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엔스2 공략>(내정-1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5.29 15:21:52
조회 1757 추천 12 댓글 0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95554a8f664779ed4fbbeb9703170e589a2adbc74e7963e3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95554a8f664779ed4fbbeb970f1f0e5d927ad7c44e7963e3

엔드리스 난이도를 할 때 제일 힘든 시기가 바로 초반이다.

초반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쉬워질 수도 어려워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반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공략할 것이다.


일단 플레이 종족을 고르자면 연합제국으로 할겁니다.

왜냐하면 가장 무난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강한 것도 아니고 약한 것도 아닌, 그냥 그저 평범하고 무난하기 때문에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사실 연합제국만 파서 그렇다)

그리고 다들 연합제국은 한번씩 해봤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예시를 들겠습니다.


자 승리조건은 뭘로 할까요? 과학 승리? 경제 승리? 불가사의 승리? 말도 안되죠.

당연히 패권승리를 해야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패권승리만 허용해놨습니다. 모든 것을 군사적으로 풀어나가고 해결할 것입니다.


그리고 군사적으로 해결할건데, 허접하고 약해빠진 팩션을 넣을까요? 절대 안되죠!!

강하고 호전적인 AI들을 넣은 다음, 힘으로 멸망시키고 (바닥을 기게 만들고) 굴복시켜야 재밌지 않겠습니까!!


AI 중 호전적이고 강세를 띄는 놈들 위주로 모아서 20번 정도 플레이해봤고, 초반에 어떻게 해야 이길 수 있는지를 연구를 하고 저만의 방식으로 공략해보겠습니다.

자 그전에 종족마다 특징을 따져봅시다.


엔드리스 난이도로 플레이하면서 공격적이면서 위협적인 팩션 순위를 정하자면,


- 1위는 크레이버입니다. 그렇죠 매우 강력한 곤충놈들이죠,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

팩션 위험도를 순위로 매긴다면 불변이자 부동의 1위죠.

특히 초중반에 강하고 매우 호전적인 성향과 종족특성 때문에, 플레이어의 주변에 있다면 매우 높은 확률로 전쟁이 일어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100% 전쟁이 일어난다.)


- 2위는 리프트본입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크레이버보다 더 위협적일 수도 있습니다.

크레이버는 고갈되면 약해지기라도 하지, 리프트본은 초반도 중반도 후반도 다 세거든요.

특히 종족 능력치가 말도 안되는 능력치라 시간이 흐를수록 성장차가 심하게 나기 때문에 위협적입니다.

(리프트본이 2위인 이유는 전력은 크레이버나 잘 큰 리프트본이나 서로서로 비슷한데, 더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고 틈만 보이면 전쟁을 거는 크레이버가 위험성이 더 높습니다.)


- 3부터는 솔직히 비슷비슷하지만 굳이 고른다면 볼터입니다.

기동성으로 인해 확장범위도 크고 사략선으로 위장한 견제 때문에 위협적일 수 있습니다.(특히 해적외교를 잘 활용한다.)


- 4는 솔직히 가려내지는 못하겠습니다. 소폰 또는 히쇼입니다.

히쇼는 호전적인 성향 때문에 골랐고(솔직히 강한건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소폰은 어마어마한 확장력 때문에 초반 견제가 없다면 높은 확률로 강자가 되기 때문에 골랐습니다. (근데 이 놈은 전쟁 중에도 개척선을 보내 확장에 대한 어마어마한 집착을 보인다.)


자 시작하기 전에 한번 봐야할 내용이 있습니다. 한번 봅시다.


1. 엔드리스 난이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함대다.


난이도가 오를수록 AI들은 함대전체 전력이나 전투력을 비교해서 전쟁을 걸기도 하고 관망을 하기도 하기 때문에, 초반에는 소형함이든 중형함이든 방어를 위해 반드시 함대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95554a8f664779ed4fbbeb9758115b5e9e7fd3ca4e7963e3

- 특히 난이도가 오를수록 상대 AI는 해적외교를 잘 이용하게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방어를 위해 함대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관계가 적대상태가 아니어도 해적표식을 건다.)


하지만 소형함 함대는 초반방어에는 좋지만, 중형함 함대가 나오면 성능 면에서 모두 밀리기 때문에 최우선 선결과제는 중형함 함대를 편성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2. 중형함 함대를 운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조건 3가지는 바로 과학, 산업, 더스트다.

