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찬의 바흐에 빠지다
에반 앤더슨
2024년 11월 11일
지난 일요일, 이스트먼의 학생들과 로체스터 시민들은 20세 피아니스트 임윤찬의 연주를 듣기 위해 거의 매진된 코닥 홀로 모여들었습니다. 그는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약 90분 동안 쉼 없이 연주해 방 안의 모든 피아노 전공자들을 숨막히게 만들었습니다.
2022년 당시 18세였던 임윤찬은 반 클라이번 피아노 콩쿠르에서 최연소 우승자로 기록되었습니다. 그의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연주는 조회수 1,600만 회를 돌파하며 이 곡의 역대 가장 인기 있는 연주로 자리 잡았습니다.
첫 아리아가 울려 퍼지자마자 관객들은 매료된 듯 멍해졌습니다. 대화하듯 주고받는 카운터 멜로디들이 서로의 영역을 넘어서지 않으며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이후 진짜 마법 같은 순간이 시작되었습니다. 임윤찬은 변주곡을 하나씩 이어가며, 원곡의 멜로디를 다양한 예술적 표현의 단편들로 변모시켰습니다. 각 변주는 저마다의 독특한 감정을 담았으며, 그의 미세하면서도 강렬한 표현 변화는 탁월한 연주의 정점을 찍었습니다.
하나의 변주가 끝나면 누구도 소리를 내지 못했습니다. 다음 변주가 시작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관객들은 고요한 주문에 걸린 듯했습니다. 관객들이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마법이 깨져 그 특별함을 잃을 것처럼 두려워하는 듯 보였습니다.
골드베르크 변주곡 자체도 훌륭했지만, 아마 콘서트에서 가장 매혹적이었던 순간은 앙코르였을 겁니다. 임윤찬이 무대에 다시 등장해 피아노에 앉자, 청중은 곧바로 조용해지며 그가 어떤 곡을 연주할지 궁금해하며 자리에 집중했습니다. 그러더니, 차분한 자세로 그는 바흐의 C장조 프렐류드와 푸가를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곡은 단순함이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죠.
임윤찬은 기교보다는 재능과 표현력에 초점을 맞추며 문구마다 한 폭의 그림을 그려내듯 연주했습니다. 그리고 이 짧은 2분짜리 곡이 끝나자마자 관객은 다시 한 번 열광적인 박수를 보냈습니다. 아마 그들의 여덟 살짜리 아이가 피아노 학원에서 이 곡을 연주했을 때는 이렇게까지 환호하지 않았겠죠.
극장을 빠져나오는 학생들을 보면서, 임윤찬이 지금 이스트먼에 와준 것이 정말 완벽한 타이밍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가을과 겨울 방학 사이의 길고 힘든 시기를 ‘어두운 날들’이라 부르곤 하는데, 이 시기에는 학생들이 과제를 산처럼 쌓아 놓은 채 수업과 연습을 힘겹게 이어갑니다. 이스트먼 학생들과 같은 또래인 임윤찬이 며칠 만에 킬본 홀을 매진시켰고, 공연 장소를 코닥 홀로 옮긴 뒤 거의 매진에 가까운 반응을 얻었다는 사실은 그들에게 큰 동기부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임윤찬의 C장조 프렐류드와 푸가 연주는 공연이 꼭 복잡한 곡이어야만 감동적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그의 마지막 앙코르 선택은 약간은 자신만만하게 보였습니다. 마치 “봐요! 저는 가장 단순한 곡도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어요”라고 말하는 듯했습니다. 이 곡을 연주하며 임윤찬은 자신의 예술을 최소한으로 단순화하여 관객들이 오직 그의 음악 해석에만 집중하게 만들었습니다. 추가적인 장식 없이도 곡을 감동적으로 만드는 그를 보며, 그는 과장 없이도 음악을 예술로 만드는 데에 뛰어남을 증명한 셈입니다.
아마 가장 절망적인 것은 임윤찬이 뛰어난 콘서트 솔로이스트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일 것입니다. 그는 우리처럼 음악학교에 다니는 학생입니다. 임윤찬은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의 스승인 손민수 선생님과 함께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스트먼 학생들과 비슷한 나이대인 누군가가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둔 모습을 본다면 이 지친 시기에 동기부여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절실한 존재의식을 한 번 느끼고 나면 연습실로 향하는 발걸음도 빨라지기 마련이죠! 이제 부속 건물로 가서 연습실을 잡아야겠네요 — 연습할 일이 산더미처럼 많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