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저출산 문제는 국가적 과제

운영자 2008.11.19 13:22:34
조회 663 추천 0 댓글 2
제6장 복지 한국을 위한 과제

저출산 문제는 국가적 과제

  과거에 호황을 누렸던 산부인과 병원이 산모 감소로 문을 닫거나 진료과목을 변경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참으로 격세지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표어를 외치던 것이 바로 엊그제 같고,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출산율 감소는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예는 많습니다. 초등학생 수가 줄어 교원임용 계획을 축소해야 한다거나, 국내 유수의 분유회사나 유아용품사가 내수 부진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도 유사한 사례라고 하겠습니다. 이제 더 이상 이 문제를 감상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저출산 문제는 정부와 전 국민이 공동으로 대처하고 극복해야 할 전 국가적 과제가 되었습니다.

  지난 1983년 합계출산율(가임여성이 평생 낳는 아이 수)이 인구 대체 수준 이하로 하락한 이래 20여 년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어 온 결과,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초저출산 사회로 진입했습니다. 2007년 6월 인구보건복지협회와 유엔인구기금이 발간한 <2007 세계인구 현황보고서>는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1.19명으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세계 평균 합계출산율 2.56명은 물론이고 선진국 평균 1.58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입니다.

  가파른 출산율 하락을 우려하는 것은 그것이 고령화 문제를 가속화시키면서 국민생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유엔은 노인인구의 비율이 7%를 넘어서면 고령화사회로, 14%를 넘으면 고령사회로,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라고 말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6년 말 현재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9.5%로 14세 이상 인구(18.6%)의 절반을 넘어섰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의 노인인구 비율은 2018년 14.3%, 2026년 20.8%, 2050년 38.2%로 증가하여 20년 후인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 저축․소비․투자가 위축되고 잠재성장률이 급속도로 저하되는 상황이 초래될 것입니다. 노인인구 부양을 위해 생산가능인구가 부담해야 할 조세와 사회보장비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세대 간 갈등이 야기되고, 노령연금 수급자는 계속 증가하여 연금재정 기반이 취약해질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최근 <고령화 파급효과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노령화로 복지지출이 늘어나 현재 25조 원인 건강보험의 진료비 지급액이 2020년엔 54조 원으로 두 배가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이 지급해야 하는 연금총액도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53.2%에서 2035년에는 GDP 규모를 넘어서게 되고 2070년에는 GDP의 1.7배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그만큼 미래 세대가 져야 할 사회보험 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경제관념 부족해서 돈 막 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5/13 - -
74 역사의 소명 4 [44] 운영자 09.01.23 5660 4
73 역사의 소명 3 [2] 운영자 09.01.22 1724 0
72 역사의 소명 2 [3] 운영자 09.01.21 1850 0
71 역사의 소명 1 [2] 운영자 09.01.20 1934 0
70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를 통한 평화기반 구축 [2] 운영자 09.01.19 1914 0
69 인간 안보의 실현 [3] 운영자 09.01.16 2324 0
68 소프트 파워 중심의 문화 외교 [2] 운영자 09.01.15 1806 0
67 분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외교 [2] 운영자 09.01.14 1739 0
66 일 ․ 중 간 균형적 실용 외교의 추구 [2] 운영자 09.01.13 1523 0
65 포괄적이고 역동적인 한미 동맹 유지 [2] 운영자 09.01.12 1855 0
64 북핵 위기를 넘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으로 [4] 운영자 09.01.09 2220 0
63 화해와 협력의 남북 관계를 향해 [2] 운영자 09.01.08 1741 0
62 헌신과 사려 깊음, 그리고 책임의식 [3] 운영자 09.01.07 1996 0
61 유능한 민주적 리더십의 창출 2 [2] 운영자 09.01.06 1744 0
60 유능한 민주적 리더십의 창출 1 [3] 운영자 09.01.05 2308 0
59 절차적 민주주의를 넘어 실질적 민주주의로 [2] 운영자 09.01.02 1898 0
58 정치의 책임성과 정상적 정치과정의 회복 [2] 운영자 08.12.30 1691 0
57 정치참여는 민주주의의 뿌리 [2] 운영자 08.12.29 1730 0
55 국민들의 요구를 폭넓게 대변하는 정당정치 [3] 운영자 08.12.24 2223 0
54 정치에 대한 신뢰의 회복 [2] 운영자 08.12.23 1702 0
53 능력 있는 민주주의를 위해 [2] 운영자 08.12.22 1547 0
52 삶의 질을 개선하는 실질적 민주주의 [3] 운영자 08.12.19 1958 0
51 정치에 대한 적극적 자세 [3] 운영자 08.12.17 1712 0
50 부동산 문제 해결의 방향 2 [2] 운영자 08.12.16 1770 0
49 부동산 문제 해결의 방향 1 [2] 운영자 08.12.15 1755 0
48 주택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2] 운영자 08.12.12 1543 0
47 기회와 희망의 상실, 부동산 문제 [2] 운영자 08.12.11 1502 0
46 교육의 최종 목표는 인격의 완성 2 [2] 운영자 08.12.10 1452 0
45 교육의 최종 목표는 인격의 완성 1 [2] 운영자 08.12.09 1567 0
44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과제 2 [2] 운영자 08.12.08 1631 0
43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과제 1 [3] 운영자 08.12.05 811 0
42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2 [2] 운영자 08.12.04 491 0
41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1 [2] 운영자 08.12.03 502 0
40 교육의 다원화와 다양화 [2] 운영자 08.12.02 795 0
39 사회의 기회구조와 이동 통로의 다원화 [2] 운영자 08.12.01 467 0
38 우리 교육문제의 근원 [2] 운영자 08.11.28 502 0
37 새로운 교육체계의 필요성 2 [2] 운영자 08.11.27 511 0
36 새로운 교육체계의 필요성1 [6] 운영자 08.11.26 736 0
35 역동적인 고령사회에 대한 모색2 [2] 운영자 08.11.24 653 0
34 역동적인 고령사회에 대한 모색 1 [2] 운영자 08.11.21 456 0
33 여성과 육아가 존중받는 사회 [2] 운영자 08.11.20 481 0
저출산 문제는 국가적 과제 [2] 운영자 08.11.19 663 0
31 여성 빈곤의 문제 [4] 운영자 08.11.18 934 0
30 통합적 사회발전 모델에 대한 고려 [3] 운영자 08.11.17 643 0
29 새로운 공동체적 복지체제를 향해 [2] 운영자 08.11.14 576 0
28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두 개의 세상 [2] 운영자 08.11.13 489 0
27 성장의 그늘 [2] 운영자 08.11.12 507 0
26 기회균등으로서의 복지 [2] 운영자 08.11.11 547 0
25 일자리를 통한 복지 [3] 운영자 08.11.10 593 0
24 사회적 시민권으로서의 복지 [2] 운영자 08.11.06 871 0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