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블마 초급,중급 강좌

워크xp게시물(121.53) 2008.11.10 19:24:27
조회 7671 추천 0 댓글 3


워크래프트 xp 의 글입니다


작성자  블레이드씰







-초급-



가끔은 초심으로 돌아가서 기초적인 것 부터 한번 알아보잣! 이란 생각으로 한번 그을 올려봅니다. 전략연구실과 병행해서 올리니까... 참고해 주시면 좋겠내요.

[호드 치프의 충실한 경호원. 보이지 않는 예리한 검날 블레이드마스터!]

<머릿말>

우선 블레이드 마스터란 영웅에 대해 알아보면 민첩 영웅으로서 낮은 체력과 높은 방어력 편차가 심한 공격력(민뎀과 멕뎀의 차가 좀.. 심하죠.)을 가지고 있는 영웅입니다. 스킬로는 원드워크, 미러 이미지, 크리티컬 스트라이크, 블레이드 스톰을 사용하고 민첩영웅 답지 않게 지능도 높은 편이라 마나통도 대부분의 상황에선 별로 딸리는걸 느끼지 못할 정도로 충분한 편입니다.

우선 스킬 설명은 페스. 프쓰 공식 홈피나 XP의 가이드에 가보시면 충실한 설명이 나와있으니 굳이 말할 필요가 없겠지요. 지금 부터 설명해볼것은 블마의 활용에 대한 기초강좌로서 1부 스킬의 활용 2부 운영 3부 컨트롤 로서 한번 해보겠습니다.

<블마의 스킬은 이럴때 활용하자!>

1. 윈드워크

윈드워크는 마나를 75 소비하며 이속을 올리고 40/70/100의 "추가" 대미지를 주는 스킬입니다. 추가 대미지이기 때문에 실재 블마의 공격력도 합쳐서 계산이 됨으로 보통 30~40대의 평균 공격력을 가지는 블마임으로 실재 주는 대미지는 거의 100정도가 되지요.

이 윈드워크는 현 블마의 밥줄 스킬이라 해도 될정도로 블마 유저분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스킬로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스킬입니다.

-유닛 끊어먹기

윈드워크는 유닛 끊어 먹기용으로 많이 사용이 됩니다. 100이하의 체력을 가진 상대 유닛이 도망을 가고 있다면 2스킬을 찍었다는 가정하에 거의 100% 잘라 먹을수가 있지요(민뎀이 나오면..OTL)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윈웤이 블마의 이속도 올려주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빠른 블마이긴 하지만 탈것을 타고 나오는 영웅들->데나. 아메. 파셔, 키..퍼... 등은 기본적인 이속은 비슷한 수준으로 실재 그냥 따라가선 한대도 못때리는 경우가 허다하죠.

1렙때의 윈웤은 이속 향상이 미미한 편으로 아메나 파셔 꽁무늬만 따라다니다가 놓칠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예전 스부를 사기 편했을 땐 이야기가 다르지만 말이죠. 하지만 2스킬을 찍었다면 꽤 빠른 속도를 자랑하고 3스킬을 찍으면 엄청빨리 달림으로 도망가는 상대 유닛을 100% 컷트할수가 있게 되지요.

굿이 상대가 도망가지 않는다 하더라도 교전 중간 중간 피가 100 이하로 떨어진 영웅/유닛을 단숨에 킬할수가 있습니다. 레인지 공격처럼 유닛들을 쭈우욱 통과하여 공격을 함으로 이건 더욱더 편해졌죠. 데나 처럼 경험치 스틸도 가능합니다. 실재 윈웤의 활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법이기도 합니다.

-극악 견제

과거 1.16시절엔 좀 들했지만 지금의 윈웤 견제는 정말 신경을 긁어 놓죠. 더스트를 뿌려도 유유히 유닛들 통과하여 글자그대로 바람처럼 사라져 버리니...M신공의 무효화란 것 때문에 휴망의 아켄 타워가 아닌 이상에야 초반 블마 견제를 막기가 대단히 까다로와졌습니다. 과거 언데드전 선블마의 가장 큰 적이라 알려졌던 선 드레의 경우 지금은 아에 반가운 영웅으로 슬립 마나만 낭비하는 꼴이죠.

이것 말고 윈웤 견제가 좋은 점이 일단 블마는 디텍팅을 하지 않는 이상 보이지 않음으로 안심하고 사냥하고 있다가 경험치+아템을 다 뺏겨 버리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하고 쿨탐도 짧은 편이라 경험치 스틸+아템 스틸을 하기가 대단히 편하게 되어있지요.

다만 이 견제는 상당한 경험이 필요한 것으로 데나처럼 확실한 100의 댐쥐를 주는 것이 아니라 렌덤한 70근처의 댐쥐를 주는 것으로 윈웤 1스킬을 통한 경험치 스틸은 상당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2. 미러 이미지

미러 이미지는 오리지널때는 블마의 필수스킬이었으나 ALT 신공의 보급후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된 비운의 스킬이지요. 하지만 실재 해보면 2스킬 이상을 찍는 다면 가려내는 것이 만만치는 않습니다. 설사 가려냈다 하더라도 다시 미러이미지를 걸어버리면 또 다시 찾아야 됨으로 대단히 난감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죠. 위의 윈드워크가 공격용+견제용의 적극적인 스킬인 반면 미러이미지는 교전시엔 주로 상대의 혼란을 가져와 아군 세컨과 유닛들의 화력을 극대화 시키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스킬로서 그냥 무시해버리는 상대님들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만... 블마는 그냥 놔두면 난리가 나는 영웅중 하나로서 화력 발휘란 측면에선 꽤 이점이 있는 스킬입니다.