운용하려면 반드시 이 셋은 꼭 있어야 된다.


중형함 함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빠른 연구를 위한 높은 과학량이 필요하며, 함선을 건조하기 위한 높은 산업력이 요구되고, 매턴마다 함대 유지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많은 더스트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족 기본 능력치를 따져보면, 연합제국은 필수적인 세 개의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것이 없다.


- 크레이버는 고갈되지 않은 행성에서 FIDS +150%이며,

- 리프트본은 인구 하나당 산업, 과학, 더스트를 각각 +5씩을 주기 때문에, 선 중형함을 만드는데 두 종족에 비해 압도적으로 밀린다.

(, 선 중형함을 만들어도 유지비용이 감당이 가능하다.)

- 게다가 엔드리스 난이도라 버프를 받아 더 답이 없어진다. (함선 유지비용이 감소한다.)


- 엔드리스 난이도가 되면, AI 중형함 유지비용이 아군 소형함과 맞먹거나 더 적다는게 골때린다.(방산비리인가)


- (그리고 소폰은 과학력이 있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ce16a578f2c42422b7d4e49e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c411a52af0c32773b7d4e49e

(적 중형함 유지비용 : 6.8더스트)              (아군 소형함 유지비용 : 7더스트)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c41ea72ef5c32973b7d4e49e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c410a47df491767eb7d4e49e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9144a82ef2932923b7d4e49e

그리고

2레벨 성계개발을 통해 과학이든 생산력이든 더스트든 보너스를 준다 가정해도,

나머지 2개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1) 과학보너스 산업력이 딸린다. 빠른 함선생산이 이뤄져야 중형함 부대를 만드는데 의미가 있는데 만약 8, 10턴씩 걸린다고 가정해보자.

4척만 뽑아도 32, 40턴의 시간이 소모된다. 근데 문제는 함대만 주구장창 뽑고만 있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모성계는 여러 가지 건물들을 지어야하는데, 함선건조에만 신경쓰면 세력 성장속도가 매우 낮아지게 된다.

만약 산업력(예측형물류)을 충족했더라도 결정적으로 유지비용 때문에 심각한 적자가 발생한다.


(2) 생산보너스 과학력이 딸린다. 선 중형함을 만들려면 과학력이 필수인데, 연구속도가 느리면 선 중형함이 의미가 없다.

만약 과학건물을 지어서 과학력을 확보했더라도 마찬가지로 유지비용 때문에 힘들다.

(자기장 생성기(8더스트), 중력자 차폐(16더스트)같은 건물들은 유지비용이 크기 때문에 짓게 된다면, 또 그것을 커버하기 위해 우주금융을 가고 이러면 중형함을 만드는 타이밍이 자꾸 늦어진다. 결정적으로 중형함대 유지비용은 종족특성, 더스트 보너스, 무역회사가 아니고서는 감당할 수가 없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c544a17bf1977325b7d4e49e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c312a62da1912122b7d4e49e


(3) 더스트보너스 산업력, 과학력이 딸린다. 위의 단점들 중 더스트 내용만 빼고 상기된 문제점을 모으면 된다.


결국 예측형물류나 무역회사를 필수적으로 지을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연합제국으로 선 중형함은 힘들다고 봐야 한다.


그러면 답은 무엇일까? 정답은 소형함 밖에 없다.


3. 초반러쉬 전략이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95554a8f664779ed4fbbeb9709450a5d9a7ed7974e7963e3

(초반러쉬를 당해 봉쇄 당하고 있는 크레이버의 성계들)


자 아무리 강한 크레이버와 리프트본이라 할지라도, 초반에는 즉 처음 시작할 때는 모두 다 공평하게 약하다.

그리고 초반에는 AI가 공격적인 확장을 하느라 개척선을 많이 뽑게 되는데, 이때를 노리면 된다.

쉽게 말하자면 초반러쉬 전략이다. (어짜피 AI는 초반러쉬 방어 개념이 없다.)


그리고 AI는 내정을 다지고 높은 확률로 중형함 테크트리를 타기 시작할건데, 그렇다. 이것은 바로 시간싸움이다.

