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로마제국의 진정한 대제( 大帝, The Great )는 과연 누구일까?

契來慕愛彛吐glamora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1.24 20:10:20
조회 2251 추천 0 댓글 19


underline.gif
디오클레티아누스의_로마제국_사분통치.jpg
viewimage.php?id=history&no=29bcc427b49d3fa762b3d3a70f9e2c34e317b27053d33e631d7eb4861ea508c2e874791e29c1c5b572745f44a422a7239b274809b426e82cf8b5fe30807a630995c1a2010efe0ea8042ce6dcb709576da05a7aa7&f_no=a64924aa1d16b547ba34165d9b3af4b13bedba542e95d7b16fa82840f1faab2ac0b56fd7faca02059681f0abbe990af6a75e78c61499196256
사전적인 의미에서의 대제( 大帝, The Great )란 \' 황제의 존칭 \'이라고 정의되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는 대제는 \' 보통 황제보다 위대한, 탁월한, 뽀대나는(...) 업적을 남긴 명군 황제 \'라고 정의할 수가 있겠다. 참고로 대제란 일반적인 존칭뿐만이 아니라 시호에도 사용되어 졌었으며 이렇게 시호로써 정해진 황제는 그 유명한 삼국지 인물인 오( 吳 )의 초대황제인 손권( 孫權: 222~252 )이 그 좋은 예라고도 할 수 있다. 저런, 잠시 샛길로 빠져들었다. 계속 진행해보자.

로마제국의 황제들은 기원전 27년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 때부터 시작하여 정확히는 고대 서방제국의 멸망인 기원후 476년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때까지 일부 공동황제, 대립황제, 참칭황제, 부황제들을 제외하고도 85명의 황제들( 하이켈하임의 로마사 - 부록 역대 로마 황제에서 참조. 단, 이 부록에도 마크리누스 2세 같은 공동황제가 누락되어 있거나 프로코피우스 같은 대립황제가 기재되어 있는 관계로 공식적인 황제 연표라고 칭하기에는 약간 미흡한 면이 있다. )이 존재하였다. 자,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황제들 가운데에서 \' 대제 \'로 꼽히는 자들은 과연 어떤 황제들이었을까? 한번 로마제국의 대제로써 칭해지는 인물들의 목록을 꼽아보기로 하자.

* 고대 로마제국의 대제

콘스탄티누스 1세( Constantinus Ⅰ: 310∼337 )
테오도시우스 1세( Theodosius Ⅰ: 379∼395 )
레오 1세( Leo Ⅰ: 457 ~ 474 )

......굳이 목록이라고도 말할 것도 없이 간략한, 어찌보면 썰렁하다고 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어찌하겠는가? 로마제국에서 인식되어 있는 대제가 저 위의 황제들이 전부인데. 대제의 목록들을 기대하면서 이 글을 열독하고 있었던 독자들에게 죄책감마저 느껴지는 바이다. 그렇다면 고대에 존재했었던 로마제국 이외에도 중세에 존재했었던 로마제국들, 즉 중세 동방제국인 비잔티움과 중세 서방제국인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들도 살펴보면 어떨까? 그럼 이번에는 중세 로마제국의 대제로써 칭해지는 인물들의 목록을 꼽아보기로 하겠다.

* 중세 로마제국의 대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JustinianusⅠ: 527∼565 )
카롤루스( Carolus: 800~814 )
오토 1세( Otto Ⅰ: 962∼973 )

......참으로 아까랑 막상막하라 아니할 수 없겠다. 뭐 독자들이 너그러이 허전함을 이해할 것이라 납득하고 필자 역시 똑같은 죄책감을 거듭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면서 계속 이야기를 진행나가자. 이렇게 고대 로마제국의 황제 84명에다가 중세 로마제국인 비잔티움의 황제 88명 및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52명을 더하였음에도 대제는 총 6명뿐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 대제의 업적은 무엇이었는가?

