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키보드학개론 (5) : 보강판

L1ne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8.29 01:01:24
조회 47005 추천 51 댓글 22
														




(5). 보강판



1. 형태에 따른 분류


풀보강


풀보강이라고 썼지만 우리가 흔히 아는 보강의 형태입니다. 특별한 점이 있지는 않습니다.




간이보강 (하프보강)

7cf390a70120b943af3e32449734f7bc4b94faa0ce13fafaa8f6f5f238c627494cb6a7fdb53bcc7161487d8934be


Hiney half plate by Hiney (출처 : https://hineybush.com/products/fr4-plates-mx)


형태에 따른 분류를 한 이유입니다. 결합방식 파츠에서 이야기한 무보강 결합은 해당 기판이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프보강은 이렇게 무보강 결합을 지원하지 않는 키보드에서 알파열만 무보강을 지원하게끔 해주는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키보드는 기판과 보강판이 결합되고, 보강판이 하우징과 결합돼 기보강 전체를 지지하는 형태입니다. 무보강을 지원하지 않는 기판에 무작정 무보강식으로 땜질을 한다하더라도 문제가 생기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기판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방도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하프보강입니다. 이 하프 보강판은 테두리 부분은 보강을 살려서 하우징과 결합을 할 수 있게 만든 다음 우리가 많이 쓰는 알파열은 비워두어 무보강 결합을 할 수 있게 만든 형태입니다.


하우징 공제 당시에 옵션으로 하프 보강을 기본으로 파는 경우도 있고 (EX : mode design의 mode 시리즈) 서드 파티 업체에서 해당 하우징의 보강판에 맞게 하프 보강을 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이보강의 경우 핫스왑이면 지원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핫스왑은 보강판과 PCB를 결합하기 위해서 스탠드 오프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하프 보강에서는 스탠드 오프를 박을 자리가 마땅치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반적인 보강에서는 핫스왑도 스탠드오프를 박지 않아도 어느 정도 고정이 되었지만 하프 보강에서는 보강과 기판을 지탱해줄 스위치들이 적기 때문에 고정력이 조금 부족합니다.





2. 재질에 따른 분류


보강판 파트에 있어서 이게 전부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다양한 재질이 있으며, 각 보강판마다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스텀 키보드의 대부분은 '주관' 에 달린 것이 많으며, 소리의 특성 또한 단순히 보강판에 의해서 갈리는 것이 아니고 매우 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다 보니깐 보강판만 따로 떼어놓고 특성을 이야기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다보니 아래에 이어질 글은, "이러한 종류의 보강판들이 있다." 정도만 유념해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알루미늄

7ff390a70139b943af3e307a9735c1bca345e811c687e348f7d2d38c9e7ae1136132

TOFU84 by KBDfans (출처 : https://kbdfans.com/collections/plate/products/tofu84-alu-plate)


알루미늄 보강판은 커스텀 키보드의 기본 보강판이라고 봐도 될 만큼 보편적인 재질입니다. 적당한 텐션과 적당히 단단한 타건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속 재질 중에서 가장 가볍고 그나마 부드러운 편입니다.


스틸 보강판과 달리 심하게 속이 빈 소리도 나지 않으면서 살짝 하이피치스러운 무난한 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스위치와도 무난한 궁합을 자랑하며 대부분의 키보드에서도 기본 보강판으로 채택하는 재질입니다. 타건음이나 타건감 모두 보강판에 있어서 기준점이 됩니다.





황동

7ef390a70120b943a73e30699735c7bc1d8cc04f92c21cd18661c9f8020fa3d079c4d6084478

TX60 by TX keyboard (출처 : https://txkeyboard.com/24/?idx=118)


황동 보강은 무게추에서 보이던 그 재질입니다. 매우 단단하며 황동 특유의 낮고 퍼지지 않는 울림을 가지고 있습니다. 알루미늄 보강판보다 울림이 적긴 하지만 특유의 낮고 일직선으로 뻗는 울림이 있습니다. 키감도 매우 단단합니다.


국내 공제자들 중 샌드 하우징을 주로 내는 린삼과 TX에서 황동보강을 기본 보강으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단단한 결합방식에 단단한 하우징이 합쳐지면서 극도의 단단함을 자랑합니다.





