 공무원들이 통째로 사무실이 폐지되거나 부서 자체가 사라지는 등 급변하는 행정 구조에 사임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고 분석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도 이 같은 흐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사내 메모를 통해 전체 인력의 약 10%를 수년에 걸쳐 감축할 계획임을 밝히며 조직의 현대화와 기능 통합을 통해 법적 임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머스크는 떠났지만, 수하들이 계속해서 구조조정 단행해
사진=KBS뉴스
미국의 철밥통이라고 불리던 공무원을 상대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설계한 사람은 다름 아닌 일론 머스크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떠오른 머스크는 지난 대선 당시 최소 1억3200만 달러(약 1856억 원)를 지출하며 트럼프 재선을 뒷받침했고, 이후 정부효율부 수장으로 임명됐다. 머스크는 각 부처에 실리콘밸리 출신의 젊은 기술 인재들을 투입해 각종 정부 부처 폐지 및 축소, 예산 절감,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등을 단행했다.
최근 머스크는 본업인 테슬라 경영에 복귀하며 정부에서 물러났지만, 그가 남긴 정책 기조는 여전히 DOGE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CNN은 정부 내부에서 여전히 활동 중인 DOGE 소속 인사들이 향후 몇 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구조조정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대부분 1년 단위의 계약직이나 정규직에 준하는 형태로 채용됐으며 일부는 연방정부 특별공무원 지위를 부여받아 제한된 기간 동안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미 연방총무청(GSA)의 한 관계자는 "머스크가 심어놓은 인물들이 이미 정부 곳곳에 깊숙이 포진해 있어서 이들이 쉽게 떠날 것 같지 않다. 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