콘스탄티누스 1세는 잘 알다시피 분할되어 있던 제국을 통일하고 로마를 절대군주정의 제국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테오도시우스 1세는 뛰어난 무공으로 아드리아노플 패배로 인한 고트족의 위협을 종식시키고 대립황제들을 정벌함으로써 로마제국 최후의 통일군주가 되었고 레오 1세( 여기서 동방제국의 황제 레오는 대교황, 혹은 대제라고 칭하는 교황 레오 1세(440∼461)와 동명이인인데 역시 동시대인인 관계로 헷갈리는 점이 많다. )는 이민족 장군의 괴뢰로써 즉위하였으나 그 속박을 뿌리치고 동고트족을 진정시켰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너무도 잘 알려져 있듯 서방회복을 도모하여 지중해를 다시 로마의 호수로 만들었으며 카롤루스( 흔히 샤를마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라틴어로 하면 카롤루스 마그누스(magnus)로써 마그누스는 존칭일뿐이다. )는 서방제국을 부활시키고 그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으며 오토 1세는 재차 서방제국을 쇄신하여 일반적으로 신성로마제국의 초대 황제로써 잘 알려져 있다.

이 여섯 대제들의 업적에 관해서 아주 간단하게 언급하였는데 실상 자세히 본다면 역시 석연치 않은 점이 없잖아 있다. 앞에서는 대개 정치, 군사적 업적을 중심으로 소개하였지만 이러한 업적뿐만 아니라 기타 업적들도 고려해본다면 이 여섯 명의 황제들 말고도 여러 업적에서 떨어지지 않는 명군 황제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왜 하필 많고많은 황제들을 놔두고 저 여섯 명의 황제들은 무슨 기준에서 대제로 선정되었을까?

그 기준을 따져보자면 정치, 군사적 업적보다는 주로 종교적인 업적이라고 들겠다.( 이미 알아차렸다면 낭패 ) 이 종교적 업적들을 역시 간단히 꼽아본다면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를 공인하고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통 아타나시우스파를 승인하였으며 테오도시우스 1세도 정통파 신앙을 옹호함으로써 기독교를 국교로 선언, 다신교적 색채를 탄압하여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대제로 추앙받았고 레오 1세 역시 정통 신앙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그의 시대에는 황제즉위식이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에서 대관받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또한 정통 신자로써 서방회복을 위해 일시적이나마 서방기독교와의 관계를 개선시키고 다신교도들의 교육을 금지시키는 등 기독교를 정통 신앙으로 통일하려고 하였고 카롤루스와 오토는 잘알려져 있듯이 교황과의 동맹으로 인하여 서방제국에서의 중요한 황제가 되었다.

위에서 보았듯이 로마제국의 대제들의 기준은 기독교 관계에서의 업적, 정확히 언급한다면 정통 기독교 내지는 서방의 기독교인 천주교와의 관계이다. 선정된 대제들이 대부분 기독교공인에서 기독교의 구체적인 동서분립 때까지의 황제들인 점을 본다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동방제국은 동방기독교인 정교와의 차이점이 심화되는 기독교의 동서분립으로 인하여, 서방제국은 점차 대두된 교황과 황제의 경합으로 인하여 서방기독교인 천주교하고는 사이가 냉각되는 관계로 대제의 존칭을 받는 황제들은 없었다. 기독교공인 이전의 다신교적 황제들에 대해서는 두말할 필요도 없다. 물론 종교적인 면모와 함께 앞에서 들었던 정치, 군사적 업적 등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후에도 노서아의 표트르 대제 같은 대제의 존칭들은 등장하지만 이는 로마제국의 계승성보다는 독립 강국의 명군주에 더 중점이 주어진 바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려 한다.

그렇다면 기독교 이전의 로마황제들은 너무 억울하지 않겠는가? 종교적 문제 하나 때문에 명군의 칭호를 받지 못하게 된다니? 다행히도 기독교 이전의 명군들을 꼽아본 기술이 있는데 그 저술자는 바로 율리아누스 황제이다.( 율리아누스는 비록 기독교 시대의 인물이지만 다신교적 복고를 주창하였으므로 그가 꼽은 명군주들은 기독교 이전 명군주들의 인식에 관해서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인 셈이다. ) 그의 철학적 우화인 황제향연에서는 로마황제들 중에서 명군 후보들이 거명되는데 그 주인공들은 바로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트라야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콘스탄티누스 1세 등, 그리고 사족을 붙이자면 로물루스와 알렉산더도 들어간다. 이 평가를 보면 다신교적 평가가 기독교적 평가보다 대략 일반적으로 알려진 로마의 명군 평가와 유사하다는 점이 신선하다고 할 것이다.

