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도갤러가 선택하고 추천한 번역본(2012.03.06까지) 1

진달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03.06 19:23:38
조회 20014 추천 12 댓글 2

오늘(2011.03.06)까지 올라온 도갤러의 댓글과 게시글을 참조하여 만든 번역도서 추천본입니다.
번역서 질문이나, 댓글이나 게시글을 모두 망라해서 작성된 목록입니다.
해당 도서에 관한 댓글을 읽어보시면 번역본 선택과 관련해서 고민하는 시간을
상당히 줄여줄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절대적인것은 아니니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요..


[1]
*1984 조지 오웰▶
☞뉴비 1984 출판사 별 번역비교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book&no=202949 112.145.***.*** 2012-01-20 18:48:16
☞1122 1984 을유,민음사,문학동네 번역비교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book&no=202851  112.145.***.*** 2012-01-20 08:16:32
※을유출판사 1984 출간(2012년 01월 20일, 권진아역)
-(나보코브) 민음사 추천^^*|203.227.***.***   2012.01.10 17:02  
-(ㅇㅇ) 둘다(동물농장,1984) 민음사 추천|121.181.***.***   2012.01.10 17:07  
-(ㄹ) 동물농장은 새로 나온 비채 김욱동역 추천. 민음사 동물농장 뒤에 에세이 하나 실려 있는데 그냥 <나는 왜 쓰는가> 책 따로 사라 민음도 괜찮고 문동 1984도 괜찮음 동물농장은 파리와런던의따라지인생 붙어 있고|119.64.***.***   2012.01.10 21:01  
-(ㅁㄴㅇ) 1984는 일단 문예는 피해라. 빅브라더 대형으로 번역되어있다.|118.37.***.***   2012.01.11 02:05  
-(가와나덴고) 보통 같은 책 출판사 별로 다 읽지안차놩ㅋ 나는 문동꺼 읽었는데 괜찮더랑ㅋ어차피 거기서 거긴듯 맘에 드는거 골라잡으랴   2011.11.29 15:32  
-(mesmerized) 난 문동꺼만 갖고있는데 괜찮음 
-(데이비듬흄) 1984는 영어고 워낙 번역이 많이되서 메이저 출판사 아무거나 봐도 될텐데 전 민음사판으로 읽었는데 돈 좀 가지고 계시면 문학동네 추천드려요 민음사판이 좀 보기 불편함   2011.10.04 22:37  
☞크로니클+ 본격 1984 민음, 문동, 열린책들, 문예 번역비교- 당신의 선택은? https://gall.dcinside.com/book/181092   2011-10-10 00:10:49
-(111111111111) 윗줄 오른쪽이 문학동네꺼임? 문장이 간결하고 눈에 잘 들어오네.
-(군제동) 음 난 왼쪽 아랫놈(열린책들)이 맘에 드네 ㅎㅎㅎ 근데 나머지 셋도 나쁘지 않다   가만 읽어보니까 왼쪽 위엣놈(민음사)이 약간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랑 잘 들어맞는거 같다 ㅋㅋ 처음 볼땐 제일 맘에 안들었는데 ㅋ   2011.10.10 00:31  
-(박처렁ㅇ) 윗줄 왼쪽(민음사)은 문장이 간략하긴 한데 너무 간략하다 싶음. 매끄러운 문장은 아닌거 같고, 윗줄 오른쪽(문학동네)은 그 반대로 문장이 난잡하네. 아랫줄 왼쪽(열린책들)이 젤 나은듯. 아랫줄 왼쪽이뭐임? 왼쪽아랫줄(열린책들) 글자배열보니까 열린책들같은데 의외구만   2011.10.10 00:31 
-(-) 이렇게 보니깐 신선하다! 난 민음사꺼랑 문동꺼 번역이 마음에 듬. 하지만 나머지 것도 나쁘진 않네. 문예꺼 증오 주간같은거 ()치고 표기해준거 좋다.
-(qewqew) 문예는 빅브라더가 대형으로 나온데ㅋㅋ 민음으로 봤는데 문동도 괜찮은거 가틈
-(강산노래방) 왜 팽귄 뺌? 난 팽귄~~ 
-(어둠에다크) 민음사나 열린책들껀 모르겠고 난 문예(지하생활자의 수기)껄로 읽었는데 상당히 좋았음 
-(레비) 그냥 민음사판 보시길..|180.231.***.***   2011.07.21 23:04  
-(창씨) 문학동네랑 민음사꺼 밖에 안 봤는데 두 권 다 막힘은 없었어여 택일 하자면 민음사|125.135.***.***   2011.07.21 23:06  
-(qewqew) 미늠사   2011.04.27 13:17  
-(구비꼬비) 1984 민음사 개츠비 문학동네 김영하 [힣힣]   2011.04.27 13:18  
-(꾸베) 개츠비 어떤횽은 민음사 추천하든데 문학동네가나어?   2011.04.27 13:23  
-(LUCY) 비슷한데 전 개츠비 민음사꺼 괜춘게 읽음   2011.04.27 13:26  
-(구비꼬비) 죄송 민음사 하세요. 제가 쓸데없이 참견했네요. [힣힣]   2011.04.27 13:27  
-(꾸베) 그럼 더 싼 민음사 하겟으   2011.04.27 13:27  
-(Icaruser) 1984는 민음사꺼 괜찮게 읽었어요   2011.04.19 00:18  
-(qewqew) 미늠사   2011.04.03 15:17  
-(마르멜라도프) ㄴ감사|218.147.***.***   2011.04.03 15:23  
-(오늘점심비냉) 민음사2   2011.04.03 16:25  
-(시발이다) 펭귄선호해서 펭귄했지만 보통 민음사읽음   2011.04.03 18:35  
-(제임스 개츠) 문예로 갖고 있는데 여기선 다들 민음사 추천하더라고요.|211.203.***.***   2011.03.20 05:55  
-(바탕) 문학동네, 민음사 가격 싸다|58.236.***.***   2011.03.20 08:50  
-(예수섹파) 민음사도 괜찮음   2011.03.20 11:18  
-(푸른꽃) 1984 민음사꺼 괜찮음, 물론 발번역도 많기로 소문난 민음사고, 나도 민음사 자주까는데 1984랑 카탈로니아 찬가는 꽤 잘 번역했음   2011.02.23 00:44  
-(ㅇㅇ) 민음사는 파리대왕 랑 몇개만 피해가면 괜차늠|115.22.***.***   2011.02.23 00:45  
-(ㄴ) 나는 펭귄으로 읽었는데 만족했음 표지도 멋져서 소장가치 업|211.48.***.***   2011.02.23 00:49  
-(Cynar) 민음사   2011.02.06 22:02  
-(호엔슈타우펜) 믿음사|125.132.***.***   2011.02.06 22:03  
-(ㄱㄹㅈ) 민음사. 근데 상관없음.|116.42.***.***   2011.02.06 22:05  
-(이리로(.EE)) 믿으세요 믿음사   2011.02.06 22:06  
-(책느님) 미친 민음사 덕후들ㅡㅡ 너네 그렇게 민음사만 숭배하면 어떡하냐 그러나 민음사|211.189.***.***   2011.02.06 22:07  
-(책느님) 사실 민음사 말고 다른데껄로 읽엇는데 민음사는 표지가 좋아서 민음사|211.189.***.***   2011.02.06 22:08  
-(ㅌㅌ) 책느님// 딴 거는 읽어보고 하는 소리냐? 문예꺼 보니 빅브라더가 대형으로 번역돼있더라 그냥 민음사 무난하다.|58.140.***.***   2011.02.06 22:35  
-(ㄴㅇㄹ) 펭귄클래식. 책 냄새도 좋고 표지도 이쁘고 가벼워요 무엇보다 책이 이쁩니다..... 민음사꺼랑 첫장만 비교해봤는데 민음사는 짧은 문장위주 펭귄은 그보다는 긴 문장|59.86.***.***   2011.02.06 22:50  