-빠른 사냥.

사냥을 빨리 하기 위해선 몸빵을 해줄 뭔가가 필요하지요. 파셔의 경우 늑돌이가 그 역활을 대신 합니다만 블마의 경우 미러이미지가 그 역확을 대신해 줄수 있습니다. 미러이미지를 몸빵으로 하고 나머지 병력들이 사냥을 하는 형태로 뎀쥐를 200% 받는다곤 하지만 의외로 늑돌군들 보다 더 공격에 오래버티는 모습도 많이 보여주곤 하지요. 하튼 미러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사냥 속도가 꽤나 빠르게 나오는 편입니다.

-상대 후방 교란.

미러이미지의 스킬 설명을 봐도 알수 있지만 미러의 교전시 주 목적은 바로 교란에 있습니다. 상대 화력 분산 타겟팅 분산등의 상대님의 병력을 교란시켜 실재 상대화력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아군 화력을 증가시키는 역활을 하지요.


3.크리티컬 스트라이크

크리의 경우엔 페시브로서 특별히 마나는 들지 않습니다만.. 확률이 15%로 꽤 낮은 편입니다. 뎀쥐가 2/3/4배수로 올라가서 4배수의 경우 300~400의 뎀쥐를 레더상에서 만들어 내기도 하는 괴물 같은 스킬이죠. 단독으로 만들수 있는 뎀쥐중엔 베니쉬+스톰볼트 다음가는 괴력의 스킬입니다. 계산상으로 실재 입히는 뎀쥐를 보면 확률이 15%-30%-45%로 늘어난것과 비슷한 효가가 있다고 전에 어떤분히 말씀하셨죠.

하여튼 쓰고 싶다고 쓸수 있는 스킬은 아님니다만 확률스킬인 관계로 대박! 이란것이 있어서 평균 뎀쥐가 80대에 육박하는(워드럼 오라받고 클러+오브로 도배하면 이정도는 나오더군요..) 블마가 3스킬 크리를 연타로 터트리면 아메는 그자리에 낙마사 할정도로 대단한 화력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역시 페시브로서 그냥 이 스킬에 의존해 뭔가를 하겠다는 생각은 버려야 되는 아주 보조적인 스킬이지요.

4. 블레이드 스톰

블마의 궁극기로서 공격력 하나만큼은 초당 110댐쥐를 7초동안 입히는 스킬로서 뎀쥐가 100%들어갈 경우 단순 계산으로 770이란 어마어마한 댐쥐를 줄수 있는 스킬입니다. 체널링 스킬중 최상급의 위력을 자랑하는 스타폴의 경우가 750의 댐쥐를 주는것을 생각할때 얼마나 강력한 스킬인지를 알수 있지요.

다만 피하면 그만! 이라는 문제와 함께 범위가 생각보다 많이 좁다는 것이 이 스킬의 최대 난점. 때문에 이 스킬의 경우엔 망치와 모루 작전 흔이들 하는 말로 센드위치 공격이 필요한 스킬입니다.

우선 자리를 잘잡아야 되는데 상대의 퇴로를 차단하는 자리를 잡고 아군 병력이 전방에서 모루역활을 하고 이 스킬을 사용하면 후퇴할수도 없는 상대병력은 어마어마한 대미지를 입게되지요. 가만히 한자리에서 사용하는거보단 비벼주는 식으로 움직여 주는것이 더 좋습니다.

자리잡기 용으로 유닛을 통과하는 윈드워크와 병행하여 사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수도 있습니다.

<운영의 묘>

블마의 운영은 크게 두가지로 볼수 있는데 견제형과 사냥형입니다. 각각 올리는 스킬이 좀 다를수도 있는데 한쪽으로 치중할려고 한다면 견제형은 윈웤+크리 사냥형은 미러+크리가 좋지요.

다만 병합하려고 하신다면 윈웤+크리로 사냥도 하고 견제도 할수 있습니다. 다만 이경우 미러 블마보단 사냥속도가 빠르지 않지요. 때문에 아래의 운영은 스킬에 따른 운영을 한번 써볼까 합니다.

1. 윈드 워크 블마

윈드워크 블마의 경우 제법 범용성을 갖춘 형태로 견제를 하다가 사냥으로 돌변할수가 있습니다. 바로 사냥을 해도 별 문제는 없지만 체력의 문제가 생기죠. 때문에 상점을 빨리 짓고 꿀단지로 체력회복을 해가며 사냥을 하시면 됩니다.

견제를 하실려면 아템이 없이 그냥 나갔다간 얼마 하지도 못하고 복귀해야 될경도 많음으로 일단 윈웤 블마의 경우 상점은 최대한 빨리 짓는 것이 좋지요.

견제의 경우 윈웤을 찍으시고 상대 본진으로 뛰어가서 상대 선영웅을 스토킹 하면 됩니다. 이 견제의 요령은 직접 해보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원칙은 사냥방해의 경우 상대 지능영웅을 공격을 하거나 경험치를 스틸하고 본진에 난입하여 일꾼 타격을 줄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휴먼 심시티의 경우 문을 막아버리면 나갈수 없는경우가 자주 발생함으로 아켄 타워의 압박이 좀 심하죠.

교전시엔 우선 윈웤을 켜서 상대화력의 초반 집중을 피하고 교전시작 직후 상대의 피적은 유닛들에게로 달려가서 렐리 공격을 쫘악 찍어주시면 됩니다. 페시브로 크리가 들어가면 상대의 피적은 유닛은 대단히 빨리 잡아내는데. 상대가 피가 많은 유닛 중심(그런트,헌트리스)이라면 그냥 영웅을 때리는 것이 더 좋을때도 많습니다.