앞에서 꼽은 명군 후보들 가운데 율리아누스가 황제향연에서 높이 평가한 명군주는 바로 철학자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였는데 율리아누스가 전직이 철학자였다는 걸 감안한다면 가히 그다운 평가였다고 하겠다. 이리하여 본 장에서는 기독교적 내지는 다신교적 사고관으로 본 로마제국의 대제, 명군에 관하여 논해 보았다. 그렇다면 과연 독자들이 평가하는 로마제국의 명군은 누구인가? 누가 진정으로 대제의 존칭을 받을 자격이 있을까? 아래에 있는 고대, 중세 로마제국 황제들의 목록을 보면서 생각해보기로 하자. 그럼 독자들의 많은 답변 바라면서 이상으로 마칠까 한다. 많은 박수 부탁한다.

<로마 왕정>
로물루스 Romulus.........................................753-717
누마 폼필리우스 Numa Pompilius.....................................717-673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Tullus Hostilius...................................673-641
안쿠스 마르티우스 Ancus Martius......................................641-616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Tarquinius Priscus.................................616-579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Servius Tullius....................................579-534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Lucius Tarquinius Superbus.........................534-509 B.C
<로마 공화정.................509-27>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에 의해 왕정 폐지하고 공화정 수립. 이후 과두정치
제2차 포에니전쟁에서 카르타고의 한니발을 물리친 장군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Publius Cornelius Scipio가 아프리카누스의 칭호를 받고 대체로 BC 202년부터 BC 187년까지 사실상 군림.
이후 기원전 2세기 말에는 가이우스 마리우스 Gaius Marius, 기원전 1세기 초에는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Lucius Cornelius Sulla가 기원전 79년까지 10여년간 독재.
기원전 60년부터는 폼페이우스, 카이사르, 크라수스의 3두 독재 정치 시작.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 Julius Caesar가 일인 독재를 시작하나 기원전 44년에 피살.
옥타비아누스, 안토니우스, 레피투스에 의해 제2차 삼두정치 시작. 기원전 31년에 옥타비아누스가 안토니우스-클레오파트라 연합군을 악티움 해상에서 격파하여 안토니우스 몰락.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는 원로원으로부터 존엄한 자(아우구스투스)의 칭호를 받음. 기원전 27년부터 로마제정 시작
<로마 제정>
JULIO-CLAUDIAN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Augustus....................................27 B.C-14 A.D
티베리우스 1세 Tiberius I......................................14-37
가이우스 칼리굴라 Gaius Caligula..................................37-41
클라우디우스 1세 Claudius I......................................41-54
네로 Nero............................................54-68
"The Long Year" (길고 긴 해)
갈바 Galba...........................................68-69
오토 Otho...............................................69
비텔리우스 Vitellius..........................................69
FLAVIAN (플라비누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Vespasian.......................................69-79 with...
티투스 Titus...........................................73-81
도미티아누스 Domitian........................................81-96
ANTONINE (5현제 시대)
네르바 Nerva...........................................96-98
트라야누스 Trajan..........................................98-117
하드리아누스 Hadrian........................................117-138
안토니누스 피우스 Antoninus Pius.................................138-16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Marcus Aurelius................................161-180 with...
베루스 Verus..........................................161-168 and then...
코모두스 Commodus.......................................176-192
"Praetorian" (근위군 출신 황제들)
헬비우스 페르티낙스 Helvius Pertinax.........................Jan.-Apr. 193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Didius Julianus....................................193
SEVERI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Septimus Severus...............................193-211 with...
클로디우스 Clodius........................................193-197 and then...
카라칼라 Caracalla......................................198-217 and also...
게타 Geta...........................................209-212
MACRINE (마크리누스 왕조)