-(책느님) ㅌㅌ/ ㅇㅇ 나는 대형으로 번역된거 봤음 그래서 민음사 추천했잖아 뭐 어쩌라고 병진새끼야ㅡㅡ|211.189.***.***   2011.02.06 22:57  
-(ㅁ) 나는 펭귄으로 읽었는데 괜찮았음|222.106.***.***   2011.01.24 23:31  
-(사보타지) 민음사도 괜찮   2011.01.24 23:32  
-(호구) 믿음사 괜찮|116.33.***.***   2011.01.24 23:32  
-(a) 소장할거면 민음사 안추천|222.106.***.***   2011.01.24 23:36  
-(수수수지♥) 민음사병신아ㅗ   2011.01.24 23:44  
-('ㅁ'.) (펭귄클레식) 좋음   2010.11.26 20:36  
-(가오싱젠) 나 민음사로 봤는데..그냥 그랬음...   2010.11.26 21:09  
-(픠융픠융) 민음사가 무슨 최고임 ㅎㅎ   2010.11.26 21:55  
-(..) ㅇㅇ 저도 민음사로 읽었는데 번역 괜찮던데요? 술술 읽히던데..|115.138.***.***   2010.11.24 23:08  
-(민음사) 난 민음사껄로 봤는데 역시 민음사|175.113.***.***   2010.11.19 21:12  
-(ㅇ) 여기 검색해보면 나와요. 저도 그렇고 대부분 민음사 읽어보신거 같아요.|211.202.***.***   2010.11.19 21:19  
-(던힐) 1984 만큼은 민음사.. 하지만 문예사도 나쁘지 않음   2010.11.19 21:28  
-(가오싱젠) 나두 민음사....근데 펭귄도 한번 읽어보고 싶어..   2010.11.19 22:08  
-(ㅇㅇ) 민음사지요|112.148.***.***   2010.11.13 18:15  
-(PinkY : ♡) 나도 민음사로 읽음.. 괜찮더라..   2010.11.14 19:53  
-(드옹마) 문학동네 1984 번역 상당히 마음에 안드네..ㄷㄷ 학교에서 민음사 거로 반 즈음 읽다가, 하나 살려고 고른게 최신 판에, 표지 간지 돋는 문학동네걸로 샀는데, 번역이 너무 마음에 안든다. 민음사보다 더 직역을 중시한거 같은데 그 과정에서 어색한 문장이 존나 많네.. 으..양장으로 만원 주고 샀는데..ㅠ   59.8.***.*** 2010-09-08 19:26:40
-(닥트랭) 난 민음사꺼 봤음. 좋던데 매끈매끈하고|125.178.***.***   2010.08.18 12:11  
-(아는노래) 난 문예껄로 봤는데, 개정 3판이라서 다른것보다 믿음이 가드라.   2010.08.18 12:14  
-(ㄱㄹㅈ) 민음사|116.42.***.***   2010.08.18 12:17  
-(클로테르) 민음사꺼봤는데 막히는부분없이 잘 읽었음.   2010.08.18 15:03  
-(제이 개츠비) 나도 민음사꺼 ㅋㅋ 한 3번 읽었나 막힘도없고 심플하고 좋아   2010.08.27 11:07  
-(픠융픠융) 문예출판사   2011.01.04 15:54  
-(개낑낑) 1984 열린책들꺼 이상하다 번역 이상한듯 110.10.***.*** 2010-08-17 11:05:08
-(ㅁㅁㅇ)?? (열린책들) 뭐가이상한지;; 잘만 읽히던데|220.149.***.***   2010.08.18 09:28  
-(marvin) 얼마전에 친구한테 문학동네에서 나온 1984 선물로 줬었는데 무리없이 잘 읽었다고 하드라. 양장이랑 양장 아닌거 둘다 있었는데 양장 더 비싸서 양장 아닌 걸로 샀음 -_-|112.222.***.***   2010.08.12 09:32  
-(달과 6펜스) 민음사가 진리   2010.08.12 11:37  
-(아는노래) 난 문예출판사걸로 읽었는데 좋았음   2010.08.12 12:22  
-(Cynar) 민음사꺼   2010.04.13 22:44  
-(ㅇㄴㅁ) 횽이 미리보기로 문학동네, 민음사, 문예출판사 비교해 봤는데 민음사가 괜찮더라. 도대체 1984를 민음사 거만 읽어보고 민음사 번역 까는 인간들은 무슨 근거로 번역을 까는 건지 모르겠다.|218.156.***.***   2010.04.13 22:48  
Cynar 민음사.   2010.04.03 16:18  
-(OO) 민음사가 괜찮던데요.최신판으로는 문학동네도 나왔던데. 두 출판사 중 하나 골라서 읽어보세요.우연히 문학동네에서 나온 책 중에 가면의 고백이랑 숨그네 사서 보고 있는데 괜찮게 번역된 것 같았어요|118.45.***.***   2010.04.03 20:19  
-(시발이다) 대부분 평이 민음사가 좋다는거같은데   2010.04.04 18:15  
-(후잉) 난 민음사껄로 1984 읽었는데 번역 좋았던걸로 기억해. 문동껀 안 읽어봐서 모르겠음. 근데 민음사 디자인도 괜찮지 않아? 난 좋은데 *-_-*|121.134.***.***   2010.03.20 16:08  
-(지니랜드) 난 문학동네꺼가 잘 읽히던데|124.53.***.***   2010.03.21 01:03  
-(지농) 이번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에 1984 번역 왜이럼?? 쓰렉였음ㅇㅇ 2010-03-18 21:07:38
-(하이킥) 민음사판이 중간은 간다만 역자가 오웰의 문체를 확실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태서 한 번역이라 오리지널판보다 가독성 떨어짐. 그리고 오탈자 꽤 많음.|124.50.***.***   2010.01.29 19:00  
-(불만족) 민음사 읽어봤는데 딱히 문제될만한 구절은 안보였다.|220.87.***.***   2010.01.29 19:28  
-(책) 민음사판 별 문제없이 술술 읽히든데..|123.140.***.***   2010.01.29 20:13  
-(ㅁ) 문학동네껀 어떰? 번역가분이 나름 오웰 전문가이신듯한데|116.125.***.***   2010.01.29 20:13  
-(하이킥) 문학동네가 나음. 민음사보다|124.50.***.***   2010.01.29 22:42  
-(ㅇㅇ) 1984만큼은 민음사에서 번역 잘 했습니다. 굳이 더 돈쓰지말고 믿음사꺼 고르세요.|210.218.***.***   2009.10.09 15:14  
-(세르반테스) 난 민음사꺼 편집이 좀 맘에 안들더라 광활한 종이 위에 오밀조밀 모인 활자들 너무 세로로 길쭉해서|211.207.***.***   2009.10.09 15:37  
-(버스타운) 1984 민음사 꺼는 올해의 번역상 받은 걸로 아는데 말야. 난 열린책들판 민음사판 둘 다 있지만 판형 때문에 정작 열린책들 꺼만 손이 감..   2009.10.09 20:08  
-(아이노벗투) 민음사가 좋습니다 조지오웰은 민음사!|211.253.***.***   2009.02.06 09:12  
-(nas) 민음사추천|208.87.***.***   2009.02.06 14:05  
-(고승덬) 1984는 민음사 추천   2009.02.06 14:14  
-(푸라당) 1984 민음사로 봤었는데 괜찮았던것 같음   2008.08.30 17:20  
-(ㅋㅋ) 음... 민음사 본이 읽기 편하죠.. 동물농장이나 1984나 다 좋아요..|116.41.***.***   2008.08.30 22:22  
-(오후) 1984와 동물농장은 민음사본이 번역상도 받고 평판이 좋은걸로 알고있습니다. ^^|211.212.***.***   2008.09.01 12:36    -(Kin사이다) 동물농장은 민음사, 1984는 민음사만 봐서 잘 모르겠는데 민음사도 괜찮았음.   2008.07.11 18:50  
-(GIG) (열린책들)1984는 괜찮았습니다. 읽으면서 딱히 걸리는 부분은 없더라는 기억이 나네요. 다른책과는 비교안해봐서 상대적으로 좋은 번역인지는 잘 모르겠음   2008.02.02 13:43  