또하나 윈웤은 자리를 잡는 용도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특히나 나엘전 1/1/1 상대시 중요한 컨인데 상대 아쳐 헌트 드라사이로 한중간에 뛰어들었다면 모든 상대 공격을 단숨에 얻어 맞을수 있음으로 좌우측면 상대 화력의 집중이 어려운 지역으로 침투하여 공격하는 것이 좋지요.

윈웤 블마의 최대 강점은 빠른 영웅킬! 공속이 상당히 빠른 편인 블마는 크리를 심심치 않게 터트림으로 퍼지나 인스네어로 묶어 놓고 때리면 마킹의 스톰볼트가 아닌 이상에야 정말 영웅 하나 살리는 것 만으로 벅찰때가 한두번이 아님니다. 피가 없는 영웅들이 전장을 빠져나가는 경우도 허다하니 그것 만으로 상대화력은 엄청나게 감소를 하지요.

2. 미러이미지 블마

미러 블마의 경우 사냥입니다. 그러니 반대로 사냥 견제를 받을수도 있지요. 물론 미러블마로 견제를 할수도 있습니다만 굳이 견제를 하실 생각이면 그냥 윈웤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미러의 경우 블마는 사냥이 빠르죠. 때문에 영웅렙이 높은 상태에서 교전을 할수 있습니다. 미러의 교전시 팁은 상대의 화력을 분산시켜야 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일단 상대 진형 한가운데로 뛰어들어 미러이미지를 시전하지요. 상대가 미러를 찾아내려고 노력을 한다면 상대 화력을 분산시킬수 있고 그냥 무시해버린다면 블마가 직접 화력발휘를 할수가 있습니다. 특히나 1.17에 들어와 미러이미지도 라쉴,링크가 걸림으로 미러이미지에 라쉴까지 걸어주면 정말 구별해내기 힘들어지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지요.

그리고 진짜 블마를 구별해내 공격을 한다하면 유유히 R키를 눌러주시면 그동안의 상대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버리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상대 유닛을 끊어 먹는다는다 빠른 영웅킬을 노린다든가 하는 것은 포기를 해야되지요. 유닛킬에 특화된 블마라 할수 있습니다.

3.블마의 약점

블마의 경우 상대 메직타입 스킬엔 약하고 물리 공격엔 강한 민첩영웅입니다. 영웅이라 스킬뎀쥐를 30% 적게 받는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피가 적은 블마의 경우 영웅의 방어력까지 계산하여 210의 댐쥐를 받게 되는 스톰볼트+데스 코일의 경우 대단한 압박으로 다가옵니다.

반대로 기본아머가 높고(5렙이면 아머가 7! 30%이상의 댐쥐 감소..) 영웅아머타입은 피어싱 공격에 강함으로 상대 레인지 유닛이 일점사엔 어느정도 자유로울수 있지요.

다만 방심은 금물. 그러다 보니 아템빨로 때워야 될때가 많습니다. 규정된 데미지 이상을 주지 못하는 타 영웅들의 스킬과는 달리 블마의 경우 기본공격력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스킬이 주를 이루고 있음으로 좋은 아템으로 도배를 해놓았다면 정말 강해지죠. 무포나 힐포 종류는 꼭 하나씩 들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컨트롤>

블마는 파시어와는 다른 영웅입니다. 파시어의 경우 지능영웅으로 레인지 공격을 함으로 교전시엔 안정적으로 병력 후방에서 체라나 늑돌을 통해 화력 지원을 하지만 블마의 경우 밀리타입의 공격을 하는 영웅으로 최전방에서 적의 모든 공격을 온몸으로 맞으며 싸워야 될때가 한두번이 아니지요.

그러다 보니 스텟상으로 훨씬 잘죽어야 되는 파시어 보다 더 잘죽는 영웅이 블마입니다. 때문에 블마의 컨은 크게 두가지로 살펴 볼수 있습니다. 바로 생존의 컨과 공격의 컨이지요.

1. 생존의 컨트롤

생존의 컨은 스킬+아템으로 이루어짐니다. 상대 화력 집중에서 일순간 벗어날수 잇는 미러이미지+윈웤을 있음으로 이 스킬을 사용하여 급한대로 블마를 살릴수가 있고 블마가 최전방에서 공격을 함에 있어서 그의 생존력을 올려주지요. 다만 이것만으론 2%부족! 때문에 아템을 적제 적소에 써주는 컨트롤도 필요합니다. 무포나 힐포 없이 그냥 교전에 들어갔다간 낭뷁을 볼때가 한두번이 아님으로 꼭 챙겨다니시면서 피가 없다 싶으시면 주저없이 써주시고 더 위험하다 싶으시면 무포+윈웤으로 전장을 이탈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니면 포탈을 타도 되지요.

바이탈로 인벤을 도배해서 체력을 올려주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바이탈의 경우 300골드나 하는 꽤 비싼 가격을 자랑함으로 멀티 2개를 돌리지 않는 이상 다량을 구입해서 다니긴 문제가...

2. 공격의 컨트롤

블마 공격의 컨트롤은 특별히 다른것은 없습니다. 윈웤을 통한 자리잡기나 상대 피없는 유닛을 짤라주는 컨이 필요한데.. 블쟈에서 인정한 공식버그(?)인 윈웤 딜레이. 즉 윈웤을 쓴 직후의 명령은 블마가 무시해버리는 것 때문에 가끔씩 블마가 전장에서 투명화되어 쉬고 있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수가 있습니다.