스틸


스틸 보강판은 커스텀에서는 흔히 사용되지 않는 재질입니다. 상대적으로 가볍게 팅팅 울리는 소리와 함께 키감도 가볍습니다. 이 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도 분명 좋아하지만 대부분 불호를 외칩니다. 대신 생산단가가 저렴하기에 주로 기성품에서나 쓰이는 편입니다.





스테인리스 스틸

79f390a7013bb943ab3e325c9734f773025d086b35b71c202fc0507893d4bec0

G80-1800 SUS Plate by TX Keyboard (https://txkeyboard.com/shop_view/?idx=141)


서스 보강 역시 흔하게 보이는 재질은 아닙니다. 모든 보강 중에 가장 단단하다 해도 과언이 아닌 수준입니다.


딱딱한 타건감과 울림이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역시 서스이다 보니 가공단가가 높아서 흔히 보이는 재질은 아닙니다.


황동보다도 더 단단하고 묵직하며, 울림이 적어서 알루미늄처럼 청명한 소리를 내지는 않습니다. 거의 울림이 없는 수준입니다.


보통 서스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도면을 얻어서 가공의뢰를 통해서 만드는 편입니다.






카본파이버

78f351c20a53dd67ef5b3134f318a5dbeba59c3892a803a6847044208896d32cd7


카본 파이버는 매우 가벼운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소리도 가볍고 매우 하이피치에 속합니다. 자주 보이는 보강판 재질은 아닙니다.


단가도 조금 비싼 편에 속하지만 카본 성형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래도 예전보다는 많이 싸졌습니다.


현재는 황동이나 다른 알루미늄보다도 단가가 싼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독특한, 시끄러운 하이피치를 만들어서 좋아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습니다.



FR4

7bf3f614b19c32b6699fe8b115ef046fd5d3ead5

FR4 Plate of IKKI AURORA by WUQUE Studio (출처 : https://mykeyboard.eu/catalogue/ikki-68-x-aurora-pnc-fr4-plate_3763/)


FR4는 원래 PCB을 만드는 재질입니다. 에폭시와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재료로 불이 잘 붙지 않으면서 완전 방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습한 곳에서도 전도되지 않는 특성때문에 기판에 주로 쓰입니다.


보통 알루미늄과는 다른 방향의 또랑또랑한 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나 울림은 적습니다. 금속 재질보다는 좀 더 부드러운 타건감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완전 메이저한 재질까지는 아니지만, PC나 알루 같은 양대산맥 다음 정도로 인기가 나쁘지 않으며 빌드할 때도 자주 쓰이는 플레이트입니다.








PC

7af3e005abd828a14e81d2b628f17069fc4d89

PC 보강판 by Glorious (출처 : https://www.gloriousgaming.com/products/gmmk-pro-75-switch-plate)


물성이 낮으며 부드러운 소재인 PC보강판입니다. 플라스틱 계열인 만큼 부드럽게 휘어지며 타건감이나 소리가 부드럽고 먹먹하게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PE폼, 기보강 및 하부 흡음재와 함께 제공되는 하우징에서 자주 쓰이며 이러한 빌드를 흔히 '폼떡의 정석' 이라고 부릅니다.


최근에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어느 하우징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재질이 되었습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 취향이 갈리다 보니깐 누군가는 이런 폼떡 빌드에도 PC보강판 대신에 FR4나 알루미늄 보강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는 전적으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것입니다.


커스텀 키보드에서는 알루미늄 보강판이 당연히 기본 보강판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는 공제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서 이 PC보강판이 기본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매우 많습니다.


그리고 PC보강판이나 아래에 나올 POM 보강판은 플라스틱 재질이다 보니깐 개인이 보강판 도면 파일을 가지고 업체에 의뢰를 맡겨 개인적으로 제작하기도 쉽습니다.


보통 이렇게 불투명한 흰색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검은색이나 투명한 경우도 많습니다.






POM


75f39016caff76b16bbdc69528d52703b891e5961964

Thera75 POM 보강판 by Greendoor Geeks


POM 보강판은 PC와 같은 플라스틱 계열의 보강판입니다. PC보강판보다는 살짝 더 단단하고 유연성이 적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비슷한 편입니다.


같은 플라스틱 계열이다보니 차이가 크지는 않다는 게 중론입니다.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선택하시면 되는 수준입니다. 블라인드 테스트를 하면 못 맞출 사람도 많습니다.