-(차라투스투라) 민음사판도 좋다고 하니 그것과 비교해보시면 좋을듯........|211.202.***.***   2008.02.02 14:51  
-(/) 민음사|218.147.***.***   2007.12.28 09:04  
-(앵) 난 민음사꺼 샀는데 우왕ㅋ굳ㅋ   2007.12.28 09:27  
-(최고는) 아무래도 학원사판.. 근데 절판돼서|210.223.***.***   2007.12.28 11:33  
-(ㄹㄹㄹㄹ) 저는 도서관에서 빌려 읽는지라 오래된 책은 낡아서 상태가 영.. 민음사껄로 읽었는데 괜찮던데.|211.221.***.***   2007.07.11 10:02  
음냐 번역하면 범우사. 조지오웰은 번역 따질정도로 어려운 문장은 아니니까 암꺼나 읽어.|221.142.***.***   2007.07.11 10:11   -(앵-) 그냥 민음사 ㄱ  2007.07.11 14:28
-(ㅅㄷㅅ) 1984 민음사로 봤는데 괜찮았어요|221.150.***.***  2007.10.07 09:02
-(ㅇㅇ) 난 그냥 둘다 민음사껄루 샀는데 괜찮턴데|59.28.***.***   2007.02.15 20:15  
-(1) 민음사|61.255.***.***   2007.02.15 21:49  
-(.) 둘다(동물농장,1984) 민음사 괜찮아요.|59.5.***.***   2007.02.17 19:32  
-(곶) 파리대왕은 도갤에서 번역 때문에 씹히는 거 많이 봤습니다. 1984는 저도 민음사로|211.208.***.***   2006.04.23 00:29  
-(~_~) 저도 1984 민음사꺼 봤는데 괜찮았어요~|221.150.***.***   2006.04.23 13:49  
-(으음~) 1984 민음사 괜찮지요.  |220.78.***.***   2006.04.23 21:26  
-(대략) 1984 의 경우 범우사, 학원사 두 종으로 읽어 봤음. 둘 다 괜찮았음. 조지 오웰 책은 여러 출판사에서 나온 것을 중구난방으로 봤는데, 어떤 출판사의 것이든 다 재미있게 잘 읽었던 것으로 기억되는 것으로 보아 번역하기 그렇게 까다로운 편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고... 파리 런던 방랑기가 가장 웃기고 재미있었고, 제국은 없다가 좀 썰렁한 면이 있었음. 카탈로니아 찬가는 르포타쥬라 그런지 저자의 유머와 슬픔 괴로움이 여과없이 드러나고 있어서 감정 이입이 꽤 잘 되었고. 말년의 동물 농장이나 1984 등은 흡인력이 굉장한 작품인데, 이렇게 묵직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부담없이 줄줄 읽을 수 있다는 것도 훌륭한 장점임. 일견 무척 건조하면서도 착착 감기는 박력있는 산문은 조지 오웰이나 잭 런던을 따를 자가 없는 듯.|203.237.***.***   2006.04.11 11:37  
-(그냥) 범우사는 비추. 한자어가 많습니다. 저는 학교에서 한자를 안배운 세대라서 그런지 읽을때 짜증나더군요. 앞뒤문장으로 유추하는것도 정도가 있지. 사전에도 없는 말도 많고. 중국어권소설도 아닌 영문학권소설인데 말입니다.|211.197.***.***   2006.04.11 11:39  
-(ㅎㅎ) 소햏 중학생 시절 범우사판으로 읽으면서 한자어가 많다는 것도 몰랐으니, 이건 소햏이 늙다리 세대라는 증거... 소햏의 경우 오히려 한자보다는 '신어' 쪽에 더 눈길이 가던데 다른 햏들은 어떠했는지 궁금하기도 / 전혀 다른 이야기로, 요즘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의 한자 실력에 꽤 놀랐음. 한자 공인 3 급은 기본이라고 하더이다. 대학가에서도 취업하려면 한자 공인 3급도 부족해서 2급은 따야 한다는 분위기이고. 중간에 한글 전용 운동을 벌이던 시절 학교 다닌 세대만 또 희생양이 되는 것인가 싶기도.|203.237.***.***   2006.04.11 11:45  
-(으음~) 민음사 괜찮더군요.|220.78.***.***   2006.04.11 17:53  
-(이자벨라) 문예출판사 추천|61.48.***.***   2006.04.11 18:24   
  

[ㄱ]
*고리오 영감/오노레 드 발자크
-(트간멋) 전 민음사걸로 봐쓴ㄴ데 불어는 꼬추만큼도 몰라서 그냥 음 그런가보다하고 재밌게 읽었어요 ㅎ하|118.32.***.***   2010.10.09 04:10  
-(ㅇ) 열린책들|59.22.***.***   2010.10.11 19:16
☞2323 고리오 영감 <민음사> <을유문화사> 번역비교  https://gall.dcinside.com/book/104514     2010-05-03 21:35:14
-(123) 야....레알 돋은게, 내가 고리오영감으로 얼토당토 않은 욕망의 삼각형 이용해서 교양 리포트도 썼었거든? 근데 본문 읽어봐도 전혀 기억이 없다. 책 읽어봤자 다 헛거야.ㅋㅋㅋ 음...민음사께 좀 더 수월하게 읽히는거 같은데? 호흡이 긴 번역은 개인적으로 읽기 힘들더라.|118.41.***.***   2010.05.03 22:04 
-(...) 민음사 것이 더 좋은 듯. 열린책들이 일부이긴 하지만 가장 이상한 듯.|121.163.***.***   2010.05.03 22:08  
-(ㅇㄴㅁ) 첫 번째 부분말야. 민음사는 하숙집에 30년동안 '젊은 사람'이 한 명도 들어오지 않았다고 썼어. 근데 을유문학사는 '젊은 여자'가 들어오지 않았다고 번역하고 있어. 민음사의 번역이 오류일 수 있는 게 외젠이라는 20대 남자가 이 하숙집에 살고 있거든. 그러니까 젊은 사람이 두 사람이나 살고 있는 거야. 열린책들은 단 한명도 없었다는 표현이 아니라 오류라곤 할 수 없지만..|218.157.***.***   2010.05.03 22:37  
-(나도) 민음사가 더 읽기좋다|124.195.***.***   2010.05.03 23:05  
-(로킴♥) 민음사가 더 쉽게 읽히는것같고, 이해도 더 잘 되는것같은데   2010.05.03 23:20  
-(세종) 열린책들이 가장 좋구만. 열린책들이 가장 좋은데, 왠지 을유문화사글은 뭔가 친근한.. 많이 본 투인데. 번역자가 번역 많이해서 나도 본게 있는 모양?   2010.05.04 00:14  
-(ㄱㅂ) 열린책이 제일 괜찮은 듯 한데 앞부분이지만..근데 민음사 쪽이 쉽게 읽히나 싶었는데 을유꺼 읽고 나면 민음사가 꺼 보다 을유게 내 취향인듯 이상하게 익숙한 느낌 ㅎㅎㅎㅎ|116.44.***.***   2010.05.04 12:22  
-(aaa) 민음사본은 구역(정음사 등등 옛날 전집판)을 대부분 베꼈다는(오역까지 고스란히) 혐의가 있다. 고리오 영감 번역에 관한 논문이 있어서 본 적이 있는데, 민음사본은 정말 양심 없는 경우다.|211.110.***.***   2010.05.04 14:58  
-(ㄹ) 열린책들이 가장 좋네|116.121.***.***   2010.05.04 20:33  
-(오억) 고리오...믿음사   2009.07.02 10:39   
  

*그후/나쓰메 소세키
-그후는 범우, 거장은 문지
*그리스인 조르바 카잔차키스 열린책들 이윤기
-(풀레로마) 열린책들   2012.01.30 01:09  
-(시베쿠) 이윤기 선생님꺼   2012.01.30 01:35   
 §김승옥은 문학동네
*그리스 신화는 숲 천병희
*가면의 고백 미시마유키오 문학동네

*거장과 마르가리따 미하일 불가꼬프,
-문학과지성사 김혜란(불가코프전공자 강추), 민음도 괜잖음(경어체를사용하여 적절하다는평)
-(저히푸무) 거장과 마르게리타 -> 문지 대산세계문학 총서껄로.   2012.01.27 12:18 
-(Ibsen) 난 거장은 문지, 세일즈맨은 민음
-(뭐어때) 거장은 문학과지성사가 좋습니다. 차선책으로 열린책들 거...문지 거는 주석이 책 뒤에 있고 열린 거는 페이지 밑에 있음. 