때문에 필요한 것이 시프트 신공! 윈웤을 사용한 직후 시프트 키로 렐리공격을 내려 놓으면 바로 딜레이 없이 공격을 하지요. 다만 시프트 렐리공격을 여러군데로 찍어놓으면 엉뚱한 타겟을 공격을 함으로 한번만 해주시면 됩니다.


<맺음말>

1.17의 패치 발표이후 불고 있는 블마의 열풍.. 솔직히 그동안 파셔나 칩튼에 익숙하신 분들에겐 대단히 까다로운 영웅입니다. 잘죽지... 상대 병력을 한방에 날려버릴 AOE도 없지... 도대체 뭐가 좋은가? 라고 생각할수 있는 B급 영웅 블마이지만 상황에 따라선 파셔나 칩튼이 할수 없는 일을 해내는 영웅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 후방에 과감히 침투하여 상대 레인지 유닛의 공격을 온몸으로 받아내며 후방을 교란. 상대 화력의 분산시키는 일은 옥후의 영웅중엔 오직 블마만이 가능하고 워3의 전영웅을 통틀어도 데몬과 블마만이 가능한 일입니다.

즉 쓰기에 따라선 파셔나 칩튼이상의 능력을 낼수도 있..나? 흠... 하튼 여러분의 칼질에 건승을 바라며 저의 초 허접 블레이드마스터 기초강좌를 마칠까합니다.






================================================================================================================================================================







-중급-



저번 기초강좌의 반응이 좋아서 이번엔 중급강좌를 함 써보려 합니다.

[머릿말]

아래에 써놓은 기초강좌는 잘들 보셨나요? 이제 블마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 마인드는 잡혔다는 가정아래 조금더 어려운 블마의 활용에 대한 강좌를 해보려합니다.

먼저 밝혀 두고 싶은 것은 블레이드 마스터는 좋은 영웅이 아님니다.

확실한 데미지 스킬이 없고(윈웤의 데미지는 미미한 편입니다. 3스킬을 찍어봐야 총 대미지가 140정도 아머를 생각하면 실재론 더 낮죠. 단순 화력으로 300의 대미지를 주는 스톰볼트나 데스코일과는 비교할수 없습니다.) 상대 병력을 확 날려버릴 AOE도 없습니다.

하지만 선 영웅으로서 옥후의 파시어가 하지 못하는 일을 여러가지 해내는 영웅이고 상대 후방에 침투 상대의 공격을 다 받아내면서 후방을 교란시키는 것은 워크 전영웅중 거의 블마 혼자만 가능한 것이죠.

제가 이런 장문의 글을 쓰는 이유는 블마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최소하 하여 블마가 실제 교전에서 최대한 활약할수 있는 오랜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한 노하우를 공개하여 선 블마를 쓰시려는 분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되엇으면 하는 바렘때분입니다.

그럼 시작해볼께요.

우선 이번 중급에선

1부 블마의 교전시 컨트롤
2부 블마 스킬의 극상성 유닛/스킬과 그에 대한 대처법
3부 블마와 가장 어울리는 세컨 영웅
4부 블마의 사냥코스
5부 블마에게 필요한 아템

순으로 나가보겠습니다. 다들 준비되셨나요? 그럼 시~~작!

[1부-블마 교전시 컨트롤]

아래 기초강좌에서도 어느정도는 써 놓았지만 자세하진 못해서 이번 중급강좌에서 좀더 자세히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블마의 교전시 제1차 목표는 상대의 피적은 유닛입니다. 영웅의 공격타입은 건물아머를 제외한 전 아머타입에 100%데미지를 줌으로 상대의 피가적은 유닛은 공격딜레이1.77의 극악의 공격속도를 자랑하는 블마에게 순식간에 썰려나갑니다.

특히나 피가적은 유닛을 많이 사용하는 나엘의 경우 이 컨트롤이 빛을 발하는데요. 윈웤으로 상대 화력의 집중이 어려운 상대 진형 좌우측으로 침투하여 렐리 공격을 쭈욱! 찍어줌니다. 그리고 나선 나머지 아군 병력들을 컨트롤 해주면 되지요. AOE를 쓴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상대 피적은 유닛은 금방 잡아냄니다.

다만 휴먼전의 경우 소서의 슬로우의 압부렉끼가 있으니 샤먼의 퍼지로 슬로우는 바로바로 제거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슬로만 안걸려있다면 휴먼의 메지컬도 순식간에 잡아내지요. 다만 샤먼의 퍼지로 제거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으로 너무 남발하진 마시길 바라고.. 소서가 너무 많은 상황에선 퍼지로 제거해봐야 금방 다시 걸림으로 스스로 커버를 해주는 것이 더 좋습니다.

제2차 목표는 상대의 빨피 유닛들. 상대 피적은 유닛들을 마구마구 썰어대는 중이라도 ALT키로 상대 체력상태를 확인 빨피가 되어 도망가는 상대 병력이 있다면 윈웤2스킬을 찍었다는 가정하에 거의 100% 암살이 가능합니다.

제3차 목표는 호위병력이 없는 상대 영웅들. 쉽게 말해 서로 한타쌈을 크게 붙어 병력을 거의 소진해 버린 상태라면 사면/레이더로 상대 영웅을 묶어 놓고 암살을 할수 있습니다. 이때 포탈이 없는 영웅을 노리는 것이 좋구요. 모포가 있는 상황이라도 노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포탈을 타고 도망가버릴 경우가 자주 발생하니까요. 다만 상대 인벤에 무포/포탈이 없는 상황이라면 호위병력이 소진된 상대 영웅들은 정말 살리기 힘듬니다.