마크리누스 1세 Macrinus I.....................................217-218 with...
마크리누스 2세 Macrinus II Junior.................................218
SEVERI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Elagabalus.....................................218-222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Severus Alexander..............................222-235
"The Barracks Emperors"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Maximinus......................................235-238
고르디아누스 1세 Gordian I..........................................238 with...
고르디아누스 2세 Gordian II.........................................238
푸피에누스 Pupienus...........................................238 with...
발비누스 Balbinus...........................................238
고르디아누스 3세 Gordian III....................................238-244
필리포스 1세 아라비쿠스 Philip I Arabicus..............................244-249 with...
필리포스 2세 Philip II Junior...............................247-249
데키우스 Decius.........................................249-251
갈루스 Gallus.........................................251-253
발레리아누스 Valerianus.....................................253-260 with...
갈리에누스 Gallienus......................................253-268 and...
어린 발레리아누스 Valerianus Junior..............................258-268
클라우디우스 2세 Claudius II Goth-Slayer........................268-270
퀸틸루스 Quintillus.........................................270
아우렐리아누스 Aurelian.......................................270-275
타키투스 Tacitus........................................275-276
플로리아누스 Florian.................................July-Sept. 276
프로부스 Probus.........................................276-282
CARIAN (카리누스 왕조)
카루스 Carus..........................................282-283 with...
카리누스 Carinus........................................282-284 and...
누메리아누스 Numerian.......................................282-284
DIOCLETIAN (디오클레티아누스 왕조)
디오클레티니아누스 Diocletian (Augustus - 동제)...................284-305 d. 313/8 with...
막시미아누스 1세 Maximianus I (Augustus - 서제).................285-305 with...
갈레리우스 Galerius (Augustus - 동제).....................305-311 with...
콘스탄티우스 1세 클로루즈 Constantius I Chlorus (Augustus - 서제)........305-306 with...
콘스탄티누스 1세 Constantine I the Great (Augustus).............306-337 and...
막시미아누스 1세 Maximianus I (복위) (찬탈자 - 로마)...........306-308 d. 310: and...
막센티우스 Maxentius (찬탈자 - 로마).....................306-312 and...
리키니우스 Licinius (Augustus - 동제).....................311-324 with...
콘스탄티우스 2세 Constantius II (Augustus - 동제)...............337-361 with...
콘스탄티누스 2세 Constantine II (Augustus - 서제)...........337-340 and...
콘스탄스 Constans (Augustus -340년까지 중부, 이후 서부 황제).337-350 then...
네포티아누스 Nepotianus.........................................350 and...
갈루스 Gallus.........................................350-354
율리아누스 Julian the Apostate............................361-363
요비아누스 Jovian.........................................363-364
VALENTINIAN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Valentinian I (서제)...........................364-375 with...
발렌스 Valens (동제)..................................364-378 with...
그라티아누스 Gratian (서제).................................375-383 with...
테오도시우스 1세 Theodosius I (동제)............................379-395 with...
막시미누스 2세 Maximinus II (서제)............................383-387 and...
발렌티니아누스 2세 Valentinian II (중앙)..............383-387, 388-392 then...
에우게니우스 Eugenius (서제)................................392-394
<서로마 제국>
호노리우스 Honorius.......................................395-423 with...
요하네스 John...........................................423-425
발렌티니아누스 3세 Valentinian III................................425-455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Petronius Maximus..................................455