-(Classic) 난 민음사   2012.01.11 04:01  
-(Morning Calm) 문학과 지성사꺼  2012.01.11 04:11
-(...........) 문학과 지성사|59.187.***.***   2009.06.21 23:04  
-(♡) 민음   2011.10.27 12:06  
-(세종) 문예출판   2011.10.27 12:31  
-(큰바위) 내 선택은 민음사.|113.10.***.***   2011.10.27 12:51  
-(꼴봄썸데) 당연히 문지. 이건 진리다   2011.10.27 14:48  
-() 번역은 대충 비교해보니까 민음사가 짱이네. 가장 큰 차이는 볼란드가 경어체를 사용하느냐 아니냐의 차인데 이게 권력에 아부하고 득세한 모스크바의 귀족들과 또 자신들의 명성에 취해 진정한 문학적 본질을 잊고사는 그리보호예도프(?)의 작가들의 치부를 까발리고, 또 그들에게 창피를 주면서도 외적으로는 가장 초라할 수 밖에없는 거장과 마르가리타에게는 존경을 표하고 있다는게 중요해 어떻게 보면 저게 작품의 주제 중 하나고. 그런 이유에서 경어체로 번역한 민음사 번역자가 굉장히 잘한거같음 번역자 학력도 후덜덜하더라. 2011-10-05 23:03:01
-(JHALOFF) 민음사꺼는 모르겠고, 대산세계총서꺼가 번역자가 불가코프 전공임.   2011.10.05 23:06  
-(♡설리♡) ㄴ 대산은 경어체 아니던데 . 말투 이상해 민음사가 더 낫더라. 쨋든 님 이거 읽었다매 그니까 빨리 질문에 대답좀   2011.10.05 23:12  
-(박처렁ㅇ) 미늠번역가는 슬라브문학 박사학위네 ㅇㅇ . 인디애나대학쿄   2011.10.05 23:24  
-(정회계사) 저는 자연스러운 번역과 가독성을 고려하면 대산세계문학총서가 제일 좋았구요. 각주나 참고용으론 열린책들이 좋았습니다. 민음사는 그 중간정도이더군요.   2011.10.07 02:32  
-(♡설리♡) 아 맞아요 번역이 자연스럽진않음. 근데 그건 언어구조의 차이를 고려하면 어쩔수없다고생각해여. 전 자연스레 만들기위해 원문에 손대는걸 별로 안조아해서 ㅋㅋ   2011.10.08 16:23 
-(보트랭) 무조건 대산세계문학총서...|121.189.***.***   2009.06.21 23:14  
-(오억) 문예출판사   2009.06.22 08:38  
-(세종) 문예출판사(2) 열린책들은 모르겠고, 문예출판사판과 문지사판 어투가 많이 달라. 차이는 인터넷에서 목차만 봐도 알 수 있어.   2009.06.22 14:53  
-(............) 나 요즘에 문학과 지상사에서 나온 책으로 읽고 있는데 아놔 ㅅㅂ 이책 왜케 어렵냐 ㅡ,,ㅡ 어려워서 번역은 뭐라 말 못하겠지만 좀 이상하긴 한것 같아 그리고 주석이 페이지 밑에 있는게 아니라 뒤에 따로 적혀 있어서 볼대마다 불편해 그리고 책값도 존나 비싸 만팔천원 난 별루인것 같아 초반부터 읽다가 졸았써 무슨 예수가 어쩌구 저쩌구|58.76.***.***   2008.10.13 15:19  
-(xcxcv) 문학과 지성사 버전이 압도적으로 좋음.|59.22.***.***  2008.10.13 20:37
☞『거장과 마르가리타』 번역본에 대한 잡설   https://gall.dcinside.com/list.php?id=book&no=108402  
http://booksea.pe.kr/index.php/%EA%B1%B0%EC%9E%A5%EA%B3%BC_%EB%A7%88%EB%A5%B4%EA%B0%80%EB%A6%AC%ED%83%80#.EB.B2.88.EC.97.AD.EB.B3.B8
-(ㅈ) 나도 문학과 지성사에서 나온 걸 읽었는데 괜찮긴 했습니다만 주석을 뒤에 따로 묶어서 정리한 게 여간 불편한 게 아니더군요. 해당 페이지 밑에 나오는 걸 좋아하는데.. 본문 읽다가 뒤로 넘겨서 찾아보는 게 고역이었어요. 그것만 제외하면 단권으로 나온 것도 마음에 들고 디자인도 마음에 들고 번역도 마음에 들고..|116.121.***.***  2010.07.28 18:58
-(♡) 거장은 미늠이나문예, 세일즈맨의 죽음은 미늠   2011.12.17 14:34  
잔다르크형 난 둘다(거장,세일즈맨의죽음) 민음 [맛폰]   2011.12.17 14:39  
-(Ibsen) 난 거장은 문지, 세일즈맨은 민음|121.129.***.***   2011.12.17 15:21  
-(뭐어때) 거장은 문학과지성사가 ㅣ좋습니다. 차선책으로 열린책들 거...문지 거는 주석이 책 뒤에 있고 열린 거는 페이지 밑에 있음.   2011.12.17 16:03  

*구토 장 폴 사르트르
-(가릉빈가) 일단 문예는 토나온다 
-(레뽀) -(레뽀) 구토는 김희영 역이 제맛이죠. 김희영 역 학원사입니다. 외대 불문과 교수시고 롤랑바르트 사랑의 단상이랑 텍스트의 즐거움도 번역하셨죠.2012.01.19 23:45
-(데이비듬흄) 문예가 제일 유명하지않나? 나도 그거로 가지고있고.. 가장 최근에 번역된 하서판은 구리다고 하던데   2011.08.04 00:46  
-(글라인) 저도 문예출판사에 한표 던지겠습니다.   2011.08.04 00:48  
-(행인274) 2표가 나온이상 문예다 문예~!|125.132.***.***   2011.08.04 00:53  
-(유동닉) 나도 문예있는데 읽다가 피똥싸고 집어던졌다. 이건 해독이 불가능한 수준임   2011.08.04 11:44  
-(ㅊ) 번역이 마땅한게 없는거 같더라. 오래되서 기대는 전혀 안된다만.. 방곤 말고는... 뭐.. // 오래전에 나왔던 학원 세계문학에.. 김희영..이라는 외대 여자 교수가 번역한게 있었는데.. 그냥 느낌에 그게 나을지도 모르겠네..나도 헌책방에서 구경만 한거라. 정확하게는 모름. 학원 세계문학도 나름 쟁쟁했던 기획물. 헌책 사이트에서 이거저거 뒤져바라 .. 번역이 전혀 안된 작품들도 학원에서만 번역한것도 좀 있는거 같더라고.. 김희영 번역이.. 80년대 번역.. 방곤은 60년대? 70년대 번역일거다. 김희영은 지금은 늙었지만 구토 번역할때만 해도 30대 후반? 40대 초반의 젊은 교수였음|211.109.***.***   2009.11.17 22:18  
-(문제없어요) 헌책 뒤져서 봐야될정도로 급하진 않은데...지금 민음사쪽에서 번역계획같은것도 없는건가...? 범우사꺼가 그나마 세계문학전집 괜찮긴 한데 워낙 옛날 스타일에 딱딱한 문장이라...암튼 조언 감사  이런 그정도면 '그랬읍니다' 뭐 이런 말 쓸땐데...지금 감각으론 힘들지 않을까....   2009.11.17 22:20  
-(은둔) -.,-문예 꺼 좋대서 삿는데 능력이 부족하여 서재에서 잠을 청하고 있읍죠...   2009.11.17 23:59  
-(김중2) 구토은 번역이 문제가 아니라 철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없으면 못 읽음.|118.37.***.***   2009.11.18 05:52  
-(ㅁㄴㅇ) 김화영 아니냐??|59.186.***.***   2009.11.18 12:35  