POM 역시 PC와 마찬가지로 색이 다양합니다. 보통 불투명한 우유색이지만 해당 사진처럼 검은색일 수도 있습니다.







PP

74f3e016abd828a14e81d2b628f175657e9f6e

https://mykeyboard.eu/catalogue/prophet-extra-plate-polypropylene-pp_2026/


PP는 아직 하우징 공제 단계에서 기본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적은 재질입니다. PC보다도 더 유연한 재질로 거의 반으로 접히는 수준입니다.

가장 부드럽고 낭창거리며, 먹먹합니다. 대부분 타오바오에서 보강판 도면을 가지고 의뢰를 맡겨서 사제로 제작하여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7ced9e666436d4278b7d5751fa50c1e8c5976874e0ec5bcf9fe137f4f245b943b616a0c9eec639c3d3598c806b05fb4598251dc0f0581f2e3aa5d19e5b0b65839fafc3e38955fc


영률과 밀도, 질량에 따른 강성차이 (출처 : 유튜브 'keybored')


해당 표는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가졌다 가정한 각 재질의 단위 체적당 강성표입니다. 영률을 통해서 잰 고체 재료의 강성을 밀도로 나누어 특정한 재질의... 그리고 강성과 진동수는 정비례의 관계로 인해...


이런 것은 전혀 궁금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간단합니다. 바로 Specific Stiffness가 높을 수록 진동수가 높고, 높은 진동수는 곧 좀 더 높은 피치의 소리를 낸다는 것입니다.


위의 표를 통해서 알 수 있듯 카본 파이버는 독보적으로 높은 y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하이피치를 낸다는 의미입니다. 스틸이 그 다음이며 알루미늄이 이후입니다.


그러나 키보드의 소리에는 단순히 보강판의 재질 외에도 보강판과 맞물리는 하우징, 키캡, 스위치 등의 모든 재료의 특성이 종합되기 때문에 보강판의 specific stiffness 하나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강판 단독으로 피치 차이를 알아보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보강판 재질별 비강성이라는 것 말고도 우리가 귀로 듣는 소리에 영향을 주는 것은 너무 많기 때문에 이 표 하나만 보고 맹신하시면 곤란합니다.


위에서 보셨듯 플라스틱 게열의 보강판은 낮은 피치이며, 이를 잘 조합해서 흔히 유행하는 thocky 한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51