[2부- 블마가 두려워하는것+대처법]

블마를 사용할때 정말 조심해야될 스킬과 유닛이 있습니다. 스킬은 주로 스턴/디텍팅 스킬/아머 감소 스킬이고 유닛은 피가 많고 아머가 높은 유닛입니다.

하나씩 살펴볼께요.

1. 스턴스킬
블마의 교전시 제1목표는 위에서도 말했듯이 상대의 피적은 유닛입니다. 이 이유는 블마는 이속/공속이 빠르기 때문에 대단히 빨리 상대 유닛을 저지할수 있기때문인데요. 스턴이 걸려버리면 그 이속 공속이 무효화 되기도 하고 스턴 스킬자체의 데미지도 데미지 거니와 체력이 약한 블마가 일점사로 알타행이 되어버리는 압뷁스런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때문에 이럴땐... 스킬/아템으로 그 상황을 타게하여야 되는데요. 일점사를 당하고 있을시 미러이미지를 올렸다면 미러이미지로 단숨에 일점사에서 벗어날수가 있고 그렇지 않다면 무포/힐포로 버텨야됩니다. 그러니 블마의 인벤엔 좀 무리를 해서라도 무포/힐포를 가지고 다닌것이 좋습니다.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든다고 그 작은 습관이 블마의 생존을 결정할때가 한두번이 아니니까요.

2. 디텍팅 스킬
호크/페파/더스트등이 있는데. 역시 미러를 올렸다면 페파나 더스트등은 무시가능! 그렇지 않다고 해도 샤먼으로 켄슬을 해주면 됩니다만.. 샤먼을 쓰지 않는 상황이라면 골치아플때가 많습니다. 때문에 이럴땐 윈웤을 키고 최전방에서 후방으로 일단 블마를 이동시킵니다. 디텍팅 직후엔 블마에게 일점사가 집중될 확률이 높기때문인데요. 일점사가 들어오는듯 하면 바로 블마를 후방으로 후퇴를 시키고 잠시후 합류를 시킵니다. 이 타이밍은 대단히 난해한 것으로 많은 연습이 필요한데요. 대원칙은 상대 화력의 집중이 다른곳으로 될때 다시 합류를 시키는 것입니다.

이유는 우선 영웅은 마법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그 디텍팅 스킬의 지속시간이 짧고 때문에 잠시 뒤로 후퇴하는 것으로 인해 다음 교전참가시엔 금방 그 효과가 사라질수가 있고 상대의 제1차적 화력집중에서 벗어날수 있기때문입니다.

또하나는 일점사를 행하는 상대 유닛은 대부분 레인지/마법공격 유닛들입니다. 그런데 영웅아머는 이 두 공격엔 꽤 강하지요.

상대의 2차 화력집중이 이루어진다해도 최초보단 확실히 교전으로 인해 상대 화력이 감소되어있을때임으로 레인지 공격에 강한 블마의경우 더 오래 버틸수가 있게되는거지요.

호크의경우 조금 까다로운데.. 최고의 방법은 빨리 제거해주는 것입니다. 호크의 경우 상당히 쿨타임이 긴편으로 한번 소환해내고 다음 소환까지 시간이 많이 걸림니다. 때문에 이 시간동안은 디텍팅의 압뷁에서 벗아날수가 있지요.

그냥 무포 힐포로 버텨도상관은 없지만요.. 호홀....

3.아머감소 스킬

블마는 체력이 적은 대신에 아머가 높은 민첩영웅인데 이 아머감소스킬에 당하면 그 이점이 완전히 사라져버림니다. 쉽게 말해 지능영웅과 같은 멧집을 가지게 된다는 거지요.

때문에 항상 조심을 해야되는데 페파/커럽션 오브/에시드 붐이 그 대상이 되겠습니다. 페파를 제외하곤 디스펠이 안되니... 이 역시 아템으로 때울수 밖에 없습니다. 페파의 경우 디스펠로 커버해야되고 커럽션 오브나 에시드 붐의 경우엔 프로텍션 스크롤로 커버가 가능합니다. 다만 상대가 디스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면 프로텍션 스크롤=전멸의 오브가 됨으로 디스를 빨리 제거해주는 것이 좋지요.

즉... 다시 말해서.. 흐음... 이 아머감소 스킬에 관해선 특별한 정답은 없습니다. 더욱더 블마 컨트롤에 열을 올려 아템으로 생존을 보장하면서 싸울수 밖엔없는거지요.

다만 미러블마의 경우 미러이미지 시전시 모든 마법효과가 켄슬됨으로 이 아머감소 스킬의 압박에서 벗어날수가 있습니다.

4.상대 하이테크 유닛들

어보미/나이트/곰드루/타우렌등 아머가 높고 체력이 많은 유닛의 경우 블마의 칼질이 아무리 강해도 역부족일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블마의 스킬은 블마의 기본공격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위의 하이테크 지상유닛들의 경우 아머가 5이상의 헤비아머로 이루어져있는데. 헤비아머의 경우 최대 장점. 즉 아머 업글이 곳 상성상 우위다라는것 때문에 블마의 화력이 정말 초라해보이게 됩니다.

헤비아머는 메직타입을 제외한 모든 공격에 100%대미지를 다 받는데요. 아머가 높으면 높을수록 그 데미지를 적게 받게됩니다. 기본 아머가 5인 타렌의 경우 데미지 감소가 20%를 넘고 풀업시 9! 40%에 육박하는 데미지 감소를 자랑하게 되지요.