-(전) 방곤역이 좋았습니다. 다른 역은 읽지 못했지만요. ㅠ.ㅠ|222.233.***.***   2009.11.18 18:02  
-(ㅜㅌㅇ) 김중2// 철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없다고 읽지 못하는건 아니지... 나도 고2땐가? 철학지식 별로 없을때 감명깊게 읽었었음. 대학 철학과와서 철학공부하고나서 읽으니까 그 소설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런게 보여서 새롭게 다가오는게 좋음.|121.144.***.***   2009.11.20 17:48  
-(에꼴듀시엘) 문예? 글쎄.. 비교하면서 읽진 않았으니.. ㅇㅅㅇ..   2008.12.20 14:13     
-(수면중독) 방곤 번역의 문예출판사.. 저도 그걸로 읽었네요.|219.241.***.***   2006.08.15 00:41  
-(무블) 방곤씨 번역 잘 했다고들 하고.. 저는 하서껄로 읽었는데 무리는 없었삼. // ㅇㅇ햏은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에서 로깡땡 분석을 함 쎄워보아요.|61.111.***.***   2006.08.15 03:44  
-(튀폰) 방곤의 역은 무리가 없고 부드럽다. 혜원 판은 거칠고 문맥에서 어색한 부분도 있지만, 기막히게 표현한 구절도 있다. 둘 다 구해보라. '구토'를 읽고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만약 읽는다면, 이 위대한 사상서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있음을, 그러나 소설서로서 조악한 모방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59.4.***.***   2006.08.15 09:05  
黑猫 문예출판사를 추천합니다. 번역이라는게, 마냥 완벽할 수 없는거지만, 윗분 말씀대로, 하서판과 비교했을 땐, 훨씬 부드럽게 읽히는 느낌입니다 :)|211.210.***.***   2006.08.15 13:52  
-(ㅁㄴㅇ) 문예출판사, 방곤 씨 번역이 좋으실 겝니다.|218.158.***.***   2005.08.10 13:48  
방슈야 제가 가지고 있는게 문예출판사, 방곤씨 번역본인데. 사실 에곤쉴레 때문에 선택했었다오 -.-|210.103.***.***   2005.08.10 17:52  
-(구토) 번역은 이해할 수준만 될 정도면 괜찮은 식의 문장 전개입니다. 저에겐 홍신출판사 보라색 책이 있습니다. GG치지말고 하루에 10페이지씩 꾸준히 보고 더듬어보세요. 정말 잘 썼습니다, 왜 당대에 장이 그렇게 인기가 많았는지 알 수 있어요~ (그러나 중2의 이해라는건 솔직히 거의 믿어지지 않는군요. 문장의 이해라면 모를까 뭐 진정으로 그러하셨다면 상관없습니다만,,,)|211.177.***.***   2005.05.19 15:48  
-(fluke) 저는 청목사것으로 읽었습니다. 나름대로 읽기에 괜찮았던듯 합니다..|61.41.***.***   2005.05.19 23:41  
-(^&*) 대표적 역자인 정명환,방곤 ,이휘영중에 이씨의 문체가 엄정하더이다. 오히려 [말]을 먼저 읽는것이 도움 될듯.. 구토에는 없는 상냥한 친절함이 있소|211.171.***.***   2005.05.20 00:01  



*과학혁명의 구조 김명자/까치(까치글방)

*군주론 마키아벨리 까치(강추)
-(Morning Calm) 까치 / 너랑 나의 좋은 날 ♡ from Android   2012.02.02 06:42  
-(ㅁㅇ) 까치꺼...그냥반이 군주론쪽 전문가임.|220.116.***.***   2012.02.02 11:29
-(asever) 군주론은 까치가 갑이라고 들었음여
-(ㅁㄴㅇㄹ) 역자 권혁(※돋을새김출판) 추천합니다.|112.163.***.***   2011.10.06 20:01  
-(LaCroqueta) 까치가 개념   2011.10.06 20:02  
-(원츄비어투) 군주론 개나소나 번역하는데 강정인 교수님(※까치판)이 가장 최고임. 정치철학전공이신데 번역도 오래도록 해오셔서 정말 좋음. 원문 정확성 뿐만아니라 문장도 자연스러움. 군주론을 여러권 읽어봤는데 강정인 교수 번역을 가장 추천함|1.224.***.***   2011.10.06 20:12  
-(살인범) 까치가 좋다고 들었음.|14.34.***.***   2011.04.16 16:54  
-(살인범) 까치가 좋음.....난 돋을새김으로 봤는데..ㅠ_ㅠ|211.171.***.***   2011.05.18 16:46  
-(6펜스) 까치글방 출판사가 가장 좋고 군주론 읽고 '체사레보르자 혹은 냉혹한 유혹'이나 체사레보르자평전 읽으면 종나 재밌음요|61.255.***.***   2011.02.18 11:15  
-(제임스 개츠) 까치|211.203.***.***   2011.02.18 11:23  
-(ㅁㄴㅇ) 까치글방 꺼|218.147.***.***   2010.09.12 18:10  
-(난) 돋을새김에서 나온거 봤는데, 추천하긴 좀 뭐하다. 왜냐하면 다른 출판사꺼는 읽어보지 않았거든. 나름 화려한 표지와 큼직한 그림들에 끌려서 샀는데, 개인적으로는 뭐라 흠잡을 데는 없었던걸로 기억..|222.237.***.***   2010.09.12 22:49  
-(디카이온) 까치글방에서 요번에 개역판 쩔게 나왔다 ⓑ   2010.04.26 02:19  
-(내구름) 강유원씨도 까치걸로 강의하던데|121.167.***.***   2009.04.25 20:53
-(을유) 을유문화사에서 나온 군주론 읽었는데 괜찬다|125.208.***.***   2008.11.23 20:57  
-(젤옴) 강정인 번역.|61.72.***.***   2008.11.23 21:27  
-(ㅇㄴ) 강정인 공역.|163.152.***.***   2008.11.23 21:58  
-(A) (까치글방 군주론은) 2판까지는 중역본, 3판부터 직역본. 또 다른 직역본으로 임명방 번역이 있지만 좋은 평을 받지 못함.|122.42.***.***   2008.09.14 23:23  

*꿈의 해석 : 열린책들
-(레뽀) 분명 김인순 역본이 최악인 것은 확실하지만 다른 어떤 번역본 보다 낫다는 것도 확실합니다.   2012.01.21 15:31  
-(ㅅㄱㄹ) 서울대것도 좋음|211.178.***.***   2011.12.28 00:59  
-(갈매기★) 프로이트전집 열린책들 [핡]   2011.12.01 15:26  
-(시날) 열린책들에서 프로이트전집   2011.11.27 15:05  
-(하루삼딸) open books|123.248.***.***   2011.11.07 17:01  
-(♡설리♡) 서울대학출판부   2011.11.07 18:46  
-(ㅁㄴㅇㄹ) 열린책들 프로이트 전집이 갑이지라~|124.61.***.***   2011.07.29 00:04  
-(I♡SULLI) 서울대학교 출판부로 읽어   2011.07.29 00:44  
