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과습에 대해모바일에서 작성

식갤누리레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18 16:37:39
조회 2830 추천 43 댓글 20
														

1. 과습이란


대개 뿌리 부분에 물이 많아서 뿌리가 상하고 식물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884fa11d02831916c2f0b7815b9ba7a4fbb549891d37477616366752144aa53ef4f1eb3730cf56666834cd117ad36f4b9a2761325b364624f0348ad39

지하부가 과습한 상태가 유지되면 물이 과다하게 되고 토양 내 공극이 막혀서 통기가 불량해진다. 그렇게 흙에 공기가 드나들지 않게 되면 뿌리 주변에 산소가 부족해지게 되고, 산소가 부족한 곳에서 사는 혐기성 세균들이 내뿜는 유해 물질로 인해 뿌리가 상하게 된다.

유해 물질의 영향으로 인해서 잎이 상하는 증상도 같이 일어나며, 뿌리가 완전히 부패하고 나면 더 이상 식물에 물을 끌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식물이 건조한 때처럼 시들기 시작한다. 



그렇다면 과습은 어떤 상황에서 일어날까? 


흙의 공극 부족: 상토를 쓴다면 크게 걱정할 문제는 아니다. 상토에 들어가는 코코피트의 입자 크기는 몇 mm정도로 밭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점토의 입자(마이크로미터 단위)보다 아주 크며 나머지 펄라이트 등의 재료 또한 들어가기 때문에 공극은 걱정할 일이 없다. 


통풍 부족: 흙 자체에 흐르는 공기가 줄어들고 흙에서 물이 증발하는 것도 줄어든다. 거기에 통풍이 부족하면 증산작용까지 줄어들기 때문에 흙에서 물이 줄어들기 더욱 힘들어진다.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884fa11d02831916c2f0b7815b9ba7a4fbb549891d37477616366752144aa53ef4f1eb3730ca4c893726fad91342fcb6bf8b0203838b836f39216722f

빛 부족 및 성장 문제: 건강한 식물체는 흙 속의 물을 끌어올려 광합성에 사용하고 남은 물은 기공으로 내보내는 식으로 흙 속의 물이 줄어드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빛이 부족하거나, 생장이 불량하다거나 등의 이유로 광합성량이 줄어들고 뿌리의 수분포텐셜이 높아지게 되면 반대로 흙 속에 물이 많이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흙에 물이 많이 남아있는 상태가 유지되게 되면 당연히 과습으로 이어진다. 뿌리가 상하는 원인는 혐기성 세균의 번식이긴 하지만, 그 혐기성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원인이 토양의 과습이므로 대개 과습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2.내습성


물이 많다고 무조건 과습이 오는 건 아니다. 모든 물이 과습으로 이어지면 열대 우림에는 아무 생명도 남아있지 않을거고 장마철마다 숲이고 밭이고 식물은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을 것이다. 물은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지구상에는 물로 가득한 지역도 많기 때문에 이런 곳에서 살기 위해서 식물들은 나름의 생존 전략을 준비했다.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884fa11d02831916c2f0b7815b9ba7a4fbb549891d37477616366752144aa53ef4f1eb3730cf998093e4cdb3d04098194f93fa54efb626b9e20ab6159

맹그로브는 뿌리가 바다에 잠긴 상태로도 살 수 있으며, 연꽃은 진흙바닥에서도 필 수 있다. 이들이 서식하는 환경은 물이 많은 것은 물론 통기가 부족해 혐기성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그럼에도 이런 수생식물들이 멀쩡히 살아있을 수 있는 것은 이들이 내습성이 좋은 식물들이기 때문이다. 많은 수생식물은 뿌리 주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서 혐기성 세균이 과다하게 늘어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884fa11d02831916c2f0b7815b9ba7a4fbb549891d37477616366752144aa53ef4f1eb3730ca769771bf80331313fb2e54b9f03f9bbe8a4f3b4049ec3

연꽃같은 경우는 주변에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두꺼운 기는줄기에 통기 조직을 내서 공기가 드나들도록 하기 때문에 늪지의 산소 부족에도 견딜 수 있다. 