아비투스 Avitus.........................................455-456
(공백기...........456-457)
마요리아누스 Majorian.......................................457-461
리비우스 세베루스 Libius Severus.................................461-465
(공백기..............465-467)
안테미우스 Anthemius......................................467-472
올리브리우스 Olybrius...........................................472
(공백기.........472-473)
글리케리우스 Glycerius..........................................473
율리우스 네포스 Julius Nepos (달마티아에서만 황제노릇을 하다 475-80)........473-480 opposed by...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Romulus Augustulus.............................475-476 d. ? : note also...
<비잔틴 제국>
아르카디우스 Arcadius.......................................395-408
테오도시우스 2세 Theodosius II..................................408-450
풀체리아 Pulcheria (여황제)................................450-453 with...
마르키아누스 Marcian........................................450-457
레온 1세 Leo I..........................................457-474
레온 2세 Leo II.............................................474
제논 Zeno...........................................474-476 d. 491
바실리스쿠스 Basiliscus.....................................476-477
제논 Zeno (복위)................................477-491
아리아드네 Ariadne (여황제)......................................491
아나스타시우스 1세 Anastasius I...................................491-518
JUSTIAN (유스티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Justin I.......................................518-527
유스티니아누스 1세 Justinian I the Great..........................527-565
유스티누스 2세 Justin II......................................565-578
TIBERIAN (티베리우스 왕조)
티베리우스 2세 Tiberius II....................................578-582
CAPPADOCIAN (카파도키아 왕조)
마우리케스 Maurice........................................582-602 with...
테오도시우스 3세 Theodosius III.................................590-602
THRACIAN (트라키아 왕조)
포카스 Phocas.........................................602-610
HERACLIAN (헤라클리우스 왕조)
헤라클리우스 Heraclius......................................610-641
헤라클로나스 Heraclonas.........................................641 with...
콘스탄티누스 3세 Constantine III....................................641
콘스탄스 2세 Constans II....................................641-668
콘스탄티누스 4세 Constantine IV.................................668-685
유스티니아누스 2세 Justinian II Cut-nose..........................685-695 d. 711
LEONTIAN (레온티우스 왕조)
레온티우스 Leontius.......................................695-698
APSIMAR (아프시마르 왕조)
티베리우스 3세 Tiberius III...................................698-705
HERACLIAN (헤라클리우스 왕조)
유스티니아누스 2세 Justinian II Cut-nose (복위)...............705-711
BARDANES (바르다네스 왕조)
필리피쿠스 Philippicus....................................711-713
ARTEMIAN (아르테미아 왕조)
아나스타시우스 2세 Anastasius II..................................713-715 d. 721
THEODOSIAN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3세 Theodosius III.................................715-717
ISAURIAN (이사우리아 왕조)
레온 3세 Leo III........................................717-741
콘스탄티누스 5세 Constantine V..................................741-775
레온 4세 Leo IV the Khazar..............................775-780
이레네 Irene (여황제)....................................780-790 d. 803 with...
콘스탄티누스 6세 Constantine VI.................................780-797 with...
이레네 Irene (여황제) (복위)........................792-802 d. 803
PISIDIAN (피시디아누스 왕조)
니케포루스 1세 Nicephorus I...................................802-811
스타우라키우스 Stauracius.........................................811
RANGABE (란가베 왕조)
미카일 1세 Michael I......................................811-813
ARMENIA (아르메니아 왕조)
레온 5세 Leo V..........................................813-820
PHRYGIA (프리기아 왕조)