-(ㅁㅁ) 꿈의 해석 돋을새김 출판사꺼는 편역이니까 참고해|122.32.***.***   2011.04.19 00:36  
-(Nymphet) 서울대학출판부. 근데 한자못하면 사지마   2011.04.19 20:50  
-(말랑이§) 열린책들ㅋ [말랑이]   2011.03.28 20:03  
-(야훼의장난) 프로이트는 열린책들 전집이지   2011.03.19 01:02  
-('ㅁ'.) 열린책들 이던가 거기에 시리즈로 나와있음..그거 보세여 괜춘   2010.09.05 15:08  
-(JHALOFF) 꿈의 해석은 열린 책들에서 나온 프로이트 전집 추천이요. 군주론은 그 홍익대 교수 분인가가 번역하신 거 추천하고요, 리바이어던은 최근에 완역본 나왔다고 들었습니다. (전 영역본으로 읽어서요.)|124.138.***.***   2010.03.18 11:33  
-(3,500원) 리바이어던1, 2 - 나남 / 국가론 - 한길사 / 꿈의해석 - 열린책들   2010.03.18 17:46  
-(날개달린망상) 군주론 돋을새김에서 나온거 봤는데 볼만함   2010.03.18 18:38 -(그게) (열린책들) 가장 무난한듯 싶네요.. 꿈의 해석은 2권인가 뺴고는 거의 축약본인듯|118.37.***.***   2010.02.14 10:51  
-(鬼) 열린책들   2008.04.09 23:04  
-(프로이드...) 동서문화사에 정신분석 입문, 꿈의 해석 합본으로 나와있어요... 그나저나 꿈의 해석 상당한 내공이 요구됩니다.|125.189.***.***   2008.04.10 00:14  
-(문명) 열린책들에서 프로이트 전집을 냈으니까 열린책들 추천.   2008.04.10 12:22  
-(111) 프로이트는 열린책들만 믿고 가자|121.175.***.***   2007.09.10 19:21  
-(문명) 열린책들에서 프로이트 전집이 나왔음.   2007.09.10 21:42  
-(.) 열린책들에서 프로이트 전집이 나왔으니까 열린책들이 괜찮은 것 같은데..|59.5.***.***   2007.04.19 19:50  

*골짜기의 백합 을유
§까뮈 김화영/책세상 전집
-(경험자) 민음사|113.10.***.***   2011.09.28 11:06  
-(막쓰는닉) 채세상 김화영역. 검색을 생활화 합시당.   2011.09.28 11:06  
-(알찬마루) 막쓰닌닉/형 김화영역 민음사가 2011년 최신인데 책세상판이 더 좋아??   2011.09.28 11:10  
-(ㄱㄴㄷㄹ) 엌 그러네 근데 난 책세상판으로 봄 ㅋㅋㅋ 똑같지 않겟냐 2011년 민음사 봐봐   2011.09.28 11:11  
-(막쓰는닉) 오미 개정판이 나왔당가 모르고 있었네 난 책세상 카뮈 전집 모으는 중이라.   2011.09.28 11:13  
-(보고타) 책세상 아님 민음사   2011.09.28 11:39  
-(ㅁㄴㅇㄹ) 김화영느님 역이면 암거나 상관없음민음사가 최신판이긴 한데 나도 책세상전집 모으는중   2011.09.28 12:00  
-(O5O5) 전집은 책세상 / 최신번역은 민음사 // 책세상엔 사르트르 해설 민음사엔 김화영 해설   2011.09.28 13:27  
-(Rommel) 책세상   2008.11.04 23:20  
-(고전콜렉션) 민음사도 괜춘함..|61.39.***.***   2008.11.04 23:29  
-(aa) 김화영 선생님 번역으로 보라능...|222.110.***.***   2008.11.04 23:33  
-(포제션) 책세상 강력 추천...   2008.11.05 00:54  
-(소루[笑淚]) 김화영 선생님 번역만 읽어봤지만, 사실 그리 좋은지 잘 모르겠더라. 이방인도 그랬고, 정의의 사람들 연극하면서 영역판이랑 비교하면서 읽어봤는데 글쎄...   2008.11.05 03:06  
-(apple) 까뮈는 김화영 선생님 번역으로 보는게 제맛 !|222.110.***.***   2008.10.27 22:51  
-(푸라당) 까뮈는 김화영 역만 믿고 갑시다.   2008.09.20 22:54  
-(츠미) 책세상   2008.09.21 00:11  
-(이자와) 불문학 번역의 본좌 김화영의 번역이 최고입니다. 책세상에서 알베르까뮈전집 6권으로 나와있습니다.그리고 알베르까뮈의 안과겉 도 함께 읽어보시면 아주 행복하실겁니다.|211.241.***.***   2006.02.22 15:17  
-(나두) 책세상꺼밖에 안읽었지만 좋더라.|211.54.***.***   2006.02.22 16:43  
-(제갈량) 알베르까뮈 전집에 나온 거. 흰 색바탕에 주황색 표지|59.3.***.***   2006.02.22 18:46  
-(무블) 책세상 까뮈 전집 좋아요. 뭣하나 버릴 거 없는 (물론 팬으로서) 명작들. 완전추천. 완전소중 김화영! +_+|58.226.***.***   2006.02.22 23:27  

*까라마조프 형제들
-(풀레로마) 그리고 범우사판이 부드럽게 읽히는데 김학수, 박형규 이런 어르신들은 일어판 번역이랑 비교해보면서 번역하기 때문에 훨씬 술술 읽히지. 그리고 민음사판이랑 범우사판이랑 굉장히 비슷하게 번역했는데, 만약 민음사판이 범우사판을 참고해서 번역했다고 한다면, 당연히 두 출판사 판이 비슷해지고 열린책들판 달라보이겠지.   2012.02.09 00:56  
-(ㅇㅇ) 누가 민음사 까씨네 형제들 가독성 나쁘다고 했음? 별다른 불편한 없이 읽고있는데...암튼 쩌는 듯 2012-02-02 13:08:55
-(앨런쇼어) 민음사 김연경 번역은 러시아 문장스타일의 긴문장을 나열해놔서 혼란스러움이 바로 가독성 난해로 이어진다. 그러나 김학수 범우사판은 우리문장 스타일로 바꿔서 훨씬 이해하기 쉽다. 문제는 김연경 번역가가 김학수 번역판을 고당때 읽고 자랐다는것, 그래서 차별화 하고 싶었다는데 아무래도 우리스타일로 이해하는데는 어려울수밖에 없다. 민음사판 후기 한번 앍어봐라. 김연경 번역가가 그렇게 말하고 있다.  2012.02.02 13:46
-(riro) 카라마는 최근에 나온 민음도 괜찮다 하던데여 ㅎ 쿠폰 할인은 잘..   2012.01.04 23:04  
-(ㅁㄴㅇㄹ) 열린책은 어떰???|121.135.***.***   2012.01.04 23:07  
-(2-riro) 것두 괜찮   2012.01.04 23:10  
-(새로토닌) 개인적으론 누멘 추천한다
-(패션왕)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읽으면서 번역의 중요성을 깨달았다...-_-  열린책들 번역가 이대우씨 걸로 읽고있는데 진짜 ...... 아..... 문장이 왜이렇게 꼬아놨지-_-;; 혹시나 해서 검색해봤는데 역시나..
☞http://blog.naver.com/poweryum?Redirect=Log&logNo=118047471 2011-09-12 16:16:31
-(N) 근데 저 글의 헛점은 원문 비교가 아니라 한글 판본 세 개만 비교햇다는 거야. 만약에 민음사판이 범우사판을 참조해서 번역했다면 둘이 비슷해질테고, 열린책들만 외로워지겠지. 