물론 수생식물은 상당히 극단적인 경우지만, 다른 종류도 충분한 내습성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884fa11d02831916c2f0b7815b9ba7a4fbb549891d37477616366752144aa53ef4f1eb3730cf68b0577fb6742667642382218b9a122a572b3750812f9

대표적으로 천남성과는 성장도 빠르며 수생식물이거나 습한 환경에서 사는 식물이 많은, 내습성이 좋은 종류다. 얘들이 과습이 오면 대개 주인 잘못이다. (물론 건조한 곳에 사는 식물들도 있지만 접하기 쉬운 건 아님)

그리고 고습도 환경의 정글에서 사는 식물들은 대부분 내습성이 좋은 편이다.


3.과습으로 착각하기 쉬운 증상과 과습 관련 증상


관련 증상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884fa11d02831916c2f0b7815b9ba7a4fbb549891d37477616366752144aa53ef4f1eb3730cf8ec4e3b9f7cea01245991f792f0e1417bb2e89b2fac1c

뿌리썩음병: 과습한 환경에 잘 생기는 난균성 질병. 뿌리가 상했을 때 감염이 더 잘 된다고는 하지만 상처가 없어도 감염은 된다. 물이나 토양으로 옮겨다니며, 간단히 식물 상태를 좋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예방 가능. 


무름병:세균성 질병. 역시 습한 환경을 좋아해서 건조한 환경에 배수를 잘 되게 하는 것으로 예방 가능. 식물도 면역체계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균이 있다고 무조건 감염되는 건 아니다. 


(+과습 상황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혐기성 세균류 중에서는 식물을 감염시키는 종이 아예 없다)


과습으로 착각하기 쉬운 증상


양분 문제: 특정 양분이 부족하거나 과다하면 잎이 타는 등 과습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양분이 부족한 경우는 양분을 주면 해결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다. 


4.기타 아는 것들


뿌리 손상과 과습: 과습과 뿌리 손상이 관련이 있긴 하지만 대개 무관하다. 뿌리가 손상되었다고 균이 바로 침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혐기성 세균이 식물체에 침투하진 않는다. 만약 분갈이 후 뿌리 손상이 문제라면 그것은 애초에 뿌리가 약한 종이라서 뿌리를 건드리면 안 되거나 뿌리를 너무 많이 손상시킨 경우다.(


과습과 곰팡이: 습한 환경에서 진균이 잘 번식하긴 하지만 과습은 뿌리 문제고 곰팡이 감염은 건강 문제다. 물론 과습으로 식물체가 약해진 상태에서 곰팡이가 침투할 수 있고, 습한 환경이 곰팡이 포자가 발아하기 좋은 환경인 것은 사실이댜. 다만 균근제를 쓰고 통기와 광량, 습도를 적당히 유지하는 등 좋은 환경을 유지해준다면 곰팡이 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경험인데, 몇 년간 키우던 베고니아 잉카화이어가 곰팡이에 감염되고 나서 단순히 약만 치고 다시 같은 장소에 뒀는데도 곰팡이에 다시 감염되는 일은 없었다. 또한 같은 온실장에 있던 버킬리, 나투나엔시스, 파보니나 등도 곰팡이에 감염되지 않았다. 포자는 남아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식물체의 상태가 양호했기 때문에 곰팡이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곰팡이 감염이 치명적인 문제로 번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상 아는 거 대충 많이 써본 글이었다