상대가 중형함을 모으기 전에 쓸어버리면 이기는 것이고, 지체해서 중형함이 모일시간을 준다면 지거나 진흙탕 싸움이 될 것이다.


자 그러면 초반러쉬를 할 때, 실패확률이 높은 팩션은 어딜까?


바로 크레이버리프트본이다. 종족특성 때문에 선 중형함이 빠르게 나오기 때문이다.


- 그래서 이들을 감안하고 초반러쉬를 할 때 매우 빠른 타이밍에 잡는게 핵심이다.

- 짧은시간 내에 생산가속으로 많은 함선을 확보하는 것도 핵심이다.

- 만약 상대 중형함이 1, 2척 나와도 물량으로 압도하면 되고, 빠른 업그레이드를 해서 고티어무기로 상대하면 된다.

- 빠른 점령을 위해서 해킹을 통한 명령교란은 반드시 필수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f83b438062417cec49bf52fad8921ef07cfa902673b7d4e49e

(상대가 지상전에서 DRAFT로 시간을 끌고 지연시켜 중형함을 모을 시간을 줄 수도 있다. 그렇다고 초반에 공성함 만들기에는 유지비가 신경 쓰인다. , 공성함보다는 전투함 충원이 더 중요하며, 막상 만들어도 공성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해킹을 통한 명령교란을 해야 된다.)


이렇게 상당히 빠른 타이밍에 많은 물량과 전격전으로 상대가 대응하지 못하도록 쓸어버리는 것이 초반러쉬 전략의 핵심이다.


그리고 꼭 초반러쉬를 해야 되나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한마디로 쉽게 예시를 들면, 상대는 멀티를 여러 개 가는데, 가만히 지켜보고 내정을 다지는 것은 정말 미래도 답도 없는 행동이다.

상대가 멀티를 여러 개를 가져가면, 본인도 멀티 짓는 척하면서 병력 모으고 쳐들어가는 것이 제일 적절한 방법이다.(X크래프트가 생각난다.)

다만 상대가 멀티를 여러개 짓는다고 나도 여러개 지으면 될까 생각하는데, 확장속도는 AI가 더 빨라서 그냥 편하게 러쉬 가는게 좋다. (물론 시도해봐도 좋다. 공략해본 사람 있으면 적어주길 바란다. 본인은 러쉬만 집중적으로 공략해서..)


특히 초반에 개척경쟁이 많이 일어날텐데, 모성계 근처에 있는 성계까지 와서 개척하는 선을 넘는 놈들이 있을 것이다.(소폰)

이런 놈들 때문에 초반러쉬를 위해 모아둔 소형함으로 성계를 뺏어주고 영역정리를 해주면 된다.


이런 것들을 선 중형함으로 정리하려면 너무 늦는다.

선 중형함을 뽑는 동안 상대는 개척한 성계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성장한 성계에서 뿜어내는 FIDSI로 빠른 중형함 해금과 더 많은 중형함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힘들다. (상대가 성장하게 두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러쉬를 간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엔드리스 난이도에서는 AI가 고정 행복도 +60을 받게 되기 때문에,

AI가 확장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해주는 요인이 된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95554a8f664779ed4fbbeb970246585f9d7d80c24e7963e3

(해킹한 AI성계의 사진에는 게임 난이도 : 불가능이라고 적혀있는데, 이상해서 ESC를 눌러서 확인해보니)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3d54a67fb938c615695554a8f664779ed4fbbeb970b455754c92584c24e7963e3

(엔드리스 난이도가 맞다. 왜 저렇게 적혀있는지는 본인도 잘 모른다.)