미카일 2세 Michael II.....................................820-829
테오필루스 Theophilus.....................................829-842
미카일 3세 Michael III....................................842-867 with...
MACEDON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우스 1세 Basil I........................................866-886
레온 6세 Leo VI.........................................886-912
콘스탄티누스 7세 Constantine VII................................913-959 with...
로마누스 1세 Romanus I......................................919-944
로마누스 2세 Romanus II.....................................959-963
PHOKAS (포카스 왕조)
니케포루스 2세 Nicephorus II..................................963-969
TZIMISCES (치미스케스 왕조)
요하네스 1세 John I.........................................969-976
MACEDON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우스 2세 Basil II Bulgar-Slayer.........................976-1025 with...
콘스탄티누스 8세 Constantine VIII...............................976-1028
로마누스 3세 Romanus III...................................1028-1034
PAPHLAGON (파플라고스 왕조)
미카일 4세 Michael IV....................................1034-1041
미카일 5세 Michael V.....................................1041-1042
테오도라 Theodora (여황제).....................................1042 d. 1056 with...
조에 Zoe (여황제)..........................................1042
콘스탄티누스 9세 Constantine IX................................1042-1055
테오도라 Theodora (여황제) (복위)....................1055-1056
STRATIOTICUS (스트라티오티쿠스 왕조)
미카일 6세 Michael VI....................................1056-1057
COMNENUS (콤네노스 왕조)
이사아키우스 1세 Isaac I.......................................1057-1059 d. 1061
DUKAS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0세 Constantine X.................................1059-1067
DALASSENA (달라세나 왕조)
에우도키아 Eudocia (여황제)......................................1067
DIOGENES (디오게네스 왕조)
로마누스 5세 Romanus V.....................................1067-1071
DUKAS (두카스 왕조)
미카일 7세 파라피나케스 Michael VII Parapinaces.......................1071-1078 d. 1078
BOTANEIATES (보타네이아테스 왕조)
니케포루스 3세 Nicephorus III................................1078-1081 d. c. 1082
COMNENUS (콤네노스 왕조)
알렉시우스 1세 Alexius I.....................................1081-1118
요하네스 2세 John II.......................................1118-1143
마누엘 1세 Manuel I......................................1143-1180
알렉시우스 2세 Alexius II....................................1180-1183
안드로니쿠스 1세 Andronicus I..................................1183-1185
ANGELUS (안겔루스 왕조)
이사아키우스 2세 Isaac II......................................1185-1195 d. 1204
알렉시우스 3세 Alexius III...................................1195-1203
이사아키우스 2세 Isaac II (복위)...........................1203-1204 with...
알렉시우스 4세 Alexius IV....................................1203-1204
DUKAS (두카스 왕조)
알렉시우스 5세 Alexius V..........................................1204
<베네치아 수장 엔리코 단돌로와 십자군에 콘스탄티노플 점령.......1204-1261>
PALEOLOGUS (팔라이올로구스 왕조)
미카일 8세 Michael VIII..................................1261-1282
안드로니쿠스 2세 Andronicus II.................................1282-1328 d. 1332 with...
미카일 9세 Michael IX....................................1295-1320 and then...
안드로니쿠스 3세 Andronicus III................................1325-1341
요하네스 5세 John V........................................1341-1376 d. 1391 with...
CANTACUZENE (칸타쿠제네 왕조)
요하네스 6세 John VI.......................................1347-1354
PALEOLOGUS (팔라이올로구스 왕조)
안드로니쿠스 4세 Andronicus IV.................................1376-1379
요하네스 5세 John V (복위).............................1379-1390 d. 1391
요하네스 7세 John VII...........................................1390
요하네스 5세 John V (복위)..........................1390-1391
마누엘 2세 Manuel II.....................................1391-1425 with...
요하네스 8세 John VIII.....................................1421-1448