때문에 하나 잡자고 마나를 다 써버릴 경우도 다반사로 발생하고 그렇다고 해서 잡지 못할 경우도 다반사로 발생하지요. 때문에 이럴땐 블마가 이런 유닛들과는 최대한 교전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그나마 피가적은 유닛을 노린다던가 상대 인트 영웅들을 집중적으로 노리는 것이 좋습니다.

[3부 블마와 가장 어울리는 세컨 영웅]

블마와 어울리는 세컨영웅은 대양한 편입니다. 각자 장단점이 있으니.. 하나씩 살펴보도록 할께요.

1. 쉐도우 헌터

블마의 최대 단점은 낮은 체력을 보완해주는 영웅으로 힐웨 2스킬을 찍으면 거의 죽지 않고 상대 병력들과 신나게 맞짱을 뜨는 블마의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나엘전에서 가장 많이 꺼내드는 카드인데요. 서펀트 워드는 생각날때 한개씩 꽃아주고 전 마나를 블마의 생존을 위한 힐웨로 투자를 합니다. 계속적인 체력 보충을 받는 블마는 과거 오리지널 시절을 떠올리게 할정도로 막강한 모습을 보여주지요.

또한 헥스를 이용한 상대 아템사용의 방해. 신나게 썰고 있는데 상대 영웅이 힐포 무포로 버텨버리면 허탈한 경우가 너무나도 자주 발생을 하는데.. 이게 헥스가 있다면 이야기가 완전히 틀려집니다. 헥스 2스킬의 경우 영웅에게 해당되는 시간은 5초. 블마의 공속을 생각할때 4~5번 정도는 공격을 할수 있는데. 이때 크리가 뜰 확률이 60%이상은 됩니다. 블마가 3렙이상이라면 윈웤으로 치고 크리가 한번떠주면 영웅의 아머를 생각해서라도 계산상 250근처의 데미지를 그 5초의 시간동안 줄수 있지요.

이정도면... 계산만 잘한다면 2스킬 헥스로 못잡을 영웅이 없습니다.

쉐헌의 단점으로선 확실한 AOE가 없고 쉐헌 역시 민첩영웅으로 상대 영웅 스킬에 너무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2. 나가씨 위치

자주 사용하진 않습니다만 극 초반 상대가 아쳐와 같은 피가적은 기초유닛을 많이 이용할시엔 상대에게 어마어마한 타격을 줄수 있는 영웅입니다. 프로스트 에로우의 속도 감소는 정말 공속/이속이 빠른 블마의 좋은 보조스킬이 되지요.

다만 나가씨 위치의 언제나 거론되는 문제점 중후반 확실한 화력보조를 못한다는건 어쩔수가 없습니다. 블마 역시 그러함으로 이 초반화력이 강한 두 영웅으로 플레이를 하다가 중후반에 낭뷁을 볼때가 너무나 많지요. 신중히 생각해야되는 영웅입니다.

3. 타우렌 칩튼

블마의 약점중 하나인 중후반 확실한 화력 역활을 못한다는걸 보완해주는 영웅입니다. 쇼크웨이브의 강력한 화력을 상대 유닛을 제압하고 블마가 상대 후방을 마구마구 어지럽히면 진형을 갖춰 공격하는 상대의 진형을 단숨에 무너뜨릴수가 있지요. 저의 경우 언데전에 많이 사용합니다만 이 칩튼을 쓸때 블마의 컨트롤에 더욱더 신경을 쓰지 않으면 어느세 승천해버리는 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초중후반 상대에게 강력한 화력을 퍼부을수 있으니 블마만으로 잡기 힘든 레인지 유닛을 사용하는 언데/휴먼의 경우 그 빛을 발휘하지요.

특별한 단점은 없습니다만 특별한 장점도 없다는 것이 세컨 칩튼의 문제입니다.

4. 고블린 알케미스트

에시드 붐이 대박입니다. 기본공격력이 강하고 공속이 빠른 블마의 경우 상대 유닛의 아머가 낮다면 정말 강해집니다. 특히나 휴먼전의 경우 마킹/아메가 순식간에 블마의 칼날아래 이슬이 되어 사라지기도 하구요. 저의 경우 휴먼전에서 가장 만힝 뽑아드는 세컨 카드입니다.

그 이유는 마킹이 최초 합류시점에선 선 블마를 했기 때문에 마킹의 렙은 블마 보다 낮습니다. 이럴때 마킹VS블마의 싸움에선 블마가 압승을 거둘때가 많은대요. 거기다가 힘영웅의 단점인 낮은 아머(마킹의 경우 1렙때 아머가 3입니다.)때문에 실재 블마의 일점화력이 어마어마하게 작용하는 것이고 마킹이 무너진 휴먼 병력은 나지컬이나 스카이가 아닌이상에야 도미노처럼 무너질때가 많습니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가뜩이나 피가적은 메지컬+레인지유닛들의 경우 에시드붐을 맞아 버리면 블마에게 너무나 쉽게 잡혀버리죠.

다만 알케의 경우 아머가 너무나 낮고 역시 확실한 AOE가 없기때문에 중후반 확실한 화력보조를 하지 못합니다. 때문에 저의 경우 알케를 사용할시 써드영웅을 꼭 추가해줘서 그 약한 화력을 보충하는 편입니다.