고정닉 22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858640 공지 신문고 (신고 / 완장호출) [4] 갓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5 50803 42
1519900 공지 뉴비를 위한 정보글 모음 (질문전 필독) ver. img [15] bbyey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7 118653 27
374994 공지 기계식키보드 마이너 갤러리 운영가이드(2024.02.15.) [41] 갓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1.06 54263 54
1399334 공지 파딱 모집합니다 (상시) [75] 키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0 25744 47
1919954 일반 근데 갤80 쓰레기임? 비추 존나박혀서 글지움 키붕이(180.71) 07:01 19 1
1919953 일반 금요일이다 [1] Kag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53 47 0
1919951 일반 진짜못해봐서 아쉬운거: 히스체 RikaDes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0 54 0
1919950 일반 슷바 스위치 [8] Fak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65 0
1919949 👸질문 ck01 갈축이랑 오테뮤랑 호환되나요? [4] 키붕이(39.123) 06:20 40 0
1919948 일반 TTC 퍼플축은 이겁니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10 0
1919947 일반 솔직히 소리는 수트 클래키랑 똑같은거 같다 [14] 키붕이(175.123) 05:54 136 0
1919946 일반 상어 리스탁 3분기 잡아야하나 [2] 아스트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9 73 0
1919945 일반 보고 왔는데 퀘ㅈ 저기는 그냥 광고에 미친놈들이라 [4] 국밥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85 1
1919944 일반 키컬트 키컬롸 키컬 keycult 키붕이(118.235) 05:28 121 0
1919943 일반 키컬트 키붕이(118.235) 05:27 82 0
1919942 일반 념글 한성 바이럴 유튜버 누군데 [1] ㅇㅇ(122.43) 05:24 95 0
1919939 일반 이거 ttc 퍼플축 맞나요?? [4] ㅇㅇ(211.218) 05:00 115 0
1919938 일반 입문으로 gx87샀는데 어때? [11] ㅇㅇ(116.121) 04:51 236 0
1919937 일반 esc에만 쩝쩝 소리가 나 [2] 바바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45 56 0
1919936 일반 드랍 플랭크 이거 살만해보이냐 ㅇㅇ(174.239) 04:40 37 0
1919935 🌐정보 키컬트 한국시간 오전 4시 50분 15대 드랍 예정 [1] ㅇㅇ(175.201) 04:39 378 7
1919934 일반 키컬 오늘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2 141 0
1919933 일반 중고 파는데 타건음 들려달라는 새끼 죽이고 싶네 [1] ㅇㅇ(222.99) 04:28 124 2
1919932 일반 스피드축 추천좀.... [6] 키붕이(1.216) 04:23 60 0
1919931 일반 레이니 진짜 맛있다 ㅋㅋㅋㅋ [2] 키붕이(183.97) 04:18 203 1
1919930 일반 물결표시 어케함 [5] 키붕이(221.159) 04:15 196 0
1919929 일반 레이니 하옵에 비비안 28g으로 졸업할 듯 [1] 키붕이(221.154) 04:07 93 0
1919928 일반 2년 째 앱무무 쓰는데 버리고 독거미에 스위치 바꿔쓸까 고민 존나함. [10] 키붕이(61.76) 03:59 126 0
1919927 일반 레이니 미쳐따 리얼타건음 아이폰녹음으론 못잡아내네 [1] 키붕이(61.73) 03:51 95 0
1919926 일반 키린이 gx87 블랙하옵 구매했습니다. [7] ㅇㅇ(121.130) 03:50 239 0
1919925 📝후기 하루 만에 다시 쓰는 ND75 후기 [13] 키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9 215 3
1919924 일반 래피드 트리거 내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좀.. [8] 키붕이(121.168) 03:48 142 0
1919923 일반 하 쓉 죽고 싶다. [2] 키붕이(168.126) 03:48 122 0
1919922 일반 청소하다 키 뜯어버렸는데 ㅈ된거임??? [6] 키붕이(118.216) 03:44 208 0
1919921 일반 레이니 75 질문좀 먼지커버 관련 [13] ㅇㅇ(115.22) 03:26 219 0
1919920 👸질문 혹시 클래키에서 카본이나 알루대신 황동 보강쓰는 키보드도 있나요??? [2] ㅇㅇ(110.12) 03:24 85 0
1919919 일반 키컬트 떴냐? [3] 인호야착하게살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334 2
1919918 일반 왜 기계식 스위치는 래피드 트리거 기능 못쓰는거야?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111 0
1919917 일반 레이니75가 왜좋다고하는지 알겠네 [1] 키붕이(210.183) 03:16 231 0
1919916 일반 황동보강은 왜쓰는거임???? [18] ㅇㅇ(110.12) 03:15 178 0
1919915 일반 gx87 어떤게 정배야?? [8] 키붕이(124.216) 03:12 194 0
1919913 일반 데드존이 마우스로치면 모션싱크같은 기능인가? [2] ㅇㅇ(121.147) 03:03 51 0
1919912 일반 레이니, 브릿지 스테빌 비교질문 [3] 키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0 145 0
1919911 👸질문 슷바만 스위치 방향 반대 있어? [6] 스바라시핑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7 139 0
1919910 일반 키보드 새건데 스위치 몇개에 잡소리 나서 그런데 [3] gm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7 101 0
1919909 일반 집에 안쓰는 풀배2개 있는데 어쩌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7 64 0
1919908 👸질문 k63 유선 쓰는중 문제가 생겼습니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6 22 0
1919907 일반 자석축 스위치 중에 제일 조용한 스위치 있어? [2] ㅇㅇ(222.106) 02:53 55 0
1919906 일반 상컬 랩터 + 젬케이 슬래셔 [8] 머랭케이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8 243 4
1919905 일반 HMX X 키네틱스 캔디레드 스위치 써 본 사람 있음? [2] dddd(211.118) 02:46 141 1
1919904 🔍소식 Angry Miao RGB 65 금일 발매 (AM RGB 65) [9] Sayl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6 270 0
1919903 일반 atk rs7 되게 핫한가보네.. 검색해보는데 글이 많네 [1] ㅇㅇ(222.106) 02:46 124 0
1919902 일반 키보드 테스트 사이트 여기 [9] 키붕이(221.159) 02:44 129 0
1919901 일반 키보드추천좀 [9] ㅇㅇ(122.32) 02:41 8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