콘스탄티누스 11세 Constantine XI the Last.......................1448-1453
                              BJECT </OBJECT>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공지 역사 갤러리 이용 안내 [208] 운영자 11.08.24 85740 191
공지 질문은 Q&A게시판에 해주시기 바랍니다. [208] 운영자 04.09.20 121462 93
2286998 조선건국전~조선건국부터 태종이나 세종까지 [1] 역갤러(118.223) 07.29 18 0
2286997 또 전라도가 몰려 오나? 역갤러(39.118) 07.29 15 0
2286995 황본 역갤러(115.138) 07.29 34 0
2286994 정보 역갤러(115.138) 07.29 26 0
2286990 퇴근길에 할머니집 들려서 민생지원금 받아옴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8 40 0
2286989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갤러리 대피소 인조이재팬 갤러리 소개 합니다 [1] 역갤러(183.106) 07.28 50 0
2286988 인조이재팬 갤러리로 오세요 ~ ! 역갤러(180.147) 07.28 32 0
2286987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갤러리 이전 합니다 역갤러(180.147) 07.28 32 0
2286986 지들이 롤갤러(106.101) 07.28 34 0
2286985 지금도 중국 일본은 [1] 역갤러(106.101) 07.28 51 0
2286984 중국 일본은 역갤러(106.101) 07.28 30 0
2286983 중국 일본이 역갤러(106.101) 07.28 35 0
2286982 일본 vs 중국 vs 조선 누가 가장 나쁜걸까? [1] 역갤러(115.135) 07.27 79 2
2286981 국부 이승만을 보면 지금의 우파가 보임. 탱크 한대만 지원 역갤러(118.235) 07.27 61 0
2286980 민생지원금 뿌리는게 물가상승이랑 상관없는 이유 (팩트체크) [2]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87 0
2286979 재벌해체가 답인 이유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7 70 0
2286978 신작 무협게임 경공..jpg [3] 스타포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55 0
2286977 문이과 통합 통섭 사이언스 첨단 학문 영역!= [1] 역갤러(168.126) 07.26 94 1
2286976 고려사 조선사는 한민족이 조선족에게 지배당한 역사다 ㅇㅇ(203.81) 07.26 53 0
2286975 제국이 멸망하거나 국가 전복사태, 무신정변 또는 쿠테타 이후 멸족하는거 역갤러(47.149) 07.26 56 0
2286974 장사폐업하고 며칠 전에 죽고싶다던 글쓴이입니다 ㅇㅇ(58.79) 07.26 35 0
2286972 민생지원금 안뿌려도 어차피 물가는 오름 [1]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59 0
2286971 민생지원금 사용기준 더 제한햇어야함 [3]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80 1
2286970 고대 요동이 요하 동쪽인 지금의 요동이라는 주장은 사이비 역사 수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54 0
2286969 위만조선 ( 낙랑군 )이 대동강 평양이라는 주장은 사이비 수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6 55 0
2286968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역사왜곡 하고있는게 있어?? [1] 역갤러(110.15) 07.26 62 0
2286967 삼국대륙설 주장하는 사람한테 궁금한거 2 [1] 역갤러(59.22) 07.25 79 2
2286965 냉전에대해 궁금한데 영상이나 강의 추천좀 역갤러(14.33) 07.25 43 0
2286964 ┌ 이유는 국가전략기술 이전 요구임. [2] 역갤러(39.118) 07.25 71 0
2286963 미국시장 포기: 반도체, 전기차... 투자 중단&철수 역갤러(39.118) 07.25 62 0
2286960 관세협상 잘 안되도 한국은 손해볼게 없음 [2]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5 97 0
2286959 역대 장기독재한 독재자들 모음 역갤러(58.226) 07.25 87 0
2286956 요즘 가정교육은 유료인가요? 역갤러(125.132) 07.24 130 0
2286955 일본 이세신궁(伊勢神宮)에 모셔져 있는 신(神) 가라카미(韓神) [1] 역갤러(1.233) 07.24 104 1
2286953 삼국지 위서동이전의 낙랑군 부여 마한 고구려 위치고찰(고조선 열국 지도) 수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79 0
2286952 대륙 삼국설의 실체(중국 고대사서, 삼국사기, 일본서기 교차검증) [2] 수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127 0
2286951 100년전 신문기사도 텍스트로 만드는 근대뉴스 새벽에글쓰다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62 0
2286950 택시 업계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의문임 (궁금증) [1]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4 97 0
2286949 대마도 회수 하는 듯. 굳 [2] 역갤러(39.118) 07.24 113 0
2286948 (예수회 + 통일교 + cia) ㅡ> 국힘당 [2] 역갤러(39.118) 07.23 122 0
2286947 기후 변화로 요하 문명은 동/서로 남하 하는데 [2] 역갤러(39.118) 07.23 95 0
2286946 응 발해 [6] 역갤러(39.118) 07.23 119 0
2286945 화하족 역갤러(39.118) 07.23 57 0
2286944 삼국대륙설 주장하는 사람한테 궁금한게 있음 [7] 역갤러(59.22) 07.23 110 1
2286943 2025.7 일.총선에서 급부상한 '참정당' 역갤러(39.118) 07.23 72 0
2286942 ┌ 국민 力 역갤러(39.118) 07.23 147 0
2286941 아래 도쿠가와 글의 결론에 통일교 섬멸 주장했잔아 [2] 역갤러(39.118) 07.23 139 0
2286940 군주온라인매크로 군주온라인오토 군주오토사냥 군주매크로 군주온라인자동사냥 군주151(121.170) 07.23 51 0
뉴스 '혼성 듀엣' 태레, 30일 '아침마당' 출격! 디시트렌드 07.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