-(로지옹) 열린 가난한사람들은 좋던데.. 다시보니 석영중씨 번역ㅎㅎ [핡]   출판사탓이아닌가벼ㅎㅎ 빨간말대로 원전번역같은거야심차게시도하다가 한글이덜매끄러워지는역효과가나기도하는듯 [핡]   2011.09.12 16:26  
-(순대로만들어..) 저거 결론은 범우사 카라마조프가 갑이란건데 그게 절판이다 ㅋㅋ   2011.09.12 16:27  
-(ㅇ) 누멘에서 나온건 박형규 교수 번역인데 그건 빠졌네|119.64.***.***   2011.09.12 16:31  
-(ㅁㄴㅇㄹ) 석영중 번역은.. 내가 긴 건 아니고 단편 백야. 석영중 역 포함해서 한 3개 다 비교했는데.. 역시 석영중 역이 최고더라.|180.229.***.*** 
-(ㅇ) 범우|116.121.***.***   2011.08.02 18:34  
-(O5O5) 미늠 열린   2011.08.02 18:36  
-(살육맨) 민음사꺼 아닌가? 읽는데 불편함은 없는듯..|118.220.***.***   2011.06.05 19:48  
-(테나맥시) 까라마조프는 민음사가 괜찮음. 근데 도갤에선 열린책들로 읽어본 갤러들이 많을 듯   2011.04.07 14:44  
-(힐츠) 카라마는 민음사 열린책들   2011.05.27 15:37  
-(ㅇㅇ) 닥치고 민음사..열린책 비추..|1.177.***.***   2011.05.27 16:45  
-(흠헤헤) 참고로 내가 근래 서점가서 작년에 상하 분권되서 나온 카라마조프 누멘출판사 껄 읽어봤는데 진짜 뻥 안까고 줄간격이 없다. >_<;;; 줄간격 없는 거 보고 진짜 충격 꽤 받았었다. ㅎㅎ 참고로 누멘 껀 올초에 758페이지 1권짜리로 새로 나왔는데 죄와 벌의 전례를 보면 요것도 줄간격을 좀 여유있게 해서 새로 낸 거 같은데 그래도 보통 1000쪽이 넘은 카라마조프를 758쪽 1권으로 내는거면 여전히 책 읽는 데 줄이 꽤 빽빽할 수 밖에 없다는 건 감안해야 될 꺼 같다.   그리고 최근에 누멘에서 개정판으로 나온 나온 죄와 벌을 잠깐 펼쳐서 읽어봤는데 매끄럽게 읽히는 걸 선호하면 개인적으로 누멘 껄 추천해주고 싶을 정도로 진짜 매끄럽게 풀어놨더라. 물론 러시아어 원문 번역과 비교해 맞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2011.04.07 14:59
-카라마조프의 경우 내가 검색해서 보니깐 여기선 열린책들이 대세인 거 같긴 하다만 하지만 민음사가 훨씬 낫다는 의견도 여럿 봤다. 그리고 내가 네이년 블로그 검색해서 찾아보니깐 극히 일부긴 하지만 <번역에 한해선> 카라마조프도 그렇고 도끼 껀 범우사쪽에서 나온 거에 한해선 범우사쪽 추천하는 사람도 있더라. 그리고 백치나 악령같은 건 범우사껄 추천하는 갤러들도 여기서 봤고 이렇게 의견이 갈리니 결론은 그냥 아무거나 집어도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라고 말하는 나 역시 카라마조프 사게 되면 어디껄로 사야될까 아직 결정 못했음. ㅎㅎㅎ;;;  2011.03.30 11:50
-(cisa)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의 경우 열린책들껄 강력 추천은 못 하겠다. 내가 요즘 읽고 있는데 좀 불만임. 내글 검색하면 좀 나온다. 그렇다고 내가 민음사 판을 읽게 될 경우 과연 흠을 못 찾을까 이것도 장담 못 함. 아무튼 난 열린책들꺼 다 읽고 난 뒤에 민음사꺼도 구입해서 읽어 볼 생각이다.ㅋㅋㅋ   2011.03.30 13:42  
전태일 김연경 번역은 워낙 잡음이 많아서 열린이 안전빵   민음사는 김연경은 지 좃대로 번역해서 별로  2011.03.31 13:10
-([]) 열린책들   2011.02.18 17:18  
-(111111111111) 범우사.... 열린책들것도 욕먹던데, 민음사것도 역자의 문장이 안좋다는 평가고.|211.47.***.***   2011.02.18 17:30 
-(dsf) 민음사 좋음. 러문학 전공자들이 칭찬 많이 했고 열린책들은 너무 설명조라 별로임.|14.45.***.***   동서출판사 번역한 사람도 노어 전공자였던걸로 기억하는데 나쁘지는 않을지도|14.45.***.***   2011.02.18 17:37  
-(ㅋㅋ) 전공했다고 좋나 ㅋㅋ 열린책이나 범우사는 평생을 노어노문학을 연구한 사람들인데 열린책이나 범우사 둘중에 하나 사세요|222.232.***.***   2011.02.18 18:12  
-(돡돡) 난 민음사 거 보고 있는데 그 세계문학 전집에 속한 거 말야. 두꺼운 책인데도 그 형태다 보니까 (폭은 좁고 위아래로 긴) 책장 넘기기가 여간 불편한게 아니야ㅠ   2011.02.18 18:16  
-(11) 예전에 범우사랑 열린 책 중에서 어느 쪽의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 판본이 더 나은지 토론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다 범우사 쪽이 다 낫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원문 가져와서 대비하면서 열린 책 쪽이 더 정확한 번역이란 걸 설명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이 바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에서 까라마조프가의 사람들 번역한 사람이라고 하더라. 물론 직접 번역한 건 그 토론이 있은 뒤의 일이고|211.110.***.***   2011.02.18 18:40  
-(ㄴ) 열린챈들 ㄱ|222.106.***.***   2011.01.23 22:29  
-(ㅇㅇ) 하서 판 죄와벌도 괜찮다는데 도갤횽들은 열린책을 추천할덧|115.22.***.***   2011.01.23 22:29  
-(바냐) 도끼전집은 열린책들을 믿고 갑시다|183.101.***.***   2011.01.23 22:31  
-(책읽는까치) 열책 
-(열린책들판) 까라마조프 누가 번역 구리다고 했나 도서관에서 빌려서 러시아어 원문이랑 대조해 보는데 번역 죽이네 ㅡㅡ열린책들이 "원전번역주의"드립치길래 설마했더니 진짜네
-(노바야젬랴) 가독성은 어쩔지 모르겠다만, 번역 자체의 퀄리티는 상급임 3개 주요 판본(민음사,범우사,열린책들) 은 전부다 괜찮은 번역임. 많은 사람이 찬양하는 범우사는 가독성은 최상이지만 너무 풀어 썼다고 할까.. 도스토예프스키 본연의 문체가 조금 죽는 느낌이 있음.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쩔수 없이 원문의 맛이 훼손되지만 러시아 원전과 가장 가까운 건 열린책들 판본이라 할수있겠음 뭐 나도 러시아문학 전공자가 아니라 그냥 러시아어 읽을줄아는 사람이니.. 속단할수는 없음
-(asever) 지하수기 가난한사람들 죽음의집기록은 열린책들 사고, 카리마조프는 열린책들이랑 미늠 고민했는데 열린책들로 가야겠네여  
-(ㅁㄴㅇㄹ) [까라마조프네 형제들] 누구의 번역을 읽을 것인가 이걸로 검색하면 블로그 나옴.. 여기 보면 열린책들 까라마조프는 볼 가치도 없다는식이든데 러시아어 할줄아는사람이 얘기하니까 더 믿음이간다
-(asever) 얼마전에 어떤 러시아어 능력자형이 원문대조해봤는데 열린책들도 번역 잘해논거라고 함여 원문에 제일 충실했다고 하던가 그래서 가독성은 떨어져도 잘한번역이래여  
-(미래소년) 열린책들껀 평이 극과극이고 범우사가 무난하지않나
☞열린책들, 민음사, 범우사 3곳 비교한 글 http://blog.naver.com/poweryum?Redirect=Log&logNo=118047471



*걸리버여행기
-(데이비듬흄) 걸리버여행기는 그 국내 최초 완역본인가 띠지 달린거 거기 출판사 많이 구입합니다 2012.01.16 22:36
~주.걸리버여행기(국내 최초 무삭제 완역본)/문학수첩/신원철역
-(sil) 걸리버는 4부가 갑이제. 출판사는 몰라, 집에 있는 건 문학수첩이네, 최초 완역본인데, 따른 데서 개정 안했을라나?|112.214.***.*** 
-(헤카톰베) 시퍼런 껍닥으로 사라   2009.09.19 17:22  
-(내구름) 비교하면서 읽지는 않았는데, 해누리기획에서 나온거 이동진씨가 옮기고 괜찮던데, 잘 읽혔어|121.167.***.***   2009.09.19 23:00  
-(유령(鬼)) 그리고 걸리버는 많은 사람들이 서울대번역출판부로 본다.   2008.02.18 11:08  
-(-_-) 걸리버여행기는 문학수첩판만 믿고가자... 해누리판 문학수첩 둘다 집에 가지고 있지만....둘다 재미있는건확실하다만 조금더 재미있는건 문학수첩쪽이다. 210.221.***.*** 2007-03-12 19:31:12