자 이제까지 설명한 내용을 다음편에서 실제사진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딥 블루 호라이즌 사전예약 6.14-7.4 운영자 24/06/14 - -
공지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1103 ELCP [19]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3 13487 18
공지 확팩 구매 가이드 [4] ㅇㅇ(221.156) 19.10.22 6011 19
공지 종족별 팁과 느낀점. [8] ㄹㄹㄹ(122.45) 18.02.22 12599 23
공지 다들 뎰씨 빠짐없이 받고 하고있지? [22] 찬피(218.156) 18.01.31 8382 18
공지 Endless Space 2에 관련한 내용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6] 드사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5.25 2661 8
18644 3월8일자 업뎃 있길레 파파고 돌림 [5] 레폭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8 640 10
18609 뉴비 인구 과잉 문제 해결 하는 방법 알아냄 [6] ㅇㅇ(14.54) 01.05 629 14
18608 ESG 모드 게임 세팅 소개하는 글 [3] 열검듀란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470 8
18596 엔레 바닐라 한패 번역기로 추가한 거 공유함 [4] ㅇㅇ(211.104) 23.12.17 672 20
18533 [모집] 슼통피배 멀티플레이 개최 [12] 엔갤러(223.38) 23.09.17 428 10
18528 [모집] 인간이랑 하고 싶다 [6] 엔갤러(223.38) 23.08.26 468 6
18499 올 접지 한 호라시오 [7] ㅇㅇ(58.233) 23.07.23 619 8
18461 엔스2 1500시간 하다 알아낸 억지공략(뉴비 필독) [10] 박멸토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6 1267 19
18432 첫 멀티플레이 후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2 497 10
18411 (마지막에 질문ㅇ) 늒네의 두번째 팩션 - 볼터의 여정 [7] 조나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401 8
18307 엔레 제일 뭐같은 점 [4] ㅁㅁㅁ(121.67) 22.10.01 1000 7
18304 esg 1.6 로 몇판 해본 후기 황천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4 386 5
18111 엔스2 1000시간하다 이제 알아낸 개꿀공략(늅이 필독) [4] 시공의농부(220.81) 22.01.23 2626 38
17673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0730 ELCP [16]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5924 15
17734 레전드 행성 떳네요;; [6] 싱크빅(114.200) 21.08.20 2150 12
17478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0608 ELCP [14]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8 1470 12
17652 빌드 정리 [10]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8 2199 15
17641 엔스2 플레이 기록 결산 [7] 11(27.119) 21.07.15 860 8
17331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0510 바닐라/ELCP [28]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1149 9
17450 <엔스2 공략>(내정-4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6]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908 12
17449 <엔스2 공략>(내정-3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4]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851 7
17447 <엔스2 공략>(내정-2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5]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1250 9
<엔스2 공략>(내정-1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1757 12
17416 <엔스2 공략>(군사-4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12]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2279 18
17415 <엔스2 공략>(군사-3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3]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2157 12
17413 <엔스2 공략>(군사-2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5]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1627 12
17411 <엔스2 공략>(군사-1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1]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2152 14
16199 [EL] ELCP v.2.6.0 업데이트 [9]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3 2960 9
16200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00703 ELCP [18]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3 7361 29
17330 엔스2 새 DLC 리뷰 [7] ㅇㅇ(183.107) 21.05.10 1623 9
17287 번역 하다 엎어져 자버렸네 [4]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552 5
17285 [EL 1.8.43] 엔레 패치노트 [1]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1718 8
17058 엔스1영업) 엔스1 팩션들 엔스2와의 차이 [9] ㅇㅇ(183.107) 21.02.11 1782 12
17044 엔드리스 스페이스 2 더닝 크루거 효과 [3] ㅇㅇ(183.107) 21.02.05 1024 8
16982 아트북 번역 23쪽까지 [1] ㅇㅇ(183.107) 21.01.25 647 11
16927 엔레/엔스2 신규 컨텐츠팩 발매 + 던오엔 사운드트랙 레코드판 에디션 [3]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2 914 8
16823 이거 뭐임 ㅋㅋㅋㅋ [2] 듀리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0 945 8
16657 씹덕 엔스2 - 볼터편 (1) [13] O22222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7 1809 5
16460 아니 이게 되네 ㅋㅋㅋㅋㅋ [11] V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8 1607 13
16447 [DevBlog] 엔스2 고치기: 마지막 패치 [5]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1 1713 10
16241 엔스2)첨하는 분들을 위한 초반 기술트리 Tip [9] 언폴른야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11 6872 22
15475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00201 ELCP [8]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1 2849 17
16191 [DevBlog] 엔스2 고치기: 첫 번째 패치 [2]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2 803 5
16159 엔스2 Tip)영향력 펌핑으로 소규모 팩션 먹방하기 [4] 언폴른야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29 1450 10
16152 엔스2)첨하는 분들을 위한 탐사관련 Tip [6] 언폴른야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28 2479 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