5. 그밖의 영웅들

이밖에도 중립영웅들이나 파셔를 세컨으로 사용하는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만.. 저의 경우 위의 4영웅을 주로 사용함으로 나머지 영웅들에 대한 정보는 쓸수가 없내요. 혹시아시는 분들이 있으면 꼭! 리플로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4부 블마의 사냥코스]

블마의 사냥코스의 경우는 뭐... 파셔와 그리 다르진 않습니다만.. 퍼지를 남발하는 크립들이 있는 곳도 비교적 안정하게 사냥할수 있음으로 녹색 크립지역 약한 몹부터 차래로 샤냥해주는 편이 좋습니다. 직접공격으로 몸빵을 하면서 사냥을 해야되는 블마임으로 될수 있으면 피어싱 공격을 하는 크립들이 많은곳을 우선적으로 제압해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

견제형을 선택했을시엔 멀티지역 한군대만 사냥을 해주시면 되지요.

세컨이 합류한 시점에선 조금 다른데요. 세컨을 무엇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름니다. 칩튼의 경우 파셔를 사용하실때의 느낌 그대로 하면되구요 나가씨나 쉐헌의 경우도 그렇게 다르진 않습니다.

다만 알케를 사용하실 경우 트메기준으로 블마 그런트 4 알케 이정도로 상점지역을 가뿐하게 사냥하기도 할정도로 다른 세컨이 있을때보단 약간 오바크리핑도 가능합니다. 에시드 붐의 경우 사냥에도 상당한 도움이 되기 때문! 디스펠이 안되기 때문에 프리스트 류의 크립들이 있는 지역도 에시드붐 떨어뜨리고 사냥을 하면 대단히 빠르게 사냥을 할수가 있고 직접공격을 하는 블마임으로 에시드 붐을 맞은 크립들은 블마에게 순식간에 썰려버림니다. 에시드 붐의 경우 마나도 많이 소모하지 않으니(75)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터락 스타팅 지역이나 거북이 머리지역도 인구수 40정도면 꿀단지 1개(3개 들이..)로 무난히 사냥할수 있습니다.

5부 블마에게 필요한 아템

예전에도 올렸던 것인데 이번엔 나름대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1순위 공격력 관련 아템

공격력 관련아템은 블마에게 모두 몰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몇차래 언급했지만 블마는 자신의 공격력에 영향을 받는 스킬이 주를 이룸으로 공격력향상=스킬 데미지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지요. 아래 기초강좌에도 써놓았지만 레더상에서 클러2개 오브하나 워드럼 오라 20%짜리를 받은 상태에서 3스킬 크리가 터지니 300이상의 데미지를 본적도 있습니다.

2순위 체력관련 아템

카드갈의 헬스젬 같은 체력관렌 아템은 무조건 몰아줘야 합니다. 5렙 블마를 체력 1300이상으로 만들어 본적도 있는데요(바이탈 2개 헬스젬1개) 이정도면 정말 강합니다. 아머도 높은 블마인지라 상대 공격을 글자그대로 온몸으로 받아내며 교전을 이끌어가는 휴먼의 마킹 같은 모습을 보여주곤 하지요.

3순위 방어력 관련 아템

기본방어력이 높다곤 하지만 좋은건 더 좋게 하는 것! 프로텍션 링이나 민첩성 관련 아템은 그냥 모조리 몰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나 민첩성관련 아템은 공격력까지 오름으로 무조건 몰아줘야 하지요. 아머가 낮은 힘영웅을 세컨/써드로 쓰고 있다면 프로텍션 링은 나눠가져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4순위 힐링/무적 포션류 아템

디바인 포션, 무적포선. 힐링포션 등 포션류도 많이 들고 다니면 좋겠습니다만... 인벤엔 한계가 있음으로 위의 아템들이 많이 나왔다면 한개정도만 들고다녀도 무난합니다. 저의 경우 헬스 관련 아템이 많이 나왔을 때는 포탈을 세컨에게 주고 인벤엔 무포를 하나 더 챙기는 경향을 가지고 있지요.

5순위 각종책들

책은 그냥 다 몰아주는것이 좋습니다. 세컨 칩튼을 쓰고 있다면야 지능책은 칩튼이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만. 힘이나 민첨은 모조리 블마가 몰아받는 것이 좋지요.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스텟의 향상은 곳 영웅의 강력함으로 이어지니 책종류도 놓치지 말고 챙겨야 합니다.

6순위 마나 관련 아템

에너지 펜던트나 마나 펜던트 마나포션등을 들고 있어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그냥 세컨에게 주는것이 좋습니다. 블마의 경우 레벨당 지능수치 상승률이 높은 편으로 3~4렙 부터는 마나번을 안당하는 이상 윈웤 남발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때문에 굳이 이런 아템을 들고 다닐필요는 없지요.

7순위 오라 관련 아템

무조건 세컨이 들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블마의경우 인벤이 항상 모자라는 편으로 아템발이 곳 블마의 화력+생존과 직결이 됨으로 다른 아템으로 인벤이 꽉 들어차 있는 경우가 대부분. 저의 경우 블마 원영웅을 이용할시엔 오라 아템은 그냥 팔아버릴때도 많습니다.

8순위 추가 능력아템

뭐.. 클록오브 쉐도우라든가 클록 오브 프레임등 추가 능력아템의 경우도 블마가 들고 있긴 좀 뭐하죠. 프레임의 경우는 밀리공격형 영웅인 경우가 아니면 이야기가 좀 틀림니다만 특히나 쉐도우는? 바로 팔아버리세욤.