-(러스머트) 문학수첩 오역많다던데..|220.125.***.***   2007.03.12 20:28  
-(야야) 걸리버 여행기는 서울대출판부에서 나온 것이 정본|203.236.***.***   2007.03.13 15:38  
-(1324) 서울대출판부 송낙헌 교수 역 추천|61.77.***.***   2010.05.18 19:11 
-(성행위) 해누리판이 제일 조씀미다 그림이 첨가되어서 안습|203.229.***.***   2007.02.07 22:50  
-(당근) 돈끼호떼 : 창비, 걸리버 여행기 : 서울대출판부|211.201.***.***   2006.01.14 04:02  
-(이자와) 당근의 의견에 한표. 대개가 그렇게 추천할걸요,|211.241.***.***   2006.01.14 04:17  
-(몬티) 나도 당근에 한표|211.186.***.***   2006.01.14 11:46  
-(흠) 문학수첩|211.223.***.***   2004.12.12 17:05  
-(gksrud) 서울대학교출판부, 송낙헌 교수 번역본|218.48.***.***   2004.12.12 17:14  
-(위에꺼 동감) 서울대학교출판부 동감|218.51.***.***   2004.12.13 10:40  
-(ㅇㅇ) 서울대학교출판부...전 그것밖에 안 봐서...^^;...아무튼 괜찮던데요...|203.231.***.***   2004.12.13 11:32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움직여라! 할인은 지금뿐! 스포츠레저 빅세일 운영자 25/07/28 - -
공지 [공지]도서갤러리가 선정한 이달의 도서, 추천 후보들 [85] 마이너스의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10 83934 85
공지 [공지] 도서갤러리가 추천하는 책들, 볼만한 링크들 [60] 메치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1 110782 111
공지 도서 갤러리 이용 안내 [127] 운영자 04.12.31 67178 23
766123 조선건국전~조선건국부터 태종이나 세종까지 도갤러(118.223) 07.29 11 0
766122 학점이 곧 권력”… 고교학점제, 강남 조폭이 설계했다 ㅇㅇ(122.34) 07.29 16 0
766120 최근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23 0
766119 .....신기허놐ㅋㅋ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31 0
766118 ...밤에 더울땐 [2]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43 1
766117 ......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38 0
766116 한 곡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32 0
766115 .....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38 0
766113 ...café 정체 [1] Max Dem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43 0
766112 일본 미스테리 추리소설 "가공범" 리뷰 보니 궁금해서 땡기네요. 도갤러(221.140) 07.27 33 0
766109 그리스 비극 이 지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172.224) 07.27 49 0
766105 한국과 '2+2협의' 펑크 낸 美재무… 공개 일정 없이 소셜미디어만 [1] ㅇㅇ(140.248) 07.27 40 0
766093 강력추천. 최근 본 책입니다 달타아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29 0
766086 장사폐업하고 며칠 전에 죽고싶다던 글쓴이입니다 ㅇㅇ(58.79) 07.26 35 0
766084 노자 도덕경 소감 [1] 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62 0
766081 자기전에 10~20분씩 읽을 책 추천좀 ㅇㅇ(14.36) 07.26 32 0
766077 문이과 통합 통섭 사이언스 첨단 학문 전공!U 도갤러(168.126) 07.26 20 1
766076 고 1인데 책 하나 읽으려면 두달이 넘게 걸릴 정도로 못해요 [2] 도갤러(49.170) 07.25 61 0
766072 민생쿠폰 쓸 서점좀 도갤러(221.145) 07.25 94 0
766069 외국인 친구들에게 책을 읽어주고싶은데요 도갤러(183.91) 07.25 24 0
766068 돈키호테도 그렇게 재미나지 않아 [1] 卵庭鼻汝(121.137) 07.25 55 0
766046 하이데거는 좀 그렇잖아? [12] 汝矣島(121.137) 07.22 100 0
766036 1984 민음사 ㄱㅊ한가요 도갤러(175.124) 07.21 66 0
766034 한국 성 가치관 안 바뀌면 극단 페미는 계속 강할것임 킹오브 파이터(1.219) 07.21 64 0
766018 잘 해보고 싶은 이성이 생기면 나윤권 콘서트 추천 [4]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88 0
765999 하쿠바산장 살인사건 줄거리 달타아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9 34 0
765985 탑 엘리트 명문생들의 워너비 스쿨 라이프!I 도갤러(168.126) 07.18 38 3
765976 평창동 좆두환 자택 테러 영상 [1] ㅇㅇ(121.128) 07.17 173 0
765960 막데=주사파 [5] 헤이샤(존존스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131 0
765956 교보문고엔 재고가 없는데 쿠팡에는 있는건 어떤 경우임? [1] 도갤러(125.180) 07.15 121 0
765953 7월 신간 탁석산의 서양철학사 이거 개쩐다 RP(211.246) 07.15 140 1
765952 녹슬핀.. 그녀가 도갤을 떠난지 어언 12년.. [1] 로만티스트(182.209) 07.15 151 2
765934 얼굴 뭐 같이 생겨갖고 정신병자 컨셉 잡는 ㅎㅌㅊ 양민들(대웅, 헤아샤) [1] 도갤러(220.87) 07.14 118 0
765922 책사면 세금감면 혜택 큼? ㅇㅇ(125.178) 07.13 59 0
765916 한국대학교 서울 제 1 대학 캠퍼스U 도갤러(168.126) 07.12 70 5
765903 블랙핑크 신곡 뛰어(jump)는 듣고서 갤질하나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195 2
765892 ???:우리가 여자들보다 논리적이다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96 0
765876 막데보다는 한동훈이 잘 생겼을듯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81 0
765873 부정선거에 대한 진영논리 특징)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9 93 0
765861 망갤에 정보글 ㅇㅇ(183.100) 07.07 95 0
765858 막데랑 식스랑 정치설전 하는 거 관전평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84 0
765856 안티페미가 권은비한테 환호하는 것을 보며 [2] 뻘글제조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270 0
765849 저렇게 살다가 지옥가는데 아직도 저러고 다니냐 [5] 헤이샤(존존스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7 189 0
765839 독서하는 사람들의 독서 천국 도갤러(168.126) 07.06 91 6
765832 빠다너스 카리나가 선물한 이책 먼가여 [1] 도갤러(218.54) 07.06 223 0
765825 약빨 머금고 뒈져버린 학폭피해자 출신 디씨 네임드 웅이 도갤러(220.87) 07.05 84 0
765815 독서 하는 현자들의 청춘 일지 도갤러(168.126) 07.04 95 8
뉴스 '혼성 듀엣' 태레, 30일 '아침마당' 출격! 디시트렌드 07.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