추천 비추천

43

고정닉 13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끝까지 다 본 걸 후회하게 만든 용두사미 드라마는? 운영자 25/07/07 - -
AD 반려동물용품, 펫스티벌!! 운영자 25/07/04 - -
공지 식린이를 위한 분갈이 하는 방법 [54] 치즈케이크사주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1 127848 233
공지 식물 갤러리 이용 안내 [656] 운영자 06.02.24 262780 925
907047 땅 토질이 너무 안좋아서 파내고 부엽토 부어줄려는데 식갤러(14.5) 10:54 0 0
907046 잭스프로페셔널 실생 개화에도 도움될까 ㅇㅇ(118.235) 10:54 0 0
907045 음음 핑크꽃을 가진 친구들을 모아봤다 [1] 사진찍을시간없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8 11 0
907044 이 세나 매리디오날리스 죽은거야? [6] 식갤러(175.197) 10:39 57 0
907043 딥티크 캔들에 키울만한 식물없을까용 [1] 식갤러(223.38) 10:37 24 0
907041 호야 뿌리좀 봐줘요 ㅠㅠㅠㅠ [6] 식갤러(121.125) 10:23 59 0
907040 몬스테라 분갈이 [1] 식갤러(118.235) 10:22 30 0
907039 식물이 물을 이렇게 많이 먹을줄은 몰랐네요 [3] 식갤러(118.235) 10:17 56 0
907038 큰거온다 [4] 식갤러(122.43) 10:13 71 0
907037 자취생 식용식물 키워보려합니다. [3] 필로소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2 39 0
907036 입문자가 키울 식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뿌뿌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75 0
907035 베란다에서 장미 키우는데 응애가 생겼으면 [1] 식갤러(222.117) 09:55 58 0
907034 안스리움 하이브리드 빵떡잎 [2] Something_Special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7 64 0
907033 빠글빠글 올라옴 [4] (222.116) 09:43 155 1
907032 충동 구매 다육이 정확한 이름이 알고 싶습니다 [1] ㅇㅇ(211.234) 09:42 66 0
907031 아침일찍 방토 화분 업그레이드 시켜줫음 (222.116) 09:34 23 0
907030 식쇼 중독 무섭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3 45 0
907028 내 호접 보고가 [5] 커낙(211.36) 09:22 67 0
907027 제 로즈마리 진심으로 살리고 싶어요...ㅜ [5] 괜찮은사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21 0
907026 전에 신규잎 역대급으로 크게 나왔는데 [2] 식갤러(175.194) 08:34 62 0
907023 마스터플랜의 망령 ㅇㅇ(121.169) 08:10 38 0
907022 아가바질 죽어가요ㅠ 도와주세요ㅠ [5] 식갤러(106.101) 07:55 118 0
907020 오스틴이 피었습니다 [1] 식갤러(211.234) 07:39 88 3
907019 열매 썩어가는거임? ㅇㅇ(223.39) 07:39 72 0
907017 친구들ㅜㅜ 내 식충식물들이 이상해ㅜㅜㅜ [8] 소루소루(39.114) 07:28 163 0
907015 요즘 기상 4시 그래도 행복한 냠냠단 [4] 식갤러(106.101) 07:22 118 6
907014 셀라지넬라 구경허쉴 [2] 오모카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87 0
907013 이 벌레 무슨벌레인가요 ㅠ [2] ㅇㅇ(222.96) 07:13 78 0
907012 아는 누님이 식물기르시던 ㅇㅇ(121.185) 07:06 62 0
907011 당근 알보 봐주세요~~ [7] 식갤러(182.31) 07:03 122 0
907009 뿌리가 죽으면 화분 흙도 버려야되나? [2] 식갤러(14.34) 06:58 95 0
907007 베란다 텃밭 청양 고추 [1] 식갤러(223.38) 06:42 59 2
907006 비오킬 좋네 식갤러(118.235) 06:42 55 0
907004 베란다 텃밭 방울 토마토 [1] 식갤러(223.38) 06:32 66 1
907001 모닝 미라빌리스!! [1] WahalaQ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57 88 1
906999 이건 병든건가요? 나랑드좋아요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9 0
906995 식린이 감사하니까 식물 사진 놓고가요 [9] 식갤러(118.42) 03:47 591 13
906993 무늬바나나? [2] 『Spi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8 138 1
906991 리톱스) LMP4 Hopetown KAR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8 73 0
906989 무늬바나나는 보통 어디에서 들여옴? [2] 식갤러(221.148) 02:43 141 0
906987 텃밭물주기너무힘들다 [4] 로제보리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28 1
906986 살충제 추천좀 식갤러(39.7) 02:25 54 0
906985 댕유자라고 알아? [5] CR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5 141 5
906984 요즘 복숭아가 맛있어서 계속 먹고 있는데 식갤러(118.39) 02:18 71 0
906982 용꼬리 질문 [6] 식갤러(61.79) 01:44 142 0
906980 만질래 [3] 바다소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7 125 0
906976 이 꽃 옆구리에 달린거 먹어도 됨? [6] 681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192 0
906975 알리 고무나무 이거 총채인가 [1] 식갤러(58.29) 00:49 132 0
뉴스 정가은 이혼 후 택시 기사 취업...진상 손님 만나서 마음이 많이 상했다 디시트렌드 07.0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