이상으로 블레이드 마스터 중급강좌를 마치려 합니다. 긴 글 읽어 주신 여러분깨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요. 질문이나 잘못된 점. 또는 추가해야 될 내용이 보이시면 기탄없이 리플을 달아주세요. 즉각즉각 수정을 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초허접직장옥후워크인 블레이드씰은 물러갑니다. 여러분들의 칼질에 건승을 바라며....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AFK 아레나 x 나 혼자만 레벨업 성진우 즉시 지급 운영자 25/07/30 - -
AD 휴대폰 액세서리 세일 중임! 운영자 25/07/28 - -
공지 워크래프트 갤러리 이용 안내 [613] 운영자 05.09.29 99264 13
1448480 신이난다 응기등기 함께하는 댄싱타임 (5) ㅇㅇ(175.209) 07.27 18 0
1448479 신명나게 댄싱하자 응기응기 혁이의 대모엄 (4) ㅇㅇ(175.209) 07.27 18 0
1448478 응기등기 댄싱타임 (3) ㅇㅇ(175.209) 07.21 35 0
1448477 안녕 내이름은 혁이고 직업은 워갤총리야 (2) ㅇㅇ(175.209) 07.20 29 0
1448476 뚱보 혁이의 하루 (1) ㅇㅇ(175.209) 07.20 25 0
1448475 댄스댄스응기등기혁이 ㅇㅇ(175.209) 07.16 38 1
1448466 뚱보의 혼 ㅇㅇ(211.234) 07.09 44 0
1448464 다대기 복귀글 [1] 존잘이현욱투(182.215) 07.06 85 10
1448463 현익아 형 이제 워크접는다 [3] 다댁(211.205) 07.01 156 3
1448457 ㅇㅂ와 워갤의 공통점들 [3] 다댁(223.39) 06.26 148 1
1448450 누군가의 인생 [1] 다댁(211.205) 06.23 167 0
1448447 ㅎㅎ 존잘이현욱투(182.215) 06.22 108 1
1448443 재벌이새 등댘이가 강의하는 사회생할방법 [3] 다댁(223.39) 06.20 198 1
1448440 남자는 능력이지 다댁(223.39) 06.20 61 0
1448439 여자랑 카톡해봤냐? 썸타봤냐? [5] ㅇㅇ(106.101) 06.19 198 0
1448438 존못 병신대전인데 다댁(211.205) 06.19 61 0
1448437 그래 난 병신이지 다댁(211.205) 06.19 71 0
1448436 응졷까 ㅇㅇ(106.101) 06.19 57 0
1448433 통피인데 구별이 가능하다고??!!! [2] 다댁(211.205) 06.18 185 0
1448432 미안하다 버빵지고서 계속들어와서... 사과받아주었으면한다 [2] 존잘이현욱쓰리(182.215) 06.18 161 1
1448430 결백 ㅋㅋㅋ씹ㅋㅋㅋ ㅇㅇ(106.101) 06.18 63 0
1448429 결백하단다 ㅋㅋ [1] ㅇㅇ(106.101) 06.18 161 0
1448427 형 퇴근하고 집에서 새삥마우스로 워크할거다 다댁(223.39) 06.18 55 0
1448426 Ai한테 이번 사태 문의해봄 [2] 다댁(223.39) 06.18 185 0
1448425 잘생긴게 노가다뛰네 ㅇㅇ(106.101) 06.18 53 0
1448424 형은 오늘도 일한다 [2] 다댁(58.227) 06.18 175 4
1448423 키졷만한친구 봐봐 ㅇㅇ(106.101) 06.18 55 0
1448422 낳음당한 존재들끼리 사이좋게 지내자노 존잘이현욱쓰리(58.227) 06.18 101 0
1448420 키 170안되는사람? [1] ㅇㅇ(106.101) 06.18 154 0
1448417 현욱이가누구? ㅇㅇ(106.101) 06.17 52 0
1448416 병신이네 [7] ㅇㅇ(106.101) 06.17 160 0
1448415 내인생 그래도 키 170넘어서 다행이다 [11] ㅇㅇ(106.101) 06.17 181 0
1448414 나랑 진심 친구할래?? [1] 다댁(223.39) 06.17 153 0
1448413 매일긁히는인생.. ㅇㅇ(106.101) 06.17 44 0
1448412 혀눅아 보고싶다... [4] 다댁(223.39) 06.17 167 0
1448411 근데 106 현욱이노 [1] 다댁(223.39) 06.17 146 0
1448410 다지같은줄알아요 사람들이 [4] ㅇㅇ(106.101) 06.17 152 0
1448409 "너도 낳음당했잖아" [8] 다댁(58.227) 06.17 156 0
1448408 여기 갤관리자 없나요? [10] ㅇㅇ(106.101) 06.17 153 0
1448407 개소리 다신쓰지마라 이씨발놈아 ㅇㅇ(106.101) 06.17 45 0
1448406 나한테 화풀이하는 인생은... [3] 다댁(58.227) 06.17 129 0
1448404 진짜야?소문이지??개소리지?? ㅇㅇ(106.101) 06.17 49 0
1448403 아니라고 병신새끼들아!! ㅇㅇ(106.101) 06.16 45 0
1448402 구라치지마라 씨발놈아 그딴개병신이있을리없다 ㅇㅇ(106.101) 06.16 85 0
1448401 해외토픽 이런병신도있다?? ㅇㅇ(106.101) 06.16 58 1
1448400 대체 어떤인생을살아야.. ㅇㅇ(106.101) 06.16 62 0
1448399 대체 어떤 인생을 살아야... [10] 다댁(223.39) 06.16 144 0
1448398 5천원이있다고 ㅇㅇ(106.101) 06.16 42 0
1448397 5천원있는데 글써도 되냐고요씨발 관리자님아 ㅇㅇ(106.101) 06.16 39 0
뉴스 걸그룹 키키 X 롱샴, 더블유 코리아 Vol. 8 디지털 커버 장식! 디시트렌